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1899Y1 - 안테나의 굴절기구 - Google Patents

안테나의 굴절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1899Y1
KR920001899Y1 KR2019860017838U KR860017838U KR920001899Y1 KR 920001899 Y1 KR920001899 Y1 KR 920001899Y1 KR 2019860017838 U KR2019860017838 U KR 2019860017838U KR 860017838 U KR860017838 U KR 860017838U KR 920001899 Y1 KR920001899 Y1 KR 92000189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member
antenna
metal base
central shaft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6001783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15450U (ko
Inventor
이꾸죠오 나까죠오
마사포 안자이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야 요꼬오
도꾸마 게이다로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야 요꼬오, 도꾸마 게이다로오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야 요꼬오
Publication of KR87001545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1545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189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1899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1207Supports; Mounting means for fastening a rigid aerial el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ort Of Aeria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안테나의 굴절기구
제 1 도는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의한 안테나의 굴절기구를 도시한 한 요부의 측면도.
제 2 도는 동일한 도면의 사시도.
제 3 도는 금속 기저 부재부의 정면도.
제 4 도는 전송선의 단자판 부착부의 설명도.
제 5 도 및 제 6 도는 중심축의 측면도 및 정면도.
제 7 도는 금속기저부재부의 변형예를 도시한 정면도.
제 8 도 및 제 9 도는 중심축의 변형예를 도시한 한 요부의 측면도 및 정면도.
제 10 도 및 제 11 도는 종래의 굴절기구의 한 실시예 및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한 요부의 측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안테나소자 2, 10 : 금속기저부재
2a, 10a : 편평부 3 : 평와셔
4 : 부착부재 5, 11 : 안테나 받침대
5a, 9a, 11a : 오목홈 6 : 비스나사
7 : 톱니달린 와셔 9 : 받침부재
10b : 중심축 구멍 10c : 절개부
12 : 전송선 13 : 단자판
14 : 중심축
본 고안은 안테나의 수신감도를 높이기 위하여 신축(伸縮)로드 안테나 소자등의 안테나 소자의 방향을 변화시키는 굴절기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전술한 바와같은 안테나의 굴절기구로서 제 10 도 및 제 11 도에 도시된 것들이 있었다.
제 10 도에 도시된 것은 안테나 소자(1)의 하단부에 설치된 금속의 기저부재(2)의 편평부(2a)의 양측면에 평와셔(3)을 대고, 이들 와셔(3)를 통해서 편평부(2a)를 단면이 홈형태인 금속의 부착부재(4)에 끼우고, 이 부착부재(4)를 합성수지 성형품으로 이루어진 안테나 받침대(5)의 오목한 홈(5a)를 끼운뒤 중심축인 비스나사(6)를 톱니가 달린 와셔 또는 스프링 와셔(7)를 통하여 상기 받침대(5)의 오목한 홈(5a)의 한쪽 측면부로 부터 부착부재(4), 평와셔(3), 편평부(2a)에 관통되도록 끼우고, 받침대(5)의 오목한 홈(5a)의 다른쪽에 비스나사(6)의 다른 쪽 단부를 돌출시킨 뒤 돌출부를 회전하지 못하도록 멈춤 너트(8)에 조여서 부착시킨 것이다.
또한, 제 11 도에 도시된 것은 안테나 소자(1)의 하단부에 설치된 금속의 기저부재(2)의 편평부(2a)의 양측면에 평와셔(3)를 대고, 이것들을 관통하여 편평부(2a)를 금속재의 받침부재(9)의 오목한 홈(9a)에 끼우고, 비스나사(6)을 금속의 받침부재(9)의 오목한 홈(9a)의 한쪽 측면부로 부터 평와셔(3), 편평부(2a)에 관통되도록 끼운 뒤 금속의 받침부재(9)의 오목한 홈(9a) 다른 측면부에서 나사결합에 의해 부착시킨 것이다.
그리고 제 10 도, 제 11 도에 도시한 종래의 안테나의 굴절기구에서는 비스나사(6)의 축둘레에서 안테나 소자(1)를 금속의 기저부재(2)를 통하여 회동시키므로써 이에 적당한 굴절 토오크로 굴절시키고 있다.
종래의 제 10 도에 도시한 굴절기구에서는 금속의 부착부재(4)의 홈폭의 치수와 제 11 도에 도시한 것에서는 금속의 받침부재(9)의 오목한 홈(9a)부의 폭의 치수의 제작 오차에 의해서 굴절 토오크가 크게 영향을 받으며, 굴절 토오크가 균형을 잃기쉽다.
또는 평와셔(3)의 펀치 가공시의 버어(burr), 금속받침부재(9)의 밀링시의 버어, 배럴(barrel)가공시의 변동등의 의해서도 굴절 토오크가 변화한다.
