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2502Y1 - 벨트의 고정기구 - Google Patents

벨트의 고정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2502Y1
KR920002502Y1 KR2019870017668U KR870017668U KR920002502Y1 KR 920002502 Y1 KR920002502 Y1 KR 920002502Y1 KR 2019870017668 U KR2019870017668 U KR 2019870017668U KR 870017668 U KR870017668 U KR 870017668U KR 920002502 Y1 KR920002502 Y1 KR 92000250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passage
fixing
wedge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1766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7431U (ko
Inventor
다로오 오오시로
Original Assignee
다로오 오오시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986166154U external-priority patent/JPH0226335Y2/ja
Priority claimed from JP1987018472U external-priority patent/JPH0350730Y2/ja
Application filed by 다로오 오오시로 filed Critical 다로오 오오시로
Publication of KR88000743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743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250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2502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30Straps; Band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02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frictionally engaging surface of straps

Landscapes

  • Buckl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벨트의 고정기구
제 1 도는 본 고안의 한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제 2 도는 고정기구본체의 종단면도.
제 3a 도로 부터 제 3e 도는 벨트고정부착 차례를 나타낸 주요부분 종단면도.
제 4 도는 고정기구본체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제 5 도 및 제 6 도는 제 4 도 실시예에 있어서의 벨트 고정기구차례를 나타낸 주요부분 종단면도.
제 7 도는 제 1 도 실시예의 멜빵의 적용예를 나타낸 사시도.
제 8 도는 쐐기형 본체등의 다른 실시예의 주요부분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고정기구본체 1A : 기단부
1B : 길이조절부재 1b : 틀
1c, 1c : 측변 1d1: 브리지부
2 : 쐐기형 본체 3 : 벨트
4 : 벨트통로 4A : 벨트고정부착통로
4B : 벨트삽통통로
본 고안은 벨트의 고정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어깨멜빵이 달린 핸드백등에 장착되어 있는 멜빵에 부착되어 이 어깨멜빵이 달린 핸드백등의 조하조정을 위한 벨트의 길이조절기능을 지니고, 또한 길이조절을 위한 벨트 루우프(belt loop)부의 한끝을 고정부착할 수 있는 밸트의 고정기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 어깨멜빵이 달린 핸드백이나 어깨멜빵이 달린 복스 등에 장착되어 있는 멜빵등의 휴대용벨트에 있어서, 빽등의 조하조정을 하기 위하여 벨트의 한끝을 접어서 루우프부를 형성하고, 이 루우프부의 길이(즉, 루우프부의 지름의 대소)를 조절함에 따라 벨트의 길이를 조정하여 왔다.
그리고, 이 루우프부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와 같이 접은 벨트의 일단부를 벨트의 적당한 부분에 대향시켜, 그와 같은 대향부를 리벳으로 죄어 고정하여 왔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벨트의 고정기구에서는 적어도 1개(통상은 2개)의 리벳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리벳 삽통용의 구멍을 벨트를 접은 대향부에 상대관계를 유지하여 개설하지 않으면 안되었으며, 그위에 이것들 리벳삽통을 구멍에 삽통한 리벳을 죄어 고정시키는 작업이 필요하게 되었다.
또, 루우프부의 길이조절을 위한 부재도 필요하였다.
따라서, 부품점수와 가공공수가 많고 접속을 위한 작업이 번잡한 등의 문제점을 지니고 있었다.
