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0609Y1 - 압접 단자를 사용한 분기 접속 상자 - Google Patents

압접 단자를 사용한 분기 접속 상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0609Y1
KR920000609Y1 KR2019910017709U KR910017709U KR920000609Y1 KR 920000609 Y1 KR920000609 Y1 KR 920000609Y1 KR 2019910017709 U KR2019910017709 U KR 2019910017709U KR 910017709 U KR910017709 U KR 910017709U KR 920000609 Y1 KR920000609 Y1 KR 92000060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contact
terminal
connection
contact layer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1770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사카유우지
Original Assignee
스미또모 덴소오 가부시기가이샤
시미즈 히데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2154066A external-priority patent/JPH0642378B2/ja
Application filed by 스미또모 덴소오 가부시기가이샤, 시미즈 히데오 filed Critical 스미또모 덴소오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to KR2019910017709U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060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060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0609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4Terminal blocks
    • H01R9/2458Electrical interconnections between terminal blo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4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 H01R4/2416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cutting edges, e.g. of tuning fork type
    • H01R4/242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cutting edges, e.g. of tuning fork type the contact members being plates having a single slot
    • H01R4/2425Flat plates, e.g. multi-layered flat plates
    • H01R4/2429Flat plates, e.g. multi-layered flat plates mounted in an insulating ba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03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 H01R9/031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for multiphase cables, e.g. with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of a plurality of conduc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6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support for line-connecting terminals within the box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s By Means Of Piercing Elements, Nuts, Or Screws (AREA)
  • Multi-Conductor Connections (AREA)
  •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압접 단자를 사용한 분기 접속 상자
제1도는 분기 접속 상자의 단면도.
제2도는 상부 압접층에 사용되는 접속 단자의 확대 사시도.
제3도는 상부 압접층의 배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커넥터 삽입틀 2 : 윗뚜껑
3 : 절연판 4 : 뒷뚜껑
5 : 바닥 6 : 접속 단자
7 : 접속부 8 : 삽통 구멍
9 : 압접부 10 : 전선
11 : 굴곡부 12 : 오목부
본 고안은 압접 단자를 사용하여 전선으로부터 분기 회로를 구성하도록 복수층으로된 부기 접속 상자에 관한 것이다.
실개소 61-396965호 또는 실개 61-36966호 공보에는 전선과 압접 단자를 사용한 분기 접속 상자에 대하여 기재되어 있다.