따라서 안정된 굴절 토오크를 얻기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비스나사(6)와 너트(8) 또는 비스나사(6) 고정볼트에 의해서 받침대(5) 또는 금속의 받침부재(9)의 오목한 홈(9a)의 다른 측면부를 오목한 홈(9a)의 한쪽 측면부에 붙이고 있기 때문에 금속의 기저부재(2)의 편평부(2a)의 측면과 평와셔(4)의 측면이 한쪽만 닿게 되고 따라서 한곳으로 하중이 집중되어 편평부(2a)와 평와셔(3)의 마찰 접촉면에 윤횔유의 단절이 일어나기 쉬우며 눌어 붙게 되는 원인이 된다.
금속의 기저부재(2), 받침부재(9)는 밀링가공되고, 그 밀링 가공면을 밀접하게 접촉시키므로써 생기는 마찰을 이용해서 굴절 토오크를 발생시키고 있기 때문에, 밀링가공면이 고도의 면가공 정밀도를 얻을 수 없게 됨으로써 마찰접촉면이 눌러 붙게 되는 원인이 된다.
또한 비스나사(6)의 체결에 의해서 굴절 토오크가 발생되고 있으나 굴절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비스나사(6)가 헐거워져 굴절 토오크가 저하되고, 안테나 소자(1)가 굴절위치에 유지되지 않게 되므로써, 자연 낙하되는 원인이 되어 내구성이 불충분하다는 문제점도 있다.
더구나 금속의 기저부재(2)의 비스나사(6)가 관통되는 중심축구멍을 큰지름으로 해서 비스나사(5)가 중심축구멍에 접촉되지 않고 또한 상기 비스나사가 회전되지 않게 하면 전술한 바와같이 한쪽만 닿게 되므로써 비스나사와 중심축 구멍의 비어있는 틈새 만큼 금속의 기저부재(2)가 움직여서 덜컹거리게 된다.
또한 금속의 기저부재(2)의 편평부(2a)와 부착부재(4) 또는 받침부재(9)의 사이에 두께 0.1㎜ 정도의 평와셔(3)를 끼워넣지 않으면 안되므로 조립이 까다롭고 숙련도를 요구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여 불균형이 없는 안정된 굴절 토오크가 용이하게 얻어지고, 또한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더우기 조립도 용이하게 될 수 있는 안테나의 굴절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에 의한 안테나에 굴절기구는 안테나 소자의 하단부에 설치된 금속의 기저부재의 편평부에, 이 금속의 기저부재의 중심축 구멍 직경방향으로 뻗어있고 금속의 기저부재 밖에서 개구되는 절개부를 설치하고, 지지부재에 회전되지 않도록 장착된 중심축을 전술한 중심축 구멍에 밀어 끼워서, 금속의 기저부재를 중심축에서 회동할 수 있도록 탄력성 있게 지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안테나의 굴절기구는 전술한 바와같이 중심축을 절개부에 이어져 있는 중심축 구멍에 밀어 끼워넣어서 금속 기저부재를 중심축에서 탄력성 있게 지지함으로써 안테나 소자의 굴절 토오크를 얻고 있기 때문에 나사의 체결에 의해 굴절 토오크를 발생시키는 종래의 것처럼 한쪽만 닿는 경우나 나사못의 헐거워짐이 없이, 굴절 토오크가 금속 기저부재에 설치된 중심축 구멍의 구멍지름, 잘라낸 곳의 깊이, 중심축의 외경, 압입대등 관리하기 쉬운 부분에서 결정되어 굴절 토오크의 불균형이 작아지고 내구성도 향상된다.
또한 본 고안의 굴절 기구는 평와셔가 절약되는 동시에 중심축을 너트를 사용하거나 나사로 결합시키지 않고 안테나 받침대, 받침부재와 같은 지지부재에 밀어 넣는 것과 같은 방법으로 고정시킬 수 있어서, 부품수를 적게할 수 있는 동시에 조립이 용이하게 되어 기계에 의한 자동조립도 가능하게 된다.
이하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관하여 제 1 도 내지 제 6 도를 참조로 하면서 설명한다.
제 1 도 내지 제 3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신축 로드 안테나 소자(1)의 기단부에 끼워 맞추어져서 고정된 금속 기저부재(10)의 편평부(10a)에 중심축 구멍(10b)이 성형되어 있는 동시에, 중심축 구멍(10b)의 금속 기저부재(10) 축방향에 일치하는 지름 연장 방향의 위와 아래쪽으로 절개부(10c)가 형성되고 절개부(10c)의 하단이 편평부(10a) 밖으로 개구되어져 있다.