나아가서, 벨트소재와 리벳의 경도차가 비교적 크기 때문에 벨트 사용시에 벨트에 대하여 커다란 인장력이 작용하는 상태가 반복되면, 리벳 삽통구멍의 주변으로 부터 잘린곳이 발생하는 현상이 일어나서 시간이 흐름에 따라 벨트가 파단될 염려를 지니고 있었다.
본 고안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부품점수와 가공공수의 저감을 도모하여 접속작업의 용이화가 달성됨과 함께 강고한 고정부착상태를 확보하여 시간이 흐름에 따라 벨트가 벗겨진다거나 파단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벨트의 길이조절도 할 수 있는 벨트의 고정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고안의 벨트의 고정기구는 터어널 형상의 벨트통로를 기단부의 전후방향에 형성함과 함께 기단부의 전방으로 벨트의 길이조절부재를 형성한 고정부착본체와 벨트의 일단을 접어서 대향부 사이에 개재되어 접은 방향으로 점차 살이 엷도록 형성한 쐐기형 본체 등으로 구성한 것이다.
본 고안에 있어서는 벨트통로에 벨트의 한끝을 접어서 대향부가 사이에 개재한 쐐기형본체를 집어 넣음에 따라서 벨트의 한끝을 접어서 대향부 쐐기형 본체의 적어도 살이 두꺼운 부분 상하면과 벨트통로의 내면 등으로 협압(挾厓)고정되었으며, 이 협압고정력은 벨트의 인장력의 크기에 비례하여 증대하였다.
또, 고정기구본체에 벨트의 길이조절부재를 형성함에 따라 벨트의 길이조절을 할 수 있는 작용을 지니고 있다.
제 1 도는 본 고안에 관한 벨트의 고정기구의 한실시예를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 제 2 도는 고정기구본체의 종단축면도로서, (1)은 고정기구본체, (2)는 쐐기형본체, (3)은 벨트를 뜻하며, 고정기구본체(1)는 경질합성수지로 대략 직육면체형상의 틀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기단부(14)에 전후방향으로 관통하는 터어널형상의 벨트통로(4)를 형성하고 있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벨트통로(4)는 벨트 고정부착통로(44)와 벨트삽통통로(4B)에 상하로 병렬하여 분할형성 되고, 벨트 고정부착통로(44)의 위쪽으로 평행하여 벨트 삽통통로(4B)가 설치되어 있다.
또, 고정기구본체(1)의 기단부(1A)의 전방에는 벨트의 길이조절부재(1B)가 형성되어 있다.
이 벨트의 길이조절부재(1B)는 기단부(1A)보다 전방으로 연장하여 있어 틀(1b)을 형성함과 동시에 이틀(1b)의 서로 대향하는 측변(1c),(1c)사이에 전후방향으로 적당한 간격을 두고 여러개의 브리지부(1d1),(1d2)가 형성되어 있다.
뒤쪽에 형성한 브리지부(1d2)의 상부가 벨트고정부착 통로(44)와 벨트삽통통로(4B)의 분할부(1a)에 대하여 가이드조각(1e)을 개재하여 연결하여 있다.
이 가이드조각(1e)을 도면 실시예와 같이 2개로 분할한 가이드조각(1e)으로 하지 않고 평판상의 1개의 가이드 조각(1e)으로 하여도 좋다.
쐐기형본체(2)는 고정기구본체(1)와 마찬가지의 경질합성 수지로 한끝의 살이 두꺼운 부분(2A)으로 부터 다른 끝에 걸쳐 점차로 살이 엷어지도록 경사진 단면 형상으로 성형되어 있다.
벨트(3)는 제 1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띠모양으로 형성된 것으로, 그 재질은 특별히 문제시하지 않는다.
다음에 고정기구본체(1)에 있어서의 벨트(3)의 접속차례를 제 3 도에 기초하여 설명하면 벨트(3)의 한끝(3A)을 브리지부(1d1)의 아래를 틈으로 들어가게 한 다음 (제 3a 도 참조), 벨트삽통통로(4B)를 삽통시킴과 동시에 벨트(3)에 루우프부(3B)를 형성하고 ( 제 3b 도 참조), 다시 벨트(3)의 한끝 (3A)을 벨트고정부착통로(4A)에 후단개구(4a)로 부터 전방으로 삽통하여 그 한끝(3A)을 접어서 대향부(3a),(3a)를 형성하고, 대향부(3a),(3a)사이에 쐐기형본체(2)를 개재시킨다. (제 3c 도 참조).
따라서 제 3d 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대향부(3a),(3a)를 가이드조각(1e)의 하면에 닿게하여 화살표 A방향으로 대향부(3a),(3a) 및 쐐기형본체(2)를 벨트고정부착통로(4A)의 전단개구(4b)로 부터 그 내부에 밀어넣음과 동시에 화살표 B방향으로 벨트(3)를 세게 당기므로서 제 3e 도에 나타낸 접속상태, 즉 쐐기형본체(2)의 살이 두꺼운 부분(2A)의 상하면과 벨트고정부착통로(4A)의 전단내면 등으로 벨트(3)의 접어진 대향부(3a),(3a)를 협압 고정한 상태를 얻을 수 있다.
더우기, 상기한 제 3c 도 이하의 벨트접속차례를 실행할 경우, 고정기구본체(1)를 반대쪽으로 향하게 (제 3c, d, e 도의 고정기구본체(1)의 천지를 반대로 하여) 하면 벨트(3)의 고정부착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전술한 구성에서 벨트(3)에 대하여 제 3e 도의 화살표(C)로 나타낸 인장력이 작용하였을 경우, 이 인장력의 크기에 비례하여 쐐기형 본체(2)의 벨트고정부착통로(4A)에 대한 간섭도가 커져서 협압 고정력이 증대하므로 강고한 접속상태를 얻을 수 있었다.
