KR920003649Y1 - 낚시용 릴의 베일아암 회전장치 - Google Patents

낚시용 릴의 베일아암 회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3649Y1
KR920003649Y1 KR2019900011983U KR900011983U KR920003649Y1 KR 920003649 Y1 KR920003649 Y1 KR 920003649Y1 KR 2019900011983 U KR2019900011983 U KR 2019900011983U KR 900011983 U KR900011983 U KR 900011983U KR 920003649 Y1 KR920003649 Y1 KR 92000364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
lever
bale
fishing line
r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000119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3747U (ko
Inventor
조성철
Original Assignee
해동산업 주식회사
조성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해동산업 주식회사, 조성철 filed Critical 해동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000119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3649Y1/ko
Publication of KR92000374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374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364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3649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01K89/0108Pick-up detai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낚시용 릴의 베일아암 회전장치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낚시용 릴의 베일아암 회전장치의 분해 사시도.
제2a도는 제1도에 도시된 베일아암 회전장치의 아암레버의 사시도.
제2b도는 제1도에 도시된 베일아암의 회전장치의 레버의 사시도.
제3도는 제1도에 도시된 베일아암 회전장치의 부분 절개 측면도로서, 제3a도는 베일아암이 낚시줄 감음위치에 있을때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제3b도는 베일아암이 낚시줄 풀음위치에 있을때를 도시하는 도면.
제4도는 제1도에 도시된 베일아암 회전장치의 부분 절개 정면도로서, 제4a도는 제3a도에 대응하는 도면이며, 제4b도는 제3b도에 대응하는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릴 본체 4 : 레버
5 : 베일아암부착판 5c : 아암레버회전지지돌기
6 : 베일아암 8 : 아암레버
8a, 8b : 회전지지돌기 9, 11 : 스프링
10 : 슬라이드부재
본 고안은 낚시용 릴의 베일아암 회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낚시용 릴의 사용시 베일아암을 낚시줄 투척위치로 회전시키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이러한 장치로는 실용신안 공고 제86-3382호에 기재된 것을 들수 있는데, 이 장치에 있어서는 릴의 베일아암이 부착된 아암레버의 외면에 돌기를 형성시키고, 그 돌기를 후크레버의 장홈에 끼움과 동시에 그 후크레버의 선단의 후크단부를 메인레버의 삽입공에 끼워 상기 후크레버에 의해 릴의 아암레버와 메인레버를 작동적으로 연결시킴으로써, 메인레버의 회전에 따라 아암레버에 부착된 베일아암을 낚시줄 투석위치로 회전시킬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장치에 있어서는 후크레버가 아암레버의 외부에 위치하기 때문에 장치 전체의 폭이 크게 되는 단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아암레버의 노출로 인해 외관이 좋지 못한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단점을 해소시키는 것으로서, 본 고안의 이러한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낚시용 릴의 릴 본체의 외면으로부터 측방으로 연장된 U형 연장부의 단부에 피벗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레버와, 상기 U형 연장부에 일체로 설치되어 