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10117B1 - 화상신호의 대역 압축처리장치 - Google Patents

화상신호의 대역 압축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10117B1
KR910010117B1 KR1019850001485A KR850001485A KR910010117B1 KR 910010117 B1 KR910010117 B1 KR 910010117B1 KR 1019850001485 A KR1019850001485 A KR 1019850001485A KR 850001485 A KR850001485 A KR 850001485A KR 910010117 B1 KR910010117 B1 KR 9100101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ion vector
signal
image signal
memory
sel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500014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6812A (ko
Inventor
기이찌 마쓰다
도시다까 쓰다
도시히로 홈마
히로시 후꾸다
다께시 오가자끼
신 이찌 마끼
Original Assignee
후지쑤 가부시끼가이샤
야마모도 다꾸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쑤 가부시끼가이샤, 야마모도 다꾸마 filed Critical 후지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500068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68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101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01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41Bandwidth or redundancy redu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characterised by implementation details or hardware specially adapted for video compression or decompression, e.g. dedicated software implementation
    • H04N19/43Hardware specially adapted for motion estimation or compens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20Analysis of motion
    • G06T7/223Analysis of motion using block-match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40Picture signal 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34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criterion affecting or controlling the adaptive coding
    • H04N19/146Data rate or code amount at the encoder output
    • H04N19/152Data rate or code amount at the encoder output by measuring the fullness of the transmission buff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5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5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 H04N19/503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involving temporal prediction
    • H04N19/51Motion estimation or motion compens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10Image acquisition modality
    • G06T2207/10016Video; Image seque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 Color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화상신호의 대역 압축처리장치
제1a도는 종래의 이동보상 부호화(encoding)시스템 블록도.
제1b도와 (c)는 제1a도의 시스템에 의하여 들어오는 화상이 부호화되지 않았을 때 이동벡터검출에 필요한 범위와 연속적인 화상 사이의 대상의 이동을 도시한 도.
제1d도는 제1a도의 양자화회로 3의 입출력 특성.
제1e도는 제1a도의 가변 지연회로의 블록도.
제1f도는 화상 블록의 이동과 메모리회로 612,613,614, 제1e도의 어드레스 X와 Y사이의 관계에 대한 예시도.
제2a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블록도.
제2b도는 제2a도의 제어회로의 블록도.
제2c도와 (d)는 연속적인 화상 사이 대상의 이동과 이동벡터의 계산을 도시한 도.
제3도는 화면 선택(comb-out)처리시, 제2a도의 선택기 8에 인가된 예측오차 신호를 "0"으로 만들기 위한 예시도.
제4도는 제2a도의 선택기 8의 상세도.
제5도는 제2a도의 선택기 9의 블록도.
제6도는 제2a도의 이동벡터 검출기 1의 블록도.
제7도는 제6도의 최적벡터 검출기 25의 블록도.
제8도는 제6도의 이동 측정회로 24의 블록도.
제9a도는 제6도의 기준블록 발생기 23의 블록도.
제9b도는 제9a도의 메모리회로 46의 블록도.
본 발명은 이동 보상 부호와 시스템에 의해서 화상신호의 대역 압축처리를 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화면 선택 처리되는 화상(comb-out)신호에 대해 이동 보상 부호화를 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동 보상 부호화 시스템에서, 화상신호는 각 블록의 이동량과 방향을 나타내는 이동벡터에 의해서 전달된다. 이동벡터는 블록의 프레임들(frame)(또는 필드)사이의 차이가 최소가 되는 최적 위치를 검출하는 것에 의해 얻어진다. 블록은 화상 신호의 각 프레임을 분할함으로써 얻어지며, 시간축에서의 현재, 앞의 그리고 다음의 블록들의 차이는 이동 벡터에 의하여 서로 연관되어 있다. 이와같은 부호화 시스템은 특히 움직이는 화상에서 한 화상의 화소와 다음 화상의 화소를 비교하여 단지 차이만을 보내는 것에 의해 화상정보를 효과적으로 압축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갖고 있다. 이 장점은 대역 압축을 사용하는 프레임간 차분 부호화 방식(Interframe Difference Encoding System)과 비교할 때 특히 명백해진다.
제1a도는 종래 기술의 이동 보상 부호화 장치의 블록도이며, 제1b도는 그러한 장치에 의한 화면내에서의 이동과 부호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제1a도에서, 화상신호 블록은 프레임 메모리 5내에 저장된 이전의 신호와 비교하기 위하여 이동벡터 검출기 1에 인가되어져서 화상 이동의 양과 방향 검출을 통하여 이동벡터 Vopt를 발생한다. 동시에, 화상신호는 지연회로 100을 경유하여 감산기 2에 인가되며, 차분은 가변 지연회로 6으로부터 보내진 예상치의 감산에 의해 발생되다. 이 차분은 양자화회로 3에 의하여 양자화되어 버퍼 7을 통하여 출력되는 예측 오차신호를 발생시킨다. 차분신호를 양자화시키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각 화상신호 사이의 차분신호를 전달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넓은 대역폭이 필요하게 되는데, 필요한 대역폭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차분 신호가 양자화되어 전달된다. 제1d도에서 보여진 것과 같이, 차분 신호를 압축시킬 때, 일반적으로 차분신호의 절대값이 작으면 세밀한 양자화가 필요하고, 차분신호의 절대값이 클때는 개략적인 양자화가 필요하다. 예측 오차가 디코우더 9에 의해 재생되어 가산기 4에 인가되며, 디코우드된 화상신호는 가변 지연회로 6으로부터 보내진 예측치와 예측오차를 가산함으로써 발생된다. 다음 디코우드된 신호는 프레임 메모리 5안에서 한 프레임 동안 지연되고, 그것에 의하여 앞의 프레임에 대한 디코우드된 화상신호가 재생된다. 가변 지연회로 6은 이동 벡터 Vopt에 의하여 변화하는 지연에 따라 프레임 메모리 5로부터 보내진 예상치들의 입력 화상신호에서 최소 차분을 갖는 예상치를 출력한다.
