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9390Y1 - 스풀(Spool)이 내설된 낚시대 - Google Patents

스풀(Spool)이 내설된 낚시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9390Y1
KR910009390Y1 KR2019900001489U KR900001489U KR910009390Y1 KR 910009390 Y1 KR910009390 Y1 KR 910009390Y1 KR 2019900001489 U KR2019900001489 U KR 2019900001489U KR 900001489 U KR900001489 U KR 900001489U KR 910009390 Y1 KR910009390 Y1 KR 91000939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ool
rod
fishing
driven gear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000014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4901U (ko
Inventor
강성철
Original Assignee
강성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성철 filed Critical 강성철
Priority to KR20199000014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9390Y1/ko
Publication of KR91001490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490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93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9390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01K89/0111Spool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 A01K97/06Containers or holders for hooks, lines, sinkers, flies or the lik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스풀(Spool)이 내설된 낚시대
제1도는 본 고안의 요부 단면 구성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요부확대 단면 구성도.
제3도는 본 고안 회전 작동부의 개략 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 스풀과 피동기어의 사시도.
제5도는 본 고안 래칫과 피동기어 부분의 측면도.
제6도는 본 고안 낚시대 본체 부분의 단면도.
제7도는 본 고안 손잡이 부분의 분해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권치대 2 :스풀
5 : 피동기어 6 : 걸림원판
8, 8' : 돌봉 11 : 작동봉
12, 13 : 작동편 14 : 기어
15 : 손잡이 18 : 래칫
20 : 고정봉 23 : 작동봉
28 : 연결구
본 고안은 내부에 스풀(Spool)이 설치된 권취대를 낚시대의 손잡이 부분에 연결하고 낚시줄이 낚시대 내부공간을 통하여 풀려나가도록 하므로서 릴낚시와 민낚시를 겸용할 수 있도록 한 낚시대에 관한 것이다.
종래 낚시대는 몸체가 대체로 굵고 짧은 낚시대의 외부에 릴과 가이드를 부착하여서된 릴낚시대와 몸체가 대체로 가늘고 길게 형성되어 있고 별도의 낚시줄 권취수단이 부착되어 있지 않는 민낚시대로 구분되어 있으므로 릴낚시대로는 민낚시가 곤란하고 민낚시대로는 릴낚시가 불가능한 것이었다.
예를 들어 릴낚시대로 갯바위 낚시를 할 경우에는 낚시줄이 가이드에 감겨드는 문제가 있고 민낚시대로는 한정된 낚시줄 길이때문에 멀리 떨어진 깊은 곳의 고기를 낚을 수가 없을 뿐 아니라 민낚시대는 큰고기를 낚을 때 여분의 줄로서 고기를 적절히 당기고 풀어주는 융통성있는 대응이 곤란하여 고기를 놓치거나 낚시대가 파손되는 일이 있게 되는 결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여 스풀을 낚시대속에 설치하고 낚시줄을 가이드 없이 낚시대속으로 풀려나가도록 하므로서 릴낚시와 민낚시 양용으로 사용하여도 낚시줄이 가이드에 감기는 일이 없고 큰고기를 낚을 때는 여분의 줄을 이용하여 융통성 있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이를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짧은 관체로된 권취대(1) 내에 스풀(2)을 회전가능하도록 축봉(3)에 굴대설치하되 스풀(2)의 일부가 권취대(1) 일측에 뚫려있는 개구부(4)를 통하여 약간 외부로 돌출되게 하고 스풀(2)과 동일 축봉(3)에 굴대설치된 피동기어(5) 외측에 걸림원판(5)을 부착하고 피동기어(5) 내측으로 형성된 두개의 구멍(7), (7')에는 스풀(2) 일측에 돌출된 돌봉(8), (8')이 삽탈이 자유롭도록 헐렁하게 삽입되어 있다.
걸림원판(6)과 축봉(3)의 걸림테(9) 사이에는 스프링(10)이 탄력설치되어 있어 피동기어(5)가 항상 스풀(2)에 밀착되어 있도록 밀어주고 있고 권취대(1)를 관통한 작동봉(11)의 상하단에 작동편(12), (13)을 부착하여 상부작동편(12)은 외부에 걸림원판(6)에 걸려있어 하부작동편(13)이 외측으로 회전하면 돌출되어 있고 하부작동편(13)은 걸림원판(6)이 밀려나가는 것에 의하여 피동기어(5)가 스풀(2)의 돌봉(8), (8')을 빠져나가 분리되게 하고 피동기어(5)와 이빨맞춤된 기어(14)는 손잡이(15)에 굴대설치되어 회전되게 하고 손잡이(15)는 축핀(16)을 축으로 하여 절첩이 가능하다.
