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2827Y1 - 중형지하출입문 - Google Patents

중형지하출입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2827Y1
KR920002827Y1 KR2019890020039U KR890020039U KR920002827Y1 KR 920002827 Y1 KR920002827 Y1 KR 920002827Y1 KR 2019890020039 U KR2019890020039 U KR 2019890020039U KR 890020039 U KR890020039 U KR 890020039U KR 920002827 Y1 KR920002827 Y1 KR 92000282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safety pin
safety device
entrance
safe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9002003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1747U (ko
Inventor
최상용
Original Assignee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정명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정명식 filed Critical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90020039U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2827Y1/ko
Publication of KR91001174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174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28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2827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50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more than one kind of movement
    • E06B3/52Wings requiring lifting before ope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at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중형지하출입문
제1도는 본 고안의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에서 출입문이 닫혔을때의 측면구조도.
제3도는 출입문의 열고닫음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상태의 구조도.
제4도는 출입물의 안전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제5a도, 제5b도, 제5c도는 제4도의 안전장치가 작동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구조도.
제6도는 제2도의 안전장치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출입문 11 : 힌지핀
12 : 표시판 13 : 안전장치
14 : 중량추 20 : 보조출입문
21 : 회전축 22 : 회전원판
30 : 작동간 31, 32 : 연결조인트
40 : 고정데크 41 : 접촉바
본 고안은 공장 또는 실내 지하출입구에 설치되는 출입문에 관련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지하내부에 출입자 유무를 쉽게 판별할 수 있어서 외부작업자의 판단력을 형성시키고, 출입문의 개폐가 용이한 중형지하출입문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종래의 중형지하출입문은 단순히 열고 닫는 개방형으로 되어 있는바, 출입자 통제에 어려움이 있고 지하내의 출입자 유무를 인지하지 못하기 때문에 외부에서 기계장치의 운전 및 여러작업을 수행하는 경우, 내부작업자의 생명에도 영향을 주는 산업안전재해의 요인을 항시 내포하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실내지하의 출입자 유무를 쉽게 식별할 수 있어 출입자를 안전하게 보호할수 있고, 출입문의 개폐가 쉽게 이루어지는 중형지하출입문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출입자가 있다는 것을 경고 혹은 인지시키기 위한 표시판과 안전장치가 장착된 출입문; 회전축에 회전원판이 고정된 보조출입문; 및 상기 보조출입문에 의해 출입문을 개폐시키기 위한 작동간; 을 갖춘 중형지하출입문을 마련함에 의한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따른 장방형의 출입문(10)은 하단의 힌지핀(11)을 기점으로 고정데크(40) 또는 지하실의 천정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상단에는 출입자가 있다는 것을 경고 또는 이지시키기 위한 표시판(12)이 장착 되며, 하단에는 안전장치(13) 및 중량추(14)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표시판(12)은 삼각기둥으로 되어 작업자가 내부에서 원하는 목적에 적합한 표시내용(예를들어 "수리중")을 나타낼 수 있도록 각면에 각각 다른 인지사항이 기재되어 상단부에 착탈가능토록 고정된다.
상기 안전장치(13)는 제4도 같이 출입문(10)의 힌지핀(11) 하단에 형성된 플랜지부(11a)를 관통하여, "L"자형의 관통홀(16)이 형성된 안전핀관(15)이 고정되어 있고, 상기 안전핀관(15)내에는 원통형의 안전핀(17)이 커버(19)에 의해 일측면이 고정되며, 상기 (17)의 일측면과, 커버(19)의 내측면 사이에는 스프링(18)이 삽입되어 안전핀(17)을 항상 플랜지부(11a)로 향하여 탄력지지하고 있다. 또한, 안전핀(17)은 안전핀관(15)에 형성된 "L"자형의 관통홀(16)내에서 이동하는 안전핀레버(17a)가 장착되어 있다.
보조출입문(20)은 하단부가, 회전원판(22)이 고정된 회전축(21)을 기점으로 회전가능하게 계단의 입구 바닥에 장착되어 있다.
작동간(30)은 일측단에 상하좌우로 약간의 회전이 허용되는 연결조인트(31)가 형성되어 있고 타측단에는 호형으로된 연결조인트(32)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출입문(10) 하단의 중량추(14)부분과 보조출입문(20)의 회전원판(22)에는 작동간(30)의 연결조인트(31, 32)가 보울트(33, 34)에 의해 각각 회전가능토록 연결되어진다.
