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1946B1 - 테이프 레코오더의 동기 시작회로 - Google Patents

테이프 레코오더의 동기 시작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1946B1
KR890001946B1 KR1019850008843A KR850008843A KR890001946B1 KR 890001946 B1 KR890001946 B1 KR 890001946B1 KR 1019850008843 A KR1019850008843 A KR 1019850008843A KR 850008843 A KR850008843 A KR 850008843A KR 890001946 B1 KR890001946 B1 KR 8900019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istor
collector
base
deck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500088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5347A (ko
Inventor
이석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성사
허신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성사, 허신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성사
Priority to KR10198500088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890001946B1/ko
Publication of KR8700053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53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19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19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5/4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head supports relative to record carriers ; arrangements of heads, e.g. for scanning the record carrier to increase the relative speed
    • G11B5/5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head supports relative to record carriers ; arrangements of heads, e.g. for scanning the record carrier to increase the relative speed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head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head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 G11B5/584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head supports relative to record carriers ; arrangements of heads, e.g. for scanning the record carrier to increase the relative speed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head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head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for track following on tapes

Landscapes

  • Input Circuits Of Receivers And Coupling Of Receivers And Audio Equipment (AREA)
  • Motor And Converter Start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테이프 레코오더의 동기 시작회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동기 시작 회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2 : 제1 및 제2 카세트 데크 구동부 3 : 8트랙 데크 구동부
4 : 검출회로 5 : 플립플롭
TR1-TR17: 트랜지스터 R1-R27: 저항
SW1-SW3: 구동스위치 SW4, SW5: 동기스위치
SW6: 채널검출스위치
본 발명은 카세트 테이프가 내장되는 제1 및 제2카세트 데크와 8트랙 테이프가 내장되는 8트랙데크등 3개의 데크를 가진 테이프 레코오더의 동기 시작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3개의 데크가 동시에 구동을 시작하게 함은 물론 8트랙 테이프가 채널 4까지 주행을 완료하면, 그 주행을 자동으로 정지시키게 한 테이프 레코오더의 동기 시작회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3개의 데크를 갖는 테이프 레코오더에 있어서는 카세트 테이프가 내장되는 제1 및 제2카세트만이 동시에 구동하게 구성되어 있고, 또한 8트랙 테이프가 내장되는 8트랙 데크는 8트랙 데이프를 외부로 이탈시키지 않는 한 계속해서 구동되므로 8트랙 테이프에 녹음을 할 경우에 잘못하면 중복 녹음이 되는 결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결함을 감안하여, 3개의 데크가 동시에 구동되게 함은 물론 8트랙 테이프가 채널 4에서 채널 1로 절환될 때 8트랙 데크의 구동을 정지시켜 중복 녹음이 되지 않게 창안한 것으로, 이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원단자(Vcc)에 접속된 구동스위치(SW1)(SW2)(SW3)를 저항(R1)(R2)(R3)을 통해 트랜지스터(TR1)(TR2)(TR3)의 베이스에 접속하여 그의 콜렉터를 저항(R4)(R5)(R6)을 통해 저항(R7)(R8)(R9) 및 트랜지스터(TR4)(TR5)(TR6)의 베이스 접속하고, 트랜지스터(TR4)(TR5)(TR6)의 콜렉터는 구동모우터(M1)(M2)(M3)에 접속하여 제1 및 제2카세트 데크 구동부(1)(2)와 8트랙 데크 구동부(3)를 각기 구도하는 한편, 상기 구동스위치(SW2)(SW3)를 저항(R10)(R11)을 통해 트랜지스터(TR7)(TR8)의 베이스에 접속하여 트랜지스터(TR7)의 에미터는 트랜지스터(TR8)의 콜렉터에 접속하고, 콜렉터(R12)을 통해 저항(R13) 및 에미터가 상기 구동스위치(SW1)에 접속된 트랜지스터(TR9)의 베이스에 공통 접속하여 그의 콜렉터를 저항(R14)을 통해 트랜지스터(TR10)에 베이스에 접속하며, 트랜지스터(TR10)의 콜렉터는 저항(R15) 및 동기스위치(SW4)에 접속함과 동시에 그 접속점을 저항(R16)(R17)을 통해서 콜렉터가 상기 트랜지스터(TR1)(TR2)의 베이스에 접속된 트랜지스터(TR11)(TR12)의 베이스에 접속하고, 다이오드(D1) 및 저항(R18)을 통해서 콜렉터가 트랜지스터(TR3)의 베이스 접속된 트랜지스터(TR13)의 베이스에 접속하였다.
