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1675Y1 - 빗물받이 - Google Patents

빗물받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1675Y1
KR920001675Y1 KR2019890000694U KR890000694U KR920001675Y1 KR 920001675 Y1 KR920001675 Y1 KR 920001675Y1 KR 2019890000694 U KR2019890000694 U KR 2019890000694U KR 890000694 U KR890000694 U KR 890000694U KR 920001675 Y1 KR920001675 Y1 KR 92000167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concrete
rain gutter
cover
collecting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9000069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4587U (ko
Inventor
전선용
Original Assignee
신영기술개발 주식회사
윤영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영기술개발 주식회사, 윤영호 filed Critical 신영기술개발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900006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1675Y1/ko
Publication of KR90001458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458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167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1675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1Dedicated additional structures, interposed or parallel to the sewer system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5Accessories, e.g. flow regulators or cleaning devi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빗물받이
제 1 도는 종래의 빗뭍받이를 단일통체로하여 사용한 것을 나타낸 단면도.
제 2 도는 종래의 빗물받이를 상, 하통체로 하여 조립시공한 것을 나타낸 단면도.
제 3 도는 본 고안의 빗물받이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제 4 도 내지 제 7 도는 본 고안 빗물받이를 순차적으로 설치시공하는 것을 나타낸 단면예시도.
제 8 도는 본 고안의 빗물받이가 설치된 것을 일부절개하여 나타낸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통체 2 : 절곡 받침단부
3 : 배수구 4 : 덮개
4' : 끼움턱
본 고안은 주택가나 신축건물 및 광장등의 포장시 도로주변 가장자리에 설치 사용되는 빗물받이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일반적인 빗물받이는 바닥, 벽체, 상부턱등으로 구분되는 빗물받이를 3회에 걸쳐 거푸집을 설치한 후 타설하여야 하며, 또한 양생이 되어야만 다음 공정을 진행 할 수 있으므로 오랜 작업 일수를 소요하게 되는 불편함과 번거로움 등으로 많은 공사진척의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빗물받이 통체를 제 1 도와 같은 합성수지재인 단일통체(A)로 사용하던가 또는 제 2 도와 같이 상, 하로 나누어 구성된 합성수지재인 상, 하통체 (A) (A')를 연결관의 깊이에 따라 회전시켜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 등이 제안된 바 있으나, 이들은 종래 콘크리트 타설 빗물받이에 비해 공기를 대폭 단축하고, 공사비를 절감시키며, 시공시 터파기 및 배수구의 위치에 따라 높이 조절을 가능케한 잇점이 있는 반면에, 시공시 터파기에 통체를 매설한 후 보차도 경계측구의 콘코리트(C)를 타설 할때에 또는 양생후 충격에 의해 상부로 노출되는 모서리부분(B)이 쉽게 파손되는 일이 잦았고, 또한 이의 보수도 용이하지 않아 파손된 상태로 방지하게 되어 도로 미관을 해치는 등의 단점이 있었으며, 시공후에는 통체가 합성수지재 이므로 주위 콘크리트(C)와의 고착력이 약하고 또한 고착력 향상을 위한 별도의 수단도 구비되어 있지 않아 통체의 고착 상태가 불안정한 상태여서 잦은 진동으로 인하여 주변 콘크리트에 크랙현상이 발생되어 연결하수관과의 연결상태가 이완되기 때문에 누수가 되는 등의 많은 문제점이 지적되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통체의 상부 외측으로 절곡받침단부를 형성함과 동시에 덮개가 콘크리트 타설 시공시 복개되도록 안출 함으로써, 이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합성수지재인 통체(1)의 일측면 하부에 배수구(3)가 형성된 공지의 빗물받이에 있어서, 통체(1)의 상부외측으로 단면 ""형의 절곡받침단부(2)가 형성되고, ""형의 끼움턱(4')이 하부 외주연에 헝성된 덮개 (4)가 콘크리트 타설시공시 복개 되도록 구성하여서 되는 것이다.
미설명 부호 5은 보호망지지틀, 6은 보호망, 6'는 보호망좌, 7은 보차도 경계측구의 콘크리트, 8은 덮개의 두께, 9는 터파기의 길이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 설명하면, 먼저 제 4 도와 같이 터파기 한 후 통체(1)를 매립하고나면 제 5 도와 같이 상부에 덮개(4)를 올려 농고 이의 외측에는 보초망지지틀(5)로 사면을 연결시킨 다음, 제 6 도와 같이 보차도 경계측구의 콘크리트(7)를 타설한다. 또한 덮개(4)의 두께(8)를 선택적으로 변경하여 사용함으로써, 터파기의 길이 (9) 또는 배수구(3)의 설치위치에 따른 높낮이에 대응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콘크리트(7)는 통체(1)상부외측으로 형성된 절곡 받침단부(2)의 내측으로도 몰입됨과 동시에 덮개(4) 하부외주연의 끼움턱(4')의 ""형태를 따라 보호망좌(6')를 형성하면서 양생된다.
또한 시공상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잔골재나 이물질등의 침하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여 공사준공전 빗물받이의 내부를 재청소하는 불편함과 번거로움등을 제거하기 위해 콘크리트의 양생후에는 제 7 도와 같이 덮개 (4)를 제거하고 보호망(6)을 보호망좌(6')에 얹어 높으면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통체(1)상부 외측이 절곡받침단부(2)의 내외에서 콘크리트(7)가 굳어지게 됨으로써 통체(1)와 주위 콘크리트(7)와의 고착상태가 견고하게 되어 통체진동의 염려가 없어서 주위 콘크리트의 크랙발생 및 하수관의 연결상태 이완 등으로 인한 누수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최상부에서 노면에 노출되는 부분은 철재 인 보호망 지지틀(5) 이므로 웬만한 충격으로는 파손될 염려가 없으며, 파손되더라도 콘크리트 자체가 보호망좌(6')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손쉽게 다시 콘크리트로 타설하여 노수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덮개의 두께를 선택함에 따라 터파기의 깊이 및 배수구의 설치선정 및 높낮이에 대응할 수 있으므로 종래 것의 높낮이 조절에 따른 분리구성을 요하지 않게 되어 제조비를 대폭 낮출 수 있음을 물론 설치작업도 더욱 간편용이하므로 인하여 공기단축 및 공사비 절약의 효과가 있는 매우 실용적인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합성수지재인 통체(1)의 일측면 하부에 배수구(3)가 형성된 공지의 빗물받이에 있어서, 통체(1)의 상부 외측으로 단면 ""형의 절곡받침단부(2)가 형성되고, "" 형의 끼움턱(4')이 하부외주연에 형성된 덮개(4)가 콘크리트 타설시공시 복개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받이.
KR2019890000694U 1989-01-24 1989-01-24 빗물받이 KR92000167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00694U KR920001675Y1 (ko) 1989-01-24 1989-01-24 빗물받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00694U KR920001675Y1 (ko) 1989-01-24 1989-01-24 빗물받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4587U KR900014587U (ko) 1990-08-02
KR920001675Y1 true KR920001675Y1 (ko) 1992-03-09

