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0757Y1 - 비임 난반사 방지용 브라운관 - Google Patents

비임 난반사 방지용 브라운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0757Y1
KR920000757Y1 KR2019910016269U KR910016269U KR920000757Y1 KR 920000757 Y1 KR920000757 Y1 KR 920000757Y1 KR 2019910016269 U KR2019910016269 U KR 2019910016269U KR 910016269 U KR910016269 U KR 910016269U KR 920000757 Y1 KR920000757 Y1 KR 92000075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agonal
electron beam
angle
long side
shadow mas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162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병각
이근배
Original Assignee
삼성전관 주식회사
김정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관 주식회사, 김정배 filed Critical 삼성전관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100162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075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075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0757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02Electrodes; Screens; Mounting, supporting, spacing or insulating thereof
    • H01J29/06Screens for shielding; Masks interposed in the electron strea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02Electrodes; Screens; Mounting, supporting, spacing or insulating thereof
    • H01J29/06Screens for shielding; Masks interposed in the electron stream
    • H01J29/07Shadow masks for colour television tubes
    • H01J29/073Mounting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shadow mas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07Shadow masks
    • H01J2229/0722Frame

Landscapes

  • Electrodes For Cathode-Ray Tub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비임 난반사 방지용 브라운관
제1도는 인너실드(Inner Shield)와 전자실드(Electron Shield)및 섀도우 마스크를 지지하는 프레임을 장착한 칼라브라운관의 개략단면도.
제2도는 제1도의 요부 발췌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라 제작된 브라운관의 요부도.
제4도는 본 고안에 의한 프레임 버링화의 각도를 설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도면이다.
제5도는 섀도우마스크의 장변(a1), 단변(a2), 대각(a3)의 유효 반경거리를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패널부 2 : 프릿트글래스
3 : 펀널부 4 : 섀도우마스크
5 : 전자실드 6 : 인너실드
7 : 프레임 8 : 프레임 지지부
본 고안은 프레임이나 전자실드의 선단부에서 전자비임이 난반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브라운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칼라브라운관에서는 주사전자비임(Scanning Electoron Beam)에 지자가 혹은 칼라텔레비젼의 수상기내에 있는 전자회로로부터 자기의 영향을 받아 편향되어, 희망하지도 않는 형광체를 발광시켜, 색의 순도를 저하시키는데, 이색의 순도 저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그 내부에 제1도와 같이 인너실드(6)및 전자실드(5)를 브라운관내에 장착한다.
상기에서 인너실드(Inner Shield) (6)은 지자기의 영향으로 전자비임이 편향되는 방향이 일정치를 벗어나게 되는 것을 방지하는 목적으로 사용하는데, 소형의 칼라브라운관은 전자총과 섀도우마스크간의 거리가 짧아 지자기 영향을 무시해도 되는 바, 소형 칼라브라운관을 제작할때 칼라 텔레비젼 수상기내에 있는 전자회로로부터 발생하는 자기로 인해 전자비임이 초월 주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전자실드(Electron Shield) (5)만을 사용하는데, 전자비임이 상기 전자실드(5)의 선단부에서 난반사가 되어 2차 열전자가 발출하여 화질이 선명하지 않았다.
