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1891Y1 - 턴테이블의 톤암복귀장치 - Google Patents

턴테이블의 톤암복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1891Y1
KR920001891Y1 KR2019880019671U KR880019671U KR920001891Y1 KR 920001891 Y1 KR920001891 Y1 KR 920001891Y1 KR 2019880019671 U KR2019880019671 U KR 2019880019671U KR 880019671 U KR880019671 U KR 880019671U KR 920001891 Y1 KR920001891 Y1 KR 92000189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ne arm
lever
arm
gear
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1967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0632U (ko
Inventor
변영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 켈
조동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 켈, 조동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 켈
Priority to KR2019880019671U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1891Y1/ko
Publication of KR90001063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063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189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1891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00Recording by mechanical cutting, deforming or pressing, e.g. of grooves or pits; Reproducing by mechanical sensing;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3/02Arrangements of heads
    • G11B3/08Raising, lowering, traversing otherwise than for transducing, arresting, or holding-up heads against record carriers
    • G11B3/085Raising, lowering, traversing otherwise than for transducing, arresting, or holding-up heads against record carriers using automatic mea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00Recording by mechanical cutting, deforming or pressing, e.g. of grooves or pits; Reproducing by mechanical sensing;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3/02Arrangements of heads
    • G11B3/10Arranging, supporting, or driving of heads or of transducer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3/34Driving or guiding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 G11B3/36Automatic-feed mechanisms producing progressive transducing traverse across record carriers otherwise than by grooves, e.g. by lead-screw

Landscapes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턴테이블의 톤암복귀장치
제 1 도는 본 고안의 저면을 보인 발췌사시도이고,
제 2 도는 본 고안의 메인 기어 구동부의 발췌부의 발췌사시도이고,
제 3 도는 통상레코오드판의 사시도이고,
제 4 도는 본 고안의 톤암이동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제 5 도는 본 고안에 있어서 연주가 끝나 톤암이 무음부를 진행할 경우의 평면도이고,
제 6 도는 본 고안의 톤암복귀작용을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제 7 도는 본 고안의 톤암복귀후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제 8 도는 본 고안의 연주중인 상태에서 연주를 정지시켜 톤암을 자동복귀시키는 경우로서 (a)는 연주정지신호를 하기전이고, (b)는 연주정지신호가 가하여진 경우의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 트립레버(Trip Lever) 12 : 조인트레버(Joint Lever)
17 : 스위치레버 19 : 스톱레버
본 고안은 텐테이블에 관한 것으로, 특히, 턴테이블의 톤암이 자동복귀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알려진 턴테이블의 톤암복귀 장치로는 실용신안공보제83-304호, 실용신안공고제82-2632호 및 실용신안공보제82-745호등 알려져 있다.
실용신안공고제82-304호의 장치는 본 고안에서도 적용되는 잘알려진 톤암의 기어식 자동리턴장치와, 스위장치와, 엘레베이션장치와, 큐잉수단 및 조직수단으로 이루어져있으나, 스위치장치가 복잡한 결점이 있었고, 수동레버가 실시되는 구조에 맞게 큐잉수단 및 조작수단을 갖춘것으로 자동복귀되면서 스스로 큐잉되는 장치에는 부적합하였다.
실용신안공고 제82-2632호는 위와같이 전체구조로서 기능을 수행하고 있지만은 특별히 기어식 자동복귀장치를 구성하는 각부재를 베이스플레이트에 설치하고 이 베이스 플레이트에 다이렉트 드라이브 모터를 부착시켜서 전체를 유닛화한것이므로 구조적으로 복작함에는 변함이 없었다.
실용신안공고 제83-745호의 톤암복귀장치 역시 위의 구조를 감안한 새로운 구조를 제안한 것으로 그 일단부를 메인기어에 설치한 캠홈에 계합시켜 한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있는 리턴레버의 가이드핀을 회동조절가능하게 형성하고, 이 가이드핀의 가이드구멍에 삽입시키는 부분을 편심부로한 것으로 주로 리턴레버의 작동을 개량한 것에 관한 것이다.
위의 공지된 톤암복귀장치들에 있어서 공통적으로 메인기어위의 링크장치를 톤암이송레버와 연결된 연결수단에 의하여 기능적으로 원만한 작동을 하도록 하기 위해서 여러 가지 수단이 동원되고 있으나, 그 설치방법, 위치, 기능상의 결함이 있었다.
따라서, 톤암이 제 1 단계 연주위치로 이동될 경우와, 제 2 단계 연주진행중 연주를 종료하거나, 연주종료 후 자동복귀시키는 간단한 구조의 트립수단이 요구되어왔다.