상기 출입문(10)의 힌지핀(11)이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고정데크(40)의 하부면에는 "L"자형의 접촉바(41)가 안전장치(13)에 근접하여 고정되어 있다.
제6도에는 안전장치(13)와 "L"자형의 접촉바(41)의 구성이 보다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실선으로 도시된 부분은 출입문(10)이 열려진 상태이고, 점선으로 표시된 부분은 출입문(10)이 수평으로 닫혀진 상태이며, 이때 "L"자형 접촉바(41)의 선단부(41a)는 출입문(10)의 하면과 안전장치(13)의 상부면사이에서 "L"자형의 관통홀(16)상부까지 연장형성된다.
상기 접촉바(41)는 보조출입문(20)의 회전원판(22)에 연결된 작동간(30)에 의해 출입문(10)이 수평으로 닫히면 안전장치(13)의 안전핀(17)에 장착된 안전핀레버(17a)를 전방으로 밀어주어 스프링(18)의 복원력에 의해 안전핀(17)이 안전핀관(15)를 따라 전진하게 되어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출입문(10)이 수평으로 닫혀 있을때는 내부에 출입자가 없음을 의미하며, 출입자가 실내 지하출입을 원할때 보조출입문(20)을 좌측에서 우측으로 제쳐 회전시키면 보조출입문(20)의 회전축(21)이 회전됨을 따라서 회전원판(22)이 회전하게된다. 이때, 상기 회전축(21)의 회전원판(22)에 연결된 작동간(30)은 제3도의 가상선에서 실선상태로 당겨져 출입문(10)의 하단부를 끌어 당기게 되므로 출입문(10)이 수직으로 열리게된다.
이때, 출입문(10)의 무게에 비례한 중량추(14)에 의해 출입문(10)은 가볍고 부드럽게 열리게 된다.
이와같이 출입문(10)이 열리게 되면 제5a도와 같이 출입문(10) 하단에 장착된 안전장치(13)의 안전핀(17)이 스프링(18)의 탄성력에 의해 돌출되어 계단층계의 상면에 걸리게 되므로서 출입문(10)은 닫히지 않게 된다.
이때, 출입문(10) 상부의 표시판(12)은 내부작업자가 원하는 목적에 따라서 적합한 내용(예를들어 "수리중")으로 표시하여 외부작업자가 인지할 수 있게된다.
이와는 반대로 출입문(10)을 수평으로 닫고져 할때는 먼저 내부작업자가 안전장치(13)의 안전핀레버(17a)를 커버(19) 측으로 당겨 제5b도와 같이 안전핀관(15)에 형성된 관통홀(16)의 모서리부분(16a)에 걸리게 회전시켜 놓는다.
이때, 출입문(10)하단에 연결된 작동간(30)의 힘작용 방향이 회전원판(22)의 내측으로 위치되어 작용하므로 출입문(10)의 무게에 의해 출입문(10)은 닫히지 않는다.
다음 내부작업자가 외부로 나와서 보조출입문(20)을 우측에서 좌측으로 당기면 회전축(21)의 회전원판(22)이 회전하게된다.
따라서, 회전축(21)의 회전원판(22)에 연결된 작동간(30)이 제3도의 실선상태에서 가상선상태로 밀려 출입문(10)의 힌지핀(11)하단에 연결된 출입문(10)을 밀므로서 출입문(10)은 수평으로 닫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출입은(10)이 회전하여 수평위치로 점점 하강하는 경우, 고정데크(40)에 고정된 "L"자형 접촉바(41)의 선단부(41a)와, 출입문(10)의 힌지핀(11) 하단에 장착된 안전장치(13)의 안전핀레버(17a)는 서로 점점 접근하게되고, 출입문(10)이 완전하게 닫히기 전에 접촉바(41)의 선단부(41a)가 안전핀레버(17a)를 밀어주게 되며, 결과적으로는 안전핀레버(17a)가 관통홀(16)의 모서리부분(16a)으로부터 벗어나게 된다(제6도의 실선상태에서 점선상태로의 이동참조). 이때, 안전핀은 스프링(28)의 복원력에 의해 제5c도와 같이 플랜지부(11a)을 항해 전진되므로서 선단부가 계단층계의 벽면에 밀착되게된다.
