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2713B1 - 내식성 철근 콘크리트 주상 구조물의 축조방법 - Google Patents
내식성 철근 콘크리트 주상 구조물의 축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920002713B1 KR920002713B1 KR1019870007866A KR870007866A KR920002713B1 KR 920002713 B1 KR920002713 B1 KR 920002713B1 KR 1019870007866 A KR1019870007866 A KR 1019870007866A KR 870007866 A KR870007866 A KR 870007866A KR 920002713 B1 KR920002713 B1 KR 92000271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crete
- pipe
- casing pipe
- casing
- columna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34—Concrete or concrete-like piles cast in position ; Apparatus for making same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04—Synthetics
- E02D2300/0006—Plastic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9/00—Removing sheet piles bulkheads, piles, mould-pipes or other moulds or parts thereof
- E02D9/02—Removing sheet piles bulkheads, piles, mould-pipes or other moulds or parts thereof by withdraw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첨부도면은 본 발명에 따라 수중에 내식성 철근 콘크리트 주상 구조물을 축조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내식성 철근 콘크리트 주상 구조물의 축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수면 아래의 연약지층에 플라스틱 파이프로 된 기둥을 세우고 상기 플라스틱 파이프 내에 철근 콘크리트를 주입하는 것으로 이루어진 내식성 철근 콘크리트 주상(柱狀)물의 구축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스틸케이싱을 연약 지반밑 암반에 삽입하여 케이싱내의 토사를 배출한 다음, 조립된 철근을 넣고 콘크리트를 주입한 다음 케이싱을 인발하는 방법이 있었다. 이 방법은 내부의 콘크리트 축조물이 굳기전에 케이싱을 인발하지 않으면 케이싱과 콘크리트가 일체가 되어 케이싱 인발이 불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내부의 철근콘크리트가 굳기전에 케이싱을 인발하게 되면 철근 콘크리트의 외주에 토사나 지하수가 불규칙하게 혼입되어 주상 철근 콘크리트의 모양이 불규칙하게 되어 그 강도를 저하시키는 원인이 되었다. 이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상기 스틸 케이싱 외부에 나선형으로 리부를 형성하여 케이싱 인발시 토사의 붕괴를 촉진시켜 타설된 콘크리트 전표면에 압력을 가하여 혼입된 토사로 저하된 콘크리트 말둑 기초를 압밀하는 방법도 개진된 것이 있다.
그러나 상기 방법에 축조된 콘크리트 구조물은
(1) 주상 콘크리트 표면이 굳기전에 케이싱을 인발하므로 콘크리트 구조물 표면의 콘크리트내에 토사가 혼힙되어서 그 강도가 약화되고,
(2) 수중이나 지중에 존재하는 생물에 의해 침식을 당하여 시일이 지나면 그 강도가 약해지며,
(3) 한냉기후에서 오는 동파로 인하여 구조물의 표면이 박리되는 현상이 일어나서 침식이 촉진되고,
(4) 해수중에 구조물을 구축할 경우 해수중의 Cl-이 콘크리트와 철근을 부식시키며 해수중의 MgSO4와 콘크리트 중의 Ca(OH)2및 Al2O3이 결합하여 3CaO. Al2O3. 3CaSO4. 32H2O가 되어 부피가 팽창되므로 콘크리트가 갈라지는 현상이 생겨 구조물이 취약해지며 또 해수는 콘크리트 중의 Ca(OH)2를 용해시켜 콘크리트를 다공질화시켜서 내구력을 저하시킨다.
(5) 내륙의 하천이나 공장지대에 구조물이 구축될 경우 공장의 오. 폐수중의 각종 유.무기산으로 인하여 콘크리트가 침식당하기도 한다.
(6) 대기중에 노출된 부분은 대기중의 CO2가스로 인하여 콘크리트의 중성화가 촉진되고 우수중에서 CO2, SO2가 용해되어 생긴 산성비로 인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이 붕괴되며
(7) 특히 해안지대에서는 대기중의 염기(鹽氣)중의 Cl-로 인한 염해(鹽害)를 막을 수 없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여러 문제점을 해결하여 지중에서 큰 힘을 발휘할 수 있는 새로운 철근 콘크리트 주상물을 구축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나선상의 요철부가 형성되어 있는 플라스틱 파이프를 사용하므로써 달성할 수 있었다.
본 발명에 따른 수면하 연약지반 내에 내식성 철근 콘크리트 주상 구조물을 축조하는 방법은 다음 단계로 이루어져 있다.