본 고안의 목적은 메인기어를 회동시키는 링크장치를 위와같은 3단계별로 정밀작동할 수 있는 트립수단을 새로이 함에 그 목적이 있고, 특히, 슬라이드암(리턴수단)의 이동 및 톤암의 이동시에 보다 정밀한 작동을 기함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
이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캠홈이 저면에 형성되고, 그 연부는 기어를 이루며, 그 상면에는 두 개의 링크편을 구성한 메인기어와, 이 메인기어와 연결되는 피니언 기어를 갖는 구동모터 장치와 상기 메인기어의 캠홈을 따라 직선이동되면서 톤암을 복귀시키는 슬라이드암으로 이루어지며 톤암이송레버의 끝단에는 조인레버를 연결하고 슬라이드암에는 이 조인트레버의 타단이 연결됨과 아울러 상기 제 2 링크편에 접동되는 트립레버를 축지구성하고 톤암이송레버의 타단에는 상기 슬라이드암의 이동으로 개폐됨과 아울러 모터축의 구동 전원을 개폐공급하는 스위치레버를 구성하고, 제일링크편은 스톱레버에 의하여 접초되게 하여서 되는 것으로, 톤암의 이동시에 트립레버가 정밀연동되며, 이 트립레버는 리턴기능의 슬라이드암의 일정위치에 축지시켜 링크장치에 접동되게한 특징이 있다.
첨부도면에 의거 기술적 구조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저면에 캠홈(4)이 있고, 상면에 링크편(5)(6)이 구성되며, 그 연부는 무기어부(30) 및 기어(31)가 형성된 메인기어(3)와, 이 메인기어(3)의 무기어부(30)의 위치에서 돌기(2)와 피니언기어(21)를 형성한 구동모터의 구동축(1)과, 모터구동의 마이크로스위치(18), 스위치레버(17), 톤암이송레버(14), 조인트레버(13), 트립레버(12)를 구성하여 상기 메인기어(3)의 켐홈(4)에 연결되어 직선운동되는 슬라이드암(7)과, 스톱암(19)으로 구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슬라이드암(7)의 적정위(링크장치에 접촉될 수 있는 위치)에는 트립레버(12)를 축지하여 링크편(6)에 접촉되게함과 동시에 상기 톤암이송레버(14)에 연동되게 조인트레버(13)를 연결구성하여서 되며, 톤암이송레버(14)의 저면에는 슬라이드암(7)의 선단에 걸려지는 돌기(8)를 구성하여서 된다.
또한, 모터를 구동시키는 마이크로스위치(18)는 스위치레버(17)의 접속으로 개폐되며, 이 스위치레버(17)는 그 하단돌편(22)이 슬라이드암(7)의 돌기 (23)와의 접촉에 의하여 작동하게 된다.
동시에, 톤암이 복귀된 경우에만 스위치레버(17)를 원위치시켜 마이크로스위치(18)가 오프되게 된다.
스톱암(19)은 선단이 링크편(5)에 접속되게되며, 당김로(20)로서 타단이 연결되고, 반대쪽으로 원복 스프링(21)이 탄지되어 있으며 그 중앙은 축지된다.
미설명부호 5는 제일링크편이고, 51은 접촉돌기이며, 6은 제이링크편이고, 9는 스프링이고, 10은 쿠숀부이고, 11은 큐잉부이고, 15는 톤암연결간이고, 16은 톤암리이드이고, 22는 돌편이고, 23은 돌기이고, 24는 레코드편이고, 25는 무음부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제 4 도 내지 제 8a, b 도에 의하여 작동된다.
먼저, 톤암을 들어 레코오드판(24)위에 이동시키면 톤암이송레버(14)가 이점쇄선방향으로 이동되므로 조인트레버(13) 및 트립레바 역시 이동된다.
이 상태에서는 레코오드판의 연주에 따라 톤암이 미세하게 무음부(25)를 향하여 진행되더라도 제이링크편(6) 위에 재치된 제일링크(5)의 돌기 (51)는 구동축(1)의 돌기(2)에 걸릴정도로 근접되어 있지 않게 된다.
이와같은 원리는 제일, 제이링크편(5)(6)이 서로 재치상태로 유지되어 있기 때문에, 제이링크편(6)의 갑작스런 이동이 없는 한 제일링크편(5)의 급경한 진행은 없게 되며, 계속회전중인 구동축(1)의 돌기(2)에 걸리지 않게 된다.
그러나, 후술하는 바와같이 스톱암(19)에 의한 제일링크편(5)의 갑작스런 이동 또는, 톤암이 제 3 도의 무음부(25)에서 급격한 진행이 있을 경우 트립레버(12)는 제 5 도에서 도시된 바와같이 순간적으로 제이링크편(6)을 강하게 밀어 제일링크편(5)이 회전중인 구동축(1)의 돌기(2)에 접촉돌기(51)가 걸려지게 된다.
따라서 메인기어(3)의 연부에 위치한 링크편(5)(6)에서 짧은거리(무기어부만큼)의 회전력을 얻게되고 일정각도 회전 되고나면 구동축(1)의 피니언기어(21)에 메인기어(3)의 기어가 맛물리게 되어 메인기어(3)는 계속 회전되게 되는 것이다.
이 상태에서 메인기어(3)에 연결된 슬라이드암(7)은 직선방향 이동이 일어나며 제 6 도에서 보는 바와같이 슬라이드암(7)의 쿳숀(16)이 톤암이송레버(14) 저면의 톤암리이드(16)를 밀어 톤암을 원복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후 슬라이드암(7)은 최대거리에서 다시 원위치로 이동되고 메인기어(3)는 무기어부(31)에서 회전이 정지되게 되면서 슬라이드암(7)이 돌기(23)에 스위치레버(17)의 돌편(22)이 걸려 온(ON)접속중인 마이크로 스위치를(18)를 밀어 오프시키게 된다.