그리고, 기존 칼라브라운관 내부에 장착되어 있는 프레임 선단부(A)의 측면이 전자비임이 진행 방향과 일치하게 되어 있어 전자비임이 난반사되어 화질이 좋지 않은 결점이 나타났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제반 결점을 해소하고자 창출한 것으로서, 전자비임이 진행하는 방향으로 프레임 선단부를 소정의 각도로 버어링(Burring)화 하여 전자비임이 난반사되는 것을 방지하는 브라운관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칼라텔레비젼 수상기내에서 초월주사에 의한 전자비임이 프레임의 외측으로 들어가 형광막에서 다른 색을 발광시키는 것을 방지하는 전자실드와, 섀도우마스크와, 상기 섀도우마스크(4)의 장변, 단변, 대각에 대응하는 선단부(A)가 전자비임의 진행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로 버어링(Burring)된 프레임을 구비하여 된 비임난반사용 브라운관에 있어서, 상기 섀도우마스크(4)의 장변, 단변, 대각에 대응하는 프레임 선단부(A)의 개개의 버어링 각도가 식 tanθ=(a1, a2, a3;섀도우마스크의 장변, 단변, 대각의 유효반경거리이고, X1, X2, X3;전자비임의 편향지점부터 섀도우마스크의 장변, 단변, 대각까지의 거리)에 의해 구해지는 상기의 장변, 단변, 대각에 관한 전자비임 편향각(01) (02) (03) (03>02>01)과 각각 일치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라 프레임 선단부의 버어링 각도를 설정하는데 있어 상기한 섀도우마스크의 장변, 대각선에 관한 전자비임이 편향각(01) (03)사이의 어느 하나의 각도로 설정하여 구성할 수 있고, 또 상기한 섀도우마스크(4)의 장변, 단변, 대각선에 대응하는 프레임 선단부의 버어링 각도가 전체적으로 상기한 장변, 단변, 대각에 관한 전자비임 편향각(01) (02) (03)의 총합에 대한 평균적인 각도로 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는 본 고안에 따라 제작된 브라운관을 예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라 제작된 브라운관의 요부를 발췌하여 도시한 것으로서, 내벽면에 통상의 형광물질이 도포되어 있는 패널부(1)와 펀널부(3)를 프릿트글래스(2)로 접합시켜 브라운관의 외형을 형성하고, 상기 형광물질이 도포된 패널부(1)와 일정한 위치관계가 있는 섀도우마스크(4)를 프레임지지부(8)에 의해서 장착되어, 프레임(7) 내단의 선단부(A)를 전자비임 진행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로 버어링(Burring)화 시켜 선단부(A)의 측면에서 전자비임이 난반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고, 프레임(7) 내단의 중간부분에 전자실드(5)의 선단부 끝부분이 되도록 취부하여 전자비임이 상기 전자실드 (5)의 선단부(A)에서 난반사되지 않도록 구성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프레임(7)의 선단부(A)를 전자비임이 편향되어 진행하는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로 버어링(Burring)함으로써 프레임이 선단부(A)의 내측면에서 전자비임 난반사되는 경우가 거의 없다.
여기서 프레임의 선단부(A)를 버어링화하는 각도를 예시된 제4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브라운관내에서 프레임(7)과 대응하는 위치에 있는 섀도우마스크(4)의 장변, 단변, 대각의 유효반경거리(a1) (a2) (a3) ;a와, 전자비임이 편향되는 지점부터 섀도우마스크(4)의 장변, 단변, 대각의 거리(X1) (X2) (X3) ;X를 구사여 하기의 식(式)에 대입하면 상기의 장변, 단변, 대각에 관한 전자비임 편향각(01) (02) (03) ;0를 산출할 수 있다.
tan0=
즉, 상기의 식(式)tan0=에 브라운관의 크기에 따라 크기가 결정되는 섀도우마스크(4)의 장변, 단변, 대각의 유효반경거리(a1) (a2) (a3)및 브라운관의 크기에 따라 결정되는 섀도우마스크(4)의 장변, 단변, 대각과 전자비임이 편향되는 지점부터 거리 (X1) (X2) (X3)를 구하여 대입하면 섀도우마스크(4)의 장변, 단변, 대각에 관한 전자비임의 편향각(01) (02) (03)를 구할 수 있다.
따라서 섀도우마스크(4)의 장변, 단변, 대각에 대응하는 프레임(7)의 선단부(A)를 상기 식(式)에서 구해진 전자비임의 편향각(01) (02) (03)과 동일하게 전자비임이 진행하는 방향으로 버어링(Burring)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 데, 섀도우마스크(4)의 장변, 단변, 대각에 대응하는 프레임(7)의 선단부(A)를 상기 식에 의해서 구해진 각(角)으로 버어링 할 때는 프레임 제조공정이 복잡해지는 바, 전자비임의 편향각(01) (02) (03)의 총합에 대한 평균적인 각도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양호하게는 섀도우마스크 (4)의 장변, 단변, 대각에 대응하는 프레임(7)의 버어링 각도가 전체적으로 상기의 장변과 대각에 관한 전자비임 편향각(Q1) (Q2) (Q3)의 총합에 대한 평균적인 각도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양호하게는 섀도우마스크(4)의 장변, 단변, 대각에 대응하는 프레임(7)의 선단부(A)버어링 각도가 전체적으로 상기의 장변과 대각에 관한 전자비임 편향각(Q1) (Q2) (Q3)사이의 어느하나의 각도로 한다.
다음은 본 고안에 따라 프레임의 선단부를 버어링(Burring)화 각도를 상기한 식(式)에 의해 산출하는 것을 에시된 제5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는데, 여기서 a1, a2, a3는 섀도우마스크이 장변, 단변, 대각 유효반경거리이고, X1, X2, X3는 전자비임이 편향되는 지점부터 섀도우마스크의 장변, 단변, 대각의 길이다. 실시예에서는 14인치 칼라 브라운관에서 채용된 프레임의 버어링 각도를 산출한다.
섀도우마스크의 장변 유효반경거리(a1)의 길이가 102. 018㎜이고, X1의 거리가 195, 468㎜이므로 이를 상기 식에 대입하면 tan0=이고, 여기서 전자빔의 편향각(01)를 구하면 27. 556˝가 되므로 섀도우마스크 장변에 대응하는 프레임의 선단부의 버어링 각도를 27. 566˝으로 하면 된다. 그리고 섀도우마스크의 단변에 대응하는 프레임의 선단부의 버어링각도는 a2가 133. 074㎜이고, X2가 186. 37945㎜이므로 상기와 같이 편향각 02를 구하면 35.526˝ 도가 되므로 결국 35. 526˝로 하면 된다.
아울러, 섀도우마스크의 대각에 대응하는 프레임 선단부의 버어링 각도는 a1가 160. 712㎜이고, X3가 179. 64427㎜이므로 편향각 03를 구하면 41. 816˝가 되므로 결국 41. 816˝로 하면 전자비임 난반사를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본 고안에 의하면 프레임의 선단부를 전자비임이 진행하는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로 각각 버어링화히면 전자비임의 난반사를 제거하여 전자비임이 형광체에 정확하게 랜딩(Landing)되어 선명한 화면을 얻을 수 있으며, 특히 브라운관의 가장자리 화면이 선명하게 된다.