케이싱 파이프(Casing Pipe)를 수중에 내려 연약지층 깊숙히 삽입시킨 후 파이프 내부의 흙을 배출시킨 다음 소정 깊이의 암반층까지 파이프를 삽입하고; 요철부가 형성된 주상(柱狀)형 플라스틱 파이프를 상기 케이싱 파이프 내부에 밀접히 넣고; 횡근을 나선상으로 감아 주상형 조립체로 만든 철근을 상기 플라스틱 파이프 내부에 넣은 다음; 여기에 수중용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수중 콘크리트가 경화된 다음에 콘크리트 경화물을 누르면서 케이싱 파이프를 수중밖으로 꺼낸다.
여기서, 상기의 수중용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 대신에 케이싱 파이프 내부의 정체수에 재료분리 방지제를 주입시킨 다음 범용성 콘크리트를 타설할 수도 있다. 여기서의 재료분리 방지제는 주제인 분자량 100만 이상인 폴리아크릴아미드 75-85중량%와 이의 유도체나 가수분해물, 또는 이를 주성분으로 한 공중합물이나, 셀룰로스 고분자물에서 1-2종을 배합한 액상의 배합물이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통해서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따른 내식성 플라스틱 철근 콘크리트의 구축 방법을 설명한 도면으로서, 먼저 A에서는 케이싱 파이프(Casing Pipe)(1)를 수중(9)에 내린 다음 연약지층(10)에 세운다.
그리고 B에서는 상기 케이싱 파이프(1)를 회전시키면서 연약지층(10) 깊숙히 삽입한다. 이 때에 케이싱 파이프(1) 내의 흙이나 진흙은 공기 압축기나 진흙 펌프를 사용하여 배출(2)시킨다.
이렇게 하여 암반(11)까지 케이싱 파이프(1)를 내려놓은 다음 소정의 깊이까지 암반 내부(3)에 삽입시킨다.
C에서는, 요철부를 지닌 플라스틱 파이프(4)를 케이싱 파이프(1) 내에 넣고 플라스틱 파이프(4) 내부에 주상으로 조립한 철근 조립체(5)를 삽입하고 여기에 수중 콘크리트(6)를 타설한다.
이 타설방법은 테르미관(7)을 사용하면 더욱 편리하며, 특히 그 선단부에 개폐마개를 설치해 사용하면 더욱 고품질의 수중 콘크리트를 타설할 수 있게 된다.
C에서 타설한 콘크리트가 경화되면 D에서는 케이싱 파이프(1) 내에 로드(Rod)(8)를 넣어 수중 콘크리트(6) 경화물 상단을 내려 누른 다음 케이싱 파이프(1)를 꺼낸다.
케이싱 파이프는 수면(9) 위에 올라오도록 설치하며 그 하단에는 비트(bit)를 장착할 수 있다.
D에서 케이싱 파이프(1)를 꺼내면 E에서와 같이 플라스틱 파이프(4)를 둘러쌓인 철근 콘크리트 주상의 구조물이 완성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사용한 플라스틱 파이프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및 FRP 파이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플라스틱 파이프에는 요철부가 형성되어 있어 시공후에 수직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에 대한 저항력을 충분히 견딜 수 있다.
또한, 케이싱 파이프(1) 내에 플라스틱 파이프(4)내부에 설치한 철근 조립체(5)는 플라스틱 파이프 내부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횡근을 나선상으로 감아 미리 주상형 조립체로 만든 다음에 플라스틱 파이프 내부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타설된 수중 콘크리트 플라스틱 파이프 내에서 주상형 철근 조립체와 일체가 되어 경화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사용한 플라스틱 파이프도 종래의 스틸 파이프나 시멘트 콘크리트 파일처럼 길이가 일정한 것을 사용하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 때에는 플라스틱 파이프의 내경에 꼭 맞는 소켓[서스(SUS) 등의 내식성 금속의 나선상 요철부가 있는 파이프]를 틀어끼운 다음 이 위에 연결하고자 하는 다음의 플라스틱 파이프를 연결한다. 그리고 플라스틱 파이프의 외부 연결면은 다시 플라스틱 파이프의 재질에 따라 접착이나 용접을 하여 시공할 수 있다.
한편 연결시 플라스틱 파이프 내부에 삽입한 소켓은 플라스틱 파이프 외부에 설치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으로 축조된 플라스틱-철근 콘크리트 주상 구조물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지니고 있다 : 주상 철근 콘크리트를 주벽이 플라스틱 파이프로 둘러쌓여 있기 때문
(1) 콘크리트가 굳은 후에 케이싱 인발이 가능하고 콘크리트 표면에 토사의 혼입이 없어 그 강도가 약화되지 않는다.