따라서 모터 구동축(1)은 회전되지 않게 된다.
이와같은 일련의 작동은 조인트레버(13)와 트립레버(12) 및 톤암이송레버(14) 저면의 리이드(16)와 스위칭레버(17)의 돌편(22)이 슬라이드암(7)에 접촉됨에 의하여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종래의 톤암복귀장치들이 갖는 작동 구조보다 간단화하면서도 확실한 작동을 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은 제 8a, b 도에서 보는 바와같이 스톤암(19)에 의하여 연주중지와 함께 톤암이 복귀되는 장치도 갖는다.
즉, 제 8a 도 상태에서 (b)와같이 스톤암(19)을 로드(20)에서 일정한 압력으로 당겨주면, 스톱암(19)의 선단은 제일링크편(51)을 밀게되어 회전중인 구동축(1)의 돌기(2)에 걸려져 메인기어(3)의 회전을 일으킨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같은 톤암은 자동복귀 작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같이 본 고안은 종래 톤암복귀장치들과는 새로운 작동시스템을 제안하므로서 구조적으로 극히 간단화하고, 기능적으로 보다 확실한 작동을 기하게 되었으며, 연주중단의 스톱암의 기능이 새로운 구조를 달성케된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캠홈(4)이 형성되고, 연부는 기어(30) 및 무기어부(31)를 갖는 메인기어(3)로서 되고, 이 메인기어(3)의 무기어부(31)에 근접되게 제일제이의 링크편(5)(5)으로 링크장치를 구성하며, 무기어부의 위치에는 피니언기어(21)와 돌기(2)를 구성하여 톤암이송개시순간 구동되는 모터 구동축(1)이 구성되고, 상기 메인기어(3)의 캠홈(4)에 일단부의 환봉(8)이 연결되면서 선단에서 톤암이송레버(14)와 작동되는 슬라이드암(7)을 구성하되, 상기 링크장치와 톤암이송레버(14) 사이에 이 링크장칠 접동시키는 트립장치를 갖는 공지의 톤암복귀장치에 있어서, 상기 톤암이송레버(14)의 끝단에 조인트레버(13)의 일단을 연결하고, 그 타단은 슬라이드암(7)에 연결함과 아울러 상기 제 2 링크편(6)에 접동되는 트립레바(12)를 슬라이드암(7)을 일정위치에 축지구성하며, 톤암이송레버(14)의 저면에는 리이드(16)를 돌설하여 슬라이드암 쿳숀(10)에 의하여 접촉되게 하고, 스위치 레버(17)에는 슬라이드암에 돌설된 돌기(23)에 접촉되는 접속돌기(22)를 구성하여서 되는 턴테이블의 톤암복귀장치.
KR2019880019671U 1988-11-30 1988-11-30 턴테이블의 톤암복귀장치 KR92000189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19671U KR920001891Y1 (ko) 1988-11-30 1988-11-30 턴테이블의 톤암복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19671U KR920001891Y1 (ko) 1988-11-30 1988-11-30 턴테이블의 톤암복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0632U KR900010632U (ko) 1990-06-02
KR920001891Y1 true KR920001891Y1 (ko) 1992-03-21

Family

ID=192817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19671U KR920001891Y1 (ko) 1988-11-30 1988-11-30 턴테이블의 톤암복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189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0632U (ko) 1990-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424501Y2 (ko)
KR920001891Y1 (ko) 턴테이블의 톤암복귀장치
US4916422A (en) Apparatus for electrically operating a circuit breaker
US4656552A (en) Cam driven actuating mechanism for a tape player
CN109285564B (zh) 自动回臂功能的电唱机
JPS604245Y2 (ja) ピツクアツプアーム自動復帰機構
KR920001892Y1 (ko) 턴테이블의 자동연주장치
JPS5822289Y2 (ja) 音響機器のスイツチ装置
US5031475A (en) Power mechanism
US4257614A (en) Record players
GB2117550A (en) Front-loading record player
KR910008068Y1 (ko) 레코드 플레이어의 톤암 동작장치
KR920002977Y1 (ko) 턴테이블의 연주보조장치
JPS6241414Y2 (ko)
JP2970708B2 (ja) ミシンの自動糸切装置
KR920002427Y1 (ko) 턴테이블의 톤암이송장치
KR900003679Y1 (ko) 브이티알의 로오딩 스위치 동작장치
JPH0415537B2 (ko)
KR920000215B1 (ko) 자동 정지장치
JPH0512777A (ja) デイスクカートリツジのシヤツター開閉機構
KR870002005Y1 (ko) 컴팩트 디스크플레이어의 디스크도아 고정장치
JPS582426B2 (ja) 連続自動演奏式レコ−ドプレ−ヤの制御装置
JPS627358Y2 (ko)
KR940002098B1 (ko) 카셋트식 테이프 플레이어
KR920001123Y1 (ko) 레코드 플레이어용 리피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11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