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8308B1 - 밴드 장전장치 - Google Patents

밴드 장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8308B1
KR910008308B1 KR1019880005514A KR880005514A KR910008308B1 KR 910008308 B1 KR910008308 B1 KR 910008308B1 KR 1019880005514 A KR1019880005514 A KR 1019880005514A KR 880005514 A KR880005514 A KR 880005514A KR 910008308 B1 KR910008308 B1 KR 9100083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feed
roller
shooter
fu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055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7141A (ko
Inventor
사까끼 야스노리
Original Assignee
스토라파크 가부시기가이샤
도시오 시모지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토라파크 가부시기가이샤, 도시오 시모지마 filed Critical 스토라파크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to KR10198800055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8308B1/ko
Publication of KR8900171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71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83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83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3/00Bundling articles
    • B65B13/18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used in, bundling machines or bundling to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밴드 장전장치
제1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제1도는 전체의 측면도.
제2도는 분해 사시도.
제3도는 요부 사시도.
제4a도는 곤포기 전체를 나타내는 사시도.
b도는 풀 박스(Pool box)의 사시도이고,
제5도 및 제6도는 종래 기술을 나타내는 것으로 각각 풀 박스의 다른쪽 축벽을 떼어낸 측면도 및 단면도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피드로울러 13 : 텐션 아암
21 : 풀 박스 22 : 개구부
23 : 로울러 케이스 24, 25 : 풀 로울러
26 : 풀슈터 30 : 밴드 장전 장치
39 : 프레임 40 : 밴드 안내부
본 발명은 풀 박스의 밴드 삽입구로부터 피드 로울러에 용이하게 밴드를 장전하고 또 한편 풀 박스에 밴드를 공급하는 밴드 장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런 종류의 밴드 장전 장치로서는 특공소 59-5494호 및 이것을 기초로 간소화되도록 한 것으로 실개소 60-92904호가 있는데 후자는 제5도 및 제6도에 요부를 나타낸 바와같이 밴드 삽입구 4a 및 밴드송출구 4b를 갖는 풀 박스 4내에 앞의 밴드 삽입구 4a로부터 밴드를 보내넣는 풀 로울러 5와, 풀 박스 4내의 밴드를 밴드 송출구 4b로부터 곤포기 본체 외부로 밴드 1을 보내고 혹은 곤포기 본체의 긴쪽 방향으로 평행하게 입설된 밴드 안내 아치에 밴드 1을 보내며 앞의 본체 외부로부터 혹은 밴드 안내 아치로부터 밴드를 되돌리고 당기는 피드 로울러 7을 갖추고 앞의 풀 박스 4의 일측면벽 3에는 기초부 8a를 원추 결합하며 선단측 8b는 풀 박스 4의 일측면벽 3에 연하는 위치에서 거꾸로 엎어짐이 가능할뿐 아니라 풀 박스 4의 배면벽 9에 연하는 위치에서 바로섬이 가능케하고 바로선 위치에서는 풀 박스 4의 배면벽 9 내면과의 사이에 밴드삽입구 4a로부터 밴드 송출구 4b에 이르는 밴드안내 통로 6을 형성하는 밴드 안내판 8등을 구비하므로서 앞의 피드 로울러에 의하여 밴드를 당기는 피드 로울러방식의 곤포기의 밴드 장전 장치가 있다.
