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2537B1 - 화상투영장치 - Google Patents

화상투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2537B1
KR920002537B1 KR1019850700038A KR850700038A KR920002537B1 KR 920002537 B1 KR920002537 B1 KR 920002537B1 KR 1019850700038 A KR1019850700038 A KR 1019850700038A KR 850700038 A KR850700038 A KR 850700038A KR 920002537 B1 KR920002537 B1 KR 9200025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projection
image
projection apparatus
cassette
vt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507000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700096A (ko
Inventor
가즈유끼 시라꾸라
나오까즈 시마자끼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가이샤
오오가 노리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가이샤, 오오가 노리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claimed from PCT/JP1984/000446 external-priority patent/WO1985001409A1/ja
Publication of KR8507000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7000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25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2537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Projection Apparatus (AREA)
  • Transforming Electric Information Into Light Information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화상투영장치
[도면의 간단한 설명]
제1도는 본 발명의 화상투영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투시도.
제3도는 렌즈덮개의 사시도이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기술분야]
본 발명은 단일의 수상관을 사용한 화상투영장치에 관한 것이다.
[배경기술]
종래, 칼라화상투영장치는 수상관이 2관 또는 3관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투영거리등에 따라서 수상관을 제어하는 제어기구가 필요하고 대형이다. 또한, 화상투영장치에 신호를 출력하는, 예로서, VTR은 별체구성의 것을 사용한다. 따라서, 화상투영장치를 사용할때에는 VTR등이 필요하기 때문에, 쌍방을 반송하지 않으면 안되어 반송성, 조작성이 나빠지는 문제점이 있다. 그래서, 본 출원인은 먼저 화상투영장치와 수상관을, 예로서, 비임인덱스형 칼라텔레비젼 수상관, 즉, 단일의 수상관으로 구성하여, 화상투영장치의 조작성 향상, 소형화를 이룬 장치를 제안하였다.(일본특허공개공보 소 55-80983호등).
즉, 예로서, 적, 녹, 청의 색형광체 스트라이프(strip)가 수평주사방향으로 소정피치(pitch)로 반복배열되고, 그들 각각의 형광체 스트라이프간에 광흡수체 스트라이프가 설치됨과 동시에, 그 광흡수체 스트라이프의 예로서, 하나씩 걸러서 형광체등에 의한 인덱스 스트라이프가 설치된다. 그리고, 이들을 단일 비임으로 주사함과 동시에, 인데스 스트라이프의 형광을 포토다이오드 등으로 검출하여, 이들 검출신호를 2체배한 신호에 의해 적, 녹, 청의 영상신호를 순차절환한 영상신호로 주사비임을 변조하여 칼라재현을 행하는 바와같은, 소위, 비임인덱스형 칼라수상관이 제안되었다.
이와같은 비임인덱스형 칼라수상관에 의하면, 샤도우 마스크등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동일 비임량으로 휘도가 향상되어, 극히 높은 휘도가 얻어진다..
그래서, 이와같은 비임인덱스형 칼라수상관을 이용하여 화상투영장치를 형성하는 것이 제안되었다. 이것에 이하면, 단일의 수상광으로 극히 밝은 투영화상을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이 경우, 수상관이 단일이므로, 종래의 2관, 3관의 것에 비해 극히 소형, 경량으로 될 수 있고, 가반형 장치를 구성할 수가 있다. 또한, 수상관이 단일이므로, 종래와 같은 렌즈의 광축을 일치시킬 필요가 없고, 임의의 거리로부터 스크린에로의 투영을 행할 수가 있다.