제1e도는 가변 지연회로 6의 블록도이며, 제1f도는 가변 지연회로의 메모리 어드레스와 그 출력 데이터 사이의 상관관계를 표시한 것이다. 예를들어, 화상 블록의 크기가 3×3이라면, 이동벡터의 범위는 수직과 수평방향으로 -6… +6의 사이에 있다. 프레임 메모리 5로부터의 데이터는 플립플롭(FF)603에 인가되며, FF603의 출력은 FF602에 인가되고, 마찬가지로 FF602의 출력은 FF601에 인가된다. 결국, 수직방향의 데이타(이 경우 데이타의 3항목)는 FF604,605,606에 기록되고, 출력 제어신호는 FF604,605,606에 인에이블되도록 인가되며, 각 데이타 항목은 메모리 612,613,614에 가해진다. 카운터618이 메모리 어드레스 X를 카운트하고 카운터 617이 메모리 어드레스 Y를 카운트할 때(제1f도를 볼 것), 카운터 619는 화상 1내지 3의 블록(제1f도참조)내의 수직선의 수를 카운트한다.
이 카운터들은 TTL IC S163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카운터 619는 데이타 항목 DHEX, EHEX, FHEX를 카운트한다. 카운터 618은 화상신호에 대한 수평 데이타 항목의 수를 카운트하고, 예를 들어 수평 데이타 항목의 수가 455라 하면, E39…,FFFHEX를 카운트한다. 같은 방법으로 카운터 617은 B…FHEX데이타 항목을 카운트 한다. 카운터 619의 출력신호가 될 때, FF604,FF605,FF606은 NAND 회로 621로부터 출력제어신호(OC)를 거기에 인가한다. 동시에 메모리 612,613,614는 NAND회로 621로부터 쓰기신호(WE)를 거기에 인가한다.
FF625,FF626, 인버터 627과 NAND회로 628은 동기신호를 미분하며, 한 클럭 주기를 갖는 펄스신호를 출력한다. 그러므로, 이 회로들의 출력이 동기화 되었을 때, NAND회로 628의 출력은 "0"이 되며 카운터 617,618,619의 부하단자(LD)에 제공된다. 다음, 선택기 629,630,631은 카운터 617,618,619에 의해 동기하기 위한 소정의 값의 신호를 출력한다. NAND회로 628로부터 동기신호가 공급되지 않는 동안, 카운터 617,618,619에 선택기 629,630,631로부터 BHEX,E39HEX,DHEX신호가 각각 가해지고, 인버터 632,634,636과 AND 게이트 633,635,637을 통해 리플 캐리(ripple carry)신호 RC에 의해 프리셋(preset)되어진다.
카운터 618의 출력신호는 가산기 620에서 AND회로 622의 출력신호에 더해지며, 어드레스 X신호로서 FF611을 경유하여 메모리 회로 612,613,614에 인가된다. 메모리 회로 612,613,614에 대한 기록 주기동안, AND회로 622의 입력신호중의 하나가 "0"으로 된다. 그러므로 FF610으로부터의 이동벡터의 벡터 H신호는 가산기 620에 인가되지 않는다. 메모리 회로 612,613,614의 재생 주기동안, NAND회로 621의 출력은 "1"이 되며, 카운터 618의 출력신호는 이동벡터의 벡터 H에 인가된다. 그러므로, 어드레스 X는 벡터H에 의해 대치된다.
카운터 617과 AND회로 623의 출력신호는 FF611을 경유하여 어드레스 Y신호를 메모리 회로 612,613,614에 제공하는 ROM615에 인가한다. 메모리 회로 612,613,614에 대한 기록주기 동안, AND회로 623에 대한 입력신호중의 하나가 "0"이되어, AND회로 623의 출력신호는 "0"이 되고, ROM 615는 카운터 617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어드레스 Y를 출력한다. 메모리 회로 612,613,614에 대한 재생 주기동안, NAND회로 621의 출력신호는 "1'이 되며, AND회로 623은 FF610으로부터의 신호 벡터
Figure kpo00002
를 출력한다. 그리고 나서 ROM615의 출력신호와 어드레스 Y는 백터
Figure kpo00003
에 따라 변한다.
어드레스 X 및 Y에 따라 읽혀지는 메모리 회로 612,613,614의 출력신호는 FF607,FF608,FF609에 래치(latch)된다. FF607,FF608,FF609에 대한 클럭신호는 FF601,602,603,604,605,606,610,611에 대한 클럭신호에 비해 2클럭 펄스가 지연된다. 카운터 617,618,619와 FF607,FF608,FF609에 대한 클럭신호는 FF604,FF605,FF606에 대한 OC(출력제어) 신호와 메모리 회로 612,613,614에 대한 WF(쓰기)신호를 동기화시킨다. 데이타 신호는 FF607,FF608,FF609에 래치되며, 예상 신호로서 ROM616으로부터의 OC신호에 따라 출력된다. 제1a도에서 표시한 바와같이,이 예상신호는 차분을 발생시키기 위해서 감산회로 2에서 화상신호로부터 감산된다. 그러므로 제어주기 이내에 최소 예측오차를 제공하는 이동벡터는 출력되기 전에 예측 오차와 함께 다중화된다.