릴의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베일아암부착판과, 일단에는 베일아암이 고정되어 있고 타단에서 상기 베일아암부착판에 피벗운동 가능하게 부착되는 아암레버와, 일단은 상기 베일아암 부착판에 그리고 타단은 상기 아암레버에 각각 고정되어 아암레버에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의 회전력을 가하는 스프링을 구비하여 베일아암을 낚시줄 감음위치로부터 낚시줄 풀음위치로 회전시키는 낚시용 릴의 베일아암 회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베일아암부착판의 내면으로부터 돌출된 아암레버회전저지돌기와, 상기 아암레버의 내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베일아암부착판의 아암레버회전저지돌기와 선택적으로 접촉하여 아암레버의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 회전을 각각 베일아암의 낚시줄 풀음위치 및 낚시줄 감음위치에 대응하는 일정범위로 제한시키는 한쌍의 회전저지돌기와, 상기 베일아암 부착판의 내면상에 미끄럼 가능하게 설치되고 베일아암이 낚시줄 감음위치에 있을때 아암레버의 회전저지돌기들 중 베일 아암부착판의 아암레버 회전돌기와 접촉하지 않는 회전저지돌기와 일단이 접촉하는 슬라이드 부재와, 베일아암이 낚시줄 감음위치에 있을 때 상기 슬라이드 부재의 타단과 접촉하도록 상기 레버로부터 연장되어 있고 레버의 피벗운동에 따라 슬라이드 부재를 미끄럼 이동시켜 슬라이드 부재에 접촉하고 있는 아암레버의 회전저지돌기를 이동시키는 것에 의하여 아암레버를 베일 아암의 낚시줄 풀음위치까지 회전시켜 가동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릴의 베일아암회전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되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에는 본 고안에 따른 베일아암 회전장치를 구비하는 낚시용 릴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는데, 이에 도시된 베일아암장치는 릴 본체(1)의 외면으로부터 측방으로 연장된 U형 연장부(2)의 단부에 나사(3)에 의해 피벗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레버(4)와, 상기 U형 연장부(2)에 일체로 설치되어 릴의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베일아암부착판(5)과, 일단에는 베일아암(6)(일부만이 도시됨)이 고정되어 있고 타단에서 나사(7)에 의해 상기 베일아암 부착판(5)에 피벗운동 가능하게 부착되는 아암레버(8)를 구비하고 있다.
레버(4)는 U형 연장부(2)에 연결되는 하단부측에서 릴 본체(1) 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로 구성되는 가동수단(4a)을 가지고 있는데, 이 가동수단(4a)는 레버(4)가 릴 본체(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피벗운동함에 따라 상기 U형 연장부(2)의 하부에 형성된 공간(2a)내로 진입하게 된다. U형 연장부(2)의 공간(2a)내에는 스프링(9)이 설치되는데, 이 스프링(9)은 일단은 레버(4)의 가동수단(4a)의 내면에 접지되고 타단은 가동수단(4a)의 상기 내면에 대향하는 U형 연장부(2)의 내면에 접지되어, 레버(4)를 릴 본체(1)에 근접시키는 방향으로, 즉 레버(4)의 가동수단(4a)을 U형 연장부(2)의 공간(2a)으로부터 후퇴시키는 방향으로 상기 레버(4)에 스프링력을 항상 가하게 된다.
베일아암부착판(5)의 내면에는 슬라이드부재안내로(5b)를 형성하는 안내부재(5a)가 설치되어 있고, 그 안내부재(5a)에는 슬라이드부재(10)가 릴의 축방향으로 미끄럼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슬라이드부재(10)는 상향돌기가 형성된 상단부(10a)와, U형 연장부(2)의 공간(2a)내로 돌출되는 하향돌기가 형성된 하단부(10b)를 가지고 있다. 슬라이드부재(10)의 하단부(10b)는 레버(4)의 가동수단(4a)에 접촉 가능하며, 이에 따라 레버(4)가 릴 본체(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피벗운동하여 레버(4)의 가동수단(4a)가 U형 연장부(2)의 공간(2a)내로 진입 이동함에 따라 슬라이드부재(10)는 그의 하단부(10b)가 레버(4)의 가동수단(4a)에 의해 밀려지면서 상측으로 미끄럼 이동하게 되고, 이에 의하여 슬라이드부재(10)의 상단부(10a)가 베일아암부착판(5)에 피벗운동 가능하게 부착된 아암레버(8)를 밀어 피벗운동시키게 된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함) 베일아암부착판(5)의 내면으로부터는 아암레버회전저지돌기(5c)가 돌출되어 있어, 아암레버(8)의 시계방향 회전 및 반시계방향 회전을 일정 범위로 제한시키도록 작용한다. (이에 대해서도 후술함)
