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10118B1 - 직류전원을 이용한 브라운관 소자회로 - Google Patents

직류전원을 이용한 브라운관 소자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10118B1
KR910010118B1 KR1019890003737A KR890003737A KR910010118B1 KR 910010118 B1 KR910010118 B1 KR 910010118B1 KR 1019890003737 A KR1019890003737 A KR 1019890003737A KR 890003737 A KR890003737 A KR 890003737A KR 910010118 B1 KR910010118 B1 KR 9100101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igger pulse
resistor
coil
control means
drive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037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5556A (ko
Inventor
오창석
Original Assignee
삼성전관 주식회사
김정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관 주식회사, 김정배 filed Critical 삼성전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8900037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10118B1/ko
Publication of KR9000155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55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101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01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16Picture reproducers using cathode ray tubes
    • H04N9/29Picture reproducers using cathode ray tubes using demagnetisation or compensation of external magnetic fiel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Video Image Reproduction Devices For Color Tv Syste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직류전원을 이용한 브라운관 소자회로
제1도는 AC전원을 이용한 종래의 브라운관 소자회로를 보인 도면.
제2도는 브라운관의 소자회로에 있어서 소자코일에 흐르는 전류파형을 도시한 도면.
제3도는 본 발명 소자회로의 구성을 보인 블럭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인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자동 트리거 펄스 발생수단 20 : 원격 트리거 펄스 발생수단
30 : 제1스위칭 수단 40 : 제2스위칭 수단
50 : 소자코일 구동제어 수단 60 : 소자코일
본 발명은 브라운관에 있어서의 소자(消磁)회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DC전원을 이용하여 브라운관의 새도우 마스크나 브라운관을 고정시키고 있는 쇠붙이의 자기를 소개하여 전자비임이 미스 랜딩되는 것을 방지하는 소자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텔레비젼이나 모니터에서 브라운관에 전자비임이 투사되는 상태에서 전원을 차단한 후 다시 전원을 투입하면 전기한 쇠붙이가 자화되어 있기 때문에 전자총에서 발산된 전자비임이 소정의 형광면에 투사되지 않고 다른 형광면에 투사되는 미스 랜딩이 발생하는데, 이를 보정하기 위한 것이 바로 소자 회로이다.
소자회로는 브라운관의 패널(Panel)주위에 소자 코일(demagnetizing coil)을 감아 이 코일에 일정한 전류를 흘려 자계를 발생시켜 쇠붙이의 자기를 소거하는 것으로서, 이는 전원을 투입 했을때 순간적으로 동작하고 멈춘다.
상기한 소자회로는 AC전원을 사용한 것으로서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데, 이 회로는 AC전원을 투입 하였을때 포지스터(posistor) 저항(R2)을 통하여 소자코일(60)에 순간 큰 전류가 흐르고 포지스터 저항(R1)에는 적은 전류(R1>R2)가 흐른다.
여기서 저항(R1)(R2)는 포지스터(posistor)이므로 전류가 흐르면서 저항값이 급격하게 높아져 수초가 지난 후에는 수백 ㏀이 됨으로 소자코일(60)에는 제2도에 도시된 전류가 흘러 소기의 목적을 달성한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소자회로는 반드시 AC전원을 사용하는바, 예컨대 AC전원을 사용하지 않는 휴대용 텔레비젼이나 계측기 등에는 사용할 수가 없는 결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창출한 것으로서, 휴대용 텔레비젼이나 계측기등에 사용되는 DC전압을 이용한 소자회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제3도에 도시된 소자회로의 블럭도에 의해서 달성된다. 