또, 벨트(3)를 상기와 같이 브리지부(1d1)를 틈으로 들어가게 하여 삽통통로를 삽통시킴으로서 벨트(3)와 브리지부(1d1)등의 사이에 마찰력을 발생시켜 이에 따라서 벨트(3)의 한끝(3A)을 알맞는 정도로 고정하여 접속할 수 있다.
제 4 도는 고정기구본체(1)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벨트통로(4)를 하나만 형성하여 구성하고 있다.
이 벨트통로(4)에 벨트(3)를 쐐기형 본체(2)로 고정부착한 것이다.
제 5 도 및 제 6 도는 이 고정기구본체(1)에 있어서의 벨트(3)의 접속차례를 나타낸 것이다.
제 7 도는 제 1 도 실시예의 고정기구본체(1)를 어깨 멜빵이 달린 복스(6)의 멜빵에 접속한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벨트(3)의 일단부를 고정기구본체(1)의 벨트고정부착통로(4A)에서 접속하여 고정부착하였으며, 또한 브리지부(1d1) 및 벨트 삽통통로(4B)에서 어깨멜빵이 달린 복스(6)의 아래로 들이우는 길이조정을 할 수 있다.
즉, 벨트(3)를 화살표(D)방향으로 세게 당기면 멜빵의 길이를 길게하여 어깨멜빵이 달린 복스(6)를 더욱 아래로 들이울 수 있고, 반대방향으로 세게당기면 멜빵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다.
더우기, 벨트(3)에 형성되는 루우프부(3B)에는 걸림기구(7)를 걸어멎게하여, 이 걸림기구(7)가 어깨멜빵이 달린 복스(6)에 형성한 걸어 고정부(6A)에 걸었다 떼었다 할 수 있도록 걸어 맞춤되어 있다.
제 8 도는 쐐기형본체(2) 및 벨트통로(4)(혹은 벨트고정부착통로(4A))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쐐기형 본체(2)의 같은 모양의 상하면도 이 쐐기형본체(2)의 경사도에 대응하여 경사상으로 형성한 벨트통로(4)(혹은 벨트 고정부착통로(4A))의 상하내면 등으로 협압 고정하도록 하여도 좋다.
물론 이 쐐기형본체(2)를 실시예의 벨트통로(4)(혹은 벨트고정부착통로(4A))에 대응시켜도 좋다.
또, 전술한 제 1 도 실시예에서는 벨트(3)를 틈으로 들어가게 하는 브리지부(1d1)외의 이 브리지부(1d1)의 후방에도 다른 브리지부(1d2)를 형성하여 이 후방의 브리지부(1d2)의 상부와 벨트고정부착통로(4A)와 벨트삽통통로(4B)의 분할부(1a)등을 가이드조각(1e)을 개재하여 연결시킨 구성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제 3d 도의 상태로 부터 제 3b 도의 접속 완료 상태에 이르는 작동이 가이드조각(1e)을 안내에 미끄러져 움직임에 따라서 할 수 있기 때문에 극히 원할한 이점을 지니고 있지만 가이드조각(1e) 및 다른 브리지부(1d2)를 생략한 구성으로하여도 실시예와 마찬가지 효과를 성취하였다.
나아가서, 상기 제 1 도 실시예에 있어서는 벨트삽통통로(4B)를 벨트고정부착통로(4A)의 위쪽으로 평행하게 형성하고 있으나, 이것을 벨트 고정부착통로(4A)의 아래쪽으로 평행하게 형성하여도 효과는 동등하다.
이러한 경우, 벨트(3)의 일단은 브리지부(1d1)를 타고 넘어서 벨트삽통통로(4B)에 삽통하도록 벨트(3)의 고정부착차례를 일부 변경하는 것은 당연하다.
또, 벨트삽통통로(4B)의 도면 실시예에서는 윗쪽부분을 평판상으로 형성하지만 이것을 막대형상으로 형성하여도 좋다.
이상으로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고정기구본체의 기단부에 터어널형상의 벨트통로를 형성함과 동시에 쐐기형 본체를 벨트의 일단이 접어진 대향부 사이에 개재시켜 접는 방향으로 점차 살이 얇게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이 쐐기형 본체를 벨트통로의 전단개구로 부터 이통로내에 집어 넣으므로 쐐기형본체의 적어도 살이 두꺼운 상하면과 벨트통로의 전단내면 등으로 벨트의 일단이 접어진 대향부를 협압고정할 수 있으며, 벨트통로에 있어서 벨트의 일단부를 고정부착할 수 있다.
또, 고정기구본체는 기단부의 전방으로 벨트의 길이조절부재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벨트의 길이조절을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 벨트의 접속고정 부착과 길이조절을 1개의 고정기구에 의하여 할 수 있으며, 종래의 이런 종류의 고정기구와 비교하여 부품점수와 가공공수가 저감하여, 접속작업이 극히 용이하게 되어서 작업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고, 또한 쐐기형본체의 쐐기효과에 따라서 강고한 접속상태를 확보할 수 있어 벨트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벗겨진다거나 파단하는 등의 불합리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었다.
또, 고정기구본체에 벨트통로를 벨트고정부착통로의 위쪽, 그렇지 않으면 아래쪽의 적어도 한쪽에 형성하는 경우, 고정기구본체의 가단부에 있어서, 벨트루우프부의 일단에서 벨트가 밀접하여 벨트의 루우프를 원할하게 또한 적정한 루우플 형성할 수 있다.
또 벨트는 통로방향이외의 움직임이 규제되기 때문에 벨트의 길이조절을 원할하게 할 수 있다.

