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0148B1 - 탄소 분자체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탄소 분자체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0148B1
KR920000148B1 KR1019840001310A KR840001310A KR920000148B1 KR 920000148 B1 KR920000148 B1 KR 920000148B1 KR 1019840001310 A KR1019840001310 A KR 1019840001310A KR 840001310 A KR840001310 A KR 840001310A KR 920000148 B1 KR920000148 B1 KR 9200001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ecular
polymer
weight
substrate
sie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400013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7822A (ko
Inventor
쥬니어 로버트 에프. 수트
Original Assignee
칼곤 카본 코포레이숀
제임스 에프. 너프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23889186&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920000148(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칼곤 카본 코포레이숀, 제임스 에프. 너프톤 filed Critical 칼곤 카본 코포레이숀
Publication of KR8400078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78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01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01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5/00Separating processes involving the treatment of liquids with solid sorbents; Apparatu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5/00Separating processes involving the treatment of liquids with solid sorbents; Apparatus therefor
    • B01D15/08Selective adsorption, e.g. chromatograph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0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 B01J20/0203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comprising compounds of metals not provided for in B01J20/04
    • B01J20/0262Compounds of O, S, Se, Te
    • B01J20/0266Compounds of 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0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 B01J20/2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comprising free carbon; comprising carbon obtained by carbonising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2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organic material
    • B01J20/26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2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organic material
    • B01J20/26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B01J20/261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 to carbon unsaturated bo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2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organic material
    • B01J20/26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B01J20/262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 to carbon unsaturated bonds, e.g. obtained by polycondens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2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organic material
    • B01J20/26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B01J20/264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derived from different types of monomers, e.g. linear or branched copolymers, block copolymers, graft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2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organic material
    • B01J20/26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B01J20/265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modified or post-treated polymers
    • B01J20/267Cross-linked 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28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 B01J20/2800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properties
    • B01J20/28004Sorbent size or size distribution, e.g. particle siz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28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 B01J20/28014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30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 B01J20/3021Milling, crushing or grin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30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 B01J20/3028Granulating, agglomerating or aggreg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30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 B01J20/3078Thermal treatment, e.g. calcining or pyroliz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30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 B01J20/32Impregnating or coating ; Solid sorbent compositions obtained from processes involving impregnating or coating
    • B01J20/3202Impregnating or coating ; Solid sorbent compositions obtained from processes involving impregnating or coating characterised by the carrier, support or substrate used for impregnation or coating
    • B01J20/3204Inorganic carriers, supports or substr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30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 B01J20/32Impregnating or coating ; Solid sorbent compositions obtained from processes involving impregnating or coating
    • B01J20/3231Impregnating or coating ; Solid sorbent compositions obtained from processes involving impregnating or coating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or impregnating layer
    • B01J20/3242Layers with a functional group, e.g. an affinity material, a ligand, a reactant or a complexing group
    • B01J20/3268Macromolecular compou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30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 B01J20/32Impregnating or coating ; Solid sorbent compositions obtained from processes involving impregnating or coating
    • B01J20/3231Impregnating or coating ; Solid sorbent compositions obtained from processes involving impregnating or coating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or impregnating layer
    • B01J20/3242Layers with a functional group, e.g. an affinity material, a ligand, a reactant or a complexing group
    • B01J20/3268Macromolecular compounds
    • B01J20/327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 to carbon unsaturated bo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30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 B01J20/32Impregnating or coating ; Solid sorbent compositions obtained from processes involving impregnating or coating
    • B01J20/3231Impregnating or coating ; Solid sorbent compositions obtained from processes involving impregnating or coating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or impregnating layer
    • B01J20/3242Layers with a functional group, e.g. an affinity material, a ligand, a reactant or a complexing group
    • B01J20/3268Macromolecular compounds
    • B01J20/3272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involving only carbon to carbon unsaturated bo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30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 B01J20/32Impregnating or coating ; Solid sorbent compositions obtained from processes involving impregnating or coating
    • B01J20/3231Impregnating or coating ; Solid sorbent compositions obtained from processes involving impregnating or coating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or impregnating layer
    • B01J20/3242Layers with a functional group, e.g. an affinity material, a ligand, a reactant or a complexing group
    • B01J20/3268Macromolecular compounds
    • B01J20/3276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30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 B01J20/32Impregnating or coating ; Solid sorbent compositions obtained from processes involving impregnating or coating
    • B01J20/3231Impregnating or coating ; Solid sorbent compositions obtained from processes involving impregnating or coating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or impregnating layer
    • B01J20/3242Layers with a functional group, e.g. an affinity material, a ligand, a reactant or a complexing group
    • B01J20/3268Macromolecular compounds
    • B01J20/328Polymers on the carrier being further modified
    • B01J20/3282Crosslinked 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30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 B01J20/32Impregnating or coating ; Solid sorbent compositions obtained from processes involving impregnating or coating
    • B01J20/3231Impregnating or coating ; Solid sorbent compositions obtained from processes involving impregnating or coating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or impregnating layer
    • B01J20/3287Layers in the form of a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20/00Aspects relating to sorbent materials
    • B01J2220/40Aspects relating to the composition of sorbent or filter aid materials
    • B01J2220/48Sorbents characterised by the starting material used for their preparation
    • B01J2220/4812Sorbents characterised by the starting material used for their preparation the starting material being of organic character
    • B01J2220/485Plants or land vegetals, e.g. cereals, wheat, corn, rice, sphagnum, peat mos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Solid-Sorbent Or Filter-Aiding Compositions (AREA)
  • Carbon And Carbon Compounds (AREA)
  • Silicates, Zeolites, And Molecular Sieves (AREA)
  • Separation Of Gases By Adsorption (AREA)
  • Treatment Of Liquids With Adsorbents In General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Saccharide Compound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탄소 분자체 및 이의 제조방법
제1도는 각종 유형의 화합물들의 흡착시의 분자체 산소 및 질소 확산 계수(속도) 및 산소/질소 선택비를 기준으로 하여, 작은 크기 및 중간 크기의 가스의 분리 특성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분자체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선택비와 용량이 큰 탄소상 분자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분자체는 탄소상 기재를, 기상 삼투압법에 의해 측정한 분자량이 400이상인 유기 중합체, 또는 무기 중합체로 함침시켜 제조한다.
다공성 코우크스를, 대기압하에서 측정한 비점이 200 내지 500℃인 저분자량 유기 화합물로 함침시켜, 탄소 분자체를 제조하는 방법이 하기 문헌에 기술되어 있다[참조 : Munzner 등의 미합중국 특허 제3,962,129호, Column 2, lines 50-57]. 상기 함침 기술은, 기재의 미세 기공 크기를 2 내지 6Å 정도로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는 있으나, 용량이 감소된 분자체를 제공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과립의 활성탄을 약 20 내지 50중량%의 부분적으로 중합화된 용액으로 외부-코팅시킨 다음, 이 중합체를 경화시키고, 중합체 피복물을 탄소화(탄화)시킴으로써, 탄소 분자체를 제조하는 방법이 하기 문헌에 기술되어 있다[참조 : P.L. Walker, Jr.등의 Conference on Industrial Carbon and Graphite, Proceedings(London) 1965, “The Preparation of 4Å and 5Å Carbon Molecular Sieves”].
한편, 미합중국 특허 제2,761,822호에는 활성탄에 대한 후처리 공정이 기술되어 있다. 이 방법은, 흡착-선택도를 개선시키기는 하나, 탄소상 기재의 내부 용량을 감소시키는 단점이 있다.