동도면에 나타낸 종래예에 의하면 밴드 안내판 8은 피드 로울러 7이 밴드 당김 작용을 하는 방향의 앞쪽끝(동도면 우측)에 있는 안내슈트 8'과 풀로울러 5사이에 가설되어 있기 때문에 피드 로울러 7을 밴드 공급과 복귀(1차 당김)에만 사용하며 피드 로울러 7이 밴드 복귀작용을 하는 방향의 앞쪽끝에 자유롭게 벌려 움직이도록 설계된 텐션아암에 의하여 밴드를 피곤포물에 강하게 묶는(2차 당김) 텐션아암방식의 밴드 당김을 행하는 것에는 채용될 수 없다. 텐션 아암이 밴드 당김때문에 벌려 움직이면 안내판 8위의 배면벽 9에 충돌하여 끝나는 것으로 된다. 또 밴드 안내판 8을 거꾸로 엎어진 위치에 유지하는 수단으로서 개시되어 있는 핸들 2는 풀 박스 4의 폭방향 바깥쪽 따라서 곤포기 본체 긴쪽방향의 측면에 돌출하는 것으로 되기 때문에 그것을 위한 스페이스를 요하고 또 곤포기본체 긴쪽 방향의 측면으로부터 핸들 조작을 하지 않으면 안되기때문에 앞의 본체 측면 양방향에 콘베아 라인을 설치하므로 곤포라인에서 곤포기에 대한 밴드 장전 작업이 앞의 콘베아라인의 존재 때문에 번잡하게 된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 기술의 결점없이 문제점을 시정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인데 밴드 당김 장치를 소위 피드로울러 방식에 한하지 않고 텐션 아암 방식에 의한 것에서도 함께 채용할 수 있고 밴드 장전시의 조작을 본체의 폭방향 측면으로부터 행하는 것이 극히 간단한 구성에 의하여 가능하도록 한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상세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제1도~제4도에 따라 설명한다면 10은 일쌍의 피드로울러로서 도시되지 않은 받침판에 고정된 축받이 11에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축으로 지지되고 일부 단면으로 나타난 밴드 통로가 내부에 형성된 피드슈터 12내에는 일쌍의 로울러의 원주 일부가 밴드를 사이에 두고 서로 미끄러져 자유롭게 움직이도록 설치 되어 있다. 13은 텐션아암으로서 밴드 당김 장치를 구성하는데 공지의 캠 14에 의하여 일정 스토로크 벌려 움직이고 또 용수철 15에 의하여 자동복귀하는 아암 16의 상부에 안내홈 17을 갖추고 그 안내홈 17에는 용수철 18에 의하여 안내홈 17로부터 떨어지도록 일방향으로 힘을 준 턱 19가 자유롭게 회전운동하도록 축에 지지되고 아암 16의 안내홈 17에 면하여 아암슈터 20이 부착되어 있다.
아암슈터 20은 앞의 안내홈 17에 일단이 닿고 타단 즉 밴드 당김 방향의 전방 끝에는 가이드 로울러를 갖추어 밴드를 앞의 안내홈 17에 안내하는 각이진 통모양을 형성하며 앞의 턱 19에 의하여 안내홈 17에서 밴드를 파지하여 아암 16이 벌려 움직이고 밴드를 피곤포물에 강하게 묶을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 밴드 장전 장치 30은 풀 박스 21의 밴드입구 및 출구를 형성하는 상면의 개구부 22에 임하여 설치되어 있다. 즉 풀 박수 21의 상기 개구부 22는 텐션 아암 13 그리고 피드로울러 10에 밴드를 구부리지 않고 직선상으로 공급하기 위하여 피드로울러 10, 텐션아암 13 그리고 아암슈터 20을 향하여 풀 박스 21의 풀공간과 함께 거의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여 형성되어 있고 본체의 폭방향 일측면의 끝 주위 근방에 위치하고 있다.
밴드 장전 장치 30은 바로 서고 거꾸로 넘어지는 위치에서 회전운동이 자유로운 로울러케이스 23에 일쌍의 풀 로울러 24,25를 축으로 지지하고 풀 로울러 24,25의 원주의 일부는 풀슈터 26내에서 밴드를 사이에 두고 미끄러져 접촉 회전하도록 구성되며 풀슈터 26으로 이루어지는 밴드안내부 40은 제3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밴드 장전시 밴드 출구끝이 텐션아암의 밴드 당김 작용방향의 전방끝에 있는 아암슈터 20의 후단에 길게 임하여 있고 피드슈터 12보다 약간 긴 점을 제외하면같은 모양의 구성으로서, 직선상의 홈은 판체에 의하여 덮은 것이다.
27은 부록으로 부록 27을 사이에 두고 핸들28을 로울러케이스 23에 부착한다. 29은 풀가이드로서 거의 역방향의 C자 모양을 형성하며 단면은 자모양으로 형성되고 그 자모양의 뚫린면을 아암슈터 20방향으로 하여 풀슈터 26의 선단부에 C자모양의 원호의 끝부분을 놓아 고정하게 된다.
제2도 및 제3도에서 풀 로울러 24,25중 내부 위쪽의 로울러 24는 피드로울러 10에 채용되어 있는 편심축 31에 축으로 지지되고 편심축 31을 갖는 주축 32의 다른쪽 끝에 끼워진 핀 33은 로울러 케이스 23의 상면에 입설한 L자모양의 후크 35에 일단을 결합한 용수철 34에 의하여 일정한 힘으로 항시 구동로울러 25를 압압하도록 힘을 주게 된다.