베일아암부착판(5)에 피벗운동 가능하게 부착된 아암레버(8)는 스프링(11)에 의하여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의 회전력을 받게 된다. 즉, 스프링(11)은 그의 하측단부(11a)가 베일아암부착판(5)에 형성된 구멍(5d)에 삽입 고정되고, 그의 상측단부(11b)가 아암레버(8)에 형성된 구멍(8c)에 삽입 고정됨으로써, 아암레버(8)의 회전축과 스프링(11)의 하측단부(11a)가 통과하게 되는 가상선(L)을 기준으로 하여 스프링(11)에 의해 반시계 방향의 회전력을 받게 되고, 상기 가상선(L)을 기준으로 하여 스프링(11)의 상측단부(11b)가 좌측에 위치하게 될때는 아암레버(8)는 스프링(11)에 의해 시계방향의 회전력을 받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라, 아암레버(8)는 스프링(11)에 의해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는데, 이러한 아암레버(8)의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의 회전을 베일아암(6)의 낚시줄 풀음위치 및 낚시줄 감음위치에 각각 대응하는 요구되는 범위로 제한시키도록 아암레버(8)의 내면에는 베일아암부착판(5)의 아암레버회전저지돌기(5c)와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한쌍의 아암레버회전저지돌기(8a), (8b)가 돌출되어 있다. 또한, 아암레버(8)의 내면에는 슬라이드부재(10)의 상단부(10a)에 형성된 상향돌기를 수용, 안내하는 호형 안내홈(8d)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 호형 안내홈(8d)은 슬라이드부재(10)의 상단부(10a)가 아암레버(8)의 아암레버회전저지돌기(8a)와 접촉되게 할 수 있도록 그 아암레버회전저지돌기(8a)까지 연장되어 있다.
미설명부호 "12"는 베일아암부착판(5)의 노출부분을 덮기 위한 덮개부재이다.
이하, 제3도와 제4도를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 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겠다.
제3a도 및 제4a도는 베일아암(6)이 낚시줄 감음위치에 있을 때를 도시한 것으로, 이때 베일아암부착판(5)에 형성된 아암레버 회전저지돌기(5c)에는 아암레버(8)의 회전저지돌기(8b)가 스프링(11)의 스프링력에 의하여 가압접촉되어 있고, 슬라이드부재(10)는 그의 하단부(10b)의 외면이 레버(4)의 가동수단(4a)의 내면에 접촉하게 되고 그의 상단부(10a)가 아암레버(8)의 회전저지돌기(8a)에 접촉하게 되는 하측위치에 있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베일아암(6)을 낚시줄 풀음위치로 회전시키도록 레버(4)를 스프링(9)의 스프링력에 대항하여 제3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으로 젖히게 되면 레버(4)의 가동수단(4a)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슬라이드부재(10)의 하단부(10b)를 밀어 올려 슬라이드부재(10)를 그의 상측 위치쪽으로 이동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슬라이드부재(10)의 상단부(10a)는 그에 접촉하고 있는 아암레버(8)의 회전저지돌기(8a)를 밀어 올려 아암레버(8)를 제4a도의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아암레버(8)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중에 스프링(11)의 상단부(11a)가 가상선(L)을 지나게 되면 스프링(11)의 스프링력에 대항하여 회전하던 아암레버(8)는 그 시점으로부터 스프링(11)의 스프링력에 의하여 제4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저지돌기(8a)가 베일아암부착판(5)의 아암레버회전저지돌기(5c)에 접촉될 때까지 자동적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이와같이 하여 베일아암(6)은 낚시줄 풀음위치로 회전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베일아암을 회전시키기 위한 모든 부품이 베일아암부착판과 아암레버 사이에 내장되고, 따라서 후크레버가 아암레버의 외부에 설치되어 있는 종래기술과 비교할때 장치의 전체 폭이 작게 될 뿐만 아니라, 외관도 좋게되는 장점이 있다.

