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1206Y1 - 로직덱크의 더빙 제어회로 - Google Patents

로직덱크의 더빙 제어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1206Y1
KR920001206Y1 KR2019880009204U KR880009204U KR920001206Y1 KR 920001206 Y1 KR920001206 Y1 KR 920001206Y1 KR 2019880009204 U KR2019880009204 U KR 2019880009204U KR 880009204 U KR880009204 U KR 880009204U KR 920001206 Y1 KR920001206 Y1 KR 92000120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dubbing
signal
control signal
resis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0920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1527U (ko
Inventor
윤상락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시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시환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80009204U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1206Y1/ko
Publication of KR90000152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152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12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1206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2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 G11B27/107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of operating tap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11B15/026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by using processor, e.g. microcomput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5/008Recording on, or reproducing or erasing from, magnetic tapes, sheets, e.g. cards, or wires
    • G11B5/00813Recording on, or reproducing or erasing from, magnetic tapes, sheets, e.g. cards, or wires magnetic ta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Electronic Switch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로직덱크의 더빙 제어회로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회로도.
제2도는 제1도의 동작 진리표.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마이컴 200 : 제1드라이버
300 : 제1디스플레이부 400 : 제2드라이버
500 : 제2디스플레이부 600 : 노아게이트
700 : 오동작 방지부
본 고안은 카세트 덱크 제어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로직 신호에 의해 제어되는 더블 로직덱크(Double logic Deck)를 마이컴을 사용하여 제어도록 하는 회로에 관한 것이다.
로직텍크(Logic Deak)라 함은 논리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소정의 동작을 수행하는 덱크로써, 점차적으로 증가 사용하고 있다.
종래의 로직덱크 제어회로는 입력키를 디코딩하고 디코딩된 결과로써 록직데크를 손쉽게 제어하기 위하여 마이컴(Micom)을 주로 사용하여 왔다.
상기와 같이 마이컴을 사용하여 로직데크를 제어하기 위한 종래의 회로는 마이컴으로부터 출력되어지는 로직테크 제어신호와 기구적으로 동작되는 덱크의 동작타임을 마추기가 매우 어려워 하이 스피드 더빙 제어시에는 오동작이 많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어 왔다.