제1b도는 시간 t의 경과에 대한 대상의 이동을 표시한 것이다. 수직선,ⅰ,ⅱ,ⅲ,ⅳ…는 계속되는 화상을 나타내며, 부호화의 대상부분이 각화상에 대해 화살표로 표시한 바와같이 순차적으로 위치를 변화시키고 있음을 표시하고 있다. 제1a도의 엔코오더에서, 부호와 처리는 각 화상마다에 이동벡터와의 차이를 발생시키기 위하여 실행된다.
제1a도에 표시된 엔코더에서, 예측오차 신호가 버퍼 7에 기억되며, 전송경로의 속도에 대응하여 독출된다. 그러나 화상정보의 발생량이 많아져서 버퍼가 오버 플로우될 가능성이 생겼을 때, 엔코더는 프레임중의 일부의 프레임에 대해서는 부호화 처리를 하지 않고, 따라서 부호화된 출력을 발생하지 않는 소위 화면선택(comb-out)처리를 한다.
이와같은 화면선택 처리가 실행될 때, 부호화 처리가 행하여진 화상과 다음에 부호화가 행하여지는 화상과의 사이에서는 한화면마다에 부호화가 행하여진 경우보다 화면의 이동이 크게 된다. 그러므로, 예를들어 화면산택 처리가 제1a도에 나타낸 엔코더에 의하여 실행될 때, 만약 부호화 처리가 화상 ⅰ들부터 화상 ⅳ로 뛰어넘으면, 화상 ⅳ에서 최적의 위치를 구하여서 이동벡터 검출을 행하는 범위는 제1c도의 A로 표시한 바와같이, 화상에서 화상으로 부호화를 행할때의 최적의 위치를 구하는 범위 a보다 훨씬 더 크게 된다.
제1a도의 장치에서, 이동벡터의 검출범위가 넓은 것은 비교부의 회로 규모가 크게 되는 결과가 되서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앞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종래 기술의 이동보상 부호화가 시스템은 화면선택 처리의 실행을 시도 할 때, 장치의 크기가 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보상부호 시행될 때 화면선택 처리로 인하여 부호화 화상 사이의 간격이 변화하는 경우, 이동벡터 검출에 필요한 범위가 확대되지 않고 따라서 회로 크기의 확대를 방지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해서, 입력 화상신호와 예상치 사이의 차분으로부터 예측오차 신호를 발생하는 예측오차 신호발생기와, 입력화상의 기준블록과 전화상의 비교블록 사이를 비교하여 이동벡터를 발생시키는 이동벡터 발생기와, 이동벡터 발생기에 연결되며, 화면선택 처리동작 중 이동벡터를 축적하기 위해 이동벡터의 초기값을 갱신하는 갱신 장치를 포함하는 화상신호의 대역압축 처리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이동벡터의 축적시에 화상신호는 재순환되어서 화면선택 처리의 마지막 단계에서 발생되는 이동벡터의 범위가 요구되는 범위를 초과하지 않는다.
다른 목적 및 장점들과 함께, 구체적인 구성과 작동을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자세히 언급하였고, 청구되었으며, 같은 번호는 같은 부분을 나타낸다.
제2a도는 본 발명의 이동 보상 엔코더의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으며, 제2c도와 (d)는 본 발명의 부호화 동작중 화상 대상의 이동을 나타내고 있다.
제2a도에서 제어회로 10은 버퍼 7의 과부하 상태를 감시하고 과부하가 일어났을 때 선택기 8을 양자화회로 3에 접속하고, 선택기 9는 가변 지연회로 6에 접속하고 선택기 12를 "0"입력측으로 접속한다. 제2a도에 보인 회로의 동작은 오버플로우 현상이 나타나지 않을 때 제1a도에 대하여 설명한 바와 같다.
제2b도는 제어회로 10의 블록도를 나타내고 있다. 제어회로는 버퍼 7의 오버플로우 상태를 검출하며 제어신호를 선택기 8,9,12 및 양자화 회로 3에 출력한다. 먼저, 제어회로 10은 한 주기의 부호화 처리에 의해 발생되는 정보값(BOC)을 버퍼 7로부터 래치회로 101안에 래치한다. 다음, 정보값(BOC)은 다운 카운터 102로 된다. 다운카운터 102는 전송 출력을 사용하여 카운트한다. 다운 카운터 102는 전송 클록을 사용하여 카운트한다. 다운 카운터 102의 출력은 비교기 103에 의하여 임계치 발생기 104로부터의 소정의 임계치와 비교된다. 임계치는 한 프레임 시간내에 전송될 수 있는 데이타 비트의 수 또는 값과 연관되어 있다. 만약 다운 카운터 102의 출력신호가 임계치 보다 작게 되면, 비교기 103은 제어신호 "1"을 출력한다. 제어신호는 FF105에 의하여 동기화되어서, 선택기 8,9,12와 양자화 회로 3에 보내진다.
제어회로 10으로부터의 제어신호 "0"은 선택기 8이 "0"레벨의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프레임 메모리 5에 선택기 9를 접속하고, 선택기 12를 이동벡터 검출기 1에 접속한다. 이 조건에서, 화면선택 처리가 가능하다. 이 상태에서는 부호화가 실시되지 않으므로, 부호화 출력은 발생되지 않으며, 앞선 화상정보가 프레임 메모리 5를 통하여 순환하게 된다. 이때, 이동벡터 검출기 1은 들어온 화상신호와 프레임 메모리 5로부터의 화상신호를 비교하고, 이동량과 방향을 검출함으로써 이동벡터 Vopt가 발생되며, 벡터 Vopt는 선택기 12를 통하여 메모리 11에 저장된다.