그렇지만, 이 경우에 있어서도, 화상투영장치와 VTR등은 별체이므로, 반송성, 조작성이 나빠지는 문제는 해소되지 않는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소형이면서도 반송성이 향상된 화상투영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제1도는 본 발명의 화상투영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제1도에 있어서 (1)은 화상투영장치로서, 단일의 수상관으로 구성된 화상투영부(2)와, 화상투영부(2)의 후방에 배치된 카세트 VTR부(3)로 구성된다. 또한 (4)는 화상투영장치(1)의 상방에 설치된 제어부이고, (5)는 전원플러그이다.
그리고, 화상투영부(2)에는 영상광을 투영하는 렌즈계(21), 스피커(22), 입출력단자(23), 튜너(24), 및 전원트랜스(도시안함)등이 설치된다. 또한, 입출력단자(23)로서는 영상입력, 음성입력, 마이크입력, 이어폰출력 및 음성출력등의 단자가 설치된다.
화상투영장치(1)는 전원플러그(5)를 전원에 접속하면, 화상투영부(2)에 전원이 공급되어, 내장된 트랜스에서 카세트 VTR부(3)에 전원이 공급된다. 또한, 카세트 VTR부(3)로부터는 영상신호, 음성신호가 화상투영부에 공급된다. 따라서, 제어부(4)의 조작에 의해 카세트VTR부(3)로부터 공급된 음성신호에 의해서 스피커(22)가 동작되고, 영상신호가 렌즈계(21)를 통해 투영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화상투영장치(1)는 단일의 수상관을 사용한 화상투영부(2)와, 카세트 VTR부(3)를 일체로 하여 구성하였기 때문에, 소형화된 단일체로 되고, 반송성이 향상됨과 동시에 종래에서와 같이 배선접속을 행할 필요가 없다. 또한, 제어부(4)도 한군데로 되어, 조작성이 향상되고, 1개의 덮개로 제어부(4)를 덮을 수 있다. 게다가, 화상투영장치(1)가 소형으로 되므로, 설치하는데 있어 커다란 점유면적을 차지하지 않는다.
제2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투시도로서, 제1도와 동일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병기한다.
제2도에 있어서, (6A)는 화상투영장치(1)의 상면에 설치된 반송용 손잡이, (6B)는 화상투영장치(1)의 양측면의 전후로 대각선상에 설치된 반송용 벨트의 금구를 계지하는 계지구, (7)은 렌즈계(21)를 보호하기 위한 렌즈덮개이다. 그리고, (41)은 제어부(4)의 화상투영부(2) 및 튜너(24)를 제어하는 제어부열, (42)는 제어부(4)의 카세트 VTR부(3)를 제어하는 제어부열이다. 또한, 이들은 통상 덮개로 덮혀진다.
게다가, 제2도의 (12)는 비임인덱스형 칼라수상관의 편항요크(13)는 포토다이오드이다.
제2도와 같이, 화상투영장치(1)는 카세트 VTR부(3)와 제어부(4)를 근접설치하였기 때문에, 카세트장착, 배출, 및 제어부(4)의 조작을 1개소에서 할 수 있어 조작성이 향상된다. 또한, 손잡이(6A), 계지구(6B)를 화상투영장치(1)의 중심을 고려하여 설치하였기 때문에, 반송시의 취급이 용이하다. 게다가 렌즈계(21; 제1도)는 렌즈덮개(7)로 덮혀지기 때문에 화상투영장치(1)의 취급시에 렌즈계(21)가 손상되지 않게된다.
제3도는 렌즈덮개의 사시도이다.
제3도에 있어서, (7)은 렌즈덮개로서, 이 렌즈덮개(7)의 경사진 하부의 좌우측면 내측에는 홈(71)이 설치되어 있고, 이 홈(71)에는 회동가능한 뚜껑(72)의 축에 상당하는 계합부(73)가 계합된다. 그리고, 뚜껑(72)은 렌즈덮개(7)에 설치된 자석(74)과 뚜껑(72)에 설치된 자성체(75)의 흡인작용에 의해 고정된다.
제3도와 같이 구성된 렌즈덮개(7)는 뚜껑(72)을 계합부(73)를 축으로 하여 일점쇄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회동시킨 후, 뚜껑(72)을 홈(71)의 방향으로 압압하면, 홈(71)에서 계합부(73)가 안내되어, 뚜껑(72)은 렌즈덮개(7)의 하부에 수납될 수 있음과 동시에 렌즈계(21)는 렌즈덮개(7)의 전방에 노출된다. 따라서, 뚜껑(72)은 렌즈덮개(7)로부터 분리되어 떨어지는 것이 아니고 렌즈덮개(7)내에 수용되는 것이기 때문에, 뚜껑(72)의 분실염려가 없게 된다.
또한, 제2도 실시예에 있어서의 카세트 VTR부(3)의 카세트 장착은 포켓식 또는 프로론트 로딩식으로 행해질 수 있다. 또한, 카세트 VTR부(3)에 기록기능을 갖게 하면, 화상투영장치(1)에서 기록하여 투영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어부(4)가 1개로 되므로, 1개의 원격제어장치로 화상투영장치(1)를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장치에 의하면 많은 사람이 모이는 장소에서 자유롭게 갖고 다닐수가 있고, 또한, 극히 간단하게 셋팅조정이 가능하며, 특히 기업이나 학교의 시청각교육용은 물론, 세미나회의, 각종 세일즈 프로모션, 내빈회등의 비데오를 사용한, 소위, 상연기구로서 최적하다.