또한 하이스피드 더빙(High Speed Duobbing)과 로우스피트 더빙(Low Speed Dubbing : Nomal Speed Dybbbing)의 상태를 디스플레이 하는 회로가 부가되어 있지 않아 현재의 더빙상태를 유저가 쉽게 파악할수 없어 사용상에도 다소간의 불편한 점이 있어왔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하이/노말스피드 제어신호 출력단, 기록/재생신호 출력단, 재생ㆍ더빙/외부 기록 신호 출력단을 가지는 마이컴을 이용한 로직덱크 제어회로에 있어서 덱크 동작이 안정되어진 후 하이스피드/노말스피드 더빙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현재의 더빙상태를 디스플레이 하는 로직덱크 제어회로를 제공함에 있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한 도면을 참보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회로도로서, 하이/노말스피드 신호를 출력하는 단자(SPO)와, 기록/재생 신호를 출력하는 단자(SP1)와, 재생ㆍ더빙/외부 기록신호를 출력하는 단자(SP2)를 가지고 있으며 입력신호를 디코딩하여 그 결과에 따라 상기 출력단자(SP0)(SP1)(SP2)로 소정의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마이컴(100)과, 소정의 전원을 입력하는 저항(1)이 콜렉터에 접속되고 에미터가 접지되어 베이스로 입력되는 신호를 반전하는 트랜지스터(2)와 상기 마이컴(100)의 단자(SP0)로 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소정의 레벨의 신호로서 상기 트랜지스터(2)의 베이스에 입력하는 저항(3)(4)과, 상기 전원을 입력하는 저항(5)이 콜렉터에 접속되고 에미터가 접지되며 저항(7)(8)로 상기 트랜지스터 (2)의 콜렉터의 출력을 베이스로 입력하여 반전신호로 출력하는 트랜지스터(6)로 구성된 제1드라이버(200)와, 소정의 전원을 입력하는 저항(9) 타단에 에노드가 접속된 발광다이오드(10)의 캐소드에 콜렉터가 접속되고 에미터가 접지되며 상기 트랜지스터(6)의 출력에 의해 구동되어지는 트랜지스터(11)로 구성되어 하이스피드 상태를 디스플레이 하는 제1디스플레이부(300)와, 상기 트랜지스터(6)의 출력을 저항(13)을 통해 베이스로 입력하여 스위칭하는 트랜지스터(13)와 상기 트랜지스터 (13)의 출력단에 직렬접속된 인버터(15)(16)로 구성되어 상기 트랜지스터(6)의 에미터의 전압을 로직신호로 드라이브 하는 제2드라이브(400)와, 소정의 전원을 입력하는 저항(17)의 타단에 애노드가 접속된 발광다이오드(18)와 상기 발광다이오드(18)의 캐소드에 콜렉터가 접속되고 에미터가 접속되어 상기 인버터(16)의 출력을 저항(20)을 통해 베이스로 입력하여 상기 인버터(16)의 출력에 의해 하이스피드 더빙상태를 디스플레이 하는 제2디스플레이부(500)와, 상기 마이컴(100)의 출력단자(SP1)(SP2)의 출력신호를 입력하여 노아(부논리합) 출력하는 노아게이트(600)와, 상기 노아게이트 (600)와 접지사이에 직렬 접속 저항(22)(23)과 상기 저항(23)과 병렬 접속되어진 캐패시터(24)와 상기 노아게이트(600)의 출력에 캐소드가 접속되어 상기 저항(22)에 병렬 접속된 다이오드(25)와 소정 전원을 입력하는 저항(27)의 타단에 콜렉터가 접속되고 에미터가 접속되어 베이스의 입력에 따라 스위칭되어 더빙 제어신호를 콜렉터로 출력하는 트랜지스터(28)의 베이스와 상기 노아게이트(600)의 출력단 사이에 직렬 접속된 저항(21), 인버터(26), 저항(29)으로 구성된 오동작 방지부(700)로 구성된다.
제2도는 제1도의 동작 진리표로서, 마이컴(100)의 출력단자 (SP0) (SP1) (SP2)의 출력관계에 따른 하이스피드/노말스피드 상태와 하이스피드 더빙상태와 하이스피드/노말스피드 더빙 제어신호 출력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이때 제1도에서 상기한 마이컴(100)의 출력포트(SP0)는 하이 스피드/노말스피드 제어신호 출력단자로서 "하이"일때에는 하이스피드 제어이고 "로우"출력일때에는 노말스피드 제어신호이다.
출력포트(SP1)는 기록(Recording)/재생(Play Back)신호를 출력하는 단자로서 기록시에는 "로우", 재생시에는 "하이"를 출력한다.
출력포트(SP2)는 재생ㆍ더빙(Dubbing)/외부 기록시의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단자로서 재생ㆍ더빙시에는 "로우", 외부 녹음시에는 "하이"를 출력하는 단자이며, 상기 출력단자(SP0)(SP1)(SP2)의 출력은 버스(BS)로 입력되는 키데이터에 따라서 변화 출력된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한 도면과 설명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지금 상기한 제1도의 회로 각부에 전원전압(Vcc)과 공급되는 상태에서 마이컴(100)의 버스(BS)로 하이스피드 더빙 키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마이컴(100)은 하이스피드 더빙 키신호를 디코딩하여 단자(SP0)로는 하이스피드 제어신호인 "하이", 단자(SP1)로는 기록 제어신호 "로우", 단자(SP2)로느 더빙신호 "로우"를 각각 출력한다.
상기 마이컴(100)의 단자(SP0)로 부터 출력되는 하이스피드 제어신호 "하이"는 저항(3)과 (4)을 통해 트랜지스터(2)의 베이스로 입력되므로써 상기 트랜지스터 (2)는 "온"되고 이로인해 트랜지스터(6)가 "오프"된다.
따라서 상기 트랜지스터(6)의 콜렉터 전위는 저항(R5)에 의하여 전원전압 (Vcc) (하이)레벨로 된다. 이때 상기 트랜지스터(6)의 콜렉터로부터 출력되는 "하이"신호는 로직덱크(도시하지 않았음)의 스피드 제어신호단에 접속된 출력단자(OUT1)로 출력되고, 이는 저항(12)(13)을 통해 트랜지스터(11)(14)의 베이스로 각각 입력된다.