지지부재인 안테나 받침대(11)는 합성수지의 성형품으로 구성되고, 이 받침대(11)의 상부에는 상면 및 양측면으로 개구되는 좌우에 노치(notch) 모양의 오목한 홈(11a)이 형성되고, 이들의 오목한 홈(11a)에 금속 기저부재(10)의 편평부(10a)가 끼워 맞추어져 있는 동시에, 제 4 도에도 나타낸 바와같이 전송선(feeder)(12)의 단부에 접속되어 고정되는 단자판(13)이 전술한 오목한 홈(11a)에 개구되어진 턱진부분(11f)의 아래쪽의 삽입구멍(11e)으로부터 끼워 넣어져서 맞추어져 있다.
그리고 전술한 삽입구멍(11e)의 턱진부분(11f)에는 전송선(12)과 단자판(13)의 압착면이 끼워 맞추어진다.
제 5 도, 제 6 도에도 도시된 바와같이 중심축(14)은 금속 기저부재(10)의 중심축 구멍(10b)의 지름 및 받침대(11)의 오목한 홈(11a)의 전, 후부를 관통하는 구멍(11b), (11c)의 지름보다 약간 큰 외경으로 형성되고 그 하나의 단부에는 육각형 헤드(head)(14a)가 일체적으로 설치되며 중앙부에는 고리모양의 오일링 홈(14b)이 설치되며, 또한 그 후방에는 고리모양의 얇은 슬릿홈(14c)이 형성되어 있다.
중심축(14)은 받침대(11)의 구멍(11b)으로 부터 금속 기저부재(10)의 중심측 구멍(10b), 다수의 슬릿(13b)이 내면에 형성되어 있는 단자판(13)의 구멍(13a)에 관통되게 하여 받침대(11)의 맞은편 구멍(11c)에 밀어넣고, 헤드(14a)가 구멍(11b)의 외측에 이어져 있는 육각형의 오목부(11d)에 걸어 맞춰지게 됨으로써 회전이 멈추어지게 된다.
이렇게 하여 밀어 넣어진 중심축(14)은 단자판(13)의 슬릿(13b)을 넓힌 다음 슬릿홈(14c)에서 탄력에 의해 지지되고 또한 걸어 맞춰지게 되어서 전력 공급을 확실히 수행하게 된다.
또한 중심축(14)은 받침대(11)의 구멍(11b), (11c)으로 밀어 넣어서 받침대(11)에 고정되고 받침대(11)의 구멍(11c)의 직경을 넓히고 있으므로써, 금속 기저부재(10)가 중심축(14)에서 탄성지지되고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실시예의 굴절기구는 받침대(11)를 옆으로 해서 두개의 노치형의 오목한 홈(11a)에 전송선(12)이 고정되어 있는 단자판(13)을 각각 끼워넣고 그후, 노치형의 오목한 홈(11a)에 두개의 안테나 소자(1)에 설치된 금속 기저부재(10)의 편평부(10a)를 각각 끼워넣고, 편평부(10a)와 단자판(13)의 위치를 맞춘 다음 전술한 바와같이 중심축(14)을 본체(11)의 구멍(11b)으로 부터 맞은편 구멍(11c)까지 편평부(10a)와 단자판(13)를 통하여 밀어 넣으므로써 자동조립 등에 의해 조립될 수 있다.
더구나, 굴절부로의 윤활유의 공급은 금속 기저부재(10)의 중심축 구멍(10b)의 내벽에 도포하고 또한 중심축(14)의 오일링홈(14b)에 도포 또는 충전한 후 상기의 조립을 수행하지만 조립후에 금속 기저부재(10)의 절개부(10c)로 부터 오일링 홈(14b)으로 주입하여도 좋다.
또한 제 7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금속 기저부재(10)의 편평부(10a)의 중심부에는 축방향에 따라 기름 구멍(10d)을 형성해두고, 상기 기름 구멍(10d)에 그리이스와 같은 기름을 충전하거나 또는 기름을 함침한 함유재를 충전해서 조립해도 좋다.
그리고 제 8 도, 제 9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중심축(14)은 원반형의 헤드(14a)의 외주면에 너얼링(knurling)에 의한 요철을 다수 형성해 두고, 헤드(14a)를 받침대(11)의 환형의 오목부에 밀어넣어서 중심축(14)의 받침대(11)에 대한 회전을 방지하는 작용을 하게 하여도 좋다.
그리고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절개부(10c)와 연속된 중심축 구멍(10b)에 중심축(14)이 밀어 넣어져 있으므로써 금속 기저부재(10)의 편평부(10a)의 절개부(10c)의 측면부의 탄성복원력으로 굴절 토오크를 발생시키게 되어 금속 기저부재(10)와 안테나소자(1)를 중심축(14) 둘레에서 회동시켜서 굴절시킨다.