탄소상 기재의 거대 기공 구조는 탄소상 기재를 유기 또는 무기 중합체로 함침시켜 차단시킬 수 있는데, 이러한 중합체 블록은 기재의 미세 기공 용량 또는 미세 기공 확산성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기재의 거대 기공 구조를 통한 접근을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므로, 기재의 용량을 거의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기재의 선택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증기상 삼투압법으로 측정한 분자량이 400이상인 유기 중합체, 또는 무기 중합체를, 적어도 0.001중량%(기재의 중량 기준) 내지 형성된 체가 분자 직경, 분자량 또는 분자 형태가 서로 다른 두 종류 이상의 성분을 함유하는 가스 또는 액체 혼합물을 분리시킬 수 있는 최대 용량으로 함침시킨 탄소상 기재를 포함하는 분자체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증기상 삼투압법으로 측정한 분자량이 400이상인 유기 중합체, 또는 무기 중합체를, 적어도 0.001중량%(기재의 중량 기준) 내지 형성된 체가 분자 직경, 분자량 또는 분자 형태가 서로 다른 두 종류 이상의 성분을 함유하는 가스 또는 액체 혼합물을 분리시킬 수 있는 최대 용량으로 탄소상 기재에 함침시킴을 특징으로 하여, 분자체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증기상 삼투압법으로 측정한 분자량이 400이상인 유기 중합체, 또는 무기 중합체를, 적어도 0.001중량%(기재의 중량) 내지 형성된 체가 분자 직경, 분자량 또는 분자 형태가 서로 다른 두종류 이상의 성분을 함유하는 가스 또는 액체 혼합물을 분리시킬 수 있는 최대 용량으로 함침시킨 탄소상 기재를 포함하는 분자체를 통해 액체 또는 가스를 통과시킴을 특징으로 하여, 분자 직경, 분자량 또는 분자 형태가 서로 다른 두종류 이상의 성분을 함유하는 가스 또는 액체 혼합물을 분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탄소상 기재”는 대부분 탄소로 이루어지며, 내부 표면적을 확대시키는 매질을 포함하고, 내부 표면 특성으로 인하여 가스 및/또는 액체 화합물을 흡착시키는 다공성 재료를 의미한다. 탄소상 기재의 예로는 활성탄, 탄소 분자체, 목탄, 무연탄 및 유연탄, 역청탄, 갈탄, 이탄, 야자껍질, 탄화된 복숭아씨, 호두껍질, 바바수껍질, 탄화체리씨, 목재 등이 있다. 다수의 상기 탄소상 기재는 함침시키기 전에 전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재의 다공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일반적인 전처리 단계에는 체-유사 기재를 형성시키기 위한 하소공정 및 활성탄 기재를 형성시키기 위한 활성탄 공정이 포함된다.
탄소 분자체의 제조방법은 미합중국 특허 제3,884,830호, 제3,222,412호, 제3,801,513호, 제2,556,859호, 제4,046,709호 등에 기술되어 있다.
또한, 활성탄을 제조하는 방법도 하기 문헌에 기술되어 있다[참조 : J.W. Hassler´s “Active Carbon”, Chap.2, p.12-35, Chemical Publishing Co., Brooklyn, N.Y.(1951)].
분자체는 탄소상 기재의 거대 기공 구조를 부분적으로 차단시키는 비교적 큰 중합체를 사용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한 “차단”은 기재의 거대 기공 내외로의 분자 가스 또는 액체의 확산속도를 제한하기 때문에, 기재의 자연적인 미세 기공 사분력(sieving ability)에 도움을 주어, 용량에 크게 악영향을 미치지 않고 선택도를 증가시킨다.
본원에서의 기재로서 유용한 것으로, 탄소상 기재의 기공 구조의 기공크기는 직경이 일반적으로 100Å 이상인 거대 기공 및 직경이 일반적으로 100Å 미만인 미세 기공이 포함된다.
분자량 및 분자 직경이 충분히 큰 중합체를 사용함으로써 기재내 거대 기공은 기재를 중합체로 함침시킬 때 차단된다. 본 발명의 중요한 특징은 기재의 미세 기공이 중합체에 의해 큰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데에 있다. 그러므로, 내부 용량 및 자연적인 미세 기공 사분력이 보존된다.
기재의 사분 특성은 기재를 유기 또는 무기 중합체로 함침시킴으로써 증가되는데, 기재의 거대 기공을 차단시키기 위해 사용한 중합체성 함침제의 양은 목적하는 가스의 선택에 따라 변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0.001중량% 이상의 중합체이면 충분할 것으로 예상된다. 중합체의 사용량이 너무 큰 경우, 미세 기공이 차단되어 함침된 기재의 목적하는 사분 특성이 손실되는 결과가 야기된다. 최대 사용량은 사용한 기질에 따라 다르게 된다. 적정 사용량은 사용량을 변화시키면서 사분특성이 최적인 함침된 분자체를 가려냄으로써 결정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20중량%가 초과하게 사용하면 과잉 차단이 야기되지만, 함침제를 너무 적게 사용하여도 과잉 차단이 야기된다.
본원에 있어서, 함침제로서 유용한 것으로 선택되는 중합체는 기재의 용량에 악영향을 크게 미치지 않으면서 기재의 선택비를 증가시켜야 한다.
선택도는 두 확산계수의 비(산소의 확산계수/질소의 확산계수-DO2/DN2)로서 정의되며, 용량은 탄소 분자체의 주어진 부피내 보유된 흡착물의 용적으로서 정의된다. 높은 선택도는 분자 직경, 분자 모양, 분자 속도 및/또는 고체 표면과의 상호작용을 기준으로 하여 혼합물의 성분들이 쉽게 구별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높은 용량값은 소량의 분자체가 많은 부피의 가스를 흡착시킴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작고 가벼운 분자가 크고 무거운 분자보다 탄소 분자체에 의해 빨리 흡착된다. 탄소 분자체 내로의 분자의 확산도가 줄어드는 순서로 분자들을 나열하면 수소, 헬륨, 산소, 일산화탄소, 이산화탄소, 암모니아, 질소, 아르곤, 메탄, 황화수소, 에틸렌, 에탄, 프로필렌, 에탄올, 프로판, n-부탄, 이소부탄, n-펜탄, 이소펜탄, o-크실렌, m-크실렌, p-크실렌, n-헥산, 2-메틸 펜탄, n-헵탄 이는 완전하지 않으며, 단지 경험적으로 정한 것일 뿐이다. 여기서, 사용한 특정 흡착제에 따라, 몇몇의 확산도 순서의 변화가 예견된다. 그러나, 가스상 또는 액체 혼합물을 분리시키는 기준으로서 작용하는 분자 직경, 분자 형태, 분자 속도 및/또는 흡착물/흡착제 상호작용으로 인하여 흡착속도가 다르게 된다. 혼합 성분들의 흡착속도의 차이가 클수록 혼합물은 분리하기 쉬워진다. “분자 직경”, “분자 속도” 및 “흡착물/흡착제 상호작용”이란 술어는 이동현상론 및 흡착 이론에 정통한 자라면 누구나 다 이해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참고 문헌의 예를들면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
(1) R.B. Brid, W.E. Stewart & E.N. Lightfoot, Transport Phenomena, J. Wiley & Sons, N.Y(1960).
(2) J.O. Hirshfelder, C.F. Crentis & R.B. Bird, Molecular Theory of Gases and Liquids, J. Wiely & Sons, N.Y.(1954).
(3) W.A. Steele, “The Interaction of Gases with Solid Surfaces”, The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Physical Chemistry and Chemical Physics, Topic 14, V.3, Pergamon Press, Oxford(1974).
(4) W.A. Anderson, Physical Chemistry of Surface, John Wiley & Sons, N.Y.(1976).
고체 흡착제내로의 가스 또는 액체의 절대 확산 계수는 실험적으로 확인하기가 까다롭다. 이는 특히 구조적으로 균일하지 못한 탄소상 흡착제에서도 마찬가지이다. 그렇지만, 비교할 목적으로 다른 흡착제를 비교판단할 수 있는, 이미 알려진 크기의 기준 흡착제를 선택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렇게하여 얻어진 확산계수는 흡착제내로의 가스 또는 액체의 흡착을 기술하는데 유용하다. 본원에서 기술된 탄소 분자체는 실제적으로 1기압 및 25℃하에서 샘플내로 각종 가스가 흡착되는 것을 관찰함으로써 실험한다. 확산계수는 구체내로의 확산을 기술하는 다음과 같은 간단한 식을 이용하여 계산할 수 있다 :
Figure kpo00001
위의 식에서, Lt는 t가 30초인 시간에서의 시험 가스 흡착치이고, Le는 통상적으로 t가 1시간인 시간에서의 평형 흡착치이며, D는 확산계수이고, t는 30초이며, R0는 0.05125cm(기준 흡착제의 평균 입자 반경)이다. 또 다른 변수(예 : 다른 기준 반경, 온도, 압력 또는 시간, t)의 선택은 상기에서 수득된 확산계수의 절대 및 상대 크기를 변화시킴을 이해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본원의 범주 또는 효과를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된다.
