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9168B1 - 절단 확개부를 갖는 체결장치 - Google Patents

절단 확개부를 갖는 체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9168B1
KR910009168B1 KR1019880008521A KR880008521A KR910009168B1 KR 910009168 B1 KR910009168 B1 KR 910009168B1 KR 1019880008521 A KR1019880008521 A KR 1019880008521A KR 880008521 A KR880008521 A KR 880008521A KR 910009168 B1 KR910009168 B1 KR 9100091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rical tube
extension
cutting
cutting extension
c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085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1991A (ko
Inventor
오정호
Original Assignee
진인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인주 filed Critical 진인주
Priority to KR10198800085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9168B1/ko
Publication of KR9000019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19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91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91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3/00Dowels or other devices fastened in walls or the like by inserting them in holes made therein for that purpose
    • F16B13/04Dowels or other devices fastened in walls or the like by inserting them in holes made therein for that purpose with parts gripping in the hole or behind the reverse side of the wall after inserting from the front
    • F16B13/06Dowels or other devices fastened in walls or the like by inserting them in holes made therein for that purpose with parts gripping in the hole or behind the reverse side of the wall after inserting from the front combined with expanding slee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9/00Bolts without screw-thread; Pins, including deformable elements; Rivets
    • F16B19/02Bolts or sleeves for positioning of machine parts, e.g. notched taper pins, fitting pins, sleeves, eccentric positioning rings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절단 확개부를 갖는 체결장치
제1도는 본 발명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
제2도는 제1도 체결장치를 결합한 상태의 사시도.
제3a도는 제2도의 장치를 체결공간에 체결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와 일부 단면도.
제3b도는 제3a도의 A-A선의 단면도.
제4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정면도와 일부 단면도.
제5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정면도와 일부 단면도.
제6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정면도와 일부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60 : 벽체 60′ : 삽입공
62 : 체결공간 1 : 보울트
2 : 상부 원통관 2B : 상부 원통관하면
2B-1 : 상부원통관하면의 돌부 3 : 절단확개부
3A : 절단확개부상면 3A-1 : 절단확개부상면 홈통
3C-1 : 절단확개부외측홈통 3D : 절단면
3E : 절단확개부의 경사홈통 3E-1 : 경사홈통(3E)내의 홈통
3F : 절단확개부의 상하구멍 4 : 지지부
4″-1 : 지지부의 돌출부 4-2 : 지지부하단구멍
5 : 하부 원통관 6 : 스프링 링
본 발명은 확개체를 이용하여 기둥이나 벽체의 체결공에 너트를 체결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콘크리트와 같은 강재와 나무나 프라스틱같은 연질재질에 물리적 타격이나 큰 힘을 가하지 않고 벽체에 체결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벽체에서 체결장치를 완전 분리 제거할 수 있는 체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다음에 종래의 체결장치를 소개한다.
먼저, 매입너트(공고번호 85-2051호)가 있으며 이는 절결공을 매입너트의 선단부는 좁고 중앙부는 넓게 경사형으로 절결하고 이 절결공으로 경상돌조가 삽입되게 이동구를 내설하여, 이동구를 타격시킴에 따라 이동구의 진행으로 경사돌조가 원통형의 매입너트선단부를 벌려지게하여 매입너트를 콘크리트벽에 삽착시켜 임의의 보울트로 체결할 수 있게 고안한 것이며, 다음으로 콘크리트 삽입용 너트가 있는데 이는 ″+″자형의 관체와 너트를 일체화하여 관체내에 원추형핀을 삽입한 후 벽홈에 삽입하여 외측에서 두드려 박으면 관체가 선개됨으로 삽착되어 체결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들은 보울트가 조입될 너트부위와 벽체홈에 삽입되어 벌려지면서 체결력을 갖게되는 확대부위가 하나로 된 구조로서, 보울트에 작용하는 외부하중에 확개부위까지도 충분히 견딜 수 있어야 한다.
