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1645Y1 - Osd배경 화면 밝기 조정회로 - Google Patents

Osd배경 화면 밝기 조정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1645Y1
KR920001645Y1 KR2019890002945U KR890002945U KR920001645Y1 KR 920001645 Y1 KR920001645 Y1 KR 920001645Y1 KR 2019890002945 U KR2019890002945 U KR 2019890002945U KR 890002945 U KR890002945 U KR 890002945U KR 920001645 Y1 KR920001645 Y1 KR 92000164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sd
digital
analog
microcomputer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9000294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7973U (ko
Inventor
최낙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강진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강진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90002945U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1645Y1/ko
Publication of KR90001797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797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164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1645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10Intensity circui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display of characters or indicia using display control signals derived from coded signals representing the characters or indicia, e.g. with a character-code memo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udio Circuit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OSD배경 화면 밝기 조정회로
제 1 도는 종래의 OSD 흑레벨 고정회로.
제 2 도는 OSD흑레벨 가변의 일실시예.
제 3 도는 본 고안의 회로도.
제 4a, b 도는 본 고안 마이콤의 동작 플로우 챠트.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선택부 2 : 휘도/칼라 분리부
3 : 휘도신호레벨 검출부 4,8 : 아날로그/디지탈 콘버터
5 : 마이콤 6 : OSD블록
7 : 흑레벨 검출부 9 : 디지탈/아날로그 콘버터
10 : 드라이브부
본 고안은 OSD(ON SCREEN DISPLAY)기능을 갖춘 영상기기에 있어서, 메인 화면의 밝기에 따라 OSD화면의 배경 화면이 일정한 차이를 유지하도록 하여 선명한 OSD문자를 시청할수 있도록한 OSD배경 화면 밝기 조정회로에 관한 것이다.
종래 영상기기의 OSD방식에서는 OSD배경화면의 흑레벨이 일정 DC값으로 고정되어 있는 관계로 메인 화면의 밝기가 OSD배경 화면의 밝기와 같을 때에는 OSD문자를 시각적으로 또렷이 구별할수 없는 것이었다.
즉 비데오 신호에 OSD문자 신호를 합성하여 출력시키는 통상의 IC(NJM 2207 D)에는 OSD배경 화면의 흑레벨을 결정짓는 DC값을 제 1 도에서와 같이 저항(R1)(R2)으로 분배시킨 일정전압을 인가시키게 되므로써 OSD문자의 배경 화면 밝기가 항상 일정한 것이었다.
따라서 OSD배경 화면의 흑레벨을 결정하는 DC값이 일정레벨로 고정되게 되므로 항상 같은 밝기의 OSD배경 화면을 제공하게 되어 메인 화면의 밝기가 OSD배경 화면과 같게 되거나 그 차이가 미미할 경우 OSD문자를 선명하게 구분할수 있게 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점을 감안하여 OSD배경 화면의 밝기를 결정하는 DC값을 메인 화면 밝기에 따라 변화시켜 주어 항상 메인 화면의 밝기와 일정한 차이를 두게 하므로서 선명한 OSD문자를 디스플레이 시키도록 한 것이다.
이와같이 OSD배경 화면과 메인 화면과의 밝기 차이를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하므로써 선명한 OSD문자를 표시할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본 고안을 첨부 도면에 의거 그 구성 및 작용효과를 상세히 살펴본다.
먼저 비데오 신호에 OSD문자 신호를 합성하여 출력시키는 통상의 믹서 IC(NJM 2207 D)에서 OSD배경 화면의 밝기를 결정하는 DC레벨을 제 2 도에서와 같이 구성된 가변저항(VR1)으로 가변시켜 주므로써 OSD배경화면을 메인 화면과 일정한 차이를 두도록 조정할수 있게 된다.
즉 사용자가 메인 화면의 밝기를 본후 OSD문자가 가장 선명하게 보일수 있도록 가변저항(VR1)을 가변시켜 OSD배경 화면의 밝기를 조정해 주는 것이다.
이같이 가변저항(VR1)의 가변으로 원하는 OSD배경 화면의 밝기를 가변시킬수는 있으나 이같은 방식은 메인 화면의 밝기에 따라 일일이 가변저항(VR1)을 가변시켜 주어야 하는 불편함이 내포되어 있게 된다.
따라서 기본적으로 믹서 IC(NJM 2207 D)에 연결된 가변저항(VR1)을 이용하여 OSD배경화면을 조정시키는 것을 제 3 도에서와 같은 본 고안 회로를 구성하여 자동적으로 메인 화면과 일정한 차이를 갖도록 배경 화면 밝기를 조정해 주도록 하였다.