일단에 압접부(9)를 갖고, 피복 전선으로 분기 회로를 구성한 분기 접속 상자의 회로수를 증가하기 때문에, 상하 복수층으로서 설계한 경우, 비교적 압접부(9)가 길기 때문에, 상하 압접층의 간격이 넓어질 결점이 있다. 본 고안은 이 문제를 해결하려는 것이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서는 상부 압접층에 사용되는 절연판에 설치한 오목부를 삽입하여 상하 압접층의 간격을 줄인 것아다.
제1도에 도시된 분기 접속 상자는 커넥터 삽입틀(1)이 복수개 병렬된 윗뚜껑(2)과, 이 윗뚜껑(2)의 하부용기내에 수용되는 하부 압접층의 일부를 구성하는 절연판(3)과, 윗뚜껑(2)의 하부를 덮는 뒷뚜껑(4)으로 구성되어 있다.
커넥터 삽입틀(1)의 바닥(5)에는 후술하는 하부 압접층의 접속 단자(6)의 접속부(7)가 삽통하는 삽통구멍(8)이 설치되어 있고, 상부 압접층에 사용되는 접속 단자(6)는 바닥(5)에 압입되어 견고하게 결합되어 있다. 이들 상하 압접층에서 돌출하는 접속 단자(6)의 접속부(7)는 커넥터 삽입틀(1)에 끼워 맞춰진다. 즉 커넥터의 단자와 끼워 맞춰져 전기 접속된다.
이들 접속 단자(6)의 압접부(9)는 전선(10)과 압접 접속되어, 분기 회로를 구성하고 있다. 제2도에 도시된 상부 압접층에 사용되는 접속 단자(6)는 압접 단자와 마찬가지의 압접부(9)를 한쪽 끝에 가지며, 타단부에그 압접부(9)와 나란히 뻗는 접속부(7)를 가지고, 이들 압접부와 접속부는 굴곡부(11)로서 연결되어 있다. 또, 압접부(9)를 구성하는 2장의 날 사이에 설치된 슬롯은 전선(10)의 피복층을 뚫고 심선 도체부에 압정되어 전기접속을 이룬다.
통상적으로 접속부(7)는 커넥터의 단자와 동일한 구조인 경우라면 암·수 어느쪽 구조라도 상관없다. 제2도에서 가리키는 접속부(7)는 평판 모양 단자를 형성하고 있어 긴쪽 방향으로 뻗는 우측의 옆면은 상기 슬롯의 연장선과 일치하고 있다. 즉, 후술하는 Y방향, 전선(10)의 축방향으로 접속부(7)의 중심선은 교차하고 있다. 또, 굴곡부(11)는 압접부(9)와 접속부(7) 쌍방에 대하여 직각으로 굴곡되어 있으므로, 결국, 접속부(7)는 압접부(9)에 대하여 전선(10)의 주행 방향 X에 편위하게 되어 있다. 한편, 하부 압접층에 사용되어 있는 접속단자(6)의 접속부(7)는 압접부(9)와 동일 평면상에서 뻗어, 전연판(3)에 압입되어 있다. 또 절연관(3)에 설치된 오목부(12)는 분기 접속 상자가 조립되었을때, 상부 압접층의 접속 단자의 압접부(9)의 앞끝이 삽통되도록설치되어 있다. 제3도에 있어서, 1점 쇄선으로서 직사각형으로 테두리된 곳은, 커넥터 삽입틀(1)을 이면에서 표시하고 있어, 전선(10)의 복수 가닥이 이 틀의 폭 방향으로 병렬하여, X방향으로 주행하고 있는 곳을 가리키고 있다. 또, 단자 삽입 구멍(8)은 Y방향으로 열을 이루어, 2열이 되어 7(방향으로 병렬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같이 이들 단자 삽통 구멍(8)에 접속 단자의 접속부(7)가 삽입되나, 도시하는 바와같이 상부 압접층의 압접부(9)는 굴곡부(11)에 의하여 각각 X방향으로 편위되어 있기 때문에, 단자 삽입 구멍(8)에 삽입되는 하부 압접층의 접속부(7)와는 접속하지 않는다. 따라서 상부 압접층의 접속부(7)에 인접하는 삽통구멍(8)에 하부 압접층의 접속부(7)를 삽통케하는 것은 용이하며, 간격율이 매우 양호하다. 다시 제3도에 있어서, 모든 단자 삽통 구멍(8)은 전선(10),(10)의 사이, 중간부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하부 압접층으로 부터의 접속부(7)를 단자 삽입 구멍(8)에 삽입시킬때, 전선에 간섭하는 일이 없다. 그 때문에, 상부 압접층의 압접부(9)는 그 굴곡부(11)에 의하여 Y방향으로 편위된다. 만약, 이 Y방향의 편위가 없으면 전선(5)의 주행선은 다른 열의 단자 삽입 구멍(8)위로 주행하는 것이되어, 전선과 접속부(7)가 간섭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커넥터는 상대측 커넥터도 마찬가지로 접속 단자의 형상 및 배열이 특정되어 있기 때문에, 본 분기 접속 상자의 접속 단자 배열도 상대측 커넥터와 끼워 맞춤이 가능하도록 특정된 것이 아니면 안된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같이 상하 압접층에 사용되는 접속 단자의 압접부(9)들을 상호 편위케함이 필요하게 된다. 이 압접부(9)의 상호 편위는 반드시 상술한 바와같은 상부 압접층의 접속 단자에 글곡부(11)를 설치하여 X,Y 방향으로 압접부(9)를 편위시킬 필요는 없고, 하부 압접층에 사용되는 평판 모양의 접속 단자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나, 이 경우에는 상하 압접층에 사용되는 접속 단자 상호가 간섭하는 일이 없도록, 설계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상하의 접속 단자의 접속부를 인접하는 삽입 구멍(8)에 상통하기가 어렵게 되어, 스페이스팩터가 나빠진다.
이상 상술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상하 복수의 입접층의 갖는 분기 접속 상자에 있어서, 상부 압접층의 압접부(9)를 하부 압접층의 오목부(12)에 삽통케 하였으므로 제1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하 간격을 좁히는 것이 가능하게 되며, 합리적이다.

