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3613Y1 - 레일 천공기 - Google Patents

레일 천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3613Y1
KR920003613Y1 KR2019900000927U KR900000927U KR920003613Y1 KR 920003613 Y1 KR920003613 Y1 KR 920003613Y1 KR 2019900000927 U KR2019900000927 U KR 2019900000927U KR 900000927 U KR900000927 U KR 900000927U KR 920003613 Y1 KR920003613 Y1 KR 92000361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d
gear
rail
shaft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000009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4295U (ko
Inventor
권영한
엄영길
Original Assignee
권영한
엄영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영한, 엄영길 filed Critical 권영한
Priority to KR20199000009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3613Y1/ko
Publication of KR91001429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429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361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3613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31/00Working rails, sleepers, baseplates, or the like, in or on the line; 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specially designed therefor
    • E01B31/02Working rail or other metal track components on the spot
    • E01B31/06Making holes, e.g. by drilling, punching, flame-cut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rilling And Bor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레일 천공기
제1도는 본 고안의 정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구성을 보인 확대 단면도.
제3a도, 제3b도는 본 고안 체인 케이스 내부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제4a도, 제4b도, 제4c도는 본 고안의 조절커버의 작용을 보인 요부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 2 : 엔진
5 : 워엄 6 : 워엄기어
9 : 피니언 기어 10 : 고정척
13 : 래치트 16 : 이동 나축
19 : 체인 케이스 20 : 나사관
28 : 조절 레버 29, 30 : 안내레일
29, 30 : 래크기어 32 : 스토퍼 기어
33 : 중심축 34, 35 : 제1, 제2링크
37 : 고정체 38 : 높이조절용 바아
40 : 클램프 본체 47 : 측면 클램프 레버
48 : 상면 클램프 레버
본 고안은 철도용 선로로 사용되는 레일과 레일을 연결하기 위하여 레일의 측면에 구멍을 자동 내지는 수동으로 천공할 수 있도록 안출된 레일 천공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철도용으로 사용되는 레일을 다른 레일과 연결하기 위하여 구멍을 천공할시에는 주로 핸드 드릴에 의해 작업자가 손으로 핸들을 직접 돌려가며 수동적인 방법으로 구멍을 천공하였기 때문에 작업 자체가 매우 더딜 뿐만 아니라 많은 량의 구멍을 천공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인 것이며 특히, 구멍이 지면과 평행하게 천공되지 않고 임이의 경사각을 가지면서 천공되기 쉽상이어서 조립시에 발생하는 오차로 인해 많은 문제점이 나타나고 있는 실정인 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결점등을 해결 