제 3 도는 본 고안의 회로도로써 OSD기능을 갖춘 영상기기에 있어서, 휘도칼랄 분리부(2)에서 3MHz저역통과를 이용하여 분리시킨 휘도신호를 적분하여 평균치 전압으로 검출하는 휘도신호 레벨 검출부(3)와, 상기 휘도신호 레벨 검출부(3)의 검출 전압을 디지탈 값으로 변환시켜 마이콤(5)에 인가시키는 아날로그/디지탈 콘버터(4)와, OSD블록(6)의 OSD배경화면을 결정하는 흑레벨을 적분하여 평균치 전압으로 검출하는 흑레벨 검출부(7)와, 상기 흑레벨 검출부(7)의 검출전압을 디지탈 값으로 변환시켜 마이콤(5)에 인가시키는 아날로그/디지탈 콘버터(8)와, 상기 아날로그/디지탈 콘버터(4)(8)에서 인가되는 메인화면과 OSD배경화면의 밝기에 대응한 데이타를 비교하여 일정 차이를 갖는 보정신호를 출력시키는 마이콤(5)과, 상기 마이콤(5)의 보정신호를 아날로그값으로 변환시키는 디지탈/아날로그 콘버터(9)와, 상기 디지탈/아날로그 콘버터(9)의 출력을 OSD블록(6)의 흑레벨 조정용 DC전압으로 인가시키는 드라이브부(10)를 구성시켜 된것이다.
이때 선택부(1)는 마이콤(5)의 OSD배경 화면 자동 선택 기능을 선택하게 된다.
즉 본 고안은 제 3 도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선택부(1)의 OSD 배경 화면 자동 선택 기능을 선택하게 되면 메인 화면의 휘도 신호와 칼라신호를 분리하는 휘도/칼라 분리부(2)의 휘도신호 출력은 휘도신호 레벨 검출부(3)에서 적분되어 휘도신호의 평균치 전압이 검출되게 되고 이는 아날로그/디지탈 콘버터(4)에 인가되어 디지탈 신호로 변환된후 마이콤(5)에 인가되게 된다.
그리고 통상의 OSD 신호를 출력시키는 OSD 블록(6)의 OSD배경 화면을 결정하는 흑레벨 검출부(7)에서 적분되어 평균 전압으로 아날로그/디지탈 콘버터(8)를 통하여 디지탈 신호로 마이콤(5)에 인가되게 된다.
즉 사용자가 OSD배경 화면 자동 선택 기능을 선택하게 되면 메인 화면의 휘도 신호 검출 레벨을 디지탈로 바꾼 신호가 마이콤(5)에 인가됨과 동시에 OSD배경 화면의 흑레벨을 검출한 신호를 디지탈로 변환시킨후 마이콤(5)에 인가시킴으로써 마이콤(5)에서는 상기 두 신호를 비교하여 내부 프로그램에 의해 설정된 보정신호를 출력시키게 된다.
이같이 마이콤(5)에서 출력된 보정 신호는 디지탈/아날로그 콘버터(9)에 인가되어 아날로그 값으로 변환된후 드라이브부(10)를 통하여 OSD블록(6)에 인가되므로써 OSD블록(6)의 OSD배경화면 흑레벨은 드라이브부(10)에서 인가되는 값으로 조정되게 된다.
이때 마이콤(5)에서는 아날로그/디지탈 콘버터(4)에서 인가되는 메인 화면의 밝기에 대응한 데이타와 아날로그/디지탈 콘버터(8)에서 인가되는 OSD배경 화면의 밝기에 대응한 데이타를 비교하여 미리 프로그램으로 설정시킨 차이를 갖도록 OSD배경 화면의 보정 신호를 디지탈/아날로그 콘버터(9)에 출력시키게 된다.
즉 마이콤(5)에서는 메인 화면의 밝기가 어떻게 변하더라도 OSD배경 화면의 밝기가 메인 화면 밝기와는 일정한 차이가 나도록 보정신호를 출력시켜 OSD배경 화면의 밝기를 조절하는 DC레벨을 제어해 주는 것이다.
따라서 메인 화면의 밝기와 OSD배경 화면과의 차이가 항상 일정하게 유지되므로 선명한 OSD문자를 구별할 수 있게 된다.
이와같은 본 고안을 좀더 상세히 살펴본다.
먼저 사용자가 키매트릭스인 선택부(1)의 OSD배경 화면 자동 선택 기능을 선택하여야만 본 고안이 동작되는 것으로 메인 화면을 구성하는 휘도 및 칼라 신호를 휘도/칼라 분리부(2)에서 3MHz저역 통과 필터를 사용하여 휘도신호를 추출하고 추출된 휘도신호는 휘도 신호 레벨 검출부(3)에 인가되어 적분기 등을 통하여 휘도신호의 평균치 전압(Vavg)을 얻게된다.