즉, 확대부위를 쉽게 벌려지게하기 위한 절단이나 부분적으로 얇게하는 것은 견고성을 고려 삼가야하고 이는 곧 물리적인 타격이나 큰 힘을 가하지 않으면 확개부위를 벌릴 수 없게 한다. 나무와 같은 연질재질은 이로인해 파손될 염려가 있으며, 파손되지 않더라도 벌려진 부위가 충분치 못해 체결력에 문제가 있는 것이다.
또한, 필요에 따라 벽체에서 체결장치를 제거할시에도 벽체에 삽착된 확개부위를 환원시킬 수 없어 완전제거에도 어려움이 있는 결점이 있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키 위해, 본인의 선출원인 특허출원 제88-5912호(확개와샤를 갖는 체결장치)가 있는데 이는, 절단와샤를 다중으로 결속하고 경사돌조의 외측면에서 벌려지게한 것임으로 소형의 체결장치에는 사용에 어려움이 있어 보다 간단한 구조가 요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의 문제점을 감안해서, 콘크리트등의 강재 뿐만아니라 나무와같은 연질 재질에 물리적인 타격이나 큰 힘을 가하지 않고 체결할 수 있고 또한 완전 분리제거도 가능한 체결장치의 제공과, 다른 목적은 간단한 구조로되어 저렴한 제조가와 소형 체결장치로도 활용할 수 있는 체결장치의 제공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된 구조적 특징은, 벽체의 삽입공에 확개체를 꼽고 보울트로 체결하는 장치에 있어서, 삽입공 속으로 들어가면서 널어지게된 체결공간을 형성한 벽체와, 원통관형태의 확개부를 상하로 절개한 절단확개부단면에 위로 가면서 좁아지는 경사홈통을 형성한 절단확개부와, 원형너트형태의 상부 원통관과, 상부 원통관과 절단 확개부를 연결하는 지지부와, 보울트를 구비하여, 지지부일측은 상부원통관과 고정부착 상부원통관하측방으로 지지부가 향하게 하고 지지부하측은 상부원통관하면 범주에서 측방으로 벌려지고 맞닿을 수 있는 지지부길이를 갖게 하면서 절단확개부와 연결하여 확개체(M)로 해서, 체결공간속에 확개체를 넣고 보울트선단부를 확개체의 절단확개부 경사홈통사이로 끼워 상부원통관의 암나사부와 조여 절단확개부상면이 상부원통관 하면에 밀착되며 절단확개부외측면이 경사홈통의 경사 각만큼(V)형태로 벌려져 체결공간면에 밀착되며 걸리게 되어 체결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와 같은 체결에서 보울트에 외부하중에 가해지면, 그 하중은 보울트와 나사조임된 상부원통관을 경우하고 그 하면에 밀착되며 받혀주는 절단확개부상면에 절단되며 이는 (V)형태로 벌려진 절단확개부외측면이 걸림부위와 마찰부위로 체결공간면에 작용하여 체결공간에서 상부원통관이 빠지지못하게 되어 보울트와 강력하게 체결될 수 있고 외부하중에 대응할 수 있는 것이다.
벽체에 체결공간을 2개이상 형성할 수 있으며, 두꺼운 벽체에 길이방향으로 2개이상 형성한 경우에는 각 체결공간에 체결장치를 체결공간간격을 유지하게 하면서 연속시키고 가장 상부에 있는 상부원통관 나사부와 보울트로 체결조임하며, 벽체폭이 좁으면 양측으로된 체결공간을 형성하고 이에 양측으로만 벌려지는 2개 조각으로된 절단확개부를 활용한다.
이와같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첨부도면에 따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 체결장치의 분해 시시도로서, 벽체(60)에는 삽입공(60′)속으로 들어가면서 넓어지게 되는 체결공간(62)을 형성하였으며, 이와같은 작업은 벽체(60)에 먼저 드릴로 삽입공(60′)을 체결공간 깊이를 감안해서 뚫고 다음에 앵글컷터 도는 로타리 바와같이 상부가 더 넓은 절삭공구등을 이용하여 삽입공(60′) 주연부 일부 또는 전부에 옮겨가면서 형성하며, 절단확개부가 한쌍으로 된 본 실시예에서는 삽입공(60′)양측에만 형성한다.