보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엔진의 구동에 의해 드릴축을 고정하고 있는 고정척을 자회전시켜 드릴링 작업을 할 수 있는 동시에 래치트와 래치트 기어간의 상호 유기적인 작동으로 이동나사축을 회전시켜 본체의 드릴축을 전진하게 함으로서 레일의 측면에 용이하게 자동으로 구멍을 천공할 수 있는 것이며 클램프 본체에 결합된 측면 클램프 레버와 상면 클램프 레버의 클램프 작용과 고정대에 고정 결합되어 있는 높이 조절용 바아를 이용하여 지면과 평행을 유지한 후 천공작업에 임하는 것이므로 정확하게 구멍을 천공할 수 있는 동시에 신속하게 천공작업을 마무리 지울 수 있는 매우 효율적인 작업을 할 수 있는 것으로 이를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체(1)상측에 장착된 엔진(2)과 연결된 구동축(2')을 주동기어(3')와 연결된 주동축(3)과 연결하고 하측에 워엄(5)을 연결하고 있는 종동축(4) 상단의 종동기어(4')를 주동기어(3')와 치차결합한 후 워엄(5)에는 본체(1)내부에 회전 용이토록 결합되어 있는 보조축(7)의 워엄기어(6)를 치차결합하여 워엄기어(6)의 일측에는 회전기어(8)를 고정하여 본체(1)의 하측 내부에 회전 용이토록 결합되어 있는 고정척(10)의 피니언 기어(9)와 치차결합함으로서 고정척(10)의 회전을 용이하게 하는 동시에 보조축(7)의 우측에 결합 고정되어 있는 회전원판(11)에는 래치트(13)를 결합하고 있는 편심축(12')을 가진 지지원판(12)을 고정한 다음 래치트(13)를 본체(1)의 하부 일측에는 이동 나축(16)과 연결된 래치트 기어(15)를 감싸면서 결합되어 있는 조절커버(17)의 돌편(17')과 인장스프링(18)으로 연결하고 래치트 기어(15)와 연결되어 있는 이동 나축(16)은 체인 케이스(19)의 하단에 결합되어 있는 나사관(20)과 결합시키는 동시에 체인 케이스(19) 내부의 하측 스플로킷(21)과 키이(22)로 결합시킨후 하측 스플로킷(21)을 상측 외부의 손잡이(24)와 연결된 상측 스플로킷(23)과 체인(25)으로 전동 용이토록 결합시키며 이동 나사축(16)의 중앙과 래치트 기어(15)를 결합하고 있는 연결축(14)을 관통하여 밀봉(26)을 결합시키되 밀봉(26)의 일단은 고정척(10)의 후측 내부에 위치되도록 하고 밀봉(26)의 후측에는 고정캡(26')을 결합하여 외부로 노출되도록 스프링(27)과 함께 결합하여 나사관(20)의 외측 주연부에는 조절편(28')을 직각으로 돌설하고 있는 조절레버(28)를 결합한 뒤 본체(1) 양측의 지지부(1')와 클램프 본체(40)의 양측 지지부(40') 그리고 고정체(37) 양측을 연결하는 안내레일(29), (30)을 본체(1)의 좌, 우 이동이 용이토록 결합시키되 안내레일(29), (30)의 우측부 내면에는 래크기어(29'), (30')를 설치하여 체인 케이스(19) 내부에서 압지스프링(31)에 의해 탄성을 유지하고 있는 스토퍼 기어(32)를 치차결합한 후 스토퍼 기어(32)의 내단과 중심축(33)을 고정하고 있는 회전판(33')의 상, 하측을 제1링크(34)와 제2링크(35)로 유동 용이토록 고정핀(36)에 의해 결합하여 스토퍼 작용을 할 수 있도록 구성하며 고정체(37)의 일측 중앙에는 높이 조절용 바아(38)를 결합하고 이 높이 조절용 바아(38)의 이동을 조절할 수 있는 고정 레버(39)를 결합한 고정체(37)의 구성이며 클램프 본체(40)의 구성은 클램프 본체(40)의 우측 상단에 결합되어 있는 고정보울트(41)에 조절체(42)를 유동 용이토록 결합하고 이 조절체(42) 중앙에는 나사관(43)을 결합하고 있는 압지용 나사축(44)의 끝단을 결합하여 공회전을 하도록 한 후 압지용 나사축(44)의 끝단에는 레버(45)를 결합하며 나사관(43)에는 클램프 본체(40)의 좌측 하단에 결합된 지축(46)에 의해 지지되어 있는 측면 클램프 레버(47)의 상측을 결합하고 측면 클램프 레버(47)의 하측에는 압지편(47')을 고정하여 측면 클램핑 작용을 할 수 있도록 한 뒤 지축(46)의 중앙에 결합되어 있는 상면 클램프 레버(48)는 핸들(49)에 의해 상면 클램핑 작용을 할 수 있도록한 구성이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50-드릴축 51-운반용 손잡이 52-레일이다.