다음 화상신호가 입력되었을 때, 이동벡터 검출기 1은 이동량과 방향을 검출하기 위하여 프레임 메모리 5의 화상신호와 입력된 화상신호를 비교하여, 이동벡터 Vopt를 발생한다. 이 경우에, 이동벡터 검출기 1은 초기값으로 사용된 메모리 11에 저장된 앞의 화상에 대한 이동벡터와 함께 프레임 메모리 5에서 기준 블록을 선택하고, 이동벡터값은 이 선택된 블록의 소정의 범위내에서 앞의 화상의 이동 값에 현재의 화상의 이동값을 더함으로써 얻어진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화면선택 처리가 시행되는 동안, 이동벡터는 연속적으로 축적된다.
나중에 부호화가 실행될 때, 선택기 8이 양자화 회로 3에 접속되는 반면, 선택기 9는 가변 비회로 6에 접속되고, 선택기 12에는 "0"이 입력되는 동시에 양자화 회로 3은 작동상태로 스위치된다. 이상태에서, 이동벡터 검출기 1은 이동량과 방향을 검출하기 위하여 프레임 메모리 5에 저장된 앞의 디코우드된 화상에 대한 화상신호와 입력 화상신호를 비교한다. 이로인해, 이동벡터 Vopt가 발생된다. 이 경우에, 이동벡터값은 화면선택 처리의 주기가 검출된 이동벡터값을 더하는 동안은 축적된 값과 같다. 동시에, 메모리 11에는 선택기 12를 경유하여 "0"이 입력되기 때문에 메모리 11에 저장된 값은 변하지 않는다. 가변 지연회로 6은 이동벡터 Vopt에 따라 변하는 지연량에 따라서 디코우드된 신호를 지연시킴으로써 예측치를 발생한다. 그러나 디코우드된 신호는 앞의 부호화가 이루어졌을 때의 화상신호의 위치로부터 화면선택 처리기간중 누적된 이동벡터를 누적함으로써 위치가 이동된다. 감산기 2는 화상신호 입력으로부터 이 디코우드된 신호를 감산하고, 예측오차를 발생하며, 양자화 회로 3을 통하여 양자화된 예측오차로서 그것을 출력한다. 한편, 이동벡터 검출기 1은 현재 화상과 앞의 화상 부호화 사이에 누적된 이동벡터값이 출력된다.
제2c도는 시간 X의 경과에 대한 대상의 이동을 나타낸다. 수직선 ⅰ,ⅱ,ⅲ,ⅳ…은 각 화상에 대하여 화살표로 표시된 바와같은 위치에서 대상이 연속적으로 변하는 연속적인 화상을 보여준다. 제2a도에 표시한 엔코더에서는, 이와같은 화상의 이동에 대해 제2c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각 화상에 대하여 이동벡터를 구하는 처리가 행하여져서 이동벡터값이 누적된다.
제2a도의 장치에서, 상기한 바와같이, 화면선택 처리중의 이동벡터값을 누적하여, 이 누적된 값에 의해서 다음의 부호화시에 예측오차의 계산을 행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이동벡터의 검출범위는 항상 최적위치를 얻기 위하여 각 화상에 대하여 기대된 변화의 범위내에 포함된다. 결과적으로, 최적위치가 구하여지기 위한 범위와, 이동벡터 검출이 시행되어져야만 하는 영역은 화면선택 작동 모드후 다음 부호와 기간동안 확대되지 않는데 이것이 종래 기술과 다른 것이다.
제3도는 제2도 장치의 화면선택 작동중 선택기 8의 예측오차 출력을 "0"으로 설정하기 위한 회로의 구조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정상 모드시(즉, 화면선택 처리가 시행되지 않을때, 선택기 8은 "1"이 제어신호로서 인가될때 단자 ⓐ로 스위치 되고, 양자화 회로 3으로부터 보내진 8비트 신호가 선택기 8을 경유하여 출력된다. 한편, 화면선택 처리가 시행될 때에는, 제어신호로서 "0"이 선택기 8에 인가되고 선택기 8은 단자 ⓑ로 스위치 되며, "0"의 8비트의 신호는 선택기 8을 통하여 출력된다.
제4도는 제3도에 도시한 선택기 8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제어신호가 "1"일때, AND게이트 15가 개방되고, 단자 ⓐ로부터의 신호가 OR회로 18을 경유하여 출력된다. 제어신호가 "0"일 때, 신호 "1"은 인버터 17을 경유하여 AND 게이트 16에 인가되며, 그 결과, 단자 ⓑ로부터의 신호가 AND게이트 16과 OR게이트 18을 경유하여 출력된다.
제5도는 제2도에 도시한 선택기 9의 일예를 도시한 것이다. 정상 모드시 선택기 9는 ⓐ단자로 스위치된다. 즉, 제어회로 10으로부터 제어신호로서 "1"이 인가될 때, 선택기 9는 단자 ⓐ에 스위치되며, 이에 의하여 제2도의 Ⅱ측의 신호, 즉 8비트 가변 지연회로 6으로부터의 신호가 선택기 9를 경유하여 출력된다. 화면선택 처리시 "0"이 제어신호로서 인가될때, 선택기 9는 단자 ⓑ로 스위치되고 프레임 메모리 5로부터의 8비트신호인 제2도의 Ⅰ측의 신호가 선택기 9를 경유하여 출력되므로서 가산기 4를 거쳐 프레임 메모리 5를 통하여 앞의 화상이 연속적으로 재순환하는 결과가 된다. 선택기 9는 제4도에 도시한 선택기 8의 내부회로의 구조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제6도는 제2a도의 이동벡터 검출기 1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제6도에서, 제4도에 도시된 바와같은 회로가 될 수 있는 선택기 12가 정상 모드시 제어신호로서 제어회로 10으로부터 "1"이 인가될때, 단자 ⓐ측에 스위치되고, "0"이 메모리 11에 인가되며 동시에 "0"이 기준블록 발생기 23에 초기값으로서 인가된다. 입력 화상신호 블록은 이동 측정회로 24-1,…24-n에 인가된다.