체결장치는 상부원통관(2), 지지부(4), 절단확개부(3), 하부원통관(5), 스피링 링(6), 보울트(1)로 이뤄진다.
상부 원통관(2)은, 보울트(1)와 조임되는 암나사부를 내측에 형성한 원형 너트로서, 보울트(1)에 작용되는 외부하중을 절단확개부 상면(3A)에 전달하여 절단 확개부외측면(3C)이 걸림력과 마찰력으로 체결공간(62)에서 저항하게하는 주요 조임 부위인 것이다.
또한, 상부 원통관(2)에는 4개의 지지부(4,4′,4″,4′″) 상부가 고정부착되어 있고 이들 지지부는 용접 또는 압축방법으로 부착되거나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지지부(4)는, 4개로 되고 각 지지부(4,4′,4″,4′″)는 상부 원통관(2)과 절단 확개부(3)를 서로 결속하는 기능과 하부 원통관(5)을 연결하는 작용도한다. 즉 지지부(4″,4′″)에는 돌출부(4″-1)가 형성되어 있어 절단 확개부단면의 홈통(3d-1)과 맞물려 이를 중심으로 절단 확개부를 (v)형태로 벌려지게하며, 지지부(4,4′)는 절단 확개부홈통(3E-1)속에서 절단 확개부(3)이탈 방지와 기둥의 기능도 한다.
필요에 따라, 상부 원통관(2), 각 지지부(4,4′,4″,4′″), 하부원통관(5)의 일부 또는 전부를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지지부(4,4′)는 절단 확개부의 홈통(3E-1)속에 들어갈 수 있어야 함으로 절단 확개부의 두 개를 감안하면서 지지부(4″,4′″)보다 얇게 되는 점도 유의해야 한다.
절단확개부(3)는, 한쌍으로 되어 있으며 위로 가면서 좁아지는 경사홈통(3E)과 그 홈통(3E)속에 지지부(4)가 들어갈 홈토(3E-1)이 다시 형성되어 있고, 절단 확개부 단면(3D)에 지지부의 돌출부(4″-1)와 맞물릴 요부(3D-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요부(3D-1)하측을 오므릴 수 있게 경사단면(3D-2)으로 형성하면 이는 (V)형태로 절단 확개부(3)가 벌려지는 정도를 감안하여 경사단면을 형성한다.
절단 확개부외측면(3C)에는 스프링 링(6)으로 조일 때 돌출되지 않게 외측면을 따라 홈(3C-1)을 형성한다.
한쌍의 절단 확개부(3)는 지지부(4″,4′″)를 사이에 두고 삽입공(60)속으로 들어갈 수 있도록 상부 원통관(2)과 같은 크기의 원통형태야 함으로 지지부(4″,′″)폭만큼 절단 확개부 외측면(3C)은 작아진다.
보울트(1)축에 밀착되는 절단 확개부 경사홈통(3E)은 곡면경사홈통이 바람직하며, 경사홈통(3E)의 경사정도는 절단 확개부 상면(3A)이 (V)형태로 벌려 지더라도 상부 원통관하면(2B)범주내에서 밀착되며 받혀주게 형성한다.
상부 원통관하면(2B)과 절단 확개부 상면(3A)은 지지부의 돌출부(4″-1)를 중심으로 (V)형태로 벌려질 때 접촉면이 커지게 곡면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부 원통관(5)은, 각 지지부(4,4′,4″,4′″)하부와 연결되어 있고 절단 확개부의 요부(3D-1)하측부위와 함께 삽입공(60′)에 들어가 보울트(1)축과 삽입공사이의 공간을 메우는 효과와, 필요에 따라 하부 원통관(5)에 암나사부를 형성하여 너트로 활용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각 지지부(4,4′,4″,4′″)는 보울트(1)에 작용하는 하중등을 충분히 고려하여 견딜 수 있게 해야 한다. 또한, 하부 원통관(5)은 벽체(60)에서 체결장치를 제거할시 이에 공구등을 사용하여 당기면 쉽게 상부 원통관(2)까지 체결공간(62)속에서 뽑아 제거할 수 있는 것이다.