이와같이 된 본 고안은 이미 설치된 철도용 레일(52)을 교환하거나 새로 신설하기 위하여 레일(52)의 측면에 구멍을 천공하는 것인바, 운반용 손잡이(51)를 잡고 본 고안의 천공기를 들어서 작업 현장으로 운반하여 천공작업을 할 수 있는 레일(52)부위에 내려 놓은 후 작업을 시작하게 된다. 먼저, 클램핑 작업과 평행 유지 작업을 하게 되는데 클램핑 작업은 안내레일(52)의 끝단에 지지부(40')가 고정되어 있는 클램프 본체(40)를 레일(52)에 위치시키고 레버(45)를 회전시키면 압지용 나사축(44)이 고정 보울트(41)에 결합되어 있는 조절체(42)내에서 공회전을 하게되는 것이므로 압지용 나사축(44)에 결합되어 있는 나사관(43)을 이동시키는 결과를 초래하게 되고 아울러 나사관(43)에 결합되어 있는 측면 클램프 레버(47)의 상측이 나사관(43)을 따라 이동하게 되는 동시에 측면 클램프 레버(47)의 하측은 지축(46)을 중심으로 지렛대 작용에 의해 측면 클램프 레버(47)의 상측과 반대방향으로 이동을 하게 되는 것이므로 압지편(47)에 의해 레일(52)의 측면을 견고하게 압지할 수 있게 되고 클램프 본체(40)의 내면에 결합되어 있는 핸들(49)를 하측으로 밀게되는 것이어서 레일(52)의 상면을 견고하게 압지하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클램핑 작업은 완료가 되는 것이고 곧 이어서 안내레일(29), (30)의 타단을 고정하고 있는 고정체(37)를 지면과 평행이 되도록 조절을 하여야 하는데, 이때에는 고정 레버(39)를 풀고 고정체(37)를 상, 하측으로 들어서 적당한 위치에 도달시킨 후 다시 고정 레버(39)를 죈다. 따라서 고정체(37)가 높이 조절용 바아(38)에 고정이 되기 때문에 지면과 평행을 조절하여 유지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전기한 바와 같이 클램핑 작업과 평형 조절 작업이 끝나면 천공작업에 임하게 되는데 먼저, 본체(1)의 고정척(10)으로 드릴축(50)을 결합하여 고정하고 본체(1)를 레일(52)방향으로 최대한 가깝게 하기 위해 본체(1)와 체인 케이스(19)를 이동 근접시켜야 하는바, 이때에는 클램프 본체(40)의 지지부(40') 양측과 고정체(37) 양측에 고정되어 있는 안내레일(29), (30)을 타고 본체(1)와 체인 케이스(19)가 이동을 하게 되는바, 평상시에 안내레일(29), (30)은 제3a도와 같이 스토퍼기어(32)와 안내레일(29), (30)의 래크기어(29'), (30')가 치차결합을 이루고 있는 관계로 고정된 상태이므로 스토퍼 기어(32)를 안내레일(29), (30)의 래크기어(29'), (30')로부터 분리시킨 후 이동을 시켜야 한다. 따라서 외부로 노출된 손잡이(도시안됨)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중심축(33)이 회전하면서 회전판(33')도 회전을 하게 되는 것이므로 회전판(33') 상, 하측에 고정핀(36)으로 고정되어 있는 제1링크(34)와 제2링크(35)가 제3b도와 같이 감기는 동작에 의해 제1링크(34)와 제2링크(35)의 끝단에 결합되어 있는 양측의 스토퍼 기어(32)를 당기는 현상을 초래하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스토퍼 기어(32)는 압지스프링(31)을 압축시키면서 안내레일(29), (30)의 래크기어(29'), (30')로부터 분리되어 지는 것이므로 이동이 자유로운 상태가 된다. 따라서 체인 케이스(19)를 레일(52)방향으로 밀면 체인 케이스(19)와 본체(1)가 안내레일(29), (30)을 따라 레일(52)과 제1도와 같이 근접되어 지는 것이며 이때 체인 케이스(19)의 나사관(20)외주면으로 결합되어 있는 조절레버(28)의 조절편(28')은 제4a도에 가상선으로 표시한 것과 같이 조절커버(17)에 돌설된 돌편(17')의 내측에 위치되는바, 이 조절편(28')의 작용은 차후에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한 바와같이 본체(1)와 체인 케이스(19)가 근접된 상태에서 본체(1) 상측에 장착되어 있는 엔진(2)을 가동시키면 엔진의 구동축(2')이 회전되면서 주동축(3)과 주동기어(3')를 회전시키게 되고 주동기어(3')와 치차결합을 하고 있는 종동기어(4')와 종동축(4) 그리고 워엄(5)이 동시에 회전을 하면서 보조축(7)의 워엄기어(6)를 구동시키게 되는 것이므로 보조축(7)과 이에 결합되어 있는 회전기어(8)가 감속 회전을 하면서 고정척(10)에 결합된 피니언 기어(9)를 회전시키는 상태가 되므로 고정척(10)의 회전에 의해 이에 결합되어 있는 드릴축(50)도 회전을 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드릴축(50)이 회전을 하고 있는 상태에서 래치트(13)의 작동에 의한 자동이송과 체인케이스(19)의 핸들(24)의 회전에 의한 수동 이송을 선택적으로 할 수 있는 것인바, 먼저, 자동 이송을 설명하면 보조축(7)의 끝단에 결합되어 있는 회전 원판(11)과 지지원판(12)의 편심축(12')에 결합되어 있는 래치트(13)는 보조축(7)의 회전과 동일하게 항상 회전을 하고 있다. 