"0"이 메모리 11로부터 인가되므로, 기준블록 발생기 23은 또한 기준블록으로서 메모리 11로부터 앞의 프레임의 입력신호 블록에 해당하는 블록의 신호를 발생한다. 기준블록 발생기 23은 기준블록과 같은 크기를 갖는 n개 블록의 집합체로 구성되고, 예를들어 중앙위치에 초기값이 주어진다. 이동 측정회로 24-1,…24-n은 기준블록의 각 블록과 입력 화상신호 블록 사이의 이동을 검출하고, 최적벡터 검출기 25에 검출결과를 입력시킨다. 최적벡터 검출기 25에서, 이동 측정회로 24-1,…24-n에 의한 이동 검출의 결과로부터 최소값이 결정되고, 기준블록으로부터의 편차는 최소값을 발생한 이동 측정회로의 수로부터의 이동벡터 양으로서 발생된다. 이 편차 신호가 가산기 26에 의하여 초기값(이 경우에 "0")으로 가산되고, 최적이동벡터 Vopt가 발생된다.
한편, 화면선택 동작시 선택기 12가 제어회로 10으로부터 제어신호 "0"을 수신하기 때문에, 그것이 단자 쪽에 스위치되고, 최적벡터 Vopt가 메모리 11에 저장된다. 다음 화상신호 블록이 입력될때, 이동 측정회로 24-1,…24-n이 기준블록 발생기 23에 의하여 발생된 기준블록과 입력 화상신호 블록 사이의 이동 차이를 검출한다. 이 경우에는 메모리 11에 저장된 앞의 화상의 이동벡터가 기준블록 발생기 23에 초기값으로 입력되어서, 기준블록이 그 값에 대하여 발생된다. 이동 측정회로 24-1,…24-n, 최적 벡터 검출기 25 그리고 가산기 26은 이동벡터 Vopt를 계산하고, 이동벡터 Vopt는 선택기 12를 통하여 저장된 값을 갱신하는 메모리 11로 귀환된다. 따라서 저장된 이동벡터는 먼저 저장된 이동벡터와 새로운 이동벡터와의 합이며, 즉, 화면선택 처리가 상기 언급된 바와같이 시행되는 동안, 이동벡터는 연속적으로 축적된다. 이동벡터 Vopt는 입력 화상신호 블록과 앞의 화상을 기초로 한 기준블록을 비교함으로써 검출되기 때문에 기준블록을 발생하기 위한 초기값은 앞의 화상에 의거하여 정해져야만 한다. 그러므로, 부호화 모드로부터의 스위칭 시간에, 선택기 12로부터의 초기값이 메모리 11에 의해 한 프레임만큼 지연되고 기준블록 발생기 22와 가산기 26에 출력된다.
제7도는 제6도의 이동벡터 검출기 1에서 최적벡터 검출기 25를 자세히 도시한 것이다. 제7도에서, 판정셀 31-1,31-2,…31-m은 각각 제6도에 도시한 아래의 이동 측정회로 24-1,…24-n의 하단의 인접한 검출기로부터 신호를 수신한다. 판정셀 31-1은 비교기 A와, 제7도에서 도시된 바와같이 비교기 A의 출력에 의하여 제어되며 제4도에서 도시된 바와같은 회로가 될 수 있는 선택기 B를 갖으며, 비교기 A는 첫 번째 이동 측정회로 24-1과 두 번째 이동 측정회로 24-2의 출력폭을 비교하는데, 예를들어 하위 회로 24-1이 더 큰 출력을 나타낼 때는 판정된 출력으로서 코드 변환기 32에 "0"을 출력하고, 상위 회로 24-2가 더큰 출력을 나타낼 때는 "1"을 출력한다. 동시에, 보다 작은 출력을 갖는 이동 측정회로의 신호가 선택기 B를 제어함으로써, 선택기 B를 통하여 선택출력으로서 출력된다. 또한 비교기 A에 의하여 발생된 선택신호는 입력값이 같지 않다는 것을 나타내는 코드 변환기 32에 출력된다. 다른 판정셀도 모두 비슷한 구조를 갖는다. 첫번째 단에서 다음 판정셀 31-2에 대하여, 세번째, 네번째 이동 측정회로의 출력폭은 같은 방법으로 비교되고, 판정된 출력은 코드 변환기 32에 공급되며, 동시에 더 작은 출력을 제공하는 이동 측정회로 24-3,24-4의 신호는 선택 출력으로서 출력된다. 같은 방법으로, 인접한 이동 측정회로 24의 신호폭의 판정출력은 판정셀31-m까지 연속적으로 배열된 첫 번째 단의 판정셀에 의하여 코드 변환기 32에 출력된다.
두번째 단의 판정셀 31-3은 판정셀 31-1,31-2의 선택출력을 비교하고, 예를들어 하위의 판정셀 31-1의 선택출력이 더 클때, 판정 출력으로서 코등 변환기 32에 "0"을 출력하며, 그 상위 판정셀 31-2의 선택출력이 더 클때에는 "1"을 출력한다. 동시에 그것은 판정셀의 선택출력을 출력한다.두번째 단의 다른 판정셀들은 코드 변환기 32와 유사한 첫번째 단에서 인접한 셀의 선택된 출력폭의 판정출력을 연속적으로 모두 출력하며, 또한 선택출력으로서 앞의 단에서 판정셀의 더 작은 선택출력도 출력한다.