또한, 가동단자가 전원단자(Vcc)에 접속된 채널검출스위치(SW6)의 고정단자(a4)를 접지저항(R19) 밑 콘덴서(C1), 저항(R20)(R21)을 통해 트랜지스터(TR14)베이스에 접속하여 검출회로(4)를 구성하고, 검출회로(4)의 트랜지스터(TR14)콜렉터는 동기 스위치(SW5)에 접속함과 동시에 그 접속점을 저항(R23)을 통해 트랜지스터(TR15)의 베이스에 접속하고, 트랜지스터(TR15)의 콜렉터는 트랜지스터(TR16)의 베이스에 접속함과 동시에(R24)을 통해 트랜지스터(TR17)의 콜렉터 및 일측이 상기 구동스위치(SW3)에 접속된 저항(R26)에 접속하며, 트랜지스터(TR17)의 베이스 접지콘덴서(C2) 및 저항(R25)을 통해 트랜지스터(TR16)의 콜렉터 및 일측이 구동스위치(SW3)에 접속된 저항(R27)에 접속하여 플립플롭(5)을 구성하는 한편, 트랜지스터(TR16)의 콜렉터 및 저항(R25)(R27)의 접속점은 다이오드(D2)를 통해 상기 다이오드(D1) 및 저항(R18)의 접속점에 접속하여 구성한 것으로, 상기에서 구동스위치(SW1)는 제 1 데크의 재생 및 빨리감기, 되감기시 단락되어 테이프의 주행이 정지되면, 개방되게 하고, 구동스위치(SW2)는 제 2 데크의 녹음 및 재생, 빨리감기, 되감기시 단락되어 테이프이 주행이 정지되면, 개방되게 하며, 구동스위치(SW3)는 8트랙 데크에 8트랙 테이프를 삽입할 때 단락되게 한다.
그리고, 동기스위치(SW4)(SW5)는 상호 연동되게하고, 채널검출스위치(SW6)는 8트랙 테이프의 채널에 따라 가동단자가 고정단자(a1-a4)에 선택적으로 단락되게 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 동기 시작회로의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원단자(Vcc)에 전원이 인가되고, 동기스위치(SW4)(SW5)를 개방시키며, 제1 및 제2카세트 데크에 가세트 테이프를 장착하며, 8트랙 데크에 녹음버튼을 누르면서 8트랙 테이프를 장착하면, 8트랙 테이프가 장착됨과 동시에 구동스위치(SW3)가 단락되므로 전원단자(Vcc)의 전원이 구동스위치(SW3)를 통한 후 저항(R3)(R11)을 각기 통하여 트랜지스터(TR3)(TR8)의 베이스에 인가되고, 또한 전원단자(Vcc)의 전원이 구동스위치(SW3)를 통하고, 플립플롭(5)의 저항(R27)(R26)을 통해 트랜지스터(TR16)(TR17)의 콜렉터에 인가됨과 동시에 저항(R25)(R24)을 통해 트랜지스터(TR17)(TR16)의 베이스에 인가된다.
이때 트랜지스터(TR17)의 베이스에는 콘덴서(C2)가 접속되어 있으므로 트랜지스터(TR16)가 트랜지스터(TR16)보다 먼저 온되어 그의 콜렉터전위가 저전위로되고, 이에따라 트랜지스터(TR17)의 베이스에는 계속해서 저전위가 인가되어 오프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이때 구동스위치(SW1)(SW2)는 아직 개방상태이므로 트랜지스터(TR7)(TR9)에는 바이어스 전압이 인가되지 않아 오프되고, 이에따라 트랜지스터(TR10)가 오프되어 그의 콜렉터 전위가 고전위로 되므로 트랜지스터(TR11)(TR12)(TR13)의 베이스에 모두 고전위가 인가되어 온된다.
따라서 전원단자(Vcc)의 전원이 구동스위치 (SW3) 및 저항(R3), 트랜지스터(TR13)를 통해 접지로 흘러 트랜지스터(TR3)의 베이스 저전위가 인가되므로 트랜지스터(TR3)는 오프되고, 트랜지스터(TR6)도 오프되어 구동모우터(M3)는 구동되지 않는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제2테크의 녹음버튼을 눌러 구동스위치(SW2)를 단락시키면 전원단자(Vcc)의 전원이 구동스위치(SW2)를 통한 후 저항(R2)(R10)을 각기 통해 트랜지스터(TR2)(TR7)의 베이스에 인가되나, 이때에는 구동스위치(SW1)가 개방상태이므로 트랜지스터(TR9)가 오프상태를 계속 유지하고, 이에따라 상기와 같이 트랜지스터(TR10)는 오프되고, 트랜지스터(TR11-TR13)는 모두 온되어 (TR1-TR3)가 오프되므로 구동모우터(M1-M3)는 구동되지 않는다.