이같은 휘도신호의 평균치 전압(Vavg)은 아날로그/디지탈콘버터(4)에 인가되어 n등급화되는 디지탈 신호로 변환시킨후 마이콤(5)에 인가시키게 되며 이때 아날로그/디지탈 콘버터(4)에서 출력되는 2진 디지탈 신호를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비고 : 화이트(White) : 0.7 Vavg
블랙(Black) : 0 Vavg
그리고 OSD블록(6)에서 OSD배경화면을 구성하는 흑레벨을 흑레벨 검출부(7)에서 적분하여 평균치/전압으로 검출한후 검출된 흑레벨 평균치 전압을 아날로그/디지탈 콘버터(8)에 인가시켜 주어 n등급화되는 디지탈 신호로 변환시킨후 마이콤(5)에 인가시키게 된다.
즉 메인 화면의 휘도 신호를 평균치 전압으로 검출한후 디지탈 신호로 변환시켜 마이콤(5)에 인가시키는 과정과 OSD 배경화면의 흑레벨을 평균치 전압으로 검출한후 디지탈 신호로 변환시켜 마이콤(5)에 인가시키는 과정은 동일하므로 아날로그/디지탈 콘버터(8)에서도 상기 표에서와 같은 데이타를 마이콤(5)에 인가시키게 된다.
이때 마이콤(5)은 아날로그/디지탈 콘버터(4)(8)에서 공급되는 메인 화면의 휘도 신호 레벨과 OSD화면의 흑레벨 데이타를 비교하여 그 차이가 설계자에 의해 선택되어진 일정값 만큼 유지되게 하는 보정 신호를 디지탈/아날로그 콘버터(9)로 출력시키게 된다.
예를들어 마이콤(5)에서 휘도신호 레벨과 흑레벨이 항상 그 차이가 3레벨을 유지하도록 결정하게 되면 휘도신호 입력 레벨에 대하여 흑레벨 입력은 아래와 같이 설정되어야 하고
이를 위하여 마이콤(5)에서는 미리 3레벨 차이를 유지시키는 보정신호를 다음과 같이 출력시키게 된다.
즉 마이콤(5)에서는 제 4 도에서와 같은 플로우 챠트에 의한 프로그램을 수행하여 메인 화면의 휘도 신호 레벨을 아날로그/디지탈 콘버터(4)에서 설정된 데이타로 인식시키고, 또한 OSD화면의 흑레벨을 아날로그/디지탈 콘버터(8)에서 설정된 데이타로 인가시킴으로써 상기 두 데이타를 비교하여 휘도신호와 흑레벨이 설정시킨 일정 레벨의 차를 유지하도록 상기와 같은 보정신호를 디지탈/아날로그 콘버터(9)에 출력시키는 것이다.
이때 마이콤(5)에서는 설정레벨의 차는 입력 휘도신호 레벨에서 흑레벨을 뺀값을 절대값으로 취하여 얻게된다.
이와같이 마이콤(5)에서는 제 4 도에서와 같은 프로그램을 수행하여 휘도신호레벨과 흑레벨이 일정레벨을 유지하도록 디지탈/아날로그 콘버터(9)에 보정신호를 출력시키는 것이다.
즉 마이콤(5)에서는 항시 메인 화면의 밝기와 OSD배경 화면의 밝기가 일정한 차이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두 신호를 비교하여 OSD배경 화면의 밝기를 조정시킬 수 있는 보정신호를 디지탈/아날로그 콘버터(9)로 출력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디지탈/아날로그 콘버터(9)에서는 마이콤(5)에서 출력되는 보정신호를 입력받아 아래표에서와 같은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시킨후 드라이브부(10)를 통하여 OSD블록(6)의 흑레벨 조정용 DC전압으로 인가시킴으로서 OS배경 화면의 흑레벨을 조정해 주게된다.
이때 상기 표는 휘도신호와 흑레벨 신호의 등급은 6등급으로 설정하고 휘도신호 레벨과 흑레벨과의 차를 3레벨로 유지시키는 것으로 예를 든 것이다.
상기 표에서와 같이 마이콤(5)에서는 OSD배경 화면의 흑레벨과 메인 화면의 휘도신호 레벨을 비교하여 각 신호차가 설정된 레벨 값을 유지하도록 보정 신호를 출력시키고 이러한 출력 보정 신호는 디지탈/아날로그 변환기(9)에서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된 후 드라이브부(10)를 통하여 OSD블록(6)에 인가되게 된다.