두번째 단(도시되지 않음)의 단에서 각각의 셀이 비슷한 구조를 갖으며, 각각은 코드 변환기 32로 이 전단의 인접셀의 선택출력의 판정된 진폭출력과 동시에 선택출력으로서 이 전단에서 판정셀의 더 큰 선택출력을 연속적으로 출력한다.
상기 언급된 바와같이, 많은 판정셀의 판정출력은 코드 변환기 32에 순차적으로 입력되므로, 전체 입력은 일정한 수의 비트를 갖는 2진 패턴이 된다. 코드 변환기 32는 입력된 모든 패턴에 대한 출력을 저장하는 첫번째 리이드 온리 메모리(ROM)를 갖고, 이동 측정회로 31의 입력패턴 번호를 어드레스 출력번호로 발생한다. 코드 변환기 32는 어드레스로써 번호를 사용하여서 이동 측정회로번호 데이타를 변위(벡터량)로 변환하는 두 번째 ROM을 가지는데, 여기서 변위한 최소값을 검출하기 위한 기준블록과 비교(입력화상)블록 사이의 위치관계를 지시한다.
제8도는 제6도의 각 이동 측정회로 24를 자세히 도시한 것이다. 제8도에서, 만약 각 블록이 n비트로 구성된다면, 감산기 36-1,…36-n기준블록 발생기 23으로부터 보내어진 해당 화소에서 입력 화상신호 블록을 감산하고, 그들 사이의 차이를 출력한다. ROM 37-1,…37-n은 감산기 36-1,…36-n으로부터 그 차이가 공급되고, 절대값을 출력하기 위하여 차동신호를 어드레스로서 그 차이를 사용한 절대값으로 변환한다. FF38-1,…38-n, AND회로 50-1,…50-n,가산기 51-1,…51-n그리고 FF52-1,…52-n이 ROM 37-1,…37-n으로부터 출력신호를 축적하는 누산기(accumulator)를 형성한다. 이 회로들은 각 새로운 비교에서 누적된 값을 리셋하는 리셋신호가 기준블록 발생기 23으로부터 AND회로 50에 인가되기 때문에 최적벡터 검출기 25에 누적된 값을 출력하고, 한 블록의 데이타만을 축적한다.
제9a도는 제6도의 기준블록 발생기 23의 구조를 상세히 도시하고 있다. 기준블록 발생기 23은 다수의 메모리 회로 46-1,…46-n으로 구성되는데, 메모리 회로의 번호는 기준블록의 번호와 같다. 초기값은 프레임 메모리 5로부터 저장된 기준블록을 출력하기 위하여 어드레스로서 사용된다.
제9b도는 제9a도의 메모리 회로 46의 구조를 자세히 도시한 것이다. 어드레스 발생기 55는 FF47에 출력제어신호(OC)를, 메모리 48에 라이트 가능신호 WE를, 그리고 메모리 11로부터의 초기값에 따라 메모리 48에 라이트/리이드 신호를 발생한다. 어드레스 발생기 55로부터의 어드레스 신호가 어드레스 발생기 55로부터의 라이트 가능신호에 따라 선택기 54에 의하여 라이트 또는 리이드 어드레스로서 선택된다.
제6도에 도시한 메모리 11에 대하여 어떤 메모리도 한 프레임에 대하여 벡터값을 저장할 수 있고, 지연선(delay line)의 것과 같은 기능을 수행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언급된 바와같이, 본 발명의 장치는 이동벡터값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를 제공하고, 그로인해 화상신호의 부호화가 시행되지 않고 부호화 동작중 초기값으로서 메모리에 저장된 이동벡터값을 사용한 이동벡터를 검출하는 화면선택 처리중 초기 값으로서 사용된 메모리에 저장된 이동벡터값으로 각 프레임에 대해 이동벡터의 검출을 하여 검출된 이동벡터에 따라서 메모리의 내용을 갱신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엔코더는 크기가 증대하지 않고, 이동벡터를 검출하기 위한 범위는 화면선택 처리전후에 부호화되는 화상 사이의 간격이 넓어질 때조차 넓어지지 않는다.
본 발명의 많은 특징과 장점이 상세한 설명으로 확실해 졌으므로, 본 발명의 취지와 범위안에 속한 시스템의 그러한 모든 특징과 장점을 포함하는 것이 부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청구되어 진다. 더욱이 여러가지 수정과 변형이 그 분야에 숙련된 사람에 의해 쉽게 생길수 있기 때문에, 언급되어 나타난 정확한 구성과 동작으로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을 원하지 않고, 따라서 모든 적절한 변형과 장비가 발명의 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Claims (11)

  1. 입력 화상신호와 예측치 사이의 차로부터 예측오차 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양자와 회로(3) ; 입력 화상신호 블록과 이전의 화상신호의 기준블록 사이의 비교로부터 이동벡터를 발생하기 위한 이동벡터 검출기(1) ; 및 화면선택처리(comb-out processing)중 상기 이동벡터의 초기값을 갱신하기 위하며, 상기 이동벡터 검출기(1)에 연결된 메모리(11)로 이루어지는 화상신호의 대역 압축 처리장치.
  2. 청구범위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벡터 검출기(1)가 예측기와 예측오차 신호로부터 기준블록을 발생하기 위하며, 상기 양자화 회로(3)에 연결된 기준블록 발생기(23) ; 및 입력 화상신호 블록을 기준블록과 비교하고, 이동벡터를 발생하기 위하며, 상기 기준블록 발생기(23)에 연결된 비교기(24-1,…24-n,25)로 이루어진 화상신호의 대역 압축 처리장치.