제1도는 특정한 가스 분리용 분자체를 선택하기 위한 순서도를 나타내는데, 여기서 체 샘플을 처음에는 위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산소 및 질소 확산계수(속도)에 대해 분석한다. 위의 두 값으로부터 산소/질소 선택비를 계산한다.
산소, 질소, 일산화탄소 및 이산화탄소와 같은 가벼운 가스에 대해, 일반적으로 유용한 확산계수는 하나 이상의 가스에 대해 10×10-8cm2/초 이상, 바람직하게는 200×10-8cm2/초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500×10-8cm2/초 이상이며, 이와 조합된 선택비는 1.1이상, 바람직하게는 10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25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50이상이다(1.1이상의 선택도는 0.9이하이며, 이 비는 전환될 수 있다).
에탄, 프로판, 부탄등과 같은 무거운 가스에 대해, 확산계수는 하나 이상의 가스에 대해 0.1×10-8cm2/초 이상, 바람직하게는 25×10-8cm2/초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100×10-8cm2/초 이상이어야 하며, 이와 조합된 선택비는 1.1이상, 바람직하게는 5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20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50이상이어야 한다(1.1이상의 선택도는 0.9이하이며, 이 비는 전환될 수 있다).
액체의 확산계수는 가스에 대한 최소의 확산계수보다 낮을 수 있다.
일단 산소/질소 선택비가 계산되고 산소의 속도가 확인되면, 순서도는 특정한 가스 분리가 해당되는 특정체에 대해 가장 효과적으로 되는 것을 결정짓는데 유용하다.
제1도의 좌측에 있어서, 산소 속도(DO2)가 7×10-6cm2/초 이상이고, 산소/질소 선택비(DO2/DN2; S)가 50이상일 때, 체는 일산화탄소, 이산화탄소, 암모니아 또는 아르곤을 분리시키는데 유용하다.
제1도의 우측에 있어서, 산소 속도가 7.0×10-6cm2/초 이상이고, 산소/질소 선택비가 50미만일 경우, 또다른 실험을 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해당하는 체가 에탄을 흡착하지 않을 경우, 이는 메탄, 에탄, 일산화탄소, 이산화탄소, 아르곤, 암모니아, 또는 하이드로겐 설파이드를 분리시키는데 유용하다. 만일 샘플이 에탄을 흡착할 경우, 체를 사용할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가스 혼합물의 경우를 찾기 위해 또다른 실험을 할 필요성이 있다.
제1도는 단지 제안된 지침에 불과한 것임을 주지해야 한다. 본 발명의 분자체는 여러 종류의 가스 분리에 대해 모두 유용하다. 제1도의 목적은 바람직한 분리 계획을 결정짓는데 있는 것이다.
내부 미세 기공 및 용량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산소/질소 선택비를 증가시키기에 필요한 정도로 거대 기공을 차단시키기에 필요한 중합체의 양은 분자체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0.001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10.0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5.0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1.0중량%, 그리고 어느 정도의 선별을 위해서는 0.001 내지 0.5중량%이다. 한편, 기타의 다른 가스를 분리하는 데는 이보다 다소 크거나 작은 양의 중합체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할 수 있는 유기 및 무기 중합체는 문헌에 기술되어 있다[참조 : “Sorenson과 Campbell”의 “Preparative Methods of Polymer Chemistry”, Interscience Publishers, Inc., N.Y, N.Y(1961)].
일반적으로, 유용한 중합체에는 폴리아미드, 폴리우레아, 폴리우레탄, 폴리에스테르, 기타 축합 중합체, 불포화 단량체의 부가 중합체, 디엔 및 트리엔 중합체 및 공중합체, 환상 폴리아미드, 환상 폴리에테르, 환상 폴리에스테르, 실리콘 중합체, 중합화된 포스포니트릴 클로라이드, 황 중합체, 중합화된 황 질화물, 폴리페닐렌 에테르, 가교결합된 폴리에스테르, 페놀 포름알데히드 수지 및 에폭시 수지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중합체가 있다[참조 : “Inorganic Polymers”, F.O.A.Stone and W.A.G.Graham, eds., Academic Press, N.Y.(1962) and “Principles of Polymer Chemistry”, P.J.Flory, Cornell Univ-Press Ithica, N.Y.(1953)].
상기한 중합체를 제조하는데 사용할 수 있는 단량체로서 적합한 것에는 메틸, 에틸, 2-클로로 에틸, 프로필, 이소부틸, 이소프로필, 부틸, 3급-부틸, 2급-부틸, 에틸헥실, 아밀, 헥실, 옥틸, 데실, 도데실, 사이클로헥실, 이소보르닐, 벤질, 페닐, 알킬페닐, 에톡시메틸, 에톡시에틸, 에톡시프로필, 프로폭시메틸, 프로폭시에틸, 프로폭시프로필, 에톡시페닐, 에톡시벤질, 에톡시사이클로헥실, 하이드록시에틸, 하이드록시프로필 에틸렌, 프로필렌, 이소부틸렌, 디이소부틸렌, 스티렌, 에틸비닐벤젠, 비닐톨루엔, 비닐벤질클로라이드, 비닐 클로라이드, 비닐 아세테이트, 비닐리덴 클로라이드, 디사이클로펜타디엔,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아크릴아미드, 메타크릴아미드, 디아세톤 아크릴아미드와 같은 아크릴산 및 메타크릴산의 에스테르; 비닐벤젠, 술폰산, 비닐 에스테르(예 : 비닐 아세테이트, 비닐 프로피오네이트, 비닐 부티레이트, 비닐 라우레이트), 비닐 케톤(예 : 비닐 메틸케톤, 비닐 에틸 케톤, 비닐 이소프로필 케톤, 비닐 n-부틸 케톤, 비닐 헥실 케톤, 비닐 옥틸 케톤, 메틸 이소프로페닐 케톤), 비닐 알데히드(예 : 아크로레인, 메타크로레인, 크로톤알데히드), 비닐 에테르(예 : 비닐 메틸 에테르, 비닐 에틸 에테르, 비닐 프로필 에테르, 비닐 이소부틸 에테르), 비닐리덴 화합물(예 : 비닐리덴 클로라이드, 비닐리덴 브로마이드 또는 비닐리덴 브로모클로라이드), 불포화 디카복실산(예 : 이타콘산, 시트라콘산, 아코니트산, 푸마르산, 말레산 등)의 상응하는 중성 또는 반-산, 반-에스테르 또는 유리 이산, 치환된 아크릴아미드[예 : N-모노 알킬, N,N-디알킬 및 N-디알킬아미노알킬 아크릴아미드 또는 메타크릴아미드(여기서, 알킬 그룹은 메틸, 에틸, 이소프로필, 부틸, 헥실, 사이클로헥실, 옥틸, 도데실, 헥사데실 및 옥타데실과 같이 1 내지 18개의 탄소원자를 지닐 수 있다)],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의 아미노알킬 에스테르(예 : β-디메틸아미노에틸, β-디에틸아미노에틸 또는 6-디메틸아미노헥실 아크릴레이트 및 메타크릴레이트), 알킬티오에틸 메타크릴레이트 및 아크릴레이트(예 : 에틸티오에틸 메타크릴레이트), 비닐피리딘(예 : 2-비닐피리딘, 4-비닐피리딘, 2-메틸-5-비닐피리딘) 등과 같은 작용성 단량체, 티오에테르 및 티오페놀의 중합체 및 공중합체가 있다.
에틸티오에틸 메타크릴레이트를 함유하는 공중합체의 경우에는 필요에 따라 티오-작용성 그룹을 상응하는 술폭사이드 또는 술폰으로 산화시킬 수 있다.
비록 단지 하나의 상기 폴리에틸렌계 불포화 그룹을 지니고 있을지라도 이소프렌, 부타디엔 및 클로로프렌과 같이 통상적으로 작용하는 폴리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를 모노 에틸렌계 불포화 범주의 일부에 포함시킬 수도 있다.