Claims (1)

  1. 낚시용 릴의 릴 본체(1)의 외면으로부터 측방으로 연장된 U형 연장부(2)의 단부에 피벗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레버(4)와, 상기 U형 연장부(2)에 일체로 설치되어 릴의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베일아암부착판(5)과, 일단에는 베일아암(6)이 고정되어 있고 타단에서 상기 베일아암부착판(5)에 피벗운동 가능하게 부착되는 아암레버(8)와, 일단은 상기 베일아암부착판(5)에 그리고 타단은 상기 아암레버(8)에 각각 고정되어 아암레버(8)에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의 회전력을 가하는 스프링(11)을 구비하여 베일아암(6)을 낚시줄 감음위치로부터 낚시줄 풀음위치로 회전시키는 낚시용 릴의 베일아암 회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베일아암부착판(5)의 내면으로부터 돌출된 아암레버회전저지돌기(5c)와 상기 아암레버(8)의 내면으로 돌출되고 상기 베일아암부착판(5)의 아암레버회전저지돌기(5c)와 선택적으로 접촉하여 아암레버(8)의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 회전을 각각 베일아암(6)의 낚시줄 풀음위치 및 낚시줄 감음위치에 대응하는 일정범위로 제한시키는 한쌍의 회전저지돌기(8a), (8b)와, 상기 베일아암부착판(5)의 내면상에 미끄럼 가능하게 설치되고 베일아암(6)이 낚시줄 감음위치에 있을 때 아암레버(8)의 회전저지돌기(8a), (8b)들 중 베일아암부착판(5)의 아암레버회전저지돌기(5c)와 접촉하지 않는 회전저지돌기(8a)와 일단(10a)이 접촉하는 슬라이드부재(10)와, 베일아암(6)이 낚시줄 감음위치에 있을때 상기 슬라이드부재(10)의 타단(10b)과 접촉하도록 상기 레버(4)로부터 연장되어 있고 레버(4)의 피벗운동에 따라 슬라이드부재(10)를 미끄럼 이동시켜 슬라이드부재(10)에 접촉하고 있는 아암레버(8)의 회전저지돌기(8a)를 이동시키는 것에 의하여 아암레버(8)를 베일아암(6)의 낚시줄 풀음위치까지 회전시키는 가동수단(4a)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릴의 베일아암회전장치.
KR2019900011983U 1990-08-08 1990-08-08 낚시용 릴의 베일아암 회전장치 KR92000364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11983U KR920003649Y1 (ko) 1990-08-08 1990-08-08 낚시용 릴의 베일아암 회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11983U KR920003649Y1 (ko) 1990-08-08 1990-08-08 낚시용 릴의 베일아암 회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3747U KR920003747U (ko) 1992-03-25
KR920003649Y1 true KR920003649Y1 (ko) 1992-06-08

Family

ID=193020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00011983U KR920003649Y1 (ko) 1990-08-08 1990-08-08 낚시용 릴의 베일아암 회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364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7750A (ko) * 2001-04-03 2002-10-14 김재원 전자파 유도 차단형 핸즈프리 통화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7750A (ko) * 2001-04-03 2002-10-14 김재원 전자파 유도 차단형 핸즈프리 통화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3747U (ko) 1992-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08851A (en) Bowstring draw and trigger release apparatus
EP0237670B1 (en) Hinge
JPH0671956U (ja) 自動変速機操作装置のチェック機構
US5611227A (en) Handleset with thumb piece and rack
US5513510A (en) Handleset with thumb piece and rack
KR960008298Y1 (ko) 진공청소기의 코드릴 제어징치
JP3992331B2 (ja) 保護部材を有する乾式ひげそり装置
KR920003649Y1 (ko) 낚시용 릴의 베일아암 회전장치
CA2382943A1 (en) Door holder assembly
KR101833262B1 (ko) 슬라이딩 창호용 레버형 잠금장치
US4184651A (en) Fishing reel assembly
JP3878692B2 (ja) 扉セット
JP3208683B2 (ja) 移動体のロック装置
US4801770A (en) Switch assembly
JPH0123262Y2 (ko)
JP2530351Y2 (ja) ターンシグナルスイッチのキャンセル機構
KR100439668B1 (ko) 테이프카세트덮개장치
JPH11291316A (ja) 成形機の安全装置
KR970001351B1 (ko) 낚시용 리일의 베일아암 반전장치
JP2530293Y2 (ja) グラブコンパートメントドアの開閉機構
KR100265879B1 (ko) 도어용 경첩
KR950008218Y1 (ko) 캠코더의 뷰파인더 회전장치
JP2004143865A (ja) 扉閉鎖順位調整器
JPH0233669Y2 (ko)
KR960005226Y1 (ko) 출입문용 개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6060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