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3054B1 - 탈지미강으로부터 식물 섬유를 다량 함유한 식품재료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탈지미강으로부터 식물 섬유를 다량 함유한 식품재료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3054B1
KR920003054B1 KR1019900004779A KR900004779A KR920003054B1 KR 920003054 B1 KR920003054 B1 KR 920003054B1 KR 1019900004779 A KR1019900004779 A KR 1019900004779A KR 900004779 A KR900004779 A KR 900004779A KR 920003054 B1 KR920003054 B1 KR 9200030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residue
food
rice bran
dietary fi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047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7967A (ko
Inventor
신재익
이형재
장영상
강우석
정성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농심
신춘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농심, 신춘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농심
Priority to KR10199000047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3054B1/ko
Publication of KR9100179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79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30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305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15Cereal fibre products, e.g. bran, husk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97Treatment of whole grai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23L7/117 - A23L7/196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ereal-Derived Products (AREA)
  • Preparation Of Fruits And Vegetabl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탈지미강으로부터 식물 섬유를 다량 함유한 식품재료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탈지미강을 원료로 하여 가식성 식물섬유[Dietary Fiber]를 다량 함유하면서도 미강 특유의 냄새가 제거되어 다른 식품재료물과 혼합사용하기에 적합한 식품재료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식물섬유란"주로 식물체내에 포함된 것으로서 사람이 섭취할 경우, 인체내의 소화효소에 의해 분해되기 어려운 성분인 셀룰로스, 헤미셀룰로스, 리그닌, 펙틴 및 각종 검(Gum)물질등을 총칭하는 것이다.
식물섬유는 그 종류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주로 배변을 원활히 하고 장운동을 활성화시키며, 각종 성인병 예방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과거에는 단순히 소화가 잘 안되고 영양성분이 없어 식품중 불필요한 성분으로 인식되어 가급적 조리 또는 가공중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인식되었다. 따라서, 오늘날 식품공업이 발달되고 소득수준이 향상됨으로써, 섬유질 성분을 제거하고 정제한 식품의 섭취 비율이 높아짐에 따라 상대적으로 섬유질의 섭취량이 감소되어, 인체의 영양 섭취 기준 및 음식섭취 기준의 불균형을 초래하여, 도리어 각종 성인병등의 원인으로 밝혀짐에 따라 다시금 인위적인 식물섬유 성분의 공급이 요망되었다.
본 발명은 현재 우리나라에서 많이 생산되는 값싼 재료인 탈지미강을 이용하여 간편하게 가공식품에 혼입하여 섭취할 수 있는 유용한 식물섬유를 다량 함유한 식품재료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현미를 도정하고 난 미강은 유지성분을 포함하여 탄수화물과 단백질이외에 다량의 식물섬유를 함유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 미강을 그대로 건조분쇄하여 식품재료로 이용할 경우, 미강중에 포함되어 있는 지방성분에 의한 품질 변화로 식품의 보존기간이 짧아지며, 강한 미강취가 식품의 풍미를 해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미강으로부터 지방성분을 제거하여 탈지 미강상태로 이용할 경우에는 보존기간은 다소 긍가될 수 있으나, 역시 미강특유의 냄새 때문에 식품에 일정량 이상을 사용할 수 없는, 사용량의 제한을 받게 된다. 또한, 미강으로부터 섬유질만을 추출한 후, 농축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나, 추출시 사용되는 산성용매가 잔류될 수 있으며, 반면, 한외여과막 분리에 의해 섬유질 부분만을 선택적으로 농축할 경우, 그 시설 및 설비비용이 막대하게 소요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탈지미강을 물에 에탄올이 40 내지 60중량% 혼합된 혼합용매에 넣고 50 내지 70℃에서 1차 교반추출하고 원심분리한 후, 그 잔사를 다시 물로 50 내지 70℃에서 2차 추출한 후, 잔사를 건조하고 분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섬유가 다량함유된 식물재료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식품재료는 식품섬유의 함량이 높으면서도 위생적이고 안정하며 제조경비가 저렴하게 소요되고 특히 미강의 강한 냄새를 제거하여 식품에 다량 혼입 사용하여도 식품 본래의 고유한 맛과 향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제조방법을 제조 공정별로 상세히 설명한다.
제1공정 :
먼저, 탈지미강을 물과 에탄올이 혼합된 혼합용매에 넣고 50 내지 70℃에서 1 내지 20시간 동안 교반추출하여 불필요한 탄수화물과 유기산류를 제거하고, 원심분리하여 여액과 잔사로 분리한다. 이때 용매의 양은 중량비로 탈지미강의 4 내지 5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매의 물과 에탄올의 혼합비율에 따라 분리된 미강의 섬유질 함유량이 달라지게 되며 미강특유의 냄새도 달라지게 되므로, 물에 에탄올이 약 40 내지 60중량% 혼합된 용매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기 표 1에 용매의 에탄올의 혼합비율에 따른 생성물의 섬유질 함량과 관능평가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나타낸다.
[표 1]
Figure kpo00001
* 관능평가
× : 미강취가 많은 경우
△ : 미강취가 약간 있는 경우
○ : 미강취가 전혀 없는 경우
상기 표 1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용매 혼합비는 바람직하기는 물에 에탄올이 약 40 내지 60%, 특히 바람직하기는 물에 에탄올이 50% 혼합된 것이다. 또한, 추출온도의 변화에 따른 생성물의 섬유질 함량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표 2]
Figure kpo00002
상기 표 2에서 명확히 나타난 바와 같이, 바람직한 추출온도는 50 내지 70℃이다.
한 편, 추출시간의 변화에 따른 생성물의 섬유질 함량은 크게 변화되지 않았으며, 바람직하기는 1 내지 4시간이다.
제2공정 :
제1공정에서 수득된 잔사를 순수한 물에 넣고 50 내지 70℃에서 1 내지 4시간 동안 교반추출하면서 불필요한 단백질 성분 및 당류등을 제거한다. 이때, 1시간 추출하면 생성물의 섬유질 함량은 31%가 되며, 4시간 추출하면 생성물의 섬유질 함량은 32%가 된다. 또한, 그 이상시간동안 추출하여도 생성물의 섬유질 함량의 큰 변화는 없다. 상기 추출물을 원심분리시켜 여액과 잔사로 분리한 후, 잔사를 수분함량 10 내지 15%로 건조하고 80 내지 120메쉬로 분쇄하여 최종 식품재료를 수득한다.
이상과 같이 행하여 수득된 본 발명에 따른 식품재료는 미강취가 없고 식물섬유가 다량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각종 식품의 고유맛을 해치지 않고 건류, 비스킷, 빵등의 곡류가공품에 혼합사용할 수 있으며, 건강식품재료로도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실시예]
탈지미강 100g에 물 50%와 에탄올 50%의 혼합비를 갖는 용매 500ml를 넣고 50 내지 70℃에서 1시간 동안 추출한 후, 이를 원심분리하여 여액과 잔사로 분리한다. 잔사에 물 400mml를 다시 가하여 50 내지 70℃에서 4시간 동안 추출한다. 추출물을 다시 원심분리하여 여액과 잔사로 분리한 후, 잔사를 통상적인 방법으로 수분함량 약 13%가 되도록 열풍건조하고 80 내지 120메쉬로 분쇄하여 소망하는 식품재료를 수득한다.