Claims (3)

  1. 칼라텔레비젼 수상기내에서 초월주사에 의한 전자비임이 프레임의 외측으로 들어가 형광막에서 다른 색을 발광시키는 것을 방지하는 전자실드와, 섀도우마스크와, 상기 섀도우마스크(4)의 장변, 단변, 대각에 대응하는 선단부(A)가 전자비임의 진행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로 버어링(Burring)된 프레임을 구비하여 된 비임난반사용 브라운관에 있어서, 상기 섀도우마스크(4)의 장변, 단변, 대각에 대응하는 프레임 선단부(A)의 개개의 버어링 각도가 식tan0=(a1, a2, a3, 섀도우마스크의 장변, 단변, 대각의 유효반경거리이고 X1, X2, X3;전자비임의 편향지점부터 섀도우마스크의 장변, 단변, 대각까지의 거리)에 의해 구해지는 상기의 장변, 단변, 대각에 관한 전자비임 편향각(01) (02) (03) (03>02>01)과 각각 일치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임난반사 방지용 브라운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섀도우마스크(4)의 장변, 단변, 대각에 대응하는 프레임(7)의 선단부(A)의 버어링 각도가 전체적으로 상기의 장변과 대각에 관한 전자비임 편향각(01) (03)사이의 어느 하나가 각도로 설정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임난반사 방지용 브라운관.
  3. 제1항 또는 제2항 중 적어도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섀도우마스크(4)의 장변, 단변, 대각에 대응하는 프레임(7)의 선단부(A)의 버어링 각도가 전체적으로 상기한 장변, 단변, 대각에 관한 전자비임 편향각(01) (02) (03)의 평균적인 각도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비임난반사 방지용 브라운관.
KR2019910016269U 1988-10-25 1991-09-30 비임 난반사 방지용 브라운관 KR92000075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16269U KR920000757Y1 (ko) 1988-10-25 1991-09-30 비임 난반사 방지용 브라운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80013930A KR900007032A (ko) 1988-10-25 1988-10-25 비임 난반사 방지용 브라운관
KR2019910016269U KR920000757Y1 (ko) 1988-10-25 1991-09-30 비임 난반사 방지용 브라운관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13930A Division KR900007032A (ko) 1988-10-25 1988-10-25 비임 난반사 방지용 브라운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0757Y1 true KR920000757Y1 (ko) 1992-01-23

