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0565Y1 - 브이티알의 테이프 주행모우터 제어회로 - Google Patents

브이티알의 테이프 주행모우터 제어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0565Y1
KR920000565Y1 KR2019870006584U KR870006584U KR920000565Y1 KR 920000565 Y1 KR920000565 Y1 KR 920000565Y1 KR 2019870006584 U KR2019870006584 U KR 2019870006584U KR 870006584 U KR870006584 U KR 870006584U KR 920000565 Y1 KR920000565 Y1 KR 92000056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istor
tape
driving motor
control circuit
motor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065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20461U (ko
Inventor
윤승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시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시환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700065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0565Y1/ko
Publication of KR88002046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2046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056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0565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11B15/46Controlling, regulating, or indicating spee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7/00Arrangement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the speed or torque of electric DC motors
    • H02P7/06Arrangement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the speed or torque of electric DC motor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an individual dc dynamo-electric motor by varying field or armature current
    • H02P7/18Arrangement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the speed or torque of electric DC motor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an individual dc dynamo-electric motor by varying field or armature current by master control with auxiliary power
    • H02P7/24Arrangement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the speed or torque of electric DC motor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an individual dc dynamo-electric motor by varying field or armature current by master control with auxiliary power using discharge tubes or semiconductor devices
    • H02P7/28Arrangement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the speed or torque of electric DC motor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an individual dc dynamo-electric motor by varying field or armature current by master control with auxiliary power using discharge tubes or semiconductor devi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Direct Current Motors (AREA)
  • Motor And Converter Start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브이티알의 테이프 주행모우터 제어회로
첨부도면은 본 고안의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비데오신호 검출기 3 : 스위칭부
5 : 모우터 구동부 R1-R5 : 저항
C : 콘덴서 Q1-Q4 : 트랜지스터
본 고안은 브이티알의 녹화모우드(record mode)시 비데오 신호의 입력유뮤에 따라 자동으로 테이프 주행모우터를 정지 또는 정상 구동시키도록 한 테이프 주행모우터 제어회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브이티알에 있어서는 녹화모우드시 비데오 신호가 인가되지 않는 무신호 상태를 튜너등에서의 비데오 입력레벨로서 검출하고, 이에 의해 브이티알의 정지모우드 (stop mode)로 절환시켜 녹화모우드를 해제시키도록 되어 있으나, 이후에 다시 비데오 신호가 인가되면 정지모우드에서 녹화모우드로의 절환이 불가능하여 다시 녹화기능 스위치를 조작해 주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녹화모우드시 무신호 상태일 경우에는 테이프 주행모우터를 일시 정지시켜 불필요한 테이프 주행을 방지하고 다시 비데오 신호가 인가되면 별도의 기능 스위치의 조작없이 자동으로 테이프 주행 모우터를 구동시켜 녹화모우드를 수행할 수 있도록 안출한 것으로서, 이하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효과를 첨부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 회로는 비데오신호검출기(2)의 출력이 저항(R1) 및 콘덴서(C)로 된 시정수 회로를 매개하여 통상의 녹화스위치(SW)를 통해 콜렉터 전압이 공급되는 트랜지스터(Q1)(Q2) 및 저항(R2)(R3)으로 된 스위칭부(3)에 인가되게 구성하고, 이 스위칭부(3)의 출력이 서로 역동작하도록 된 트랜지스터(Q3)(Q4) 및 저항(R4)(R5)으로 된 모우터구동부(5)에 인가되게 구성한 것이다.
미설명 부호중 Vcc는 직류전원단자, 4는 테이프주행모우터, 6은 재생모우드시 시스콘 마이콤(sysconmicom)으로부터 인가되는 PB "하이"레벨신호 입력단자이다.
먼저 재생모우드시에는 녹화스위치(SW)가 "오프"상태로 되고, 이에 의해 모우터구동부(5)내의 트랜지스터(Q3)는 베이스 전압을 공급받지 못해 "오프"상태로 되며, 이때, 단자(6)를 통해 입력되는 PB "하이"레벨신호(B+ 전압)가 모우터구동부 (5)내의 저항(R5)을 통해 트랜지스터(Q4)의 베이스에 인가되어 이 트랜지스터(Q4)가 도통되므로 이에 의해 테이프 주행모우터(4)가 구동되어 재생기능이 이루어진다.
한편, 이와같은 재생모우드시 저항(R4)을 통한 Vcc 전원도 상기 트랜지스터 (Q4)의 베이스에 인가되므로 이 트랜지스터(Q4)는 계속 도통상태로 유지된다.
녹화모우드시에는 녹화스위치(SW)가 "온"상태이므로, 이 녹화스위치(SW)를 통한 Vcc 전원이 스위칭부(3)로 인가된다. 이때, 단자(1)로 비데오신호가 인가될 경우 비데오신호검출기(2)의 출력이 "하이"레벨로 되고, 이 검출기(2)의 출력은 신호검출 시간을 설정 및 조정애 주기위한 시정수 회로를 통해 스위칭부(3)로 인가되어 트랜지스터(Q1)(Q2)를 모두 "턴온"시키게 된다.
따라서, 모우터구동부(5)내의 트랜지스터(Q3)가 그 베이스 전압이 "로우"레벨로 되어 "턴오프"되고, 이에 의해 트랜지스터(Q4)의 베이스로는 저항(R4)을 통한 Vcc 전원이 인가되어 이 트랜지스터(Q4)가 도통되므오서 테이프주행 모우터(4)가 구동되어 녹화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와 같은 녹화모우드시 단자(6)를 통한 PB "하이"레벨 신호는 차단된 상태로 되나, 도통된 트랜지스터(Q4)에는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한편, 단자(1)로 비데오신호가 인가되지 않게 되면 비데오신호 검출기(2)의 출력이 "로우"레벨로 되고, 이에 의해 스위칭부(3)내의 각 트랜지스터(Q1)(Q2)가 모두 "턴오프"된다. 따라서, 트랜지스터(Q3)가 저항(R3)을 통한 베이스전압 공급에 의해 도통되고, 이에 의해 트랜지스터(Q4)의 베이스전압이 "로우"레벨로 되어 이 트랜지스터(Q4)가 "턴오프"되므로 테이프주행 모우터(4)가 정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단자(1)로 다시 비데오신호가 인가되면 전술한 바와같은 회로동작에 의해 별도의 기능스위치를 조작하지 않아도 모우터구동부(5)내의 트랜지스터 (Q4)가 "턴온"되고, 테이프주행모우터(4)가 다시 구동됨으로서 녹화기등을 재개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을 브이티알의 녹화모우드시 비데오신호가 인가되지 않으면 테이프주행모우터를 정지시켜 불필요한 테이프 주행이나 모우터구동에 따른 전력소모를 방지하고, 다시 비데오신호가 입력되면 별도의 기능스위치의 조작없이 정상적인 녹화모우드 상태로 환원됨으로서 사용에 편리한 잇점이 있다.