그러나 제4a도와 같이 래치트 기어(15)를 감싸고 있는 조절커버(17)과 래치트(13)의 구동을 차단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래치트(13)는 조절커버(17)의 외면에서 공회전을 할 뿐이므로 연결축(7)에 결합되어 있는 래치트 기어(15)를 구동시킬 수 없는 상태가 된다. 그러나 체인 케이스(19)의 나사관(20) 외면에 결합되어 있는 조절레버(28)의 조절편(28')이 제4a도와 같은 상태로 조절커버(17)의 돌편(17')내측에 위치되어 있기 때문에 조절레버(17)를 재치면 돌편(17')과 조절커버(17)가 제4b도와 같이 인장스프링(18)을 이완시키면서 회전이동을 하게 되는 것이고 아울러 래치트(13)는 연결축(7)에 결합되어 있는 래치트기어(15)와 제4b도와 같이 접촉을 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 래치트(13)는 보조축(7)의 회전에 의해 회전 원판(11)과 지지원판(12)이 회전을 하는 상태이며 지지원판(12)에 편심 결합되어 있는 편심축(12')의 회전에 의해 래치트(13)는 직선운동을 하게 된다. 때문에 인장스프링(18)의 탄력에 의해 래치트 기어(15)에 밀착한 상태로 직선운동을 하게 되므로 제4c도와 같이 래치트 기어(15)를 1피치씩 회전이동을 시키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1피치씩 회전되는 래치트 기어(15)와 고정되어 있는 이동 나축(16)도 회전을 하게 되는 것이므로 체인 케이스(19)에 결합된 나사관(20)에 의해 나선운동을 하면서 본체를 안내레일(29), (30)을 따라 레일(52)방향으로 이송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동 나축(16)의 끝단에 결합된 하측 스플로킷(21)은 미끄럼 키이(22)에 의해 연결되어 있으므로 이동 나축(16)의 이동을 허용할 수 있는 상태가 되고 하측 스플로킷(21)의 회전은 상측 스플로킷(23)을 체인(25)에 의해 회전시키는 상태가 되어 손잡이(24)도 회전이 되는 것이므로 이송을 시각적으로 손잡이(24)의 회전을 보면서 느낄수 있게 된다. 자회전되는 드릴축(50)에 의해 본체(1)의 이송이 되는 것이므로 제2도와 같이 용이하게 자동으로 레일(52)에 구멍을 천공할 수 있는 것이며, 구멍의 천공이 완료되면 본체(1)에 결합된 조절커버(17)의 돌편(17')이 조절레버(28)의 조절편(28')으로부터 일정한 거리를 이동한 후 이탈되는 것이므로 인장 스프링(18)의 탄성에 의해 조절커버(17)와 돌편(17')이 제4a도와 같이 원위치로 환원되는 것이어서 래치트(13)가 래치트 기어(15)를 회전시키지 못하는 상황이 되기 때문에 이동나축(16)도 정지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본체(1)는 더 이상의 이송을 못하게 된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수동으로 구멍을 천공시에는 드릴축(50)의 자회전을 상기한 바와 동일하게 회전을 하게 되는 것이고 다만 본체(1)의 이송방법만 상이한 것인바, 래치트(13)를 제4a도와 같이 조절커버(17)의 외면에 위치하도록 조절레버(28)을 원위치시켜 조절 커버(17)를 인자스프링(18)의 탄성에 의해 복귀시킨 후 체인케이스(19)의 상측에 결합되어 있는 손잡이(24)를 회전시키면 상측 스플로킷(23)과 하측 스플로킷(21)이 체인(25)에 의해 회전되는 동시에 이동 나축(16)이 회전되면서 나사관(20)에 의해 직선운동을 할 수 있는 것이므로 본체(1)가 안내레일(29), (30)을 따라 이송할 수 있는 것이어서 용이하게 수동으로 구멍을 레일(52)에 천공할 수 있게 된다. 레일(52)에 구멍을 모두 천공한 후에는 상기한 바와 반대작용으로 클램프 본체(40)를 레일(52)로부터 분리시키며 다른 곳으로 이동하면 타 레일(52)의 구멍도 상기와 같은 작용에 의해 천공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고정척(10)으로부터 드릴축(50)을 분리시킬 때에는 제2도에 표시한 것과 같은 스프링(27)에 의해 노출되어 있는 고정캡(26')을 망치로 가볍게 타격하면 밀봉(26)이 드릴축(52)의 후단부를 타격하게 됨으로 드릴축(52)을 용이하게 고정척(10)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이와같이 본 고안은 철도용 레일의 측면에 구멍을 기계적인 구성에 입각한 자동적으로 천공할 수 있는 동시에 필요에 따라서는 수동적으로도 가능한 것이므로 종래의 원시적인 방법으로 천공하던 수단과는 시간절약적인면과 능률면에서 매우 탁월한 효능을 갖게 되는 것이며 정확한 평행을 유지하면서 구멍이 천공되는 것이므로 조립시의 오차가 없게 되고 간편하고 신속하게 천공작업을 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갖는다.