Claims (3)

  1. 탈지미강을 물에 에탄올이 40 내지 60중량% 혼합된 혼합용매에 넣고 50 내지 70℃에서 1차 교반추출하고 원심분리한 후, 그 잔사를 다시 물로 50 내지 70℃에서 2차 추출한 후 잔사를 건조하고 분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섬유가 다량 함유된 식품재료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혼합용매의 사용량은 중량비로 탈지미강의 4 내지 5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재료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잔사의 건조는 수분함량 10 내지 1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재료의 제조방법.
KR1019900004779A 1990-04-07 1990-04-07 탈지미강으로부터 식물 섬유를 다량 함유한 식품재료의 제조방법 KR9200030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00004779A KR920003054B1 (ko) 1990-04-07 1990-04-07 탈지미강으로부터 식물 섬유를 다량 함유한 식품재료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00004779A KR920003054B1 (ko) 1990-04-07 1990-04-07 탈지미강으로부터 식물 섬유를 다량 함유한 식품재료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7967A KR910017967A (ko) 1991-11-30
KR920003054B1 true KR920003054B1 (ko) 1992-04-13

Family

ID=192977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04779A KR920003054B1 (ko) 1990-04-07 1990-04-07 탈지미강으로부터 식물 섬유를 다량 함유한 식품재료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305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9041B1 (ko) * 2011-11-11 2013-09-16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곡물 겨를 이용한 고섬유소 누룽지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7967A (ko) 1991-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208796A1 (en) Methods of Separating Fat From Non-Soy Plant Materials and Compositions Produced Therefrom
FI94014B (fi) Menetelmä kaakaoperustaisen dieettikaakaoravintoaineen valmistamiseksi
US6495175B2 (en) Process for obtaining useful materials from Fenugreek seeds
US4331692A (en) Cocoa fruits and products
Cherry et al. Seed
EP2622967A1 (de) Verfahren zur Verarbeitung von pflanzlichen Rückständen
Dorrell Processing and utilization of oilseed sunflower
US4925693A (en) Production of a food powder and of food products containing the powder
US4111927A (en) Extraction of protein from Phaseolus aureus, Phaseolus vulgaris and Phaseolus lunatus beans using sodium chloride
Barbieri et al. Production of a food grade flour from defatted corn germ meal
Damir Utilization of sunflower seeds in tahina and halawa processing
Rutkowski et al. Chemical constituents and protein food processing of rapeseed
Tate et al. Processing of commercial peanut cake into food-grade meal and its utilization in preparation of cookies
KR920003054B1 (ko) 탈지미강으로부터 식물 섬유를 다량 함유한 식품재료의 제조방법
EP1611800B1 (de) Proteinreiches, pflanzliches Lebensmittel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KR101426404B1 (ko) 현미 미강의 영양기능성 성분을 포함하는 추출물 및 이의 제조방법
Meuser et al. Potato protein for human food use
Damir et al.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nflower Halawa
Alobo et al. Effect of Grewia venusta (‘Ururu’) mucilage on the physicochemical and sensory properties of fried cake (‘akara’) prepared from bambara groundnut seed flour
KR102310947B1 (ko) 마껍질을 이용한 누룽지의 제조방법
KR102309408B1 (ko) 망개빵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망개빵
Ory et al. Peanut and cottonseed proteins for food uses
KR870000023B1 (ko) 루우핑콩 단백질 농축물(Lupinseed protein concentrate)의 제조방법
KR860000572B1 (ko) 인삼 라면의 제조방법
DD288980A5 (de) Verfahren zur behandlung von oelsamen, leguminosen und cerealien zwecks gewinnung von ballaststoff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031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