Claims (1)

  1. 비데오신호검출기(2)의 출력이 저항(R1) 및 콘덴서(C)로 된 시정수 회로를 매개하여 입력되며, 통상의 녹화스위치(SW)를 통해 각각 콜렉터 전압이 공급되는 트랜지스터(Q1)(Q2) 및 저항(R2)(R3)으로 된 스위칭부(3), 그리고 이 스위칭부(3)의 출력이 베이스에인가되며 콜렉터로 저항(R4)을 통한 Vcc 전원전압과 재생모드시 PB "하이"레벨신호가 각각 입력되는 트랜지스터(Q3) 및 이 트랜지스터(Q3)의 콜렉터 출력이 베이스에 인가되는 테이프 주행모우터 구동용 트랜지스터(Q4)로 된 모우터구동부 (5)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이티알의 테이프 주행 모우터 제어회로.
KR2019870006584U 1987-04-30 1987-04-30 브이티알의 테이프 주행모우터 제어회로 KR92000056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06584U KR920000565Y1 (ko) 1987-04-30 1987-04-30 브이티알의 테이프 주행모우터 제어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06584U KR920000565Y1 (ko) 1987-04-30 1987-04-30 브이티알의 테이프 주행모우터 제어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20461U KR880020461U (ko) 1988-11-30
KR920000565Y1 true KR920000565Y1 (ko) 1992-01-15

Family

ID=192624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06584U KR920000565Y1 (ko) 1987-04-30 1987-04-30 브이티알의 테이프 주행모우터 제어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056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20461U (ko) 1988-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0565Y1 (ko) 브이티알의 테이프 주행모우터 제어회로
KR890010803A (ko) 복합형 오디오기기의 녹음회로
KR880002807Y1 (ko) 비디오 테이프 레코오더의 전원자동 차단회로
KR910001826Y1 (ko) 영상신호 기록 재생장치의 트래킹 조정회로
JPH0333947Y2 (ko)
KR930004037Y1 (ko) Vcr의 테이프 자동 이젝트 회로
KR920005939Y1 (ko) 비디오 테이프 재생시 자동 변속회로
KR870002317Y1 (ko) 전자식 구동 카세트 데크에서의 오동작 방지회로
KR930001593Y1 (ko) 온스크린 표시용 발진기의 구동제어회로
KR900008855Y1 (ko) 더블 데크 재생 제어 장치
KR900010944Y1 (ko) 테이프 녹음 재생기용 테이프 특성 보상 장치
KR900001501Y1 (ko)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의 정지화면 제어회로
US4514668A (en) D.C. Motor driving circuit
KR900003107Y1 (ko) 감시용 카메라가 장착된 브이 씨 알의 자동 녹화회로
KR850002940Y1 (ko) 무신호 녹음시 일시 정지회로
KR890003588Y1 (ko) 영상신호 기록재생장치의 타이머모드 절환회로
KR890001946B1 (ko) 테이프 레코오더의 동기 시작회로
KR200165036Y1 (ko) 모터 초기구동장치
KR880002415Y1 (ko) 비디오 테이프 레코오더의 예약회로
KR880001391Y1 (ko) Vtr 드럼의 이슬맺힘 방지회로
KR910005592Y1 (ko) 듀얼시스템 vtr에서의 트랙킹 프리셋트 조정회로
KR0113245Y1 (ko) 모터의 회전 방향 제어회로
KR870002314Y1 (ko) 전자식 구동 카세트 데크에서의 무신호 녹음부분 형성회로
KR900003176Y1 (ko) 녹음기의 모타 구동 제어회로
KR900006590Y1 (ko) 더블 덱크의 구동 제어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82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