스프링 링(6)은, 절단확개부외측면홈통(3C-1)에 들어가 조여지게 하여(V)형태로 벌려지게하는 작용과 동시에 각 지지부(4,4′,4″,4′″)에서 절단 확개부(3)를 이탈되지 못하게 결속하는 작용도 한다. 이와같이 결속된 형태를 편의상 확개체(M)로 하고, 삽입공(60″)에 확개체(M)를 넣을 때 절단 확개부(3) 상부를 오므려 넣더라도 체결공간(62)속에 들어가면 스프링의 작용으로 (V)형태로 다시 벌려지게됨으로 보울트(1) 조임없이도 확개체(M)를 벽체외측으로 빠지지못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보울트(1)는, 통상의 임의 보울트를 사용한다.
제2도는 제1도의 체결장치를 결합한 확개체의 사시도로서, 절단 확개부외측면을 조이는 스프링 링(6)작용으로 절단 확개부(3)상부는 벌려지고 하부는 오므라져 하부 원통관(5)상단과 약간의 단턱이 나타나게되나 양측 일부에만 나타난다.
제3a도는, 제2도의 확개체(M)를 체결공간(65)속에 넣고 보울트(1)로 상부 원통과(2)의 암나사부와 체결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와 일부 단면도로서, 상부 원통관(2)은 삽입공(60′)을 드릴로 뚫을 때 형성된 구멍에 들어가있으며, 절단 확개부상부는 돌출부(4″-1)를 중심하여 (V)형태로 벌려져 체결공간(62)경사면에 밀착되어 걸려있고 돌출부(4″-1)하측은 스프링 링(6) 작용으로 하부 원통관(5)가 함께 오므라진 상태로 삽입공(60)에 들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상부 원통관하면(2B)이 절단 확개부상면(2A)에 밀착되게 걸려있어 보울트(1)에 강력하게 조임할 수 있는 거이다.
제3b도는 제3a도의 A-A선의 단면도로서, 절단확개부의 경사홈통(3E-1)이 보울트(1)축 외측면과 말칙되게 경사홈통이 곡면경사홈통으로 되어있고, 경사홈통(3E)에 지지부(4,4′)가 들어갈 홈통(3E-1)이 추가로 형성되어 잇으며 지지부(4″,4′″)보다 얇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보울트(1)이 축이 절단 확개부의 경사홈통(3E)에 들어가 있으면, 보울트축 때문에 확개부상부의 (V)형태를 좁혀지지 않게됨을 알 수 있다.
이상 설명에서 제2도의 확개체(M)를 제3도에서와 같이 체널공간에 넣고 조임하였다가 이를 다시 제거할 필요가 있을 경우, 체결과정의 역순으로하여, 먼저 보울트(1)를 돌려빼고 다음에 하부 원통관(5)을 갈쿠리와 같은 기구로 당겨 빼면 상부 원통관(2)까지 쉽게 뽑아 제거할 수 있는 것이다.
제4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정면도와 일부 단면도로서, 상부 원통관(2)과 절단 확개부(3)를 지지부(4)로 서로 연결되게 하여서된 확개체(M)에서, 지지부(4)를 강선이나 스프링과 같은 탄력체로 하고 ( )형(3A)이 상부 원통관하면(2B)과 밀착되고 (V)형태로 벌려질 수 있는 스프링(지지부:4) 길이를 유지하면서 각 절단 확개부상면(3A) 양측에 고정부착한다.
따라서, 상부 원통관양측면(2C)에는 스프링(4) 상부가 들어갈 홈통을 원통관외측면(2C)을 따라 형성하며 가능한 한 절단 확개부상면(3A)에서 멀리떨어져 스프링 작용을 원활하게 할 수 있게 상단가까이에 형성하고 이에 지지부(4:스프링) 상부를 넣고 용접 또는 압축하여 고정 부착한다.