본 실시예의 굴절기구는 전술한 바와같이 구성되고 또한 조립되므로, 제 10 도에 도시한 종래의 것에서는 금속 부착부재(4)와 전송선(12)의 납땜 또는 압착 작업은 받침대(5)의 중앙의 오목부에 설치된 덮개를 떼어 냄과 동시에 옆면에 설치되어 있는 관통구멍에 전송선(12)을 밖에서 집어 넣은 다음에 실시되어지게 되어서 인력이 소요되며 그후 비스나사로 고정하는 작업이 실행되므로 일련이 번잡한 조립작업이 되지만, 본 고안의 것과는 그점이 달라서 조립작업이 매우 용이하게 자동조립 할 수 있다.
더구나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착탈식 안테나로 불리는 안테나 받침대 (호울더)가 합설수지로 성형된 쌍극(dipole)안테나의 경우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받침부재를 안테나 본체 대신에 지지부재로 하는등 통상의 안테나의 굴절기구에 널리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중심축을 지지부재에서 회전되지 않게하기 위해 장착하는 장치를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는 등 각 부분은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공지된 기술에 의해서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변경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금속 기저부재의 편평부에 절개부와 이어지는 중심축 구멍을 설치하고 이 중심축 구멍에 안테나 본체, 받침부재와 같은 지지부재에 회전되지 않도록 부착되는 중심축을 밀어넣고 금속 기저부재를 중심축에서 회동 가능하도록 탄력성 있게 지지시켰으므로 굴절 토오크를 관리하기 용이한 부분에서 결정할 수 있으며 또한 한쪽만 닿는 것이나 헐거워지는 일이 없는 안정된 것으로 할 수 있고, 굴절 토오크에 불균형이 없는 안정된 성능을 지니고 내구성이 탁월하며 부품수도 적고 용이하게 조립되는 안테나의 굴절기구를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안테나 소자(1)의 하단부에 설치된 금속 기저부재(10)의 편평부(10a)에, 이 편평부의 중심축 구멍(10b)의 지름의 연장 방향으로 뻗어있고 금속기저부재(10)의 밖에서 개구되는 절개부(10c)를 설치하고, 지지부재(11)에 회전되지 않도록 부착되는 중심축(14)을 중심축 구멍(10b)에 밀어 넣으며, 금속 기저부재(10)를 중심축(14)에서 회동할 수 있도록 탄력성있게 지지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의 굴절기구.
KR2019860017838U 1986-03-14 1986-11-14 안테나의 굴절기구 KR920001899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1-37058 1986-03-14
JP1986037058U JPS62151211U (ko) 1986-03-14 1986-03-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15450U KR870015450U (ko) 1987-10-26
KR920001899Y1 true KR920001899Y1 (ko) 1992-03-21

Family

ID=308480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60017838U KR920001899Y1 (ko) 1986-03-14 1986-11-14 안테나의 굴절기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S62151211U (ko)
KR (1) KR920001899Y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21324Y2 (ja) * 1978-09-12 1984-06-22 リンナイ株式会社 切替型ガスコツク
JPS5824012U (ja) * 1981-08-10 1983-02-15 三菱重工業株式会社 位置検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15450U (ko) 1987-10-26
JPS62151211U (ko) 1987-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43956B2 (en) Device for connecting structural components
RU2005114362A (ru) Компенсирующее допуски монтажное устройство
US3195600A (en) Captive screw devices
KR850000667A (ko) 스타일러스 조절장치를 갖춘 프로브
FR2622648B1 (fr) Rondelle deformable, permettant notamment de predeterminer la force minimale de serrage d'un ecrou ou d'une vis
KR870002890A (ko) 공구 커플링
US5037258A (en) Floating barrel nut assembly device
US7010831B1 (en) Screw connection for hinge parts
KR920001899Y1 (ko) 안테나의 굴절기구
US3501182A (en) Gear hub clamp
KR900010272A (ko) 축에 동력전달 부재를 설치하기 위한 시스템
DE3911875A1 (de) Beschleunigungssensor
US5276975A (en) Audible-visual edge finder
JP2698974B2 (ja) 自動車の前照灯における反射鏡傾斜角の調節装置
KR970010490A (ko) 배력장치의 출력축
US3772954A (en) Piercing apparatus
US4487460A (en) Bushing assembly for preloading a thrust bearing
JP2006517020A (ja) 調整脚及び調整具の組合せ
US2899220A (en) x x x i iv
KR20020061738A (ko) 탄성 힌지 구조체
SU1641563A1 (ru) Зажимное устройство
KR920006066A (ko) 보링헤드 공구 카트리지 및 카트리지 장착 장치
SU1583681A1 (ru) Планетарна передача винт-гайка
US4132188A (en) Device for securing elements to a tapered shaft
US3836213A (en) Bearing assembly for precision mechanis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6022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