  3. 청구범위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블록 발생기(23)가 예측치와 예측오차 신호로부터 이전의 화상에 상응하는 새로운 화상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데, 여기서 예측치는 이동벡터에 따라 이전의 화상을 이동시킴으로써 형성되는 화상신호의 대역 압축 처리장치.
  4. 청구범위 제3항에 있어서, 전송경로의 비율에 상응하는 비율로 예측오차 신호를 출력하기 위하고 예측오차 신호를 저장하기 위하며, 상기 양자화 회로(3)에 연결된 버퍼(7) ; 및 상기 버퍼(7)의 오버플로우를 방지하기 위하여 화면선택 동작을 제어하기 위하고 상기 버퍼(7)을 감독하기 위하며, 상기 버퍼(7)에 연결된 제어회로(10)를 더 포함하는 화상신호의 대역 압축 처리장치.
  5. 청구범위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7)와 상기 양자화 회로(3)에 연결되어 있고, 화면선택 동작중 상기 버퍼(7)에 대하여 예측오차 신호를 제공하는 것을 인터셉팅(intercepting)하기 위하며, 상기 제어회로(10)의 출력에 의하여 제어되는 첫번째 선택기(8) ; 및 상기 양자화 회로(3)에 연결되고 상기 제어회로의 출력에 의해 제어되며, 화면선택 동작중 이전의 화상을 제공하고, 상기 양자화 회로(3)에 대하여 예측치를 제공하는 것을 인터셉팅하기 위한 두번째 선택기(9)를 더 포함하는 화상신호의 대역 압축 처리장치.
  6. 청구범위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11)가 화면선택 동작중 이동벡터를 기억하고 갱신하고, 화면선택 동작후 첫번째 동작에서 상기 양자화 회로(3)에 대하여 갱신된 이동벡터를 제공하기 위하며, 상기 이동벡터 검출기(1)에 연결된 메모리(11)를 포함하는 화상신호의 대역 압축 처리장치.
  7. 현재 화상신호와 앞의 화상신호 사이의 이동차이를 나타내는 이동벡터를 발생하기 위한 이동벡터 검출기(1) ; 및 화면선택 처리중 이동벡터를 축적하기 위하며, 상기 이동벡터 검출기에 연결된 축적수단(11,12)을 포함하는 화면선택 처리중의 화상신호의 대역 압축 처리장치.
  8. 청구범위 제7항에 있어서, 화면선택 처리의 종료로서 축적된 이동벡터로부터 예측오차 신호와 현재 화상신호를 발생하기 위하며, 상기 이동벡터 검출기(1)에 연결된 양자화 회로(3)를 더 포함하는 화상신호의 대역 압축 처리장치.
  9. 청구범위 제7항에 있어서, 앞의 화상신호를 재순환시키고, 상기 이동벡터 검출기(1)에 재순환된 앞의 화상신호를 인가하기 위하며, 상기 이동벡터 검출기(1)에 연결된 재순환 수단을 더 포함하는 화상신호의 대역 압축 처리장치.
  10. 청구범위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재순환 수단이 상기 이동벡터 검출기(1)에 연결된 프레임 메모리(frame memory)(5) ; 및 화면선택 처리중 상기 프레임 메모리(5)로부터 입력을 선택하기 위하며, 상기 프레임 메모리(5)에 연결된 출력과, 상기 이동벡터 검출기 및 상기 프레임 메모리에 연결된 입력을 갖는 선택기(9)를 포함하는 화상신호의 대역 압축 처리장치.
  11. 청구범위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축적 수단이, 상기 이동벡터 검출기(1)에 연결된 선택기(12) ; 및 이동벡터를 축적하기 위하며, 상기 선택기와 상기 이동벡터 검출기(1)에 연결된 메모리(11)를 포함하는 화상신호의 대역 압축 처리장치.
KR1019850001485A 1984-03-09 1985-03-08 화상신호의 대역 압축처리장치 KR9100101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9044969A JPS60189388A (ja) 1984-03-09 1984-03-09 動き補償符号化装置
JP044969 1984-03-09
JP44969 1984-03-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6812A KR850006812A (ko) 1985-10-16
KR910010117B1 true KR910010117B1 (ko) 1991-12-16

Family

ID=127063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50001485A KR910010117B1 (ko) 1984-03-09 1985-03-08 화상신호의 대역 압축처리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4668987A (ko)
EP (1) EP0159506B1 (ko)
JP (1) JPS60189388A (ko)
KR (1) KR910010117B1 (ko)
AU (1) AU567209B2 (ko)
CA (1) CA1232674A (ko)
DE (1) DE3585454D1 (ko)
ES (1) ES860985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1277416C (en) * 1984-08-13 1990-12-04 Akihiro Furukawa Inter-frame predictive coding apparatus for video signal
JPH0746864B2 (ja) * 1984-08-22 1995-05-17 ソニー株式会社 高能率符号化装置
JPS61114678A (ja) * 1984-11-09 1986-06-02 Nec Corp 画像信号用予測符号化装置
DE3689796T2 (de) * 1985-01-16 1994-08-04 Mitsubishi Denki K.K., Tokio/Tokyo Videokodierungsvorrichtung.