폴리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의 예에는 디비닐벤젠; 디비닐피리딘; 디비닐나프탈렌; 디알릴프탈레이트; 에틸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에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메타크릴레이트; 디비닐술폰; 글리콜, 글리세롤, 펜타에리트리톨, 디에틸렌글리콜, 글리콜의 모노티오-유도체, 및 레졸시놀의 폴리비닐 또는 폴리알릴 에테르; 디비닐 케톤; 디비닐설파이드; 알릴 아크릴레이트; 디알릴 말레에이트, 디알릴 푸마레이트; 디알릴 석시네이트; 디알릴 카보네이트; 디알릴 말로네이트; 디알릴 옥살레이트; 디알릴 아디프에이트; 디알릴 세박케이트; 디비닐 세박케이트; 디알릴 타트레이트; 디알릴 실리케이트; 트리알릴 트리카브 알릴레이트; 트리알릴 아코니테이트; 트리알릴 시트레이트 및 트리알릴 포스페이트가 있다. 또한, N,N´-메틸렌-디아크릴아미드, N,N´-메틸렌-디메타크릴아미드, N,N´-에틸렌디아크릴아미드, 트리비닐벤젠, 트리비닐나프탈렌 및 폴리비닐안트라센 등도 있다.
이러한 유형의 단량체들중에서도 바람직한 종류에는 스티렌, 비닐 피리딘, 비닐 나프탈렌, 비닐 톨루엔, 페닐 아크릴레이트, 비닐 크실렌 및 에틸비닐벤젠 등과 같은 방향족 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가 있다.
폴리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로서 바람직한 예에는 디비닐피리딘, 디비닐나프탈렌, 디비닐벤젠, 트리비닐벤젠, 벤젠핵에서 탄소수 1 내지 2의 알킬 그룹 1 내지 4개에 의해 치환된 알킬디비닐벤젠 및 벤젠핵에서 탄소수 1 내지 3의 알킬 그룹 1 내지 3개에 의해 치환된 알킬트리비닐벤젠 등이 있다. 이러한 폴리(비닐)벤젠 단량체의 단독중합체 및 공중합체 이외에도, 이들중 하나 이상을 (1) 모노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 또는 (2) 상기한 폴리(비닐)벤젠 이외의 폴리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 또는 (3) (1)과 (2)의 혼합물 98% 이하(전체 단량체 혼합물의 총 중량 기준)와 함께 공중합시킬 수 있다. 알킬-치환된 디-및 트리-비닐-벤젠의 예로는 여러 종류의 비닐-톨루엔, 디비닐에틸벤젠, 1,4-디비닐-2,3,5,6-테트라메틸벤젠, 1,3,5-트리비닐-2,4,6-트리메틸벤젠, 1,4-디비닐-2,3,6-트리에틸-벤젠, 1,2,4-트리비닐-3,5-디에틸벤젠 및 1,3,5-트리비닐-2-메틸벤젠 등이 있다.
축합 단량체로서 적합한 것의 예에는 (1) 말레산, 푸마르산, 이타콘산, 1,1-사이클로부탄 디카복실산등과 같은 지방족 이염기산, (2) 피페라진, 2-메틸피페라진, 시스, 시스-비스(4-아미노사이클로헥실)메탄, 메타크실렌디아민등과 같은 지방족 디아민, (3) 디에틸렌 글리콜, 트리에틸렌 글리콜, 1,2-부탄디올, 네오펜틸 글리콜등과 같은 글리콜, (4) 시스 및 트랜스-1,4-사이클로헥실비스-클로로포르메이트, 2,2,4,4-테트라메틸-1,3-사이클로부틸-비스클로로포르메이트 및 상기한 기타 글리콜의 비스클로로포르메이트 등과 같은 비스클로로포르메이트, (5) 살리실산, m- 및 p-하이드록시-벤조산 및 락톤, 락톤의 유도체(예 : 프로피올락톤, 발레로락톤, 카프롤락톤)등과 같은 하이드록시산, (6) 시스- 및 트랜스-사이클로프로판-1,2-디이소시아네이트, 시스- 및 트랜스-사이클로부탄-1,2-디이소시아네이트 등과 같은 디이소시아네이트, (7) 프탈산, 프탈산 무수물,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디메틸프탈산염 등과 같은 방향족 이산 및 이의 유도체(에스테르, 무수물 및 산염화물), (8) 벤지딘, 4,4´-메틸렌디아민, 비스(4-아미노-페닐)에테르 등과 같은 방향족 디아민, (9) 비스페놀 A, 비스페놀 C, 비스페놀 F, 페놀프탈레인, 레졸시놀과 같은 비스페놀, (10) 비스페놀 A 비스(클로로포르메이트), 4,4´-디하이드록시벤조페논비스(클로로포르메이트)와 같은 비스페놀 비스(클로로포르메이트), (11) 포름알데히드, 아세트알데히드, 티오아세톤, 아세톤과 같은 카보닐 및 티오카보닐 화합물, (12) 페놀, 및 알킬페놀과 같은 페놀의 유도체, (13) 트리- 또는 다-염기산(예 : 트리멜리트산), 트리- 또는 폴리-올(예 : 글리세롤), 트리- 또는 폴리-아민(예 : 디에틸렌트리아민)과 같은 다작용성 가교결합제, 및 기타의 축합 단량체 및 상기한 단량체들의 혼합물이 있다.
상기한 단량체를 이용하여 제조한 중합체로서 바람직한 것에는 시판용 폴리에틸렌글리콜 PEG 400, PEG 4000 및 6000(Fisher Scientific), 페놀계 수지 3435, 3446(Polyrez Co., Inc.), 선형, 환상 또는 가교결합된 실리콘 중합체[예 : SC-102 또는 SC-114(Thermoset Plastics, Inc.) 또는 DF-104, SR-107 및 DF-1040(General Electric Co.)], AMSCO Res 200, 210, 807 및 1170(American Mineral Spirits Co.)과 같은 아크릴계 에멀젼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가 있다.
또한, 하나 이상의 중합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들의 적용은 동시에 또는 연이어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유기 중합체성 함침제에 대한 최소 분자량은 증기상 삼투압법으로 측정하여 약 400이다. 무기 중합체 함침제의 분자량은 400이하일 수 있다. 바람직한 중합체 함침제의 분자량은 광 산란법으로 측정하여 약 1,000 내지 1,000,000이다. 한편, 가장 바람직한 중합체 함침제의 분자량은 광 산란법으로 측정하여 약 4,000 내지 250,000정도이다. 여기서, 사용한 증기상 삼투압법 및 광 산란법은 잘 공지된 분자량 측정법이다[참조 : Billmeyer, Jr., Fred W., Textbook of Polymer Science, 2nd Edition, Wiley-Interscience, N.Y.(1971), P.67-68 및 81-84].
탄소상 기재를 중합체로 함침시키는데는 여러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들면, 중합체를 적절한 용매내에 용해시키고, 기재와 혼합시키고, 여분의 용액을 경사분리 또는 여과하고, 중합체 피복물에 의해 거대 기공이 차단되도록 기재를 건조시키거나 열처리할 수 있다. 기타의 방법으로는 기재의 샘플을 통해 중합체 용액을 분무하거나 중합체의 증기를 통과시키는 방법이 있다. 만일 기재가 한번의 중합체 처리로 적절히 함침되지 않을 경우, 거대 기공의 차단을 목적하는 대로 달성하기 위해서는 기타의 추가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탄소상 기재는 그 미세 기공도가 높은 것이 바람직한데, 90% 이상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며, 특히 크기가 200Å 미만인 미세 기공의 비율이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대부분의 물질들은 공업적으로 이미 공지된 여러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탄소상 기재로서 특히 바람직한 것에는 활성탄 및 탄소 분자체가 있다.
미세 기공도가 높은 탄소상 기재의 제조시 사용되는 전형적인 가열장치에는 직접-가열 회전로, 다중로, 유동상로, Selas형 직접-가열 또는 전기-가열 스크루우 컨베이어로 또는 이미 공지된 다양한 형태의 금속-처리로(예 : Lindberg) 등이 있다. 가열장치로서 바람직한 것은 적외선 가열 연속 이동형로이다[참조 : 미합중국 특허 제4,050,900호, 및 제3,648,630호].
미세 기공도가 높은 탄소상 기재를 제조하기 위한 열처리(함침시키기 전) 공정에는 일반적으로 250℃ 이상, 바람직하게는 즉 500 내지 1,100℃의 온도에서 1분 내지 수시간동안 수행한다.
