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2322B1 - 구면 스크린(screen)투영장치 - Google Patents
구면 스크린(screen)투영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920002322B1 KR920002322B1 KR1019890012448A KR890012448A KR920002322B1 KR 920002322 B1 KR920002322 B1 KR 920002322B1 KR 1019890012448 A KR1019890012448 A KR 1019890012448A KR 890012448 A KR890012448 A KR 890012448A KR 920002322 B1 KR920002322 B1 KR 92000232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irror
- screen
- concave lens
- dome
- spherica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8—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affording epidiascopic projec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구면 스크린 투영장치의 작동 설명도로써 부분품 1은 광원, 2는 초점이 F인 오목렌즈, 3은 초점이 F이고 내면이 반사면인 포물면경, 4는 초점이 F이고 외면이 반사면인 구면경, 5는 초점이 F인 볼록렌즈, 6은 B5-C5사이를 투영할 수 있는 초점을 가진 오목렌즈이다.
제2도는 제1도에서 Fig.2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우리가 현재 극장에서 보는 영화는 흔히 영사막이라 불리우는 평면스크린에, 역시 이 평면스크린에 적합하도록 만들어진 영사기로 상영되는 것이다. 그러나 평면스크린에 투영된 영화는 그 보이는 면이 시자(視者)의 앞부분에만 위치해 있어 현장감이나 생동감을 실제보다 훨씬 적다. 이에 비해 시자의 머리위에 반구(半求)의 곡률을 가진 지붕이 있어서 이 지붕의 내면에 영화를 상영한다고 한다면 시자의 전, 후, 좌, 우 심지어 머리위에까지 모든 영상이 존재하므로 보다 더 실제적인 체험을 할 수가 있다. 그러나 반구의 곡률을 가진 투영면에 영상에 투영하기 위한 장치는 간단하지가 않다. 이러한 투영면에 영사하려면 여러대의 평면 스크린 투영장치를 쓰거나 아니면 플라네타리움이라 부르는 장치를 쓴다. 전자는 여러대의 평면스크린 투영장치의 조합에 불과하므로 설명을 생략하고 후자의 경우를 보면, 이 플라네타리움이라 부르는 장치는 이미 오래전에 개발된 장치로 그 구조는 밤하늘의 별자리에 해당하는 구멍을 작은 금속구에 뚫어 그 안에 광원을 둠으로써 반구의 곡률을 가진 투영면을 지붕으로 삼아 그 내면에 별자리에 해당하는 점이 맺히도록 한 장치로 이 장치는 구조상 점만을 투영할 수 있을 뿐 일반적인 영상을 투영하지는 못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구면스크린 투영의 어려움을 극복하여 본 장치 1대로 반구의 곡률을 가진 돔(DOME)형 내면의 스크린에 완벽한 영상을 재현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을 중심축을 기준으로 자른 단면도이다. 본 발명품의 각 부분품들은 모두 원형이기 때문에 단면도에서 필름 상의 한 부분만을 취하여 광선의 경로를 설명하면 같은 원리에 의하여 나머지 모든 부분에 대해 성립되기 때문에 이 단면도에서 FILM위의 네 점 A1, B1, C1, D1이 본 발명의 각 부분에 의해 굴절되거나 반사되어 진행해가는 과정을 살펴보면 FILM위의 나머지 점들도 갈은 원리에 의해 진행해 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부분품 1은 광원이다. 이 광원에서 나온 광선 중 FILM위의 점 A1에 도달한 광선이다. 이 광선이 점 A1에 도달하여 통과하면 점 A1에서 여러방향으로 산란하게 되는데 그중 중심축0-0'에 평행한 광선이 있다. 이 광선은 부분품 2상의 점 A2에 도달하게 되는데 부분품 2는 오목렌즈로써 초점이 중심축 0-0'상에 있는 점 F이다.