또한, 절단 확개부(3)상부를 오므릴 때 상부 원통관외측면(2C)에 지지부(4:스프링)로 인한 돌출부위가 없어야 삽입공(60′)에 넣을 수 있음으로 이를 감안해서 상부 원통관외측면(2C)에 지지부(4:지지부)가 스프링 작용을 하면서 이동하는 범위에 약간의 절취면을 형성한다.
지지부(4:스프링)하단은 각 절단 확개부상면(3A)양측에 구멍이나 홈통을 형성하고 이에 지지부를 용접이나 압축하여 고정 부착할 수 있으며, 절단 확개부외측면(3C)에 돌출되지 않게 유의해야 한다.
절단 확개부(3)는 한 쌍으로 되어 있고 위로가면서 좁아지는 경사홈통(3E)을 제1도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형성한다.
또한, 절단 확개부단면(3D0에 요철부(3D-2), (3D-2′)가 형성되어 이를 중심으로 상부는 (V)형태로 벌려지고 하부는 오므라질 수 있게 경사면(3D-1)을 형성한다. 필요에 따라, 제1도에서와 같이 절단 확개부외측면(3C)에 홈통(3C-1)과 스프링 링(6)을 사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와같은 확개체(M)를 체결공간(62)속에 넣을 때, (V)형태로 벌려진 절단 확개부상부를 오므려 상부 원통관(2)크기로 하여 넣으며, 체결광간(62)속에 들어가면 다시(V)형태로 되어 외측으로 빠지지 않게 된다. 본 실시예도, 제3도에서와 같이 요철부를 중심으로 하여 상부는 벌려지면서 체결공간면에 말착되며 걸리고 하부는 삽입공(60′)속에 오므려진 상태로 들어가게 된다.
상부원통관하면(2B)에 돌출부(2B-1)를 돌설하고 이것이 들어간 홈통(2A-1)을 절단 확개부상면(3A)에 형성하면, 보울트(1)로 조임할 때 상부 원통관(2)이 따라 회전되지 않어 강력하게 조입할 수 있게 된다.
제5도는, 본 발명 체결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의 정면도와 일부 단면도로서, 상부 원통관(2)을 체결공간(62)면에 밀착되게 경사면을 갖는 장 타원형의 너트형태로 하고, 한 쌍의 절단 확개부(3)에 상하로된 구멍(3F)를 뚫고, 하부 원통관(5) 역시 상하로 된 구멍(5F)를 형성하고 이에 줄로된 지지부(4)를 관통케 하여서 된 확개체(M)이다.
즉, 지지부(4)를 강선 또는 나일론 줄과같이 쉽게 휠 수 있는 줄로 하고 일측은 상부 원통관인 장 타원형의 너트(2)에 고정부착하고 타측은 절단 확개부구멍(3F)과 하부 원통관구멍(5F)을 관통시켜, 이를 당기면 장 타원형 너트하면(2B)에 절단 확개부상면(3A)이 밀착되면서 (V)형태로 벌려지게한다. 절단 확개부구멍(3F)과 하부 원통관구멍(5F)은 제작시 일부에만 형성할 수도 있으며, 또한 보울트(1)로 조일 때 따라 돌지않게 요철부를 제3도에서와 같이 형성되게 할 수도 있는 것이다. 본 실시예의 도면에는 지지부(4:줄)가 각 절단확개부에 1줄식 관통되며 연결되어 있으나, 그 수를 2줄로하고 양측에 상하로 구멍을 빼고 관통케 하여 연결할 수도 있는 것이다.
체결공간(62)속에 확개체(M)를 넣을 때 장 타원형 너트(2)와 절단 확개부(3) 사이를 상당한 거리로 덜어지게 한 다음, 먼저, 장 타원형너트(2)를 길이방향으로 세워서 삽입공(60′)을 경유체결공간(62)에 넣고 다음에 절단 확개부(3)와 하부 원통관(5)을 넣고 줄(4)을 외측에서 당기면, 상부 원통관인 장 타원형너트(2)하면 (2B)에 절단 확개부상면(3A)이 밀착되면서 (V)형태로 벌려지게되며, 필요시 보울트(1)로 너트(2)와 조임하여 체결한다.