미세 기공도가 높은 탄소상 기재를 제조하기 위한 탄소상 기재의 연속적 이동형 가열(함침시키기 전) 공정에는 두 방법이 있다 : 즉, (1) 하기와 같이 병류 또는 역류의 불활성 가스의 유동하에 바람직하게는 1,000ppm 이하의 산소가 들어 있는 로내에서 탄화시킨 기재를 가공시킨다.
Figure kpo00002
(2) 하기와 같이 병류 또는 역류의 불활성 가스의 유동하에 10,000ppm 이하의 산소가 들어 있는 로내에서 집적된 기재를 가공시킨다.
Figure kpo00003
상기한 변수들은 사용한 로에 따라 가변적이므로 결정적인 변수는 아니다. 집적된 기재에는 기재 30 내지 98중량% 이외에도 코울타르 피치, 석유 피치, 아스팔트, 비투민 및 리그닌 등과 같은 열-결합제 1 내지 40중량%, 전분과 같은 냉-결합제 0 내지 20중량% 및 물 0 내지 40중량%를 함유할 수 있다.
함침된 중합체 체는 250 내지 1,100℃, 바람직하게는 500 내지 1,000℃에서 중합체 함침제를 탄화시킴으로써 더욱 개질시킬 수 있다.
하기 실시예는 탄소상 기재에 대한 중합체성 함침체의 효과를 설명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려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단계 1]
[기재의 제조]
크기에 따라 분류한 코코넛 목탄(8×30메쉬)를 연속이동형 로(Shirco, Inc.제조)내에서 질소 가스하에 750℃에서 15분간 열처리하여 탄소상 기재를 제조한다. 미처리된 코코넛계 기재는 산소/질소 선택비가 0.88이며, 산소 용량은 2.90cc/cc이고, 가시적 밀도는 0.624g/cc이다.
[단계 2]
[기재의 함침]
1단계에서 제조한 코코넛계 탄소 분자 기재 100g을 물 100g중의, 분자량이 4,000인 폴리에틸렌 글리콜(PEG) 4000(Fisher Scientific Co.제조) 2g 용액에 넣고 탄화(Char)가 탈기될때까지(약 5 내지 10분내에 거품이 일어나는 것이 중단됨) 교반시키면서 상기한 용액에 함침시킨다.
과잉량의 용액을 혼합물에서 경사분리시키고 함침된 기재를 자유로이 유동할때까지 2 내지 3시간동안 공기 건조시킨다. 다음에는 함침된 코코넛 기재를 가시적 밀도가 0.679g/cc에 이르도록 오븐에서 75℃하에 20시간동안 건조시킨다. 수득된 PEG의 최종 함침량을 가시적 밀도 변화로부터 계산한다. PEG의 실제량은 2.0중량% 미만이다.
[단계 3]
[체 분석]
시험 가스의 확산도를 계산하기 위하여 약 10g의 체를 함유하는 샘플셀의 사용적(dead volume)을 헬름 팽창법으로 측정한다. 이어서, 시험 가스를 1리터 기준 셀로부터 샘플셀내로 팽창시킨다. 사용적을 측정하고 시스템의 압력을 변화시켜 시험 가스의 흡착도를 측정한다. 1시간후, 체 샘플에 대해 계산된 평형 흡착시의 상기한 값을 조합하면 상대 흡착치(Lt/Le)를 결정할 수 있다. Lt는 주어진 시간, 예를들면 30초에서의 체 샘플의 시험 가스 흡착치를 나타내며, Le는 평형에서 체 샘플의 시험 가스 흡착치를 나타낸다. 체 샘플의 확산계수(D)는 다음과 같은 구형 체내로의 확산에 대한 간단한 공식을 풀어서 시험 가스에 대해 계산한다.
Figure kpo00004
위의 식에서, Lt는 t가 30초인 시간에서의 시험 가스 흡착치이고, Le는 통상적으로 t가 1시간인 시간에서의 평형 흡착치이며, D로 확산계수이고, t는 30초이며, R0는 0.05125cm(기준 흡착제의 평균 입자 반경)이다. 이렇게 계산된 확산계수는 미세기공 및 거대기공 확산계수의 조합을 나타낸다[참조 : Dedrick, R.L. and Beckmann, R.B., “Kinetics of Adsorption by Activated Carbon from Dilute Aqueous Solution”, Physical Adsorption Processes and Principles, L.N. Canjar and J.A. Kostecki, eds., Vol.63, American Institute of Chemical Engineers, New York(1967); Walker, PlL., Jr., Austin, L.G., Nan야, S.P., “Activated Diffusion of Gases in Molecular Sieve Materials”, The Chemistry and Physics of Carbon, P.L.Walker, Jr., ed., Vol.2, Marcel Dekker, Inc., New York(1966) and Crank, J., “The Mathematics of Diffusion”, 2nd Ed., Clarendon Press, Oxford(1975)].
본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확산계수는 25±5℃에서 압력이 1기압±5%인 출발가스를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시간 t는 30초이다. 시험 가스의 확산계수를 결정함으로써 선택비(예 : 산소/질소 S=DO2/DN2)를 계산할 수 있다. 체의 용량은 평형흡착(Le)을 흡착제 1cm3당 가스부피(STP)로서 나타내어 계산한다. 함침된 체의 분석결과 산소/질소 선택비는 43.4이고 산소용량은 3.04cc/cc이었다.
[실시예 2]
[단계 1]
[기재의 제조]
분쇄된 코코넛 목탄 80중량%, 코울타르 피치(연화점 : 105℃) 10부, 분쇄된 전분 10부 및 물 20 내지 25%가 함유된 혼합물을 1/8˝×3/8˝ 펠렛의 형태로 펠렛 분쇄기내에서 펠릿화시킨다. 펠렛을 연속이동형 로에서 질소 가스하에 800℃에서 15분간 열처리하여 탄소상 기재를 제조한다. 이 체에 대한 가스 확산계수를 실시예 1의 단계 3에서처럼 계산한다. 탄소상 기재의 가시적 밀도는 0.50g/cc이고, 산소/질소 선택비는 3.00이며, 산소 용량은 3.12cc/cc이다.
[단계 2]
[기재의 함침]
상기한 단계 1에서 제조한 탄소상 기재를 실시예 1의 단계 2에서처럼 물 100g중의 PEG 4000 1g 용액에 함침시킨다. 과량의 용액을 경사분리시키고, 기재를 타올로 닦아 건조시킨 다음, 가시적 밀도가 0.530g/cc로 될때까지 150℃로 건조시킨다. 이 기재에 대한 가스 확산계수는 실시예 1의 단계 3에서와 같이 계산한다. 함침된 기재의 산소/질소 선택비는 61.3이고, 산소 용량은 3.09cc/cc이다. 수화된 PEG의 최종 함침량은 가시적 밀도 변화로부터 계산하여 6.0중량%이었다. PEG의 실제량은 5.0중량% 미만이다.
[실시예 3]
실시예 2의 단계 1에서 제조한 불포화 탄소상 기재 100g을 물 100g중의 분자량이 4,000인 PEG 4000 5g 용액에 함침시킨 다음 실시예 2에서와 같이 건조시켜 가시적 밀도가 0.54g/cc이고, 산소/질소 선택비가 102.6이며 산소 용량이 3.04cc/cc인 함침된 기재를 얻는다. 수화된 PEG의 최종 함침량은 가시적 밀도의 변화로부터 계산하여 8.0중량%이었다. PEG의 실제량은 5.0중량% 미만이다.
[실시예 4]
실시예 2의 단계 1에서 기술된 미처리 탄소상 기재 100g을 물 100g중의 분자량이 6,000인 PEG 6,000(Fisher Scientific Co.제조) 5g 용액에 함침시키고 실시예 2에서와 같이 건조시켜 가시적 밀도가 0.530g/cc이고, 산소/질소 선택비가 47.5이며, 산소 용량이 3.22cc/cc인 분자체를 얻는다. 수화된 PEG의 최종 함침량은 가시적 밀도 변화로부터 계산하여 6.0중량%이다. PEG의 실제량은 5.0중량% 미만이다.