풀 로울러 25의 구동축 36은 로울러 케이스 23을 관통하여 축받침 부록 37에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축으로 지지되고 축받침 부록 37과 로울로케이스 23간에는 구동축 36에 쐐기 붙임한 풀리 38에는 모터 M에 연결되 벨트 V가 감겨져 있다. 그리고 축받침 부록 37은 텐션 아암 13이 벌려 움직이는 궤적과 동일 평면상에 풀슈터 26이 위치하도록 하고 풀 박스 21의 상면 개구부 22의 근방으로 본체의 골조를 형성하는 프레임 39상에 얹어 고정된다.
상술의 실시예에서는 밴드 장전 장치 30을 풀 박스 21의 상면에 위치하는 개구부에 설치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4도에서 풀 박스 21의 우하측면에 개구부를 형성하여 개구부 근방에는 풀슈터 26을 아암슈터 20의 밴드입구단에 닿도록 길게 형성한 밴드 장전 장치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경우에 전술한 풀가이드 29는 필요없게 된다.
또 제1도에서 41은 가이드로울러로서 앞의 핸들 결합용의 부록 27의 하면 본체 외부에 면하고 풀슈터 26의 밴드 입구끝에 임하여 설치되며 42는 스톱퍼로서 상면이 로울로 케이스 23의 저면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의 판체로 형성되어 로울러 케이스 23이 밴드 장전시의 바로선 위치 및 밴드 풀시의 거꾸로 엎어진 위치를 규제하도록 로울로 케이스 23의 아래쪽 전술한 본체으 ㅣ프레임 39상에 결합되어 있다.
또 제1도 및 제3도에서 43은 접촉편으로 로울로 케이스 23의 전면 하부에 부착되어 풀 박스 23의 한쪽측벽 44에 부착된 리미트스위치 45의 로울에 붙었다 떨어짐이 자유롭게 설치되며 밴드풀시의 로울러 케이스 23이 거꾸로 덮어진 위치에서 앞의 로울이 눌러 들어 간다.
제4도에 나타난 바와같이 풀 박스 21에는 일단측에 웨이트를 갖는 바란스바 46의 기틀이 회전 운동이 가능하게 축으로 지지되고 앞의 풀 박스 21내의 밴드풀 공간내에 공급된 밴드의 장력 및 또는 중량에 의하여 동도면 아래쪽으로 벌려움직이도록 설치됨과 동시에 앞의 바란스바 46의 축 47의 끝부분에 삽통한 핀레버 48에 의하여 앞의 풀 박스에 소정량의 밴드가 풀되지 않는 때에는 웨이트의 중량으로 동도면 윗족으로 바란스바 46과 함께 벌려 움직이는 앞의 레버 48에 의하여 리미트스위치 49가 ON/OFF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밴드풀량의 조정은 풀 로울러를 타이머에 의하여 설정한 시간내에서 회전시키도록 함에 의하여 가능하다.
다음에 상술한 실시예의 작용에 관하여 설명한다. 먼저 밴드 장전 장치 30의 핸들 28을 아래로 눌러 밴드 안내부 40을 바로선 위치에 둔다. 따라서 풀슈터 26의 밴드 출구끝은 아암슈터 20의 후단 가이드로울러에 대치하는 형으로 된다. 즉 풀슈터 26및 풀 로울러 24,25가 밴드를 밀어 넣는 방향을 피드로울러 10방향으로 한다. 밴드릴 70으로부터 원하는 량의 밴드를 끌어내고 밴드 선단은 부록 27의 가이드로울러 41에 삽통하며 이어서 풀슈터 26의 밴드 입구단에 삽입된다. 이때 또는 이것 이전에 메인스 위치를 ON으로 하면 리미트 스위치 45로부터 접촉편 43이 떨어지거나 또는 떨어지고 있기 때문에 리미트 스위치 45가 ON되고 바란스바 46의 위치에 관계 없이 바란스 바 46에 연동하는 리미트 스위치 49에의 회로를 차단하여 풀모터 M가 회전하고 그 풀모터 M에 벨트 V를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는 풀 로울러 25가 회전하기 때문에 풀슈터 26내에서 두로울러 24,25사이에 밴드를 끼우면서 회전하고 밴드 안내부 40의 풀슈터 26을 사이에 두고 아암슈터 20으로부터 텐션아암 13상부의 안내홈 17을 통하여 일쌍의 피드로울러 10의 사이로 밴드 선단이 도달한다.