Family

ID=1927875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13930A KR900007032A (ko) 1988-10-25 1988-10-25 비임 난반사 방지용 브라운관
KR2019910016269U KR920000757Y1 (ko) 1988-10-25 1991-09-30 비임 난반사 방지용 브라운관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13930A KR900007032A (ko) 1988-10-25 1988-10-25 비임 난반사 방지용 브라운관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5298832A (ko)
JP (1) JPH02244542A (ko)
KR (2) KR90000703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05661A (ja) * 1992-01-24 1993-08-13 Hitachi Ltd Crtディスプレイ装置
EP0595405B1 (en) * 1992-10-28 1996-09-04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Colour cathode ray tube
US6784607B2 (en) * 2000-04-25 2004-08-3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Color cathode ray tube
CN1251279C (zh) * 2001-03-19 2006-04-12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显象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19869A (en) * 1967-04-11 1970-07-07 Victor Company Of Japan Shadow mask having apertures progressively tapered from center to periphery
US3588568A (en) * 1968-12-12 1971-06-28 Rca Corp Rectangular shadow-mask-type color picture tube with barrel-shaped mask frame
JPS5246476B2 (ko) * 1972-03-06 1977-11-25
JPS5246476A (en) * 1975-10-11 1977-04-13 Hitachi Ltd Method of producing breaker current collector
JPS5527959U (ko) * 1978-08-11 1980-02-22
FR2555807B1 (fr) * 1983-11-25 1986-04-11 Videocolor Masque d'ombre pour tube d'image en couleurs et tube d'image le comportant
JPS6168835A (ja) * 1984-09-12 1986-04-09 Hitachi Ltd シヤドウマスク形カラ−受像管
JPS63231843A (ja) * 1987-03-20 1988-09-27 Hitachi Ltd シヤドウマスク形カラ−受像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2244542A (ja) 1990-09-28
US5298832A (en) 1994-03-29
KR900007032A (ko) 1990-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089313A3 (en) Color cathode ray tube with flat panel face
US5155411A (en) Color CRT assembly having an improved envelope
KR920000757Y1 (ko) 비임 난반사 방지용 브라운관
DE69114313T2 (de) Elektronenstrahlröhre mit gekrümmtem Bildfenster und Farbbildwiedergabeanordnung.
JP2000036258A (ja) カラー陰極線管
KR880001012B1 (ko) 컬러텔레비젼 브라운관용 서포오트 프레임(Support Frame)
KR100258051B1 (ko) 디스플레이 윈도우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KR950001492B1 (ko) 칼라 음극선관
KR940006084Y1 (ko) 칼라브라운관의 프레임
KR950001743B1 (ko) 음극선관
KR100824326B1 (ko) 내부 자기 차폐 기능을 가지는 컬러 음극선관
KR970003299Y1 (ko) 칼라브라운관의 프레임
JP2701566B2 (ja) カラー受像管
JPH0753247Y2 (ja) カラーブラウン管の露光装置
KR100201629B1 (ko) 음극선관의 인너쉴드 조립구조
JP2557912B2 (ja) 受像管
KR19990029672A (ko) 개선된 내부자기시일드를 가지는 컬러음극선관
KR200151017Y1 (ko) 칼라 음극선관
KR950007952B1 (ko) 도트타입 컬러수상관의 새도우마스크
KR940005207B1 (ko) 평면칼라 브라운관의 섀도우마스크 고정장치
JP2520950B2 (ja) カラ―ブラウン管装置
JPS58206034A (ja) 陰極線管
KR930009360B1 (ko) 칼라 음극선관
JPH0721933A (ja) 陰極線管
KR950000513Y1 (ko) 칼라음극 선관용 판넬(Pan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227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