[실시예 5]
실시예 2의 단계 1에 기술된 미처리 탄소상 기재 100g을 물 100cc중의 Polyrez 3446 페놀 포름알데히드 수지 1cc용액에 함침시키고, 타올로 건조시키고, 115℃에서 16시간 동안 건조시켜 물을 제거하고 수지를 세팅(setting)한다. 함침된 체의 가시적 밀도는 0.521g/cc이고, 산소/질소 선택비는 24.7이며 산소 용량은 3.14cc/cc이다. 습기 이외에 최종 함침량은 가시적 밀도 변화로부터 계산하여 4.2중량%이고, 실제적인 Polyrez 3446의 양은 2.0중량% 미만이다.
[실시예 6 내지 61]
각종 기재를 표 1에 기재한 여러 종류의 중합체 용액에 함침시켜 탄소 분자체를 제조한다. 용액을 고체로부터 경사 분리시킨다. 처리된 기재를 공기-건조시키고 블로터(blotter)에 넣어 여분의 중합체 용액을 제거한다. 처리된 기재를 100℃의 건조 오븐내에서 12시간동안 건조시켜 재건조시킨다. 함침제의 최종 함침량(g/g 기재)은 함침되지 않은 기재의 샘플과 함침된 기재의 샘플간의 가시적 밀도차에 의해 계산한다. 상기 측정에 있어서 오차 한계는 ±5%이다. 함침량은 수득하기가 힘들며, 몇몇 측정치가 불가능하게도 네가티브한 양이라는 사실로부터 증명되는 바와 같이, 단지 근사치일 뿐이다. 산소 확산계수(DO2), 산소/질소 선택비(DO2/DN2; S) 및 산소용량(O2CAP)을 함침된 기재 및 비함침된 기재 샘플에 대해 측정한다. 결과를 하기 표 1에 요약하였다.
하소화된 코코넛 목탄과 황분말 5중량%의 혼합물을 150℃의 오븐내에서 황이 흡착될때까지 가열하여 실시예 24의 체를 제조한다. 이어서, 실시예 58 내지 61의 체를 370℃에서 15분간 가열하여 중합체성 함침제를 탄화시킨다. 이에 대한 DO2, S 및 O2CAP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
Figure kpo00005
Figure kpo00006
Figure kpo00007
Figure kpo00008
표 1에 대한 주는 다음과 같다 :
(1) Calgon MSC-V : 분자체 탄소, Calgon Carbon Corp.(Pittsburgh, Pa)제품; (2) 과립 코코넛 탄화 : 1,000℃에서 하소화된 12×40메쉬 과립 코코넛 목탄; (3) Calgon PCB : 982℃에서 수시간동안 스팀으로 활성화시킨 3×6메쉬 코코넛 목탄 과립, Calgon Carbon Corp.제품; (4) 역청탄 집적체 : 코우크스 제조용 중간-휘발성 역청탄 93%와 공기중에서 450℃로 가열시킴으로써 산화 및 휘발화시킨 코울타르피치(105℃) 7%의 12×40메쉬 과립 배합 집적체; (5) 하소화된 역청탄 집적체 : 불활성 가스체내에서 760 내지 982℃로 수시간동안 하소화시킨 12×40메쉬 공급물; (6) 코코넛 목탄 집적체 : 전분 10중량%, 피치(105℃) 10중량% 및 코코넛 목탄 80중량%로 이루어진, 코코넛 목탄 집적체로서 800℃에서 30분간 하소화시킨, 가시적 밀도가 0.500g/cc인 1/8in 펠렛; (7) POLYREZ 3446 : 수용성 페놀계 수지, POLYREZ Co.제품; (8) AMSCO 1170 : 비닐 아세테이트 에멀젼 중합체, 고체함량 45%, 점도 200cps, 유리전이온도 33℃, Union Oil Co.제품; (9) UCAR 4580 : 아크릴계 에멀젼 중합체, 고체함량 40%, Union Carbide사 제품; (10) PEG 400 : 폴리에틸렌 글리콜, 분자량 40, Fisher Scientific사 제품; (11) Df 104 : 수용성 실리콘 용액, General Electric사 제품; (12) SR 141 : 수용성 실리콘 용액, General Electric사 제품; (13) A.E.(K-1-S) : 경화속도가 느린 아스팔트 에멀젼, Koppers사 제품; (14) A.E(K-1M) : 경화속도가 느린 아스팔트 에멀젼, Koppers사 제품; (15) POLYREZ 3435 : 수용성 페놀계 수지(POLYREZ 3446보다 분자량이 크다), POLYREZ Co.제품; (16) UCAR 351 : 비닐 아크릴계 라텍스 에멀젼 중합체, 입자크기 0.3마이크론, 고체함량 63%, 유리전이온도 10℃, Union Carbide사 제품; (17) DMDAAC 65% : 디메틸 디알릴 암모늄 클로라이드 중합체, Calgon Carbon Corp.제품; (18) PEG 20,000 : 폴리에틸렌 글리콜, 분자량 20,000, Fisher Scientific사 제품; (19) PEG 4000 : 폴리에틸렌 글리콜, 분자량 4,000, Fisher Scientific사 제품; (20) 메타 실리케이트 : 나트륨 메타-실리케이트, Fisher Scientific사 제품, 물 50g중의 나트륨 메타-실리케이트 10g을 사용.
[실시예 62]
실시예 21의 분자체를 실시예 1의 단계 3에서와 같이 각종 가스의 흡착도에 대해 시험한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
Figure kpo00009
선택된 분리에 대한 선택비는 다음과 같다.
Figure kpo00010
[실시예 63]
실시예 48의 분자체를 실시예 1의 단계 3에서와 같이 각종 가스의 흡착도에 대해 측정한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
Figure kpo00011
선택된 분리비에 대한 선택도는 다음과 같다 :
Figure kpo00012
[실시예 64]
실시예 2의 단계 1에서 기술한 미처리 탄소상 기재 50g을 사이클로헥산 50g중의 DF 1040 15g 용액에 함침시킨다. 여기서, DF 1040은 수용성 실리콘 용액(General Electric사 제품)이다. 함침된 기재를 110℃에서 건조시킨 결과 가시적 밀도가 0.563g/cc이었다. 이 탄소 분자체에 대한 가스 확산 계수를 실시예 1의 단계 3에서처럼 계산한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
Figure kpo00013
선택된 분리에 대한 선택비는 다음과 같다 :
Figure kpo00014

Claims (9)

  1. 증기상 삼투압법으로 측정한 분자량이 400 이상인 유기 중합체, 또는 무기 중합체를, 적어도 0.001중량%(기재의 중량기준)내지 형성된 체가 분자 직경, 분자량 또는 분자 형태가 서로 다른 두 종류 이상의 성분을 함유하는 가스 또는 액체 혼합물을 분리시킬 수 있는 최대 용량으로 함침시킨 탄소상 기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분자체.
  2. 제1항에 있어서, 유기 또는 무기 중합체가 폴리아미드, 폴리우레아, 폴리우레탄, 폴리에스테르, 축합 중합체, 부가중합체, 디엔중합체, 트리엔 중합체, 환상 폴리아미드, 환상 폴리에스테르, 환상 폴리에테르, 실리콘 중합체, 중합화된 포스포니트릴 클로라이드, 황 중합체, 중합화된 황 질화물, 폴리페닐렌 에테르, 가교결합된 폴리에스테르, 페놀 포름알데히드 수지, 에폭시 수지, 폴리에틸렌 글리콜, 아크릴계 에멀젼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 아스팔트 에멀젼 중합체 및 실리케이트 중에서 선택된 분자체.
  3. 제1항에 있어서, 탄소상 기재가 활성탄 및 탄소 분자체 중에서 선택된 분자체.
  4. 제1항에 있어서, 증기상 삼투압법으로 측정한 분자량이 400이상인 유기 중합체, 또는 무기 중합체를 0.001 내지 10.0중량%(기재의 중량기준)의 용량으로 함침시킨 탄소상 기재를 포함하는 분자체.