따라서 기하광학에서 오목렌즈의 특성인 "중심축에 평행하게 오목렌즈로 입사한 광선이 오목렌즈를 통과하면 렌즈의 초점에서 나온 광선과 같은 경로로 진행하다."에 의하여 A2에서 굴절된 광선은 부분품 3상의 점 A3에 도달하다. 부분품 3은 포물경으로 초점이 중심축0-0'상에 위치한 점 F이고 내면이 반사면이다. 즉, 초점을 부분품 2와 교유한다. 따라서 A3에 도달한 광선은 부분품 3 포물면경의 초점에서 진행해온 광선 이라고 보아도 무방하다. 그러므로 A3에서 반사된 광선은 기하광학에서 포물경의 특성인 "포물경의 초점에서 나온 광선은 반사된 후 중심축에 평행하게 나아간다."에 의해 중심축 0-0'에 평행하게 진행하여 부분품4구면경 상의 점 A4에 도달한다. 이 구면경의 초점은 중심축0-0'상의 점 F이고 외면이 반사면이다. 따라서 기하광학에서 구면경의 특성인 "중심축에 평행하게 구면경으로 입사한 광선은 반사후 초점에서 나온것처럼 진행한다."에 의해 투영면 S상의 점 A5에 투영되어 시자(視者)가 볼수 있게 된다. 여기 시자(視者)는 제1도에서 볼 때 A4와 A5사이 그리고 D4와 D5사이에 위치하여 위쪽면과 전후좌우에 나타나는 영상을 보게된다. 위와같은 원리로 FILM위의 A1∼B1의 사이에 있는 모든 점들은 투영면 상의 A1∼B5사이에 투영된다. C1∼D1사이에 있는 점도 마찬가지로 해서 투영면 상의 C5∼D5사이에 투영된다.
다시 FILM을 보면 아직 투영되지 않고 남아 있는 구역은 B1∼C1사이에 있는 점들인데 이 점들은 부분품 3포물면경에 그 광선경로가 가려지기 때문에 스크린 S에 투영되지 못한다. 그러므로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FILM 위의 점 B1∼C1에 해당하는 부분은 부분품 2오목렌즈를 거친 후 부분품 3포물면경 상의 B3∼C3에 투영된다는 것에 착안하여 이 부분에 개구를 내어 FILM 위에 투영되지 않고 남아 있는 부분인 B1∼C1 사이에 있는 점에서 나온 광선들을 이곳으로 입사시켜 부분품 5볼록렌즈를 거치게 한다. 여기서 제1도에서 Fig.2부분을 확대한 제2도를 보면 포물면경의 개구부분인 B3에 도달한 광선이 두 개로 나누어져 하나는 구면경 상의 점 B4로 진행하고 하나는 개구를 통과하여 볼록렌즈 5로 입사하는 것을 볼수 있다. 이것은 B3로 입사하는 광선이 여러개의 광자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일어나는 현상으로 개구의 경계에서포물면경으로 가까운 광자들은 반사되어 B4로 진행하고 개구의 중심쪽으로 가까운 광자들은 개구의 경계면을 스치고 지나가 진행하여 볼록렌즈 5로 입사한다. 제1도는 좌우대칭이기 때문에 이것은 C3에서도 마찬가지로 성립한다. 제1도에서 부분품 5볼록렌즈는 부분품 2오목렌즈와 초점을 공유한다. 그런데 포물면경에 도달한 광선은 모두 부분품 2를 거쳐왔기 때문에 부분품 2오목렌즈의 작용에 의해 초점 F에서 나온 광선처럼 진행한다. 따라서 부분품 3포물면경 중심부의 개구 B3∼C3로 입사되어 부분품 5볼록렌즈를 거친 광선은 볼록렌즈의 특성인 "촛점에서 나온 광선이 볼록렌즈를 통과하면 중심축에 평행하게 진행한다."에 의해 중심축 0-0'에 평행하게 진행하게 된다. 이렇게 다시 중심축에 평행하게 진행하게 된 FILM 위의 B1∼C1 사이에 있는 점에서 나온 광선들은 부분품 6오목렌즈에 의해 확산되어 스크린 S상의 B5∼C5사이에 투영된다. 이때 본 장치를 설치하는 곳의 스크린의 반지름에 따라 스크린상의 B5∼C5에 해당하는 점의 위치가 달라지기 때문에 부분품 6오목렌즈의 곡률과 초점은 이에 대응하여 가변할 수 있어야 한다.