이 회로는 전자총에서 발산되는 전자비임의 미스콘버젼스를 보정하도록 브라운관의 패널 주변에 설치되어 자기를 소거하는 소자코일에 접속되고, 상기 소자코일에 일정한 전류를 흘려 자계를 발생하도록 제어하는 소자코일 구동제어 수단과, DC전원이 투입될때 자동으로 트리거 펄스를 발생하는 자동트리거 펄스 발생수단(10)과, DC전원이 투입된 정상상태에서 원격제어로 소자코일에 일정한 전류가 흐르도록 트리거 펄스를 발생하는 원격 트리거 펄스 발생수단과, 상기 자동 트리거 펄스 발생수단에서 트리거 펄스가 인가될때 일정시간 동안 소자코일 구동제어 수단을 구동시키는 제1스위칭 수단과, 상기 원격 트리거 펄스 발생수단에서 트리거 펄스가 인가될때 일정시간동안 소자코일 구동제어 수단을 구동시키는 제2스위칭 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 브라운관 소자회로는 소자코일에 흐르는 일정 전류를 DC전원을 이용할 수 있고, 전원 투입시 자동으로 소자코일 구동을 제어하며, 전원투입 상태에서 원격으로 소자코일을 구동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채용된 일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는 DC전원을 사용하는 텔레비젼이나 계측기등에 채용한 소자회로로서, 그 모식도가 제4도에 도시되어 있다.
즉, 자동 트리거 펄스 발생수단(10)은 DC 12V 전원공급단과 접지단사이에 콘덴서(C1) 및 저항(R1)을 직렬로 연결하고, 그 연결점과 후술하는 다이리스터(SCR1)의 게이트 단자 사이에 저항(R2)과 다이오드(D1)를 연결하여 구성한다.
원격 트리거 펄스 발생수단(20)은 DC 12V 전원공급단과 후술하는 다이리스터(SCR2)의 게이트 단자사이에 스위치(SW)와 저항(R6)을 연결하여 구성한다.
제1스위칭 수단(30)은 DC 12V 전원공급단과 접지단 사이에 콘덴서(C2) 및 저항(R3)과 다이리스터(SCR1), 저항(R4)를 직렬로 연결하고, 다이리스터(SCR1)의 게이트 단자에는 자동 트리거 펄스 발생수단(10)에서 출력되는 트리거 펄스가 인가되도록 구성한다.
제2스위칭 수단(40)은 DC 12V 전원공급단과 후술하는 트랜지스터(Q1)에 베이스 단자 사이에 다이리스터(SCR1) 및 포지스터 저항(R5)을 연결하고, 상기 다이리스터(SCR2)의 게이트 단자에는 원격 트리거 펄스 발생수단(20)에서 출력되는 트리거 펄스가 인가되도록 구성한다.
소자코일 구동제어 수단(50)은 상기한 제1,2 스위칭 수단(30)(40)이 각각 ″온″될때“온”되고, ″오프″될때“오프”되는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단자와 소자코일(60)사이에 콘덴서(C3)를 개재하고, 이 트랜지스터(Q1)와 콘덴서(C3)의 연결점에 저항(R7)의 일측으로 연결하여 100V 전압이 인가되도록 구성한다.
본 실시예의 소자회로는 기술한 구성하에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제4도에서 DC 12V 전원을 투입하면 자동 트리거 펄스 발생수단(10)인 콘덴서(C1)와 저항(R1)으로된 미분회로에서 트리거 펄스가 발생하여 저항(R2)과 다이오드(D1)를 통해 제1스위칭 수단(30)인 다이리스터(SCR1)의 게이트 단자에 인가되는바, 다이리스터(SCR1)가 ″온″되면서 DC 12V 전원은 콘덴서(C2) 및 저항(R3)(R4)이 통하게 된다. 따라서 저항(R4)의 양단에는 일정한 전압이 발생되는데, 이 전압은 소자코일 구동제어 수단(50)으로 사용된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 바이어스 전압이 되어 트랜지스터(Q1)를 ″온″시킨다. 이와같이 트랜지스터(Q1)가 ″온″되면 콘덴서(C3)와 소자코일(60) 및 트랜지스터(Q1)가 폐회로가 형성되기 때문에 저항(R7)을 통해 인가되는 100V 전압에 의해서 소자코일(60)에 큰 전류가 흐른다. 소자코일(60)에 전류가 흐르는 순간부터 콘덴서(C3)에는 점차로 전하가 충전되어 소자코일(60)에 흐르는 전류는 감소하며 완전히 충전이 끝나면 소자코일(60)에 역기전력이 발생하므로 소자코일(60)과 콘덴서(C3)에서 댐핑현상(진동현상)이 일어나 제2도에 도시된 파형과 같은 전류가 소자코일(60)에 흐른다.
한편 제1스위칭 수단(30)으로 사용된 다이리스터(SCR1)는 콘덴서(C2)가 충전될때까지 ″온″되다가 유지전류(Holding Current)이하가 되는 순간 다이리스터(SCR)는 ″오프″되어 트랜지스터(Q1)도 ″오프″된다. 따라서 정상상태가 되면 저항(R7)을 통하여 콘덴서(C3)에 100V 전압이 충전되게 되며 소자코일(60)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게된다.
정상상태에서 소자할 필요가 있을시 원격 트리거 펄스 발생수단(20)으로 사용된 스위치(SW)를 ″온″시키면 DC 12V 전원이 저항(R6)을 통하여 제2스위칭 수단(40)으로 사용된 다이리스터(SCR2)의 게이트 단자에 트리거 펄스가 인가되어 ″온″되는바, 포지스터 저항(R5)과 접지단에 연결된 저항(R4)에 의해 트랜지스터(Q1)가 ″온″된다.
따라서 콘덴서(C3)에 충전된 100V 전압이 트랜지스터(Q1)와 소자코일(60)을 통하여 방전하면서 제2도에 도시된 파형과 같은 전류를 발생시킨다. 이와 동시에 포지스터 저항(R5)은 점차로 증가하여 무한대가 되므로 다이리스터(SCR2)는 ″오프″되어 트랜지스터(Q1)가 ″오프″된다.
상기에서 원격 트리거 펄스 발생수단(20)으로 사용된 스위치(SW)은 순간적으로 ″온″되고 다시 ″오프″되어야 하는데, 이는 저항(R6)에 DC 12V 전원이 계속 인가되면 다이리스터(SCR2)의 게이트 전류가 계속적으로 흐르는 상태가 되어 포지스터 저항(R5)값은 매우 높은 상태(무한대)를 유지하게 되므로 필요시 원격 제어 할수 없게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사용된 스위치(SW)는 원격제어 신호에 의해서 순간 ″온″되었다가 ″오프″되는 작동을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이점이 있다.
DC전원을 사용하는 휴대용 텔레비젼이나 계측기등의 브라운관을 소자시켜 전자비임이 미스 랜딩되는 것을 방지하며, 정상상태에서 필요시 원격제어로 브라운관을 소자 시킬수 있어 AC 전원을 사용했던 소자회로와 동일한 효과를 기대한다.

