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2306Y1 - 탈취제용 관엽식물의 화분 - Google Patents

탈취제용 관엽식물의 화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2306Y1
KR920002306Y1 KR2019890018812U KR890018812U KR920002306Y1 KR 920002306 Y1 KR920002306 Y1 KR 920002306Y1 KR 2019890018812 U KR2019890018812 U KR 2019890018812U KR 890018812 U KR890018812 U KR 890018812U KR 920002306 Y1 KR920002306 Y1 KR 92000230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ake
plant
deodorant
support
plant 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900188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0478U (ko
Inventor
찌아끼 오하마
가즈데루 아즈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니코
임정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니코, 임정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니코
Priority to KR20198900188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2306Y1/ko
Publication of KR91001047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047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23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2306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75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biological materials, plants or microorganis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탈취제용 관엽식물의 화분
제 1 도는 본 고안의 관엽식물의 화분 실시례의 사시도.
제 2 도는 제 1 도에서 화분의 확대 단면도.
제 3 도 및 제 4 도는 본 고안의 기타 실시례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화분 2 : 배기공
3 : 흡기통 4 : 횡칸막이판
4a : 통공 5 : 흡기팬
6 : 집진용망 7 : 탈취제
8 : 덮개 9 : 지지체
10 : 식물줄기 11 : 흡기통관
11a : 공기흡입공
본 고안은 탈취기능을 구비한 관엽식물의 화분에 관한 것이다
통상 사무실이나 가정에서 관엽식물을 화분에 꽂아서 인테리어의 일환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이는 단지 잠식용으로만 이용될뿐 그 이상의 효과는 가져올수가 없었다.
그러나 최근 생활환경, 작업환경에 대한 요구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고도의 쾌적함이 요구되었으며 이중에서 실내의 공기를 탈취, 정화시키는 문제가 중요한 과제로 대두되었다.
본 고안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고려하여 장식용 관엽식물과 그 줄기 및 지지대에 실내공기를 흡기할수 있는 흡입공과 흡기동관을 형성시키고 그 화분에는 관엽식물의 흡기통관을 통해 외부공기를 흡수할수 있는 흡기장치와 그 상부에는 흡입되는 공기를 탈취정화시킬수 있는 탈취제를 충진시켜 실내의 공기를 이 관엽식물과 그 화분을 통하여 탈취시켜 순환시킬수 있는 것으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부주벽에 배기공(2)이 천공된 화분(1)내의 상하부에 공간부가 형성되게 횡칸막이판(4)을 중간하부측에 설치시키고, 횡칸막이판의 중앙부에는 통공(4a)을 관통시켜 그 상부에는 흡기통(3)을 하부에는 흡기팬(5)을 각각 설치시키고 횡칸막이판과 흡기통상부에는 집진용망(6)을 덮여 씌워서 탈췌제(7)로 충진시키고 화분상부의 덮개(8)에는 식물줄기(10)나 지지체(9)내부에 흡기통관(11)이 형성되고 식물줄기와 연결된 식물잎 이면이나 또는 지지체의 끝단을 꽂아서 된 것이다
이와같은 구조로 된 본 고안의 작용상태를 설명하면 전선플러그를 전원에 꽂아 흡기장치인 흡기팬(5)을 작동시키면 화분(1)상부 덮개(8)에 꽂아진 식물줄기(10)의 식물잎 이면이나 또는 지지체(9)의 끝단에 천공된 공기흡입공(11a)으로 실내 공기가 흡입되어 흡기통관(11)을 통해 화분내부로 공급되어 횡칸막이판(4)의 상부에 충전된 탈취제(7)에 의하여 공기가 정화, 탈취되어 상기 흡기통(3)과 횡칸막이판의 하부공간부를 통해 화분주벽 하부에 천공된 배기공으로 배출되어 실내에 순환되는 것이다.
본 고안에 있어서 화분(1)은 상술한 점을 제외하고는 형상, 크기등은 물론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배기공(2)의 형상, 숫자도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화분속에서 실내로 배출되어 공기의 순환이 이루워지면 되는 것이다.
또한 흡기장치인 흡기팬(5)의 전원은 건전지를 사용할수도 있고 탈취제(7)는종류와 형상에는 제한이 없고 예를들면 활성탄, 유산제-철-유기산제, 제오라이트류등을 들수 있으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식물줄기(10)또는 지지체(9)로서는 식물의 형에 맞추어 덩굴모양, 새끼모양, 막대기모양, 로우프모양등 여러형태로 생각할수 있으며 본 예에서는 상부덮개(8)에서 벗어나와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관엽식물로서는 인공식물, 실제식물, 어느것도 좋으나 반영구적으로 사용할수 있는 점과 식물의 크기, 형태를 임의로 변경하여 사용장소에 맞추어 임의의 높이등의 탈취, 정화를 하는데 있어서, 사용상 인공의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실제 식물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화분내에 흙을 담을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여 이에 식물을 심고 화분의 기타공간을 이용하여 탈취장치를 할수도 있다.
식물이 인공인 경우에는 식물줄기와 지지체를 겸할수도 있고 식물잎에 의해 공기흡기공이 에워싸여져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하는 것이 미관상 바람직하다.
또한 화분은 바닥 또는 약간 높은 위치의 상에 놓는식으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제 4 도에서 표시한 바와 같이 천장에서 내려뜨리는 달아매는 식으로도 할수 있다.