Claims (1)

  1. 피복 전선의 피복층을 뚫고, 심선 도체부에 압접되는 일단부에 압접부(9)를 갖는 접속 단자(6)의 타단부가 커넥터의 접속부(7)로서 압접 단자를 사용한 상하 복수층의 분기 접속 상자에 있어서, 상하 압접층의 간격을 줄이기 위해 상부 압접층에 사용되는 접속 단자(6)의 압접부(9)를 하부 압접층이 사용되는 절연판(3)에 설치한 오목부(12)에 삽입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접 단자를 사용한 분기 접속 상자.
KR2019910017709U 1987-06-19 1991-10-23 압접 단자를 사용한 분기 접속 상자 KR92000060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17709U KR920000609Y1 (ko) 1987-06-19 1991-10-23 압접 단자를 사용한 분기 접속 상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2154066A JPH0642378B2 (ja) 1987-06-19 1987-06-19 圧接端子を使用した分岐接続箱
JP87-154066 1987-06-19
KR1019880007426A KR890001237A (ko) 1987-06-19 1988-06-18 입접단자를 사용한 분기접속상자
KR2019910017709U KR920000609Y1 (ko) 1987-06-19 1991-10-23 압접 단자를 사용한 분기 접속 상자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07426A Division KR890001237A (ko) 1987-06-19 1988-06-18 입접단자를 사용한 분기접속상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0609Y1 true KR920000609Y1 (ko) 1992-01-15

Family

ID=334582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17709U KR920000609Y1 (ko) 1987-06-19 1991-10-23 압접 단자를 사용한 분기 접속 상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060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76018A (en) High-density cable connector
US6439928B1 (en) High density connector for balanced transmission lines
US4781615A (en) Cable terminating cover retention system
JPH0635415Y2 (ja) コネクタ
US4143935A (en) Electrical connector
KR0170028B1 (ko) 소 피치 이중 열 판 커넥터
US5194014A (en) Cable connector and contact terminal therefor
JPH0636382B2 (ja) 電気コネクター
US4959030A (en) Electrical connector for connecting two flat cables to a circuit board
US7357679B2 (en) Cable connector with improved terminals
US7931493B2 (en) Cable assembly with a firm connection between a plurality of wires and a connector
US8162679B2 (en) Insulation displacement contact and electric connector using the same
JPH05144484A (ja) 絶縁排除式接触子及びこれを使用したコネクタ
KR970705199A (ko) 전기 케이블용 커넥터(Connector for on Electrical Cable)
US6368142B2 (en) Interlayer connection structure
US4744772A (en) Connector for flat cable termination
CN109755782B (zh) 连接器装置
US6939164B2 (en)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KR920000609Y1 (ko) 압접 단자를 사용한 분기 접속 상자
US20090311906A1 (en) Cable assembly with jumper function
US6948974B2 (en) End-processing structure of flat cable and method of end-processing of flat cable
US6341982B1 (en) Branching apparatus
US5217396A (en) Cable terminating connector assembly
JPH0642378B2 (ja) 圧接端子を使用した分岐接続箱
JPS5821103Y2 (ja) 基板用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109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