상기 출력단자(OUT1)으로 부터 출력되는 신호는 로직덱크(도시하지 않았음)의 하디스피드 제어신호로 입력되며, 이를 입력한 로직 덱크는 하이스피드 상태로 구동된다.
이때 트랜지스터(11)가 상기 트랜지스터(6)의 콜렉터 출력 "하이"에 의해 "턴온"되므로써 발광다이오드(10)가 발광되어 하이스피드 상태를 디스플레이 하게 되며, 베이스로 "하이"신호를 입력하는 트랜지스터(14)는 오프된다.
한편 마이컴(100)의 단자(SP1)(SP2)로 부터 각각 출력되어지는 "로우"의 기록신호와 더빙신호를 입력하는 노아게이트(600)는 입력을 논리합 출력함으로 논리 "하이"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노아게이트(600)로 부터 출력되어지는 "하이"신호는 저항(22)을 통해 소정레벨로 제한되어진후 저항(23)과 캐패시터(24)로 구성된 RC시정수에 의해 캐패시터 (24)에 충전되어지는 시간동안 지연되어진다. 따라서 상기 노아게이트(600)로 부터 논리 "하이'신호가 출력되면 이는 상기 저항(23)과 캐패시터(24)의 RC시정수회로의 충전시간 동안 소정지연된후 인버터(15)와 (26)으로 입력된다. 이때 상기 RC시정수회로에서 소정시간 지연된후 입력되는 논리신호 "하이"를 입력하는 인버터(15)는 논리 "로우"신호를 출력하며, 이에 직렬 접속된 인버터(16)는 논리 "하이"신호를 저항(20)을 통해 트랜지스터(19)의 베이스에 입력시킨다. 상기 트랜지스터(19)는 상기 인버터 (16)의 출력"하이"에 응답 스위칭함으로서 발광다이오드(18)를 구동하여 하이 스피드 더빙상태를 디스플레이 한다.
한편 인버터(26)은 소정지연되어 저항(21)를 통해 입력되는 논리 "하이"신호르 반전하여 "로우"신호를 저항(29)를 통해 트랜지스터(28)의 베이스에 입력시킨다. 트랜지스터(28)은 상기 인버터(26)로 부터 출력되는 "로우"신호를 베이스로 입력함으로서 "오프"되며 이로 인해 상기 트랜지스터(28)의 콜렉터에 접속된 더빙 제어신호 출력단자(OUT2)로는 "하이"(전원전압 레벨)상태의 로직 덱크 더빙 제어신호가 출력된다.
이때 상기 마이컴(100)의 출력단자(SP1)과 (SP2)로 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부논리합(NOR) 출력하는 노아게이트(600)의 출력을 저항(23)과 캐패시터(24)의 RC시정수 회로에 의해 소정 지연하여 출력하는 이유는 전술한 출력단자(OUT1)의 "하이"출력에 의해 구동되는 덱크의 헤드(도시하지 않았음)가 완전히 "바이어스 온"(Bias ON)되어 헤드가 테이프에 접속되는 시간을 조절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로직덱크에는 출력단자(OUT1)의 하이스피드신호 "하이"와 소정 지연되어 출력단자(OUT2)로 부터 출력되는 더빙 제어신호 "하이"의 신호가 입력되어 지므로써 제2도 1A와 같이 하이스피드 더빙 상태로 되어 더블덱크의 A덱크는 고속녹음, B덱크는 고속재생으로 되어 더빙상태로 동작하게 된다.
한편 마이컴(100)의 버스(BS)로 노말스피드 더빙 키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마이컴(100)은 출력단자(SP0)(SP1)(SP2)로 제2도 (4D)와 같은 제어신호를 각각 출력한다.
따라서 트랜지스터(2)가 "턴오프", 트랜지스터(6)가 "턴온"되어저 하이드스피드 상태로 디스플레이 하였던 발광다이오드(10)가 "오프"되고, 로직테크에 입력되었던 하이스피드 더빙 제어신호 출력단자(OUT1)의 신호는 "로우"로 된다.