이렇게 FILM위의 모든 점들은 반구형 투영면 S에 모두 투영되고, 제1도의 단면도는 본 발명의 임의 방향의 단면도이므로 모든 단면에 대해 성립하여 원판형의 필름 상에 있는 모든 점은 반구면의 스크린 내부의 각 해당점에 투영된다.
Claims (1)
- 필름에서 나온 광선을 서로 초점을 공유하는 오목렌즈→내면이 반사면인 포물면경→외면의 반사면인 구면경의 순서로 거치게 하여 반구형 투영면 내면의 적도에서부터 위쪽으로 포물면경에 의하여 가려지기 전까지를 투영하도록 하고 포물면경에 의해 가려서 스크린에 투영되지 못사는 광선들은 포물면경 중앙부에 개구를 내어 입사시킨후 볼록렌즈에 의해 중심축에 평행하게 한 다음 오목렌즈에 의해 확산사켜 스크린에 투영되지 못한 나머지 부분을 투영하도록 한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890012448A KR920002322B1 (ko) | 1989-08-31 | 1989-08-31 | 구면 스크린(screen)투영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890012448A KR920002322B1 (ko) | 1989-08-31 | 1989-08-31 | 구면 스크린(screen)투영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10005088A KR910005088A (ko) | 1991-03-30 |
KR920002322B1 true KR920002322B1 (ko) | 1992-03-21 |
Family
ID=192894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890012448A KR920002322B1 (ko) | 1989-08-31 | 1989-08-31 | 구면 스크린(screen)투영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920002322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08100275A1 (en) * | 2006-06-21 | 2008-08-21 | Lee Alan | Star field projection apparatus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105332U (ja) * | 2004-05-19 | 2004-10-28 | 株式会社アサツーディ・ケイ | 全球型映像施設 |
-
1989
- 1989-08-31 KR KR1019890012448A patent/KR920002322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08100275A1 (en) * | 2006-06-21 | 2008-08-21 | Lee Alan | Star field projection apparatu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10005088A (ko) | 1991-03-3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182469B2 (en) | High contrast projection | |
USRE43842E1 (en) | Panoramic imaging system | |
US2819649A (en) | Reflecting condenser system for projectors | |
CA2124466A1 (en) | Projector | |
US2991693A (en) | Front projection screen | |
US6908218B2 (en) | Light source unit and projector type display device using the light source unit | |
US3253505A (en) | Projection of images onto inclined screens | |
US4338006A (en) | Overhead projector | |
US3900726A (en) | Compact follow spot | |
KR920002322B1 (ko) | 구면 스크린(screen)투영장치 | |
JP3716200B2 (ja) | 画像形成装置 | |
JPS62501584A (ja) | 映写スクリ−ン | |
US3687520A (en) | Substage illuminating mirror for a stereomicroscope | |
US7130114B2 (en) | Catoptric optical system | |
US4188102A (en) | Mirror reflex camera with electronic rangefinder | |
US2682197A (en) | Folded reflecting optical system of the schmidt type | |
US2974565A (en) | Projection system using screen with facets | |
JP4120628B2 (ja) | 投写型表示装置の光源装置 | |
US2738702A (en) | Projection control device for projectionists | |
US3043190A (en) | Lighting arrangement for projector | |
US3644030A (en) | Light source system | |
US3575499A (en) | Previewing apparatus | |
US3630604A (en) | Optical projection apparatus | |
JPH04240838A (ja) | 反射型スクリーン | |
JPH0368931A (ja) | スクリーン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G160 |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19940823 Year of fee payment: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