AU579550B2 (en) * 1985-06-10 1988-11-24 Nec Corporation Movement compensation predictive encoder for a moving picture signal with a reduced amount of information
US4779131A (en) * 1985-07-26 1988-10-18 Sony Corporation Apparatus for detecting television image movement
JPH0746861B2 (ja) * 1985-07-26 1995-05-17 ソニー株式会社 テレビジヨン画像の動き補正装置
JPS62276927A (ja) * 1986-05-26 1987-12-01 Mitsubishi Electric Corp 差分パルス変調方式
KR910000707B1 (ko) * 1986-05-26 1991-01-31 미쓰비시덴기 가부시기가이샤 화상 부호화 전송방법 및 장치
US4882629A (en) * 1987-05-08 1989-11-21 Everex Ti Corporation Adaptive exposure control system
JPH0213078A (ja) * 1988-06-30 1990-01-17 Kokusai Denshin Denwa Co Ltd <Kdd> 動ベクトル検出方式および装置
US4972260A (en) * 1988-08-22 1990-11-20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Apparatus for coding a moving-picture signal
DE3835368A1 (de) * 1988-10-18 1990-04-19 Bosch Gmbh Robert Schaltungsanordnung zum auslesen von daten aus einem bildspeicher
JP3159309B2 (ja) * 1989-09-27 2001-04-23 ソニー株式会社 映像信号符号化方法及び映像信号符号化装置
JPH03117991A (ja) * 1989-09-29 1991-05-20 Victor Co Of Japan Ltd 動きベクトル符号化装置及び復号化装置
US5043808A (en) * 1990-03-19 1991-08-27 At&T Bell Laboratories High definition television arrangement employing motion compensated prediction error signals
JP2969867B2 (ja) * 1990-08-31 1999-11-02 ソニー株式会社 ディジタル画像信号の高能率符号化装置
DE69230115T2 (de) * 1991-05-23 2000-04-20 Japan Broadcasting Corp Auswertungsvorrichtung und Methode verwendbar für ein Gerät zur Detektion von Bewegungsvektoren
JP2866222B2 (ja) * 1991-06-12 1999-03-08 三菱電機株式会社 動き補償予測方式
JP3227173B2 (ja) * 1991-06-24 2001-11-12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その方法
JPH06343172A (ja) * 1993-06-01 1994-12-1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動きベクトル検出方法及び動きベクトル符号化方法
JP5927945B2 (ja) * 2012-02-01 2016-06-01 三菱レイヨン株式会社 携帯用簡易型浄水器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52913A (en) * 1972-06-14 1973-08-14 Bell Telephone Labor Inc Conditional replenishment video encoder with low-frequency compensation
JPS5244512A (en) * 1975-10-06 1977-04-07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Between-frame coding equipment
US4218703A (en) * 1979-03-16 1980-08-19 Bell Telephone Laboratories, Incorporated Technique for estimation of displacement and/or velocity of objects in video scenes
US4218704A (en) * 1979-03-16 1980-08-19 Bell Telephone Laboratories,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video signal encoding with motion compensation
US4383272A (en) * 1981-04-13 1983-05-10 Bell Telephone Laboratories, Incorporated Video signal interpolation using motion estimation
CA1175557A (en) * 1981-06-01 1984-10-02 Akira Hirano Predictive coding system for television signals
CA1226664A (en) * 1982-07-23 1987-09-08 British Telecommunications Public Limited Company Video data transmission
ATE34265T1 (de) * 1982-11-30 1988-05-15 British Telecomm Uebertragung eines fernsehsignals.
AU570439B2 (en) * 1983-03-28 1988-03-17 Compression Labs, Inc. A combined intraframe and interframe transform coding system
DE3311911A1 (de) * 1983-03-31 1984-10-04 Siemens AG, 1000 Berlin und 8000 München Verfahren und schaltungsanordnung zur bildfehlerkorrektu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4668987A (en) 1987-05-26
JPS60189388A (ja) 1985-09-26
EP0159506B1 (en) 1992-03-04
KR850006812A (ko) 1985-10-16
AU567209B2 (en) 1987-11-12
JPS6410988B2 (ko) 1989-02-22
CA1232674A (en) 1988-02-09
EP0159506A3 (en) 1987-05-20
ES8609859A1 (es) 1986-09-01
AU3965485A (en) 1985-09-12
ES541123A0 (es) 1986-09-01
EP0159506A2 (en) 1985-10-30
DE3585454D1 (de) 1992-04-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10117B1 (ko) 화상신호의 대역 압축처리장치
US4667233A (en) Apparatus for discriminating a moving region and a stationary region in a video signal
US4546386A (en) Adaptive predictive coding system for television signals
US3890462A (en) Speed and direction indicator for video systems
US4437119A (en) Inter-frame adaptive prediction system for television signals
US4202011A (en) Television signal coder
US4125861A (en) Video signal encoding
US4575756A (en) Decoder for a frame or field skipped TV signal with a representative movement vector used for individual vectors
US4837618A (en) Moving image signal coding system
EP0549681B2 (en) Video image processing
US4777530A (en) Apparatus for detecting a motion of a picture of a television signal
GB2128847A (en) A motion-compensated interframe coding system
US4636856A (en) Arrangement for two-dimensional DPCM coding
US3887763A (en) Video signal transmission system
US20010012403A1 (en) An image coding process and notion detecting process using bidirectional prediction
US4731651A (en) Apparatus for compensating a movement of a picture of television signal
EP0160547A2 (en) Motion-adaptive interpolation method for video signal and device for implementing the same
EP0237989A1 (en) Differential coding apparatus having an optimum predicted value determining circuit
CA120391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daptive predictive encoding/decoding of multi-level picture signals
EP0280574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dictive coding
EP0177763A2 (en) Apparatus for detecting a movement in an encoded television picture
JPS59194589A (ja) 背景予測フレーム間符号化装置
US3720786A (en) Onal replenishment video encoder with predictive updating19730313
US5323188A (en) DPCM predictive encoder
JPH0132711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112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