상기와 같이 로우스피드 더빙 상태에서는 마이컴(100)의 출력단자(SP1) (SP2)의 신호는 하이스피드 더빙 제어상태와 같이 "로우"-"로우"을 출력함으로써 전술한 바와같은 동작을 통하여 트랜지스터(28)의 콜렉터의 출력단(OUT2)에서는 더빙 제어신호 "하이"가 로직덱크의 더빙 제어신호로 입력된다.
이때 상기 트랜지스터(6)가 "온"되어진 상태 이어서 트랜지스터(14)가 "온"상태 임으로써 상기 전술한 저항(22)를 통한 전압은 상기 트랜지스터(14)의 에미터-콜렉터를 통해 접지로 바이패스 됨으로써 캐패시터(24)는 충전이 되지 않음으로 인버터 (15)(16)에 의한 파형정형 동작에 의해 트랜지스터(19)는 "턴오프"되어 로우스퍼드 더빙 상태를 디스플레이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노말 스피드 더빙 상태에서는 트랜지스터(14)가 "온"상태임으로 저항(23)과 캐패시터(24)에 의한 RC시정수 회로는 충전동작을 하지 못함으로써 노아게이트(600)의 출력은 지연 없이 저항(21)을 통해 인버터(21)에 입력된다. 따라서, 더블덱크의 B텍크는 노말녹음을 수행하고 A텍크는 노말 재생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하이스피드의 외부녹음 키신호 또는 하이스피드 재생키 신호가 마이컴 (100)의 버스(BS)로 입력되어지면 상기 마이컴(100)의 출력포트(SP0) (SP1) (SP2)에서는 제2도(2b) 또는 (3c)와 같이 출력함으로써, 하이스피드상태를 디스플레이 하는 발광다이오드(10)는 "하이"스피드 상태를 발광하여 디스플레이되고 출력단자 (OUT1)에서는 "하이"상태의 스피드 제어신호를 로직덱크로 출력한다. 이때 노아게이트(600)가 "로우"상태의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인버터(26)는 "하이"신호를 출력하고 이로인해 트랜지스터(28)의 콜렉터단자(OUT2)로 부터 출력되는 더빙 제어신호는 출력되지 않는다.
이때 상기 하이더빙 및 하이스피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단자(OUT1)과 더빙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단자(OUT2)의 출력을 입력하는 로직덱크는 더빙상태로 제어되지 않고 모터만이 "하이" 스피드 상태로 제어를 받게되며, 마이컴(100)의 출력포트(SP1)(SP2)의 제어신호 출력상태에 따라 제2도(2b)와 같이 하부 하이스피드 더빙 또는 외부 하이스피드 플레이상태로 제어 받게 된다.
상기 외부 하이스피드 더빙이라함은 외부의 하이스피드 더빙 상태로 부터 고속재생 되어지는 신호를 덱크B에서 고속더빙 하는 상태를 말하며, 외부 하이스피드 재생이라함은 B덱크를 통해 고속재생하여 외부로 출력하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제2도 (5e)와 (6f)는 덱크의 모터 속도가 노말인 것을 제외하고 외부 노말 스피드 더빙 또는 외부 노말 스피드 재생 상태를 나타낸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마이컴을 사용하는 로직텍크 제어회로에 있어서 하이 스파드 더빙, 노말스피드 더빙 제어신호를 상기 마이컴의 출력포트에 출력신호 조합으로 발생하여 이를 디스플레이 하므로써 유저의 사용편리를 도모할수 있고, 하이스피드 더빙시 덱크의 동작이 안정하게 동작되어진후 더빙신호를 출력함으로 초기상태의 오동작을 방지할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2)

  1. 하이/노말스피드 신호를 출력하는 단자(SP0)와, 기록/재생 신호를 출력하는 단자(SP1)와 재생ㆍ더빙/외부 기록신호를 출력하는 단자(SP2)를 가지고 있으며 입력신호를 디코딩하여 그 결과에 따라 상기 출력단자(SP0)(SP1)(SP2)로 소정의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마이컴(100)을 구비하는 로직덱크의 더빙 회로에 있어서, 상기 마이컴 (100)의 출력단자(SP0)의 출력을 하이/로우 스피드 제어신호로 버퍼링 하는 제1드라이브(200)와, 상기 제1드라이버(200)의 출력에 의해 구동되어 하이스피드 동작상태를 디스플레이 하는 제1디스플레이부(300)와, 상기 마이컴(SP1)(SP2)의 신호를 부논리합하여 더빙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노아게이트(600)와, 상기 노아게이트 (600)의 출력단자에 접속되어져 있으며, 입력되는 더빙 제어신호를 소정시간 동안 지연하여 로직덱크의 더빙 제어신호로 출력하는 오동작방지부(700)와, 상기 오동작 방지부(700)의 지연출력을 상기 제1드라이버(200)의 로우스피드 제어신호 출력에 의해 