Claims (1)

  1. 하부주벽에 베기공(2)이 천공된 화분(1)내의 상, 하부에 공간부가 형성되게 횡칸막이판(4)을 중간하부측에 설치시키고 횡칸막이판의 중앙에는 통공(4a)을 관통시켜 그 상부에는 흡기통(3)을 하부에는 흡기팬(5)을 각각 설치시키고 횡칸막이판과 흡기통 상부에는 집진용망(6)을 덮어 씌워서 탈취제(7)로 충진시키고 화분상부의 덮개(8)에는 식물줄기(10)나 지지체(9)내부에 흡기통관(11)이 형성되고 식물줄기와 연결된 식물잎 이면이나 또는 지지체의 끝단에 공기흡입공(11a)을 천공시킨 식물줄기와 지지체의 하부끝단을 꽂아서 된 탈취재용 관엽식물의 화분.
KR2019890018812U 1989-12-12 1989-12-12 탈취제용 관엽식물의 화분 KR92000230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18812U KR920002306Y1 (ko) 1989-12-12 1989-12-12 탈취제용 관엽식물의 화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18812U KR920002306Y1 (ko) 1989-12-12 1989-12-12 탈취제용 관엽식물의 화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0478U KR910010478U (ko) 1991-07-29
KR920002306Y1 true KR920002306Y1 (ko) 1992-04-09

Family

ID=192930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90018812U KR920002306Y1 (ko) 1989-12-12 1989-12-12 탈취제용 관엽식물의 화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230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9269A (ko) * 2002-06-04 2002-07-12 신승엽 조화 및 생화의 화분용 발향물질 및 발향용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9269A (ko) * 2002-06-04 2002-07-12 신승엽 조화 및 생화의 화분용 발향물질 및 발향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0478U (ko) 1991-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58993B1 (ko) 이끼벽과 실내식물을 이용한 공기청정용 실내정원 시스템
KR101737934B1 (ko) 조립식 다기능 화분 조립체와 이러한 화분 조립체에 구비되는 받침대 및 화분
KR101656751B1 (ko) 공기 정화용 식물재배 화분 및 상기 식물재배 화분을 이용한 실내정원 장치
KR0150468B1 (ko) 수목의 휘발성 유기화합물 발생촉진장치
JP4155805B2 (ja) 空気浄化機能を有する植木スタンド及びその植木鉢
KR101652488B1 (ko) 실내 조경용 수경 재배기의 바디
TWI578899B (zh) 多段疊層用之裝飾盆單元
KR100943824B1 (ko) 다목적 화분
KR100250160B1 (ko) 관상어수조를 이용한 수경재배 및 정화장치
KR920002306Y1 (ko) 탈취제용 관엽식물의 화분
US20230067983A1 (en) Root pruning and air purifying plant pot
KR20210057606A (ko) 수직 정원
KR102320131B1 (ko) 시각, 후각, 촉각 자극 및 공기 정화 기능을 갖는 화분 받침대 겸용 감성 조명장치
KR100825823B1 (ko) 가습기 기능이 구비된 철망화분
GB2131663A (en) Humidifying air around plants
JP2004507233A (ja) 通気維持機能を有する下部給水式植木鉢
KR20210150666A (ko) 디퓨저가 결합된 화분
JPH0745168Y2 (ja) 観葉、脱臭植物鉢
KR100732911B1 (ko) 화분 관상 장치
JPH05316889A (ja) 気生根蘭の室内栽培法及び該栽培法に用いる植木鉢
KR102556884B1 (ko) 벽체녹화용 버티컬 화분조립체
CN220674969U (zh) 一种网状驱蚊装置
DE10231041A1 (de) Raumluft- & Pflanzenbiofilter mit Zubehör als Vorrichtung
KR102270376B1 (ko) 향 발생 기능이 구비된 화분
KR20100079001A (ko) 틈새화분 거치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