그리고, 구동스위치(SW2)(SW3)가 단락된 상태에서 제1데크의 재생버튼을 눌러(SW1)를 단락시키면, 트랜지스터(TR7-TR9)에 모두 바이어스 전압이 인가되어 온되므로 상기와는 반대로 트랜지스터(TR10)의 베이스에 고전위가 인가되어 온되고, 이에따라 트랜지스터(TR11-TR13)가 모두 오프되어 트랜지스터(TR1-TR3)의 베이스에 고전위가 인가되므로 트랜지스터(TR1-TR3)가 온되고, 트랜지스터(TR4-TR6)도 온되어 구동모우터(M1-M3)가 동시에 구동된다. 즉, 각 데크에 설치된 3개의 구동스위치(SW1)(SW2)(SW3)가 모두 단락되어야 트랜지스터(TR9)(TR7)(TR8)가 온되어 트랜지스터(TR10)가 온되고 트랜지스터(TR1-TR3)가 오프되므로 3개의 구동모우터(M1-M3)는 동시에 구동을 시작하게 된다.
이와같이 구동모우터(M1-M3)가 동시에 구동되어 제1데크의 카세트 테이프에서 재생된 신호가 제2데크의 카세트 테이프와 8트랙 데크의 8트랙 테이프에 녹음되는 상태에서, 8트랙 테이프가 채널 1 및 채널2, 채널3에 모두 녹음이 끝나고, 채널 4에 녹음을 시작하면, 채널검출스위치(SW4)의 가동단자가 고정단자(a4)에 단락되므로 전원단자(Vcc)의 전원이 채널검출스위치(SW4)를 통해 저항(R19)의 양단간에 인가되면서 콘덴서(C1)에 충전되고, 8트랙 테이프의 채널 4까지 녹음이 완료되면, 채널 1로 절환도면, 그 절환에 따라 채널검출스위치(SW4)의 가동단자가 고정단자(a1)에 단락되어(R19)의 양단간이 0전위로 되고, 트랜지스터(TR14)의 베이스에는 콘덴서(C1)에 충전되어 있던 전위에 의해 일정시간 동안 저전위가 인가되어 오프되므로 그의 콜렉터전위가 고전위로 되어 트랜지스터(TR15)의 베이스에 고전위가 인가되고, 이에따라 트랜지스터(TR15)는 일정시간 동안 온되므로 상기와 같이 온상태를 유지하고 있던 트랜지스터(TR16)의 베이스에 저전위가 인가되어 오프된다.
따라서, 콘덴서(C2)에는 일정전위가 충전되면서 트랜지스터(TR17)의 베이스에 고전위가 인가하여 그를 온시키게되므로 트랜지스터(TR17)의 콜렉터 전위가 저전위로 되어 트랜지스터(TR16)의 베이스에는 트랜지스터(TR15)의 온, 오프에 관계없이 계속해서 저전위가 인가되고, 이에따라 트랜지스터(TR16)의 콜렉터 전위는 계속해서 고전위로 되어 트랜지스터(TR13)의 베이스에 고전위가 인가되므로 트랜지스터(TR13)는 온되고, 트랜지스터(TR3)(TR6)는 오프되어 구동모우터(M3)는 구동이 정지된다.
여기서, 8트랙 구동모우터(M3)의 구동만 정지되고, 8트랙 테이프는 계속 장착된 상태이므로 구동스위치(SW3)는 단락상태를 유지하여 트랜지스터(TR8)는 온상태를 유지한다. 즉, 8트랙 테이프의 녹음이 완료되고, 채널 4에서 채널 1로 절환되면, 8트랙 데크의 구동모우터(M3)를 정지시키므로 8트랙 테이프에 중복 녹음이 되는 것이 방지된다. 그리고 제 1 데크 또는 제 2 데크의 카세트 테이프가 주행을 완료하여 정지되고, 그 정지에 따라 구동스위치(SW1) 또는 (SW2)가 개방되면, 트랜지스터(TR9) 또는(TR7)에 바이어스 전압이 인가되지 않아 오프되므로 트랜지스터(TR10)의 베이스에 저전위가 인가되어 오프되고, 이에따라 상기에서와 같이 트랜지스터(TR11)(TR12)가 온되어 트랜지스터(TR1)(TR2)(TR3)(TR4)가 오프되므로 구동모우터(M1)(M2)의 구동이 정지된다.