Claims (4)

  1. 터어널 형상의 벨트통로(4)를 기단부의 전후방향으로 형성함과 동시에 이 기단부의 정방에 벨트(3)의 길이조절부재(1B)를 형성한 고정부착 본체와, 벨트(3)의 한 끝이 접어진 대향부 사이에 개재되어서 접는 방향으로 점차 살(두께)이 엷도록 형성한 쐐기형 본체(2)등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의 고정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벨트통로(4)를 벨트 고정부착 통로(4A)와 벨트 삽통 통로(4B)로 상하 병렬시켜서 분할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의 고정기구.
  3. 제 2 항에 있어서, 벨트 삽통 통로(4B)를 벨트 고정부착 통로(4A)의 위쪽에 이 벨트 고정부착 통로(4A)와 평행되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의 고정기구.
  4. 제 1 항,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벨트(3)의 길이 조절부재(1B)를 기단부 보다 앞쪽으로 연출 형성한틀 (1b)과, 틀의 대향하는 측변(1c),(1c)사이에 형성한 브리지부(1d1)등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의 고정기구.
KR2019870017668U 1986-10-29 1987-10-24 벨트의 고정기구 KR920002502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1-166154 1986-10-29
JP1986166154U JPH0226335Y2 (ko) 1986-10-29 1986-10-29
JP62-18472 1987-02-10
JP1987018472U JPH0350730Y2 (ko) 1987-02-10 1987-02-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7431U KR880007431U (ko) 1988-06-27
KR920002502Y1 true KR920002502Y1 (ko) 1992-04-25

Family

ID=263551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17668U KR920002502Y1 (ko) 1986-10-29 1987-10-24 벨트의 고정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250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7431U (ko) 1988-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5116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nti-slip webbing adjustment
US2919481A (en) Adjustable buckle
US2542044A (en) Slide buckle
KR930002698A (ko) 조절가능한 나사식 클램프
ATE177602T1 (de) Schliessvorrichtung, insbesondere für sportschuhe
ATE132015T1 (de) Haarspangenfassung
US5307542A (en) Buckle for adjustably securing a belt or the like
KR910018246A (ko) 버클 프리텐셔너
GB1214164A (en) Bundling strap
KR920002502Y1 (ko) 벨트의 고정기구
US4175304A (en) Strap closure
US3209423A (en) Locking device for straps
US4858283A (en) Strap buckle structure
US3981050A (en) Shoulder strap retainer
JPH01158204A (ja) 締結具
MY115325A (en) Packaging structure
US3555626A (en) Belt and buckle arrangement
US2377287A (en) Buckle
US2878540A (en) Buckle
DE69115910D1 (de) Lastbefestigungsband
KR920021088A (ko) 슬라이드 파스너용의 고정가능한 슬라이더
GB1027602A (en) Buckle
US4420858A (en) Device for adjusting the length of a band or the like
ES286087U (es) Hebilla perfeccionada con mandibulas auto-apretadora para correa.
JPS643380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