Claims (5)

  1. 단일의 수상관으로부터의 영상광을 렌즈계를 통해 투영하는 화상투영부와 카세트 VTR부를 일체로 구성함과 동시에, 상기 일체로 구성된 장치의 상면에 손잡이를 설치하고, 상기 손잡이의 금구측에는 상기 렌즈계를, 후면측에는 상기 카세트 VTR부를 배치하며, 상기 화상투영부 및 카세트 VTR부의 조작부를 상기 장치의 후면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투영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일의 수상관이 비임인덱스형 칼라수상관으로 구성된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투영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화상투영부에 관련하여 텔레비젼 튜너가 설치되고, 그의 조작부가 상기 화상투영부 및 카세트 VTR부의 조작부에 근접하여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투영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카세트 VTR부로 부터의 음성신호가 공급되는 시피커가 상기 장치에 내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투영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의 일측면의 후부와 타측면의 전부에 휴대용 어깨벨트의 계지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투영장치.
KR1019850700038A 1983-09-16 1984-09-14 화상투영장치 KR92000253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4215758 1983-09-16
JP???58-142157 1983-09-16
JP58-142157 1983-09-16
PCT/JP1984/000446 WO1985001409A1 (en) 1983-09-16 1984-09-14 Picture projecting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700096A KR850700096A (ko) 1985-10-21
KR920002537B1 true KR920002537B1 (ko) 1992-03-27

Family

ID=691041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50700038A KR920002537B1 (ko) 1983-09-16 1984-09-14 화상투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253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700096A (ko) 1985-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61437A (en) Video tape recorder equipped with liquid crystal display projector
US4941036A (en) Command sensor in projection display apparatus
JPS5781254A (en) Transmission type projector
ATE47234T1 (de) Projektionslinsensystem.
US4422722A (en) Color separation optical system for color television camera
KR920002537B1 (ko) 화상투영장치
US4305092A (en) Video projection apparatus
JPS63147151A (ja) ビデオプロジエクタ−
US3953885A (en) Electronic sound motion picture projector and television receiver
DE3480123D1 (en) Projection lens system
US20030137638A1 (en) Dual image slide and/or video projector
US3794755A (en) Blanking method and apparatus for video film recorder
JPS55115782A (en) Color television receiver of projection type
WO1985001409A1 (en) Picture projecting apparatus
Poetsch FDL 60—An advanced film scanning system
US3484546A (en) Color television camera with single scanning beam
JPH05273674A (ja) 映写用フィルム及び映写用フィルム記録装置、再生装置
GB2260462A (en) Colour reversal viewing of negative film
JPH06237403A (ja) 映像記録再生システム
JP3166165B2 (ja) プロジェクタ装置
Neal et al. Integrated flying-spot color slide scanner and television receiver
Takemura et al. Compact color television camera
JPS59126392A (ja) カラ−テレビジヨンカメラの光フアイバ−装置
GB778183A (en) Improvements relating to the translation of television signals
Lisk et al. Color television film recording from a trinoscop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220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