  5. 증기상 삼투압법으로 측정한 분자량이 400이상인 유기 중합체, 또는 무기 중합체를 적어도 0.001중량%(기재의 중량기준) 내지 형성된 체가 분자 직경, 분자량 또는 분자 형태가 서로 다른 두 종류 이상의 성분을 함유하는 가스 또는 액체 혼합물을 분리시킬 수 있는 최대 용량으로 탄소상 기재에 함침시킴을 특징으로 하여, 분자체를 제조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유기 또는 무기 중합체가 폴리아미드, 폴리우레아, 폴리우레탄, 폴리에스테르, 축합 중합체, 부가중합체, 디엔중합체, 트리엔 중합체, 환상 폴리아미드, 환상 폴리에스테르, 환상 폴리에테르, 실리콘 중합체, 중합화된 포스포니트릴 클로라이드, 황 중합체, 중합화된 황 질화물, 폴리페닐렌 에테르, 가교결합된 폴리에스테르, 페놀 포름알데히드 수지, 에폭시 수지, 폴리에틸렌 글리콜, 아크릴계 에멀젼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 및 아스팔트 에멀젼 중합체 중에서 선택된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탄소상 기재가 활성탄 및 탄소 분자체 중에서 선택된 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삼투압법으로 측정한 분자량이 400이상인 유기 중합체를, 0.001 내지 5.0중량%(기재의 중량기준)의 용량으로 탄소상 기재를 함침시킴을 특징으로 하여, 분자체를 제조하는 방법.
  9. 증기상 삼투압법으로 측정한 분자량이 400이상인 유기 중합체, 또는 무기 중합체를 적어도 0.001중량%(기재의 중량기준) 내지 형성된 체가 분자직경, 분자량 또는 분자 형태가 서로 다른 두 종류 이상의 성분을 함유하는 가스 또는 액체 혼합물을 분리시킬 수 있는 최대 용량으로 함침시킨 탄소상 기재를 포함하는 분자체를 통하여, 분자직경, 분자량 또는 분자 형태가 다른 두 종류 이상의 성분을 함유하는 가스 또는 액체 혼합물을 통과시킴을 특징으로 하여, 상기한 가스 또는 액체 혼합물을 분리하는 방법.
KR1019840001310A 1983-03-16 1984-03-15 탄소 분자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9200001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475796 1983-03-16
US06/475,796 US4528281A (en) 1983-03-16 1983-03-16 Carbon molecular sieves and a process for their preparation and use
US475,796 1983-03-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7822A KR840007822A (ko) 1984-12-11
KR920000148B1 true KR920000148B1 (ko) 1992-01-09

Family

ID=238891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40001310A KR920000148B1 (ko) 1983-03-16 1984-03-15 탄소 분자체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8)

Country Link
US (1) US4528281A (ko)
EP (1) EP0119925B1 (ko)
JP (1) JPS59183828A (ko)
KR (1) KR920000148B1 (ko)
AT (1) ATE40957T1 (ko)
AU (1) AU573576B2 (ko)
CA (1) CA1223860A (ko)
DE (1) DE3476850D1 (ko)
DK (1) DK162197C (ko)
FI (1) FI81022C (ko)
GR (1) GR81843B (ko)
IE (1) IE57038B1 (ko)
IL (1) IL71228A (ko)
NO (1) NO163726C (ko)
NZ (1) NZ207477A (ko)
PH (1) PH19435A (ko)
PT (1) PT78248B (ko)
ZA (1) ZA84191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29476A (en) * 1983-03-16 1986-12-16 Calgon Carbon Corporation Carbon molecular sieves and a process for their preparation and use
US4526887A (en) * 1983-03-16 1985-07-02 Calgon Carbon Corporation Carbon molecular sieves and a process for their preparation and use
JPS60209249A (ja) * 1984-04-02 1985-10-21 Olympus Optical Co Ltd 工業用原料ガスの純化剤,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使用方法
IT1177317B (it) * 1984-11-23 1987-08-26 Pirelli Cavi Spa Riempitivo per cavi e componenti di cavi a fibre ottiche e cavi a fibre ottiche e loro componenti incorporanti tale riempitivo
IT1184428B (it) * 1985-04-12 1987-10-28 Pirelli Cavi Spa Composizione idrogeno assorbente per cavi e elettrici,cavi a fibre ottiche e loro componenti incorporanti detta composizione
US4661411A (en) * 1986-02-25 1987-04-28 The Dow Chemical Company Method for depositing a fluorocarbonsulfonic acid polymer on a support from a solution
US4827950A (en) * 1986-07-28 1989-05-09 R. J. Reynolds Tobacco Company Method for modifying a substrate material for use with smoking articles and product produced thereby
US4745711A (en) * 1986-10-16 1988-05-24 Tremco Incorporated Selectively permeable zeolite adsorbents and sealants made therefrom
US4734273A (en) * 1986-12-29 1988-03-29 Shell Oil Company Process for the selective removal of trace amounts of oxygen from gases
GB8700241D0 (en) * 1987-01-07 1987-02-11 Exxon Chemical Patents Inc Removal of carcinogenic hydrocarbons
DE3723687A1 (de) * 1987-07-17 1989-01-26 Basf Ag Verfahren zum verfestigen der oberflaechen von koernigen adsorbentien
JPH01230414A (ja) * 1987-11-20 1989-09-13 Osaka Gas Co Ltd 活性炭及びその製造方法
US4820318A (en) * 1987-12-24 1989-04-11 Allied-Signal Inc. Removal of organic compounds from gas streams using carbon molecular sieves
US4810266A (en) * 1988-02-25 1989-03-07 Allied-Signal Inc. Carbon dioxide removal using aminated carbon molecular sieves
US4999330A (en) * 1988-03-22 1991-03-12 Universite Du Quebec A Trois-Rivieres High-density adsorbent and method of producing same
JP3052317B2 (ja) * 1989-10-25 2000-06-12 三菱瓦斯化学株式会社 脱酸素剤
JPH0426510A (ja) * 1990-05-18 1992-01-29 Tonen Corp 炭素系粒子、その製造方法及びその用途
US5071820A (en) * 1990-05-25 1991-12-10 Atlanta Gas Light Company Carbonaceous material with high micropore and low macropore volume and process for producing same
FR2664829B1 (fr) * 1990-07-17 1994-06-17 Air Liquide Materiau composite particulaire a matrice carbonee, procede de preparation et application.