(2) 콘크리트 구조물이 플라스틱 파이프로 외부와 차단되어 있기 때문에 수중이나 지중에 존재하는 생물에 의한 침식을 막을 수 있다.
(3) 한냉기후에도 콘크리트 구조물의 동파를 방지할 수 있다.
(4) 해수중의 Cl-에 의한 부식을 방지할 수 있으며 해수중의 MgSO4와 콘크리트 중의 Ca(OH)2및 Al2O3의 결합으로 생성되는 3CaO. Al2O3. 3CaSO4. 32H2O로 인한 구조물의 붕괴를 막을 수 있으며,
(5) 콘크리트 중의 Ca(OH)2의 해수에의 용해를 막아주며,
(6) 각종 유. 무기산으로 인한 콘크리트의 침식을 막아주며,
(7) 대기중의 CO2나 SO2가스로 인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침식을 막아주며
(8) 해안지대에서의 염해를 막아준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여 축조된 내식성 철근 콘크리트 주상 구조물을 종전의 어느 구조물보다 긴 구조물임이 입증되는 것이다.
Claims (1)
- 케이싱 파이프를 연약지층 깊숙히 삽입하고 파이프 내부의 흙을 배출시킨다음, 파이프내에 주상형 조립체로 만든 철근을 넣고 콘크리트를 타설한 다음 케이싱 파이프를 인발하여서 철근 콘크리트 주상 구조물을 축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케이싱 파이프와 주상형 철근 조립체 사이에 요철부가 형성된 주상 플라스틱 파이프를 삽입함을 특징으로 하는 내식성 철근 콘크리트 주상 구조물의 축조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870007866A KR920002713B1 (ko) | 1987-07-20 | 1987-07-20 | 내식성 철근 콘크리트 주상 구조물의 축조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870007866A KR920002713B1 (ko) | 1987-07-20 | 1987-07-20 | 내식성 철근 콘크리트 주상 구조물의 축조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890002499A KR890002499A (ko) | 1989-04-10 |
KR920002713B1 true KR920002713B1 (ko) | 1992-03-31 |
Family
ID=192631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870007866A KR920002713B1 (ko) | 1987-07-20 | 1987-07-20 | 내식성 철근 콘크리트 주상 구조물의 축조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920002713B1 (ko) |
-
1987
- 1987-07-20 KR KR1019870007866A patent/KR920002713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890002499A (ko) | 1989-04-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214938B2 (en) | Construction method for pouring concrete in karst cave | |
EP0264998B1 (en) | Method of manufacturing a foundation | |
US5063967A (en) | Pumpable cement grout | |
US20160340851A1 (en) | Method for installing metal piles in permafrost soil | |
KR0136958B1 (ko) | 지반 강화 매립말뚝공법 | |
US6382878B1 (en) | Multi-sectioned concrete support structure and method of manufacture | |
CS205052B2 (en) | Method of improving strength and impermeability of crumbled material and/or solid products | |
KR920002713B1 (ko) | 내식성 철근 콘크리트 주상 구조물의 축조방법 | |
KR20070109436A (ko) | 소구경 말뚝의 시공방법 | |
JP2619704B2 (ja) | 地中構造物の浮き上がり防止工法 | |
KR100402437B1 (ko) | 응결재를 이용한 해상 교량용 우물통 기초의 세굴방지시설시공방법 | |
JPH086318B2 (ja) | 木杭の埋設方法 | |
CN1042158C (zh) | 钢筋混凝土预制桩端部注浆法 | |
CN217174750U (zh) | 一种预应力抗浮锚杆防水结构 | |
CN220099888U (zh) | 一种抗浮锚杆防水结构 | |
CN219011195U (zh) | 一种phc复合灌注桩 | |
JPH0711638A (ja) | 袋体を有する杭 | |
CN220746899U (zh) | 搅拌桩拉力型预应力钢绞线抗浮锚杆 | |
JPS61254716A (ja) | 現場コンクリ−トくいの設置方法 | |
CN111270708B (zh) | 一种集水坑渗漏封堵装置及集水坑渗漏封堵方法 | |
JPS5862216A (ja) | アンカ−ロツド | |
RU1815311C (ru) | Способ возведени хранилища | |
JPH0324924B2 (ko) | ||
CN118547697A (zh) | 一种软土基地围护用的支撑桩施工工艺 | |
HU204333B (en) | Method for repairing engineering structures particularly non-climbable underground channel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G160 |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19950331 Year of fee payment: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