(출입문(10)이 닫힌상태).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다시 작업자가 보조출입문(20)을 작동시켜 출입문(10)을 열게되면, 안전핀(17)의 선단부는 제5a도와 같이 스프링(18)에 의해 다시 계단층계의 벽면상부로 돌출하여 출입문(10)이 하부로 닫히지 않게된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표시판(12), 안전장치(13) 및 중량추(14)가 장착된 출입문(10); 회전축(21)에 회전원판(22)이 고정된 보조출입문(20; 및, 출입문(10)과 보조출입문(20)을 연결하는 작동간(30)으로된 중형 지하출입문을 마련하므로서, 실내지하의 출입자 유무를 식별할수 있어 출입자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고, 출입문(10)의 개폐가 용이하게 되는 실용상 유익한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내부에 출입자가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표시판(12)이 갖춰지고, 하단부일측에 중량추(14)가 갖춰지며, 도어데크(40)에 하단양측이 힌지핀(11)으로 회전가능토록 고정된 장방형의 출입문(10); 회전축(21)에 회전원판(23)이 고정되어 계단층계의 입구에 설치되는 보조출입문(20); 및, 상기 출입문(10)과 보조출입문(20)을 양측단부에 형성된 연결죠인트(31, 32)로서 회전가능토록 연결시키는 작동간(30); 을 포함하는 중형지하 출입문에 있어서, 상기 출입문(10)의 하단부 일측에 고정되고, 원통형의 안전핀관(15)에 형성된 "L"자형의 관통홀(16)내에서 스프링(18)에 의해 탄력적으로 이동가능한 안전핀(17)이 갖춰진 안전장치(13); 와, 상기 안전장치(13)에 근접하여 도어데크(40)의 하부에 고정되고, 선단부(41a)가 안전장치(13)을 향해 연장되며, 출입문(10)이 닫힐때에 안전핀(17)의 안전핀레버(17a)를 밀어주어 상기 안전핀(17)을 탄력적으로 이동시키는 "L"자형의 접촉바(41); 가 갖춰짐을 특징으로 하는 중형지하출입문.
KR2019890020039U 1989-12-27 1989-12-27 중형지하출입문 KR92000282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20039U KR920002827Y1 (ko) 1989-12-27 1989-12-27 중형지하출입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20039U KR920002827Y1 (ko) 1989-12-27 1989-12-27 중형지하출입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1747U KR910011747U (ko) 1991-07-29
KR920002827Y1 true KR920002827Y1 (ko) 1992-05-01

Family

ID=192940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90020039U KR920002827Y1 (ko) 1989-12-27 1989-12-27 중형지하출입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282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6245B1 (ko) * 2013-11-18 2015-03-31 박이은 출입문 개폐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6245B1 (ko) * 2013-11-18 2015-03-31 박이은 출입문 개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1747U (ko) 1991-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37446A (en) Building and bi-fold door assembly
US4823509A (en) Self-closing door sealing structure
KR920002827Y1 (ko) 중형지하출입문
US4175672A (en) Closure assembly
US4373294A (en) Door for a mine stopping having knife-edge hinges
US4867493A (en) Door stop
JPH051595Y2 (ko)
KR920002383Y1 (ko) 건물용 배연창의 자동 개폐장치
JPH0138234Y2 (ko)
JPH0339594Y2 (ko)
JP2547879Y2 (ja) 下レールの溝部閉鎖装置
JPH0144703Y2 (ko)
JPS5921271Y2 (ja) 障子の脱落防止装置
JPH0732854Y2 (ja) 折畳み扉の密封装置
JPH031967Y2 (ko)
JPS61156946U (ko)
JP3508705B2 (ja) 出入り口の下枠部分の構造
JPH0344951Y2 (ko)
JPH0353839Y2 (ko)
JPS5821893Y2 (ja) 回転窓等の開放保持装置
JPH0616129Y2 (ja) 建物入口の遮蔽装置
JPH0144694Y2 (ko)
DE3564001D1 (en) Accordion
KR0126107Y1 (ko) 셔터의 비상문 구조
JPH0723673B2 (ja) シャッター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33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