이와같은 구조는 상부 원통관인 장 타원형 너트외측면(2C)도 체결공간면에 말착될 수 있어 걸림력과 마찰력을 크게 하는 효과가 있고 절단 확개부상면(3A)과 밀착되는 부위도 커서 (V)형태의 벌려진각을 보다 크게 할 수 있음으로 벽체 두께가 얇더라도 활용할 수 있는 이점과 소형 체결구로도 활용할 수 있는 장점도 있는 것이다.
벽체에서 분리 제거할시에는, 보울트(1)를 먼저 돌려빼고 다음에 하부 원통관(5)을 당혀 빼면 쉽게 제거할 수 있다.
제6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와 일부 정면도로서, 상부 원통관(2)에 고정 부착된 지지부(4)하단에 구멍(4-2)을 뚫고 절단확개부(3)하단과 경첩이나 체인과 같이 쉽게 꺾이게 하여, (V)형태로 벌려지게한 구조의 확개체(M)이다.
(U)형의 스프링 2개를 절단 확개부하면(3B)양측에 각각 고정시켜 스프링 작용으로 체결공간(62)속에서도 보울트(1)조임없이 확개체(M)가 빠지지못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제3도에서와 같이 하부 원통관(5)을 지지부(4)하단과 연결되게 하여 삽입공(60′)공간으 메우게할 수 있고, 상부 원통관하면(2B)과 절단 확개부상면(3A)의 접촉부위를 크게 하기 위해 곡면으로 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상 설명에서, 제3도와 제4도의 실시예는, (V)형태로 벌려질 때 중심부위가 돌출부(4″-1) 또는 요철부(3D-2), (3D-2′)가 됨으로 이를 중심하여 상측은 체결공간(62)에 들어가 걸리게 되고 하측은 삽입공 (60′)속에 있어 체결력에 아무런 작용도 할 수 없으므로, 벽체가 두꺼워 절단 확개부의 길이를 길게 할 수 있을시 사용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5도와 제6도의 실시예는 벽체가 얇더라도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체결장치를 이용하면, 체결시 물리적 타격이나 큰 힘을 가하지 않더라도 체결공간속에 삽입하고 조임할 수 있어 강재뿐만 아니라 나무 등과 같은 연질 재질에도 체결공간만 형성하면 견고하게 체결할 수 있고 또한 필요시 완전 제거도 가능하여 벽체의 돌출을 없앨 수 있는 장점과 폭이 좁은 벽체에도 사용할 수 있고 소형 체결장치에도 활용할 수 있어 용도가 다양한 이점도 있는 것이다.

Claims (11)

  1. 벽체의 삽입공속에 확개체를 꼽고 보울트로 체결하는 것에 있어서, 삽입공(60′)속으로 들어가면서 넓어지게된 체결공간(62)을 형성한 벽체(60)와, 원통관형태의 확개부를 상하로 절개한 단면(3D)에위로 가면서 좁아지는 경사홈통(3E)을 형성한 절단 확개부(3)와, 원형너트형태의 상부 원통관(2)과, 상부 원통관(2)과 절단 확개부(3)를 연결하는 지지부(4)와, 보울트(1)를 구비하여, 지지부(4)일측은 상부원통관(2)과 고정부착 상부 원통과하측방으로 지지부(4)가 향하게 하고 지지부(4)하측은 상부 원통관하면(2B) 범주에서 절단확개부상면(3A)이 측방으로 벌려지고 맞닿을 수 있는 지지부(4) 길이를 갖게 절단 확개부(3)와 연결하여 확개체(M)로 해서, 체결공간(62)속에 확개체(M)를 넣고 보울트선단부(11)를 확개체의 절단 확개부 경사홈통(3E)사이로 삽입 상부 원통관(2)나사부와 조여 절단 확개부상면(3A)이 상부 원통관하면(2B)과 밀착되고 절단확개부외측면(3C)이 경사홈통(3E)의 경사각 만큼(V)형태로 벌려져 체결공간(62)면에 밀착되며 걸리게 되어 체결함을 특징으로 하는 절단 확개부를 갖는 체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부 원통관(2)과 절단 확개부(3)를 연결하는 지지부(4)가 스프링과 같은 탄력을 갖고 절단 확개부(3)를 (V)형태로 벌려지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절단 확개부를 갖는 체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지지부(4)가 강선이나 나일론 줄과 같이 쉽게 휘어질 수 있는 줄로되고 절단 확개부에 형성된 구멍(3F)을 관통시켜 상부 원통관(2)과 연결함을 특징으로 하는 절단 확개부를 갖는 체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지지부(4)하단에 구멍(4-2)을 뚫고 이에 절단 확개부(3)하단을 경첩이나 체인과 같이 꺾일 수 있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절단 확개부를 갖는 체결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지지부(4)하단에 하부 원통관(5)을 연결함을 특징으로 하는 절단 확개부를 갖는 체결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하부 원통관(5)과 절단확개부(3)가 일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단 확개부를 갖는 체결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절단 확개부외측면(3C)을 스프링 링(6)으로 조여지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절단 확개부를 갖는 체결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부 원통관(2)이 장 타원형너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단 확개부를 갖는 체결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지지부(4)에 돌출부(4″-1)를 형성하고 이를 중심으로 절단 확개부(3)가 벌려지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절단 확개부를 갖는 체결장치.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절단 확개부단면(3D)에 요철부를 형성하고 이를 중심으로 절단 확개부가 벌려지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절단 확개부를 갖는 체결장치.