Family

ID=192833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90000694U KR920001675Y1 (ko) 1989-01-24 1989-01-24 빗물받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167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4587U (ko) 1990-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612178B2 (en) Manhole covering
KR101509202B1 (ko) 친환경 수로형 집수정 및 그것을 이용한 배수 시스템을 구비하는 친환경 도로 구조물
US7670080B2 (en) Catch basin system
US4192625A (en) Precast concrete catch basin with form for gutter inlet
CN2893020Y (zh) 一种道路的排水装置
KR920001675Y1 (ko) 빗물받이
KR102213360B1 (ko) 횡단보도 환경개선 빗물받이 및 그 시공방법
KR102358432B1 (ko) 빗물 침투기능을 갖는 콘크리트 구조물 및 그 제조방법
JP4125834B2 (ja) 側溝、側溝の蓋部材、および境界ブロック
JP7249202B2 (ja) 排水溝形成部材及び道路橋排水溝の交換補修工法
KR100335849B1 (ko) 측구의 시공방법
JP5534503B2 (ja) L型側溝ブロック
KR100367108B1 (ko) 배수판 및 이를 이용한 배수공법
KR102213359B1 (ko) 급속 시공이 가능한 빗물받이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2571397B1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집수구 및 그 시공방법
KR20050102160A (ko) 점성토 연약지반의 개량을 위한 표층처리강화공법 및표층처리구조
KR200370286Y1 (ko) 반사체가 부착된 기계타설 l형측구
JP7200429B1 (ja) 縁石一体型排水ブロック
JPH0752228Y2 (ja) 街路用側溝ブロック
KR840001140Y1 (ko) 도로의 빗물 집수구
KR200271594Y1 (ko) 중공식 교각의 중공홀에 고인 물을 배수시키기 위한 교각구조
JPH0235105Y2 (ko)
JP4142949B2 (ja) ドレンブロックを用いた舗装道路の排水構造
JP2000045212A (ja) 境界ブロック
KR20220153362A (ko) 하부개방형 pc콘크리트 우수받이 블록 및 그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30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