한편, 동기스위치(SW4)(SW5)를 단락시키면 구동스위치(SW1-SW3)의 단락에 관계없이 트랜지스터(TR10)의 콜렉터전위가 저전위로 되고, 또한 트랜지스터(TR14)의 콜렉터전위도 저전위로 되므로 트랜지스터(TR11-TR13)는 계속 오프되어 구동모우터(M1)(M2)(M3)는 구동스위치(SW1)(SW2)(SW3)의 단락에 따라 각기 구동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3개의 데크를 동시에 구동시키므로 사용자가 테이프 레코오더를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8트랙 테이프에 중복녹음이 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3개의 데크가 내장된 테이프 레코오더에 있어서, 구동스위치(SW1)(SW2)(SW3)가 베이스특에 접속된 트랜지스터(TR1)(TR2)(TR3)의 콜렉터는 구동모우터(M1)(M2)(M3), 가 접속된 트랜지스터(TR4)(TR5)(TR6)의 베이스에 접속하되, 상기 구동스위치(SW1)(SW2)(SW3)를 트랜지스터(TR9)의 에미터 및 트랜지스터(TR7)(TR9)의 베이스측에 접속하여 트랜지스터(TR7)의 에미터 및 콜렉터를 트랜지스터(TR8)(TR9)의 콜렉터 및 베이스에 접속하고, 트랜지스터(TR9)의 콜렉터는 트랜지스터(TR10)에 베이스에 접속하며, 그의 콜렉터를 동기스위치(SW4)및 콜렉터가 상기 트랜지스터TR1)(TR2)(TR3)의 베이스에 접속된 트랜지스터(TR11)(TR12)(TR13)의 베이스측에 접속하는 한편, 채널검출스위치(SW6)의 고정단자(a4)를 콘덴서(C1)를 통해 트랜지스터(TR14)의 베이스측에 접속하여 검출회로(4)를 구성하고, 트랜지스터(TR14)의 콜렉터는 동기스위치(SW5) 및 트랜지스터(TR15)의 베이스측에 접속하여 그의 콜렉터트랜지스터(TR16, TR17) 및 저항 (R24-R27), 콘덴서(C2)로 된 플립플롭(5)의 트랜지스터(TR16)베이스와 저항(R24)에 접속하며, 트랜지스터(TR16)의 콜렉터 및 저항(R25, R27)의 접속점은 상기 트랜지스터(TR13)의 베이스측에 접속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레코오더의 동기 시작회로.
KR1019850008843A 1985-11-26 1985-11-26 테이프 레코오더의 동기 시작회로 KR8900019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50008843A KR890001946B1 (ko) 1985-11-26 1985-11-26 테이프 레코오더의 동기 시작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50008843A KR890001946B1 (ko) 1985-11-26 1985-11-26 테이프 레코오더의 동기 시작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5347A KR870005347A (ko) 1987-06-08
KR890001946B1 true KR890001946B1 (ko) 1989-06-03

Family

ID=192438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50008843A KR890001946B1 (ko) 1985-11-26 1985-11-26 테이프 레코오더의 동기 시작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9000194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5347A (ko) 1987-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1128B1 (ko) 복합형 오디오 기기의 녹음회로
KR890001946B1 (ko) 테이프 레코오더의 동기 시작회로
KR870004182Y1 (ko) 연속 재생 및 복사개시 장치
KR900008855Y1 (ko) 더블 데크 재생 제어 장치
KR890000836B1 (ko) 테이프 레코오더의 연속 재생회로
KR890001029Y1 (ko) 테이프 레코오더의 연속 재생회로
KR900010750Y1 (ko) 더블 데크 카세트의 테이프 기능선택 절환제어회로
KR880004222Y1 (ko) 더블데크 카세트 레코오더에서의 연속재생 및 동기 스타트회로
KR900004309B1 (ko) 더블데크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의 자동페이드 인 더빙 제어장치
KR870001159Y1 (ko) 전자식 구동더블 카세트 데크에서의 자동복사구동회로
KR870002914Y1 (ko) 더블 데크의 동기 스타트 회로
KR900001496Y1 (ko) 더블 데크 카세트의 더빙회로
KR890003605Y1 (ko) 더블데크 카세트의 테이프 편집회로
KR880004218Y1 (ko) 오디오 기기에서의 기능선택 자동전환 회로
KR870002317Y1 (ko) 전자식 구동 카세트 데크에서의 오동작 방지회로
KR900010886Y1 (ko) 카세트 데크의 자동되감기 및 재생회로
KR900005629Y1 (ko) 더블 덱크의 더빙 및 동시 동작회로
KR870002314Y1 (ko) 전자식 구동 카세트 데크에서의 무신호 녹음부분 형성회로
JPH0739074Y2 (ja) テ−プレコ−ダ−の電動機制御回路
KR880001385Y1 (ko) 더블데크 카셋트 녹음기의 연속재생 및 더빙회로
KR900010887Y1 (ko) 카세트 데크의 자동되감기 회로
KR890000162Y1 (ko) 더블데크 카셋트 더빙모우드시의 모우터를 동기시키는 회로
KR900010749Y1 (ko) 더블 데크 카세트의 연속재생 및 싱크로 더빙제어회로
JPH0415535B2 (ko)
JPH0452832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4122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