여기에서 밴드 장전의 목적은 달성되었기 때문에 이때 핸들 28을 잡아올려 밴드안내부 40을 거꾸로 엎어진 위치로 하여 필요 이상의 밴드를 보내 넣지 않도록 하여도 좋으나 밴드가 피드로울러 10사이에 도달하여도 밴드 안내부 40이 바로선 위치에 있다면, 풀로울러 24,25에 의하여 밴드가 피드로울러 10의 한쪽을 공회전하면서 곤포기 본체의 긴쪽방향에 평행으로 입설된 밴드안내아치 50에 밀어 넣어지고 밴드선단이 공지의 밴드선단 파지기구에 도달한다. 또 풀 모터에 타이머를 접속한다면 밴드안내아치의 전체 길이 이상으로 밴드를 밀어 넣을수 없도록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밴드선단 파지기구 근방에 밴드 선단이 도달함을 검지하는 리미트스위치 혹은 피드로울러 10간의 밴드 존재를 검지하는 리미트스위치에 의하여 풀모터를 일단 정지시키고 혹은 로울러케이스 23을 솔제노이드에 의하여 거꾸로 엎어지도록하여도 좋고 밴드 장전 장치 30의 전기적 제어는 실시에 따라서 알맞게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어서 밴드안내부 40을 거꾸로 엎어진 위치로 하여 핸들 28을 들어 올린다면 접촉면 43이 리미트스위치 45로 로울을 압입하기 때문에 바란스 바 46에 연동하는 리미트스위치 49의 회로가 전원에 접속된다. 풀박스 21내에는 밴드가 아직 완전히 풀되어 있지 않는 상태에 있기 때문에 제4도에서 바란스 바 46의 일단측에 있는 웨이트때문에 동도면 위쪽에 위치한 핀 48에 의하여 리미트스위치 49가 ON으로 되어 풀모터 M은 회전을 계속하고 앞의 밴드안내부 40을 거꾸로 엎어진 위치로하여 핸들 28을 들어올리면 풀슈터 26 및 풀 로울러 24,25의 밴드 밀어 넣는 방향은 풀 박스 방향이 되는 것이므로 밴드를 풀슈터 26의 밴드 출구단으로부터 풀 박스 21로 그 개구부부터 밀어 넣는 밴드를 풀한다. 풀 박스 21내에 밴드를 밀어 넣는 것이 소정량에 달하면 앞의 웨이트의 중량에 비기는 밴드장력 및 또는 중량에 의하여 동도면 아래쪽으로 버려 움직이는 바란스 바 46에 따라서 핀 48이 리미트스위치 49로부터 떨어지고 그 신호로 풀모타 M이 회전을 정지한다.
그 사이 혹은 이후에 밴드 선단이 공지의 밴드 선단 파지기구에 도달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도시되지 않은 정회전 보턴을 ON으로 하여 피드로울러 10을 정회전시키고 더하여 밴드를 본체상의 밴드 안내아치 50내에 밀어 넣어 밴드를 도시되지 않은 밴드 선단이 파지 고정되고 피드로울러 10의 역전에 의하여 밴드는 복귀되어 텐션 아암 13에 의하여 밴드를 피곤포물에 대하여 당기며 밴드 공급단측의 파지고정, 밴드중합부의 용착, 밴드 공급단의 절단 등 각 공정이 연속하여 행하여 진다. 앞의 당김 공정에 있어서 텐션아암 13은 제1도의 상상선에 나타나 있는 벌려 움직이는 궤적으로그리기 위하여 텐션아암 13이 밴드안내부 40과 접촉하는 것은 아니다.
또 본 발명은 피드로울러 10에 의하여 당김 방식의 곤포기에 실시하는 경우에는 밴드 당김 장치인 피드로울러 10의 밴드 당김 방향 전방끝 즉 피드로울러 10사이의 피드슈터 12의 밴드 입구에 닿도록 풀슈터 26을 길게 형성한다면 좋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밴드 당김 장치가 소위 피드로울러 방식에 한정되지 않고 텐션아암 방식에 의한 것에서도 함께 채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풀 박스의 밴드 삽입구로부터 피드로울러에 간단하게 밴드를 장전하는 것이 가능하며 또 밴드 장전시의 조작을 본체 폭방향의 측면으로부터 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것이다.