OSD블록(6)에서는 드라이브부(10)에서 인가되는 신호에 의하여 OSD배경 화면을 조절하는 흑레벨의 DC레벨을 조정하므로써 OSD배경화면을 메인 화면과 일정한 밝기의 차를 유지하게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메인 화면의 휘도 신호 레벨과 OSD배경 화면의 흑레벨을 검출하여 서로 비교시킨 후 상기 두신호의 레벨차가 설정된 일정레벨을 계속 유지할 수 있도록 OSD를 록의 흘레벨을 제어해 주도록 한 것으로써 메인 화면의 밝기에 따라 OSD배경 화면의 밝기도 일정한 차이를 두고 변하게 되므로 메인 화면의 밝기에 의하여 OSD문자가 선명하게 보이지 않은 문제점을 해결하여 항상 OSD문자가 선명하게 보이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OSD기능을 갖춘 영상기기에 있어서, 휘도칼라 분리부(2)에서 3MHz저역통과를 이용하여 분리시킨 휘도신호를 적분하여 평균치 전압으로 검출하는 휘도신호 레벨 검출부(3)와, 상기 휘도신호 레벨 검출부(3)의 검출전압을 디지탈 값으로 변환시켜 마이콤(5)에 인가시키는 아날로그/디지탈 콘버터(4)와, OSD블록(6)의 OSD배경화면을 결정하는 흑레벨을 적분하여 평균치 전압으로 검출하는 흑레벨 검출부(7)와, 상기 흑레벨 검출부(7)의 검출전압을 디지탈 값으로 변환시켜 마이콤(5)에 인가시키는 아날로그/디지탈 콘버터(8)와, 상기 아날로그/디지탈 콘버터(4)(8)에서 인가되는 메인 화면과 OSD배경화면의 밝기에 대응한 데이타를 비교하여 일정차이를 갖는 보정신호를 출력시키는 마이콤(5)과, 상기 마이콤(5)의 보정신호를 아날로그값으로 변환시키는 디지탈/아날로그 콘버터(9)와, 상기 디지탈/아날로그 콘버터(9)의 출력을 OSD블록(6)의 흑레벨 조정용 DC전압으로 인가시키는 드라이브부(10)를 구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OSD배경 화면 밝기 조정회로
KR2019890002945U 1989-03-15 1989-03-15 Osd배경 화면 밝기 조정회로 KR92000164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02945U KR920001645Y1 (ko) 1989-03-15 1989-03-15 Osd배경 화면 밝기 조정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02945U KR920001645Y1 (ko) 1989-03-15 1989-03-15 Osd배경 화면 밝기 조정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7973U KR900017973U (ko) 1990-10-05
KR920001645Y1 true KR920001645Y1 (ko) 1992-03-06

Family

ID=192844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90002945U KR920001645Y1 (ko) 1989-03-15 1989-03-15 Osd배경 화면 밝기 조정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164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7973U (ko) 1990-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57534B1 (ko) 휘도 및 색 온도 조정 장치 및 방법
EP1086584B1 (en) Apparatus for processing signals
EP0374372A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5841488A (en) Multiple video input clamping arrangement
KR920001645Y1 (ko) Osd배경 화면 밝기 조정회로
EP0637166A1 (en) Gradation compensating apparatus for a video signal
KR100436231B1 (ko) 피디피 텔레비젼의 자동 밝기 제어 장치
US20050030430A1 (en) Video signal processing circuit
EP0637010B1 (en) Display controller including black signal detector
US6441871B1 (en) Method for correcting amplitude of synchronizing signal of composite video signal and device therefor
KR100420653B1 (ko) 모니터의 자동 색상 조정 방법
KR0139182B1 (ko) 온스크린디스플레이 방법 및 그 장치
KR0137709Y1 (ko) 주변밝기에 따른 모니터의 명암 자동조절회로
KR970025203A (ko) 복합 영상 기기의 출력 영상 신호변환 장치 및 그 방법
KR100257533B1 (ko) 인터넷 티브이의 문자떨림 방지장치 및 방법
JP2625823B2 (ja) カラー画質自動調整回路
KR940007548Y1 (ko) 화면 휘도에 따른 osd 휘도 조절 회로
KR930003449Y1 (ko) 다중화면의 칼라 보상회로
KR100247085B1 (ko) 영상화면의 콘트라스트제어장치
JP2625822B2 (ja) カラー画質自動調整回路
KR910005238Y1 (ko) 온 스크린 문자 및 배경의 명도 조절회로
KR950001542Y1 (ko) 영상기기의 영상신호 밝기 및 칼라 자동 조절회로
KR0124585B1 (ko) 캠코더의 자동이득제어신호 발생회로
KR920004990Y1 (ko) Osd문자의 칼라 자동 변환회로
KR920015937A (ko) 화이트 밸런스 자동 조절회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227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