US5071450A (en) * 1990-09-14 1991-12-10 Air Products And Chemicals, Inc. Modified carbon molecular sieve adsorbents
US5240474A (en) * 1991-01-23 1993-08-31 Air Products And Chemicals, Inc. Air separation by pressure swing adsorption with a high capacity carbon molecular sieve
DE4117261A1 (de) * 1991-05-27 1992-12-03 Seus Gmbh & Co Systemtechnik K Molekularsieb
US5296293A (en) * 1991-12-23 1994-03-22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Particulate material suitable for the removal of heavy metals
US5269834A (en) * 1992-10-13 1993-12-14 Olin Corporation Process for removal of inert gases from liquid chlorine and system therefor
US5354893A (en) * 1993-07-30 1994-10-11 The University Of Delaware CMS/SiO2 /Al2 O3 catalysts for improved selectivity in the synthesis of amines from methanol and/or dimethyl ether and ammonia
US5447557A (en) * 1994-03-23 1995-09-05 Air Products And Chemicals, Inc. Oxygen selective adsorbents
US6057262A (en) * 1995-05-19 2000-05-02 University Of Kentucky Research Foundation Activated carbon and process for making same
US5726118A (en) * 1995-08-08 1998-03-10 Norit Americas, Inc. Activated carbon for separation of fluids by adsorption and method for its preparation
WO1997047382A1 (en) * 1996-06-14 1997-12-18 Cabot Corporation Modified carbon adsorbents and processes for adsorption using the same
JP3513346B2 (ja) * 1996-12-13 2004-03-31 味の素ゼネラルフーヅ株式会社 アロマ含有ガスの改質方法
US6083439A (en) * 1998-09-25 2000-07-04 Auergesellschaft Gmbh Polymer-bonded material
KR100307692B1 (ko) * 1999-06-02 2001-09-24 윤덕용 구조 규칙성 탄소 분자체 물질, 이의 제조 방법 및 이의 용도
US6306953B1 (en) * 2000-02-16 2001-10-23 General Electric Co. Poly(arylene ether)-polystyrene composition
DE10297150T5 (de) * 2001-08-29 2004-07-29 Nippon Sanso Corp. Adsorbens zum Abtrennen von Stickstoff aus einem gemischten Gas aus Sauerstoff und Stickstoff und Stickstoff-Herstellungsverfahren mit dessen Verwendung
US6991671B2 (en) 2002-12-09 2006-01-31 Advanced Technology Materials, Inc. Rectangular parallelepiped fluid storage and dispensing vessel
US6743278B1 (en) 2002-12-10 2004-06-01 Advanced Technology Materials, Inc. Gas storage and dispensing system with monolithic carbon adsorbent
US7494530B2 (en) * 2002-12-10 2009-02-24 Advanced Technology Materials, Inc. Gas storage and dispensing system with monolithic carbon adsorbent
US8002880B2 (en) 2002-12-10 2011-08-23 Advanced Technology Materials, Inc. Gas storage and dispensing system with monolithic carbon adsorbent
WO2005018802A2 (en) * 2003-08-25 2005-03-03 Cabot Corporation Compositions and chromatography materials for bioseparation
US20060144410A1 (en) * 2004-12-30 2006-07-06 Philip Morris Usa Inc. Surface-modified activated carbon in smoking articles
CN101405069B (zh) * 2006-01-30 2013-04-03 高级技术材料公司 用于流体储存/分配的碳质材料及利用其的装置和方法
US8221524B2 (en) * 2009-10-23 2012-07-17 Guild Associates, Inc. Oxygen removal from contaminated gases
US8679231B2 (en) 2011-01-19 2014-03-25 Advanced Technology Materials, Inc. PVDF pyrolyzate adsorbent and gas storage and dispensing system utilizing same
RU2470858C1 (ru) * 2011-04-27 2012-12-27 Открыт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Электростальское научно-производственное объединение "Неорганика" (ОАО "ЭНПО "Неорганика")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адсорбционно-активного углеродного продукта из текстолита
WO2013181295A1 (en) 2012-05-29 2013-12-05 Advanced Technology Materials, Inc. Carbon adsorbent for hydrogen sulfide removal from gases containing same, and regeneration of adsorbent
SG11201504960QA (en) 2013-01-04 2015-07-30 Akzo Nobel Coatings Int Bv Polyester silicates
US9833735B2 (en) * 2015-03-24 2017-12-05 King Fahd University Of Petroleum And Minerals Method for removal of sulfur-based gas
CA3000216A1 (en) * 2015-09-30 2017-04-06 Dow Global Technologies Llc Carbon molecular sieve adsorbents prepared from activated carbon and useful for propylene-propane separation
CN106047387A (zh) * 2016-06-02 2016-10-26 潘成锋 一种高效环保炭及其制造方法
CN109865313A (zh) * 2017-12-04 2019-06-11 北京市合众创能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去除离子液体中痕量水的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47241A (en) * 1924-08-13 1926-02-15 Johan Nicolaas Adolf Sauer Improvements in the manufacture and use of active carbons
US2008147A (en) * 1934-07-11 1935-07-16 Jacque C Morrell Manufacture of compressed carbonaceous materials and activated carbon
US2761822A (en) * 1952-05-13 1956-09-04 Exxon Research Engineering Co Finishing treatment for activated carbon
FR1263302A (fr) * 1960-04-26 1961-06-09 Magyar Asvanyolaj Es Foeldgaz Procédé de séparation des impuretés de point d'ébullition élevé contenues dans des mélanges gazeux légers industriels
US3325402A (en) * 1964-01-17 1967-06-13 Erskine Archibald Mortimer Adsorption complexes of activated carbon with insoluble antimicrobial compounds
US3396122A (en) * 1964-11-17 1968-08-06 Auergesellschaft Gmbh Sulfur dioxide absorbent
US3442819A (en) * 1965-03-26 1969-05-06 Mount Sinai Hospital Research Molecular sieve coated particulate adsorbent and processes using same
US4051098A (en) * 1970-04-02 1977-09-27 Sumitomo Durez Company, Ltd. Method of preparing shaped active carbon
US3813347A (en) * 1970-10-05 1974-05-28 Universal Oil Prod Co Manufacture of adsorbent composite
DE2305435C3 (de) * 1973-02-03 1979-08-09 Bergwerksverband Gmbh, 4300 Essen Kohlenstoffhaltige Molekularsiebe
JPS53752B2 (ko) * 1973-03-19 1978-01-11
GB1478971A (en) * 1973-07-05 1977-07-06 Univ Strathclyde Solute-adsorptive material
US4076892A (en) * 1973-07-26 1978-02-28 T. J. Smith & Nephew Limited Treatment of particulate carbon
JPS5651020B2 (ko) * 1974-04-01 1981-12-02
US4029600A (en) * 1975-03-19 1977-06-14 American Cyanamid Company Carbon particulates with controlled density
US4171283A (en) * 1976-08-04 1979-10-16 Kuraray Co., Ltd. Hemoperfusion adsorbents
US4124531A (en) * 1977-01-03 1978-11-07 Uop Inc. Catalytic composite for the treatment of sour petroleum distillates
JPS5498095A (en) * 1978-01-18 1979-08-02 Kuraray Co Adsorptive blood purifier
JPS54105897A (en) * 1978-02-06 1979-08-20 Kureha Chemical Ind Co Ltd Adsorber for artificial organ
JPS5626972A (en) * 1979-08-13 1981-03-16 Mitsubishi Rayon Co Ltd Oil-containing waste water-treating material comprising modified active carbon
GB2063228B (en) * 1979-11-12 1983-05-18 Vnii Ispytatel Med Tech Process for producing carbonaceous sorb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NZ207477A (en) 1986-10-08
DK162197C (da) 1992-02-17
US4528281A (en) 1985-07-09
GR81843B (ko) 1984-12-12
PT78248B (en) 1986-08-08
PH19435A (en) 1986-04-15
DK162197B (da) 1991-09-30
EP0119925A3 (en) 1985-05-15
CA1223860A (en) 1987-07-07
FI81022B (fi) 1990-05-31
FI841054A0 (fi) 1984-03-15
DK134484D0 (da) 1984-02-29
ATE40957T1 (de) 1989-03-15
DK134484A (da) 1984-09-17
NO841003L (no) 1984-09-17
IL71228A (en) 1987-03-31
DE3476850D1 (en) 1989-04-06
IE840649L (en) 1984-09-16
NO163726C (no) 1990-07-11
AU2566484A (en) 1984-09-20
KR840007822A (ko) 1984-12-11
AU573576B2 (en) 1988-06-16
NO163726B (no) 1990-04-02
IL71228A0 (en) 1984-06-29
FI841054A (fi) 1984-09-17
EP0119925B1 (en) 1989-03-01
JPS59183828A (ja) 1984-10-19
FI81022C (fi) 1990-09-10
ZA841919B (en) 1985-11-27
JPH0148818B2 (ko) 1989-10-20
PT78248A (en) 1984-04-01
EP0119925A2 (en) 1984-09-26
IE57038B1 (en) 1992-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0148B1 (ko) 탄소 분자체 및 이의 제조방법
US4629476A (en) Carbon molecular sieves and a process for their preparation and use
Liu et al. Synthesis of porous polymer based solid amine adsorbent: effect of pore size and amine loading on CO2 adsorption
CA2936922C (en) Method to provide pipeline quality natural gas
US9976091B2 (en) Sequential removal of NGLs from a natural gas stream
US20170368494A1 (en) Separation of hydrocarbons using regenerable macroporous alkylene-bridged adsorbent
US10011796B2 (en) Method for extracting natural gas liquids from natural gas using an adsorbent media comprising a cross-linked macroporous polymer
CA2936627A1 (en) Process for recovering natural gas liquids from natural gas produced in remote locations
US20170066987A1 (en) Improved adsorption process for recovering condensable components from a gas stream
CA2936353C (en) Methane-rich natural gas supply for stationary combustion systems
Jeřábek et al. Post-crosslinked polymer adsorbents and their properties for separation of furfural from aqueous solutions
US20160122671A1 (en) Method for extracting natural gas liquids from natural gas using an adsorbent media comprising a partially pyrolized macroporous polymer
CA2919125A1 (en) Method comprising a microwave heating system for regenerating adsorbent media used for extracting natural gas liquids from natural gas
US20170066988A1 (en) Co-current regeneration process for adsorption media used for recovering condensable components from a gas stream
Surinova et al. Properties of carbon molecular sieves based on co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