Claims (5)

  1. 밴드를 풀 박스 21에 보내 넣는 일쌍의 풀 로울러 24,25와 밴드를 곤포기 본체 외부로 공급하고 되돌리는 일쌍의 피드로울러 10와 밴드를 앞의 풀 로울러 24,25로부터 피드로울러 10로 안내하는 밴드안내부 40를 갖추고 앞의 피드로울러 10 또는 그 피드로울러 10의 밴드 공급 방향 후방에서 밴드 공급단을 파지함으로써 일정 스트로크 벌려 움직이는 텐션아암 13에 의하여 피곤포물에 대한 밴드를 당기는 밴드 당김 장치를 갖는 곤포기의 밴드 장전 장치에 있어서 앞의 풀 로울러 24, 25는 로울러 케이스 23에 앞의 피드로울러 10의 밴드 공급 방향으로 회전이 자유롭게 축으로 지지되고 그 로울로 케이스 23은 풀 박스 21의 개국부 22근방에서 앞의 피드로울러 10이 밴드를 공급하고 되돌리는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되고 앞의 밴드 안내부 40은 앞의 로울러 케이스 23에 일쌍의 풀 로울러 24,25의 원주의 일부를 자유롭게 미끄러져 접하도록 재부에 임하며 밴드 통로를 형성하는 풀슈터 26가 형성되고 그 풀슈터 26는 밴드 입구끝이 곤포기 본체 폭방향의 측면에 면하여 밴드 출구끝이 앞의 밴드 당김장치의 밴드 당김 방향 전방끝에 달하는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 장전 장치.
  2. 앞의 밴드 당김장치는 텐션아암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그 텐션 아암 13의 안내홈 17에 면하여 아암슈터 20를 갖는 청구항 1기재의 밴드 장전 장치.
  3. 앞의 밴드 당김 장치는 피드슈터 12내의 밴드를 사이에 두고 서로 회전하는 일쌍의 피드로울러 10로 이루어지고 앞의 풀슈터 26선단을 앞의 피드슈터 12후단에 닿도록 길게 형성한 청구항 1기재의 밴드 장전 장치.
  4. 앞의 밴드 장전 장치를 풀 박스 21의 상면에 형성환 개구부 22근방에서 본체 폭방향 측면에 설치한 청구항 1기재의 밴드 장전 장치.
  5. 앞의 로울러 케이스 23에 핸들 28을 설치하고 그 핸들 28에는 로울러 케이스 23를 상하로 회전운동시킴과 함께 앞의 회전 운동에 의하여 ON-OFF하는 리미트 스위치 45를 설치하며 그 리미트 스위치 45의 신호롤 풀 로울러 24, 25가 회전, 정지하는 청구항 1기재의 밴드 장전 장치.
KR1019880005514A 1988-05-12 1988-05-12 밴드 장전장치 KR9100083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80005514A KR910008308B1 (ko) 1988-05-12 1988-05-12 밴드 장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80005514A KR910008308B1 (ko) 1988-05-12 1988-05-12 밴드 장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7141A KR890017141A (ko) 1989-12-15
KR910008308B1 true KR910008308B1 (ko) 1991-10-12

Family

ID=192743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05514A KR910008308B1 (ko) 1988-05-12 1988-05-12 밴드 장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830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7141A (ko) 1989-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393684B2 (ja) 物品の結束方法及び結束装置
CA2158410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n improved power strapping machine
US3945633A (en) Hopper loader
EP0503046A1 (en) APPLICATION DEVICE FOR ENVELOPE NET IN A ROUND BALING PRESS.
US4986522A (en) Printing press feed mechanism
JPS6034211A (ja) 電線定寸切断装置
US4952270A (en) Band feeding and tightening apparatus in strapping machine
EP0922128B1 (de) Riemenwickler
KR910008308B1 (ko) 밴드 장전장치
ES480612A1 (es) Perfeccionamientos en los grupos de alimentacion y tensado de fleje para maquinas flejadoras y similares.
US5954918A (en) Tape wrapping machine
US4454808A (en) Feed device for strapping bands
KR910008311B1 (ko) 곤포기의 밴드공급 및 당김장치
KR100496465B1 (ko) 벨트루프공급장치
US4589605A (en) Looping apparatus for coiled material
JP2504094Y2 (ja) 梱包機におけるバンド供給装置
JPH08192813A (ja) バンド式把束機
JP2684779B2 (ja) 糸半田自動送り装置
JPS63302888A (ja) 縫製ミシンヘのテープ供給装置
SE469439B (sv) Maskin foer att bilda en linstropp
JPH04214395A (ja) 綴じ装置の針金片の調製装置
JP3697365B2 (ja) 梱包機におけるバンド終端排出方法
JPH0315443Y2 (ko)
KR910007627Y1 (ko) 포장기에서의 밴드 장진장치
KR200191914Y1 (ko) 종이밴드 밴딩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