권취대(1)를 관통한 축봉(17)에 굴대설치된 래칫(18)의 끝머리(19)는 기어(14)의 일측에 이빨맞춤되어 기어(14)가 역회전을 할수 없도록 하고 래칫(18)의 상부를 관통한 고정봉(20)은 일측이 권취대(1)에 고정되어 있고 타측걸림머리(21)와 래칫(18) 사이에는 스프링(22)이 탄력설치되어 래칫(18)의 끝머리(19)가 기어(14)를 이탈하지 않도록 탄력지지토록 하였으며 권취대(1)의 일측을 축봉(3)과 같은 방향으로 관통한 작동봉(23)의 상단에는 손잡이(24)를 분착하고 그 하단에는 탄원형의 작동편(25)을 편심되게 부착하여 작동편(25)의 회전으로 래칫(18)의 상부가 고정봉(20)이 걸림머리(21)쪽으로 밀리면 래칫(18)의 끝머리(19)가 기어(14)를 이탈하고 기어(14)의 자유로운 역회전이 가능토록 하였다.
권취대(1)의 상하에 나선부(26), (27)를 형성하고 연결구(28)의 내외에도 나선부(29), (30)를 형성하여 연결구(28)의 일측을 통상의 다단절첩식으로 구성된 낚시대(31)의 나선부(32)에 나사식으로 결합한 다음 연결구(28) 타측에 권취대(1)의 일측을 나사식으로 결합하고 권취대(1)타측에 나선부(33)가 형성된 손잡이(34)를 결합하여서 된 것이다.
미설명부호 (35)는 피스로 결합된 덮개판, (36), (36')…은 걸림턱, (37), (37')…은 베어링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스풀(2)에 낚시줄을 감고 낚시줄이 낚시대(31)의 내부 공간을 통하여 풀려나가도록 하여 사용하는 것으로서 낚시줄을 감을때는 권취대(1)일측으로 돌출된 손잡이(15)를 회전시키면 기어(14)가 피동기어를 회전케하고 피동기어(5)와 돌봉(8), (8')으로 결합된 스풀(2)이 회전하므로 낚시줄이 스풀(2)에 감기게 된다.
기어(14)는 래칫(18)에 의하여 역회전이 불가능하나 고기를 자아 당길때는 고기의 크기와 힘에 따라 적절히 낚시줄을 감았다 풀었다 해주어야하므로 이때는 손잡이(24)를 일측으로 밀어 회전케 하면 작동편(25)이 같이 회전하면서 래칫(18)을 시계방향으로 밀게되므로 래칫(18)의 끝머리(19)가 기어(14)를 이탈하여 기어(14)의 정역회전이 자유롭게 되고 낚시줄을 임의로 감았다 풀떴다 할수가 있다.
밀었던 손잡이(24)를 놓으면 스프링(22)의 반발력으로 래칫(18)과 손잡이(24)가 원래 자리로 복귀하고 기어(14)의 역회전은 다시 볼가능하게 된다.
낚시를 멀리던질때는 스풀(2)이 가능한 쉽게 회전하여야 하므로 이때는 작동봉(11)의 상부 작동편(12)을 일측으로 밀어 하부 작동편(13)을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케하면 걸림원판(6)이 하부작동편(13)에 밀려 스프링(10)쪽으로 이동하고 피동기어(5)가 같이 이동하여 돌봉(8), (8')을 이탈하고 스풀(3)과 분리되므로 스풀(2)이 피동기어(5)나 기어(14)의 회전방해없이 쉽게 회전하여 낚시를 멀리던질수 있게한다.
낚시를 던질때는 개구부(4)를 통하여 외부에 돌출된 스풀(2)의 일부를 손가락으로 눌러 회전을 제어하므로서 던지는 거리를 조정할 수 있다.