  11.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절단 확개부 경사홈통(3E)에 지지부(4)가 들어갈 홈통(3E-1)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단 확개부를 갖는 체결장지.
KR1019880008521A 1988-07-09 1988-07-09 절단 확개부를 갖는 체결장치 KR9100091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80008521A KR910009168B1 (ko) 1988-07-09 1988-07-09 절단 확개부를 갖는 체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80008521A KR910009168B1 (ko) 1988-07-09 1988-07-09 절단 확개부를 갖는 체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1991A KR900001991A (ko) 1990-02-28
KR910009168B1 true KR910009168B1 (ko) 1991-10-31

Family

ID=192759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08521A KR910009168B1 (ko) 1988-07-09 1988-07-09 절단 확개부를 갖는 체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916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1581A (ko) * 2016-11-30 2018-06-08 주식회사 덕화푸드 명란 마늘고추장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명란 마늘고추장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1581A (ko) * 2016-11-30 2018-06-08 주식회사 덕화푸드 명란 마늘고추장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명란 마늘고추장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1991A (ko) 1990-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834658B1 (en) Bolt anchoring device
US4828439A (en) Screw anchor
US5449257A (en) Self drilling anchor
US3911781A (en) Anchor sleeve for use in bores formed in relatively easily friable materials
US4861198A (en) Expansion assembly for mine roof bolts
US2963935A (en) Expanding anchor and plug with an exhaust passage
KR101852826B1 (ko) 선단확장형 헬리컬파일
KR930008325A (ko) 앵 커
DE2915650A1 (de) Schrauben-befestigungsmittel, wie schraubenklemme, schraubbare verankerung, spreizduebel
US20050201847A1 (en) Toggle bolt device
US5078547A (en) Expansion assembly for mine roof bolts
US4859118A (en) Mine roof support anchor and process for installing the same
KR910009168B1 (ko) 절단 확개부를 갖는 체결장치
CA2453374C (en) Striking plug
US5009549A (en) Expansion assembly for mine roof bolts
EP0416183B1 (en) Anchor-fixing
US5575600A (en) All-metal expansible anchor and nail assembly
JP2834056B2 (ja) アンカー金具
KR100276988B1 (ko) 볼트고정장치
AU2011202674B2 (en) System and methods for wall and ceiling fastening
US4661022A (en) Rock bolt structure and installation
KR20000010915U (ko) 콘크리트 앵커볼트
JP2020066955A (ja) ラグスクリューボルトの埋設方法、同方法による木造建築物の構造躯体の接合構造及び木造建築物
US4454701A (en) Anchoring of material to concrete
KR910005241B1 (ko) 확개와샤를 갖는 체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42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