노말스피드 로직신호로 드라이브 하는 제2드라이버(400)와, 상기 제2드라이버(400)의 출력에 구동되어 하이 스피드 더빙 상태를 디스플레이 하는 제2디스플레이부(50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로직덱크의 더빙 제어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오동작 방지부(700)가 상기 노아게이트(600)의 출력단자와 접지사이에 직렬 접속 저항(22)(23)과, 상기 저항(23)과 병렬 접속되어진 캐패시터 (24)와, 상기 노아게이트(600)의 출력에 캐소드가 접속되어 상기 저항(22)에 병렬 접속된 다이오드(25)와, 소정 전원을 입력하는 저항(27)의 타단에 콜렉터가 접속되고 에미터가 접속되어 베이스의 입력에 따라 스위칭되어 더빙 제어신호를 콜렉터로 출력하는 트랜지스터(28)의 베이스와 상기 노아게이트(600)의 출력단 사이에 직렬 접속된 저항(21), 인버터(26), 저항(29)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로직덱크의 더빙 제어회로.
KR2019880009204U 1988-06-16 1988-06-16 로직덱크의 더빙 제어회로 KR92000120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09204U KR920001206Y1 (ko) 1988-06-16 1988-06-16 로직덱크의 더빙 제어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09204U KR920001206Y1 (ko) 1988-06-16 1988-06-16 로직덱크의 더빙 제어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1527U KR900001527U (ko) 1990-01-18
KR920001206Y1 true KR920001206Y1 (ko) 1992-02-14

Family

ID=192763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09204U KR920001206Y1 (ko) 1988-06-16 1988-06-16 로직덱크의 더빙 제어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120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1527U (ko) 1990-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1206Y1 (ko) 로직덱크의 더빙 제어회로
JPH0248909B2 (ko)
JPH0652620A (ja) ディスク装置
JP2003317204A (ja) 書込みドライバ性能増強方法及びそのシステム
US4385228A (en) Display device for tape recorder with automatic shut off and reset inhibiting
KR900008392Y1 (ko) 비디오 디스크 플레이어의 트래킹 스위치 제어회로
JP3315747B2 (ja) リセット機能付dラッチ回路
KR910004828Y1 (ko) 하드 디스크 드라이버용 라이트 보상회로
KR900005629Y1 (ko) 더블 덱크의 더빙 및 동시 동작회로
KR900006590Y1 (ko) 더블 덱크의 구동 제어회로
KR900010115Y1 (ko) 더블 데크 카세트 제어회로
KR920006749Y1 (ko) 녹화 모드 이행(移行)회로
KR950012208B1 (ko) 사용 가능한 기능키 표시회로
KR940002645B1 (ko) 다기능 가전제품의 전원공급장치
KR900005131Y1 (ko) Cd플레이어와 데크의 상호 녹음 제어회로
KR910003208Y1 (ko) 캠코더의 더빙연결장치
KR880002981Y1 (ko) 디스크 드라이브의 선보상데이타 발생회로
JPH06164331A (ja) ラッチ回路
KR890002621Y1 (ko) 더블 데크 카세트 녹음기의 더빙 제어회로
KR870002916Y1 (ko) 더블 데크의 고속 제어 회로
US6225828B1 (en) Decoder for saving power consumption in semiconductor device
KR940002500Y1 (ko) 더블테크를 가지는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의 연속플레이 제어회로
KR910003265Y1 (ko) 더블데크의 모터 구동 제어회로
KR900004867B1 (ko) 플로피 디스크 드라이버의 구동회로
KR930011836B1 (ko) 정지화상의 필드 메모리 제어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82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