Claims (1)

  1. 엔진(2)의 구동을 워엄(5)과 워엄기어(6)에 의해 감속하여 고정척(10)에 결합된 피니언 기어(9)를 회전시킴으로서 드릴축(50)을 자회전하게 하고 조절레버(28)의 작동에 의해 조절커버(17)가 회전되면서 래치트(13)와 래치트 기어(15)를 결합하는 작용에 의해 이동 나축(16)을 회전시켜 본체(1)를 안내레일(29), (30)을 따라 자동으로 이송시킬 수 있는 구성과 손잡이(24)의 회전에 의해 체인 케이스(19)내의 상, 하측 스플로킷(23), (21)을 회전시켜 이동 나축(16)의 회전으로 본체(1)를 안내레일(29), (30)을 따라 이송시킬 수 있는 수동적인 이송을 시킬 수 있고 안내레일(29), (30)의 래크기어(29'), (30')에 결합되어 있는 스토퍼기어(32)의 내단을 회전판(33')과 제1링크(34)와 제2링크(35)로 연결하여 스토퍼기어(32)의 스토퍼 작용을 할 수 있도록 한 후 고정체(37)의 높이 조절용 바아(38)에 의해 평행유지를 할 수 있고 클램프 몸체(40)에 결합되어 있는 측면 클램프 레버(47)와 상면 클램프 레버(48)에 의해 레일(52)의 측면과 상면을 클램핑할 수 있도록된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천공기.
KR2019900000927U 1990-01-29 1990-01-29 레일 천공기 KR92000361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00927U KR920003613Y1 (ko) 1990-01-29 1990-01-29 레일 천공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00927U KR920003613Y1 (ko) 1990-01-29 1990-01-29 레일 천공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4295U KR910014295U (ko) 1991-08-30
KR920003613Y1 true KR920003613Y1 (ko) 1992-06-01

Family

ID=192955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00000927U KR920003613Y1 (ko) 1990-01-29 1990-01-29 레일 천공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361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08993A1 (ko) * 2016-07-07 2018-01-11 매그스위치 테크놀로지 코리아 (주) 레일 천공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08993A1 (ko) * 2016-07-07 2018-01-11 매그스위치 테크놀로지 코리아 (주) 레일 천공 장치
KR20180006540A (ko) * 2016-07-07 2018-01-18 매그스위치 테크놀로지 코리아 (주) 레일 천공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4295U (ko) 1991-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RE44289E1 (en) Pocket hole drilling machine
JP4559637B2 (ja) 木工用治具
US20060207395A1 (en) Swivel head module for a clamshell lathe
US3011531A (en) Saw-table guide-fence construction
RU2006130860A (ru) Сменная втулка с поворотной фиксацией для проведения операций бурения и заканчивания скважины через трубную колонну
KR920003613Y1 (ko) 레일 천공기
US2602477A (en) Machine for cutting transverse slots across strips of material
US4053251A (en) Drilling machine with automatic tool changer
CN209364160U (zh) 一种工件钻孔用夹紧装置
CN209304134U (zh) 一种安装于车床上的平移对中装置
JP2000334725A (ja) 鋸装置
JP4234887B2 (ja) 椎茸原木自動植菌装置
JPS6027601Y2 (ja) 木工用ボ−リング機における被加工材の押え位置移動装置
US1421194A (en) Track-drilling machine
US952466A (en) Track-drill.
US844099A (en) Boring-machine.
KR102123053B1 (ko) 판형 모재의 자동 면취 장치
CN220095060U (zh) 一种应用于玻璃生产的钻孔装置
CN213003815U (zh) 一种电动斜孔开孔机的定位装置
JPH0698571B2 (ja) 鉄道レール切断装置
KR790001963Y1 (ko) 자동 드릴링 머시인
SU1024236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заточки сверл
JPS6024523Y2 (ja) 工作機械
US1047411A (en) Boring-machine.
SU58392A1 (ru) Приспособление дл подачи в станки пуговичных заготово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6081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