Claims (4)

  1. 전자총에서 발산되는 전자비임의 미스콘버젼스를 보정하도록 브라운관의 패널 주변에 설치되어 자기를 소거하는 소자코일(60)에 접속되고, 상기 소자코일(60)에 일정한 전류를 흘려 자계를 발생하도록 제어하는 소자코일 구동제어 수단(50)과, DC전원이 투입될때 자동으로 트리거 펄스를 발생하는 자동트리거 펄스 발생수단(10)과, DC전원이 투입된 정상상태에서 원격제어로 소자코일에 일정한 전류가 흐르도록 트리거 펄스를 발생하는 원격 트리거 펄스 발생수단(20)과, 상기 자동트리거 펄스 발생수단(10)에서 트리거 펄스가 인가될 때 일정시간동안 소자코일 구동제어 수단(50)을 구동시키는 제1스위칭 수단(30)과, 상기 원격 트리거 펄스 발생수단(20)에서 트리거 펄스가 인가될때 일정시간동안 소자코일 구동제어 수단(50)을 구동시키는 제2스위칭 수단(40)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직류 전원을 이용한 브라운관 소자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위칭 수단(30)은 DC 12V 전원 공급단과 접지단 사이에 콘덴서(C2) 및 저항(R3)과 다이리스터(SCR1),저항(R4)을 직렬로 연결하고, 상기 다이리스터(SCR1)의 게이트 단자에는자동트리거 펄스 발생수단(10)에서 출력되는 트리거 펄스가 인가되게 연결함을 특징으로 하는 소자회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스위칭수단(40)은 DC 12V 전원 공급단과 소자코일 구동제어 수단(50)의 입력된 사이에 다이리스터(SCR2) 및 포지스터 저항(R5)을 연결하되, 상기 다이리스터(SCR2)의 게이트 단자에는 원격 펄스 발생부(20) 출력이 인가되도록 연결함을 특징으로 하는 소자회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자코일 구동제어 수단(50)은 제1,2스위칭 수단(30)(40)에서 출력되는 신호가 베이스 단자에 인가되는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 단자와 소자코일(60) 사이에 콘덴서(C3)를 개재하고, 이 트랜지스터(Q1)와 콘덴서(C3)의 연결점에 저항(R7)의 일측을 연결하여 100V 전압이 인가되도록 연결함을 특징으로 하는 소자회로.
KR1019890003737A 1989-03-24 1989-03-24 직류전원을 이용한 브라운관 소자회로 KR9100101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90003737A KR910010118B1 (ko) 1989-03-24 1989-03-24 직류전원을 이용한 브라운관 소자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90003737A KR910010118B1 (ko) 1989-03-24 1989-03-24 직류전원을 이용한 브라운관 소자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5556A KR900015556A (ko) 1990-10-27
KR910010118B1 true KR910010118B1 (ko) 1991-12-16

Family

ID=192847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03737A KR910010118B1 (ko) 1989-03-24 1989-03-24 직류전원을 이용한 브라운관 소자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1011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5556A (ko) 1990-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567584B2 (ja) 消磁装置
US4535270A (en) Resonant degaussing without residual magnetism
US4488181A (en) Electron beam suppression circuit for a television receiver
US5241448A (en) Demagnetizing circuit for a color picture tube
KR910010118B1 (ko) 직류전원을 이용한 브라운관 소자회로
KR870000049B1 (ko) 자동차용 텔레비젼의 전원공급회로
US4737853A (en) Suppression circuit for video
US5825131A (en) Tilt compensation circuit for picture tubes
US4599673A (en) Degaussing system arrangements
US5510682A (en) Magnetism-erasing circuit for use in cathode ray tubes using a D-C power supply
KR920001852B1 (ko) 직류 소자 회로
US3883780A (en) Cathode-ray tube driving system
KR920002658Y1 (ko) 직류 소자회로
GB1164786A (en) Degaussing Circuit
KR920001482Y1 (ko) 직류전원을 이용한 소자회로
KR200157479Y1 (ko) 유해파 방지를 위한 디가우싱 코일 구동장치
KR920008657B1 (ko) 브라운관 소자회로
EP0533140A1 (en) Degaussing circuit with delayed generation of a vertical deflection
JPS6360593B2 (ko)
KR930004491Y1 (ko) 재소자(degaussing) 선택회로
US4419608A (en) Horizontal deflection circuit
EP0092954A1 (en) Electron beam suppression circuit for a television display system
KR0115268Y1 (ko) 스위치소자회로
JPH07121127B2 (ja) 地磁気キャンセル回路
KR800000845B1 (ko) 음극선관의 선편향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112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