상부작동편(12)을 놓아주면 스프링(10)의 반발력으로 피동기어(5)가 다시 스풀(2)과 결합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스풀(2)에 감긴 충분한 낚시줄을 이용하여 통상의 릴낚시대와 마찬가지로 멀리 깊은 곳까지 낚시를 던져 고기를 잡을수 있고 큰고기를 낚은때는 여분의 줄을 이용하여 적절히 감고 풀어주므로서 고기를 놓치거나 낚시대가 파손되는 일이 방지되며 가이드가 돌출되어 있지 않아 통상의 민낚시대와 같이 사용하여도 낚시줄이 감기지 않아 사용이 편리한 등의 장점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에 있어서 낚시대의 길이는 통상의 릴낚시대와 민낚시대 길이의 중간정도로 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이다.
또한 본 고안은 권취대(1)부분은 연결구(28)의 크기를 조정함으로서 기존 낚시대에도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Claims (1)

  1. 권취대(1)내에 스풀(2)을 회전가능하도록 설치하되 스풀(2)의 일부가 개구부(4)로 돌출되게 하고 스풀(2)과 동축으로 피동기어(5)를 굴대설치하여 피동기어(5)의 구멍(7), (7')에 스풀(2)의 돌봉(8), (8')이 삽입되게 하고 피동기어(5)일측에 부착된 걸림원판(6)과 걸림테(9) 사이에 스프링(10)을 탄력설치하고 권취대(1)를 관통한 작동봉(11) 상하에 작동편(12), (13)을 부착하여 하부작동편(13)이 걸림원판(6)에 걸리게 하고 손잡이(15)에 굴대설치되 기어(14)가 피동기어(5)와 접하고 축봉(17)에 굴대설치된 래칫(18)의 상부를 관통한 고정봉(20)에 스프링(22)을 탄력설치하고 작동봉(23) 상단에 손잡이(24)을 부착하고 하단에 작동편(25)을 부착하여 작동편(25)이 래칫(18)의 상부에 접하게 하고 다단절첩식으로된 낚시대(31)에 연결구(28), 권취대(1) 및 손잡이(34)를 차례로 연결하여서된 스풀이 내설된 낚시대.
KR2019900001489U 1990-02-08 1990-02-08 스풀(Spool)이 내설된 낚시대 KR91000939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01489U KR910009390Y1 (ko) 1990-02-08 1990-02-08 스풀(Spool)이 내설된 낚시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01489U KR910009390Y1 (ko) 1990-02-08 1990-02-08 스풀(Spool)이 내설된 낚시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4901U KR910014901U (ko) 1991-09-25
KR910009390Y1 true KR910009390Y1 (ko) 1991-12-07

Family

ID=192958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00001489U KR910009390Y1 (ko) 1990-02-08 1990-02-08 스풀(Spool)이 내설된 낚시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939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4901U (ko) 1991-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50730B2 (en) Side cover detachable apparatus of dual bearing reel for fishing
EP1032745A1 (en) Release brake for roller shades and other window coverings
US4515324A (en) Battery powered fishing reel
CN106172293B (zh) 双轴承绕线轮
US2633307A (en) Casting reel
KR910009390Y1 (ko) 스풀(Spool)이 내설된 낚시대
US4715555A (en) Dual mode fishing reel assembly
JP2010187544A (ja) 魚釣用リール
US6843439B1 (en) Anti-reverse bail control
US2124634A (en) Fishing reel
US3958770A (en) Open faced fishing reel with depth memory
US3251564A (en) Spring operated fishing reel
JPH047179B2 (ko)
US4962900A (en) Fishing line reel selectively operated in the right-hand or left-hand mode
US2591204A (en) Fishing reel
KR102513785B1 (ko) 텐션 노브 이탈방지구조를 구비한 낚시릴
JP3008381U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ル
KR910000389Y1 (ko) 낚시용 릴의 로타 회동 보조장치
US1903559A (en) Fishing reel
US3322371A (en) Spinning reel with friction brake
US2498603A (en) Cable tensioning device
KR102474110B1 (ko) 비돌출식 메커니컬 브레이크를 구비한 베이트 캐스팅 릴
US6283394B1 (en) Gravity operated fishing reel brake
JPS6016530A (ja) 魚釣用両軸受型リ−ルのレベルワインド装置
KR940007874Y1 (ko) 간이 낚시용 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