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8173B1 - 차상(車上)저자세 자주식 고가 작업대 - Google Patents

차상(車上)저자세 자주식 고가 작업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8173B1
KR910008173B1 KR1019880008978A KR880008978A KR910008173B1 KR 910008173 B1 KR910008173 B1 KR 910008173B1 KR 1019880008978 A KR1019880008978 A KR 1019880008978A KR 880008978 A KR880008978 A KR 880008978A KR 910008173 B1 KR910008173 B1 KR 9100081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sembly
propelled
upright frame
self
pou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089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4906A (ko
Inventor
시이 헤이드 쥬니어 도널드
디이 바커 로버트
Original Assignee
키디 인더스트리이즈 인코포레이팃드
키이스 아아르 사이먼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키디 인더스트리이즈 인코포레이팃드, 키이스 아아르 사이먼즈 filed Critical 키디 인더스트리이즈 인코포레이팃드
Publication of KR8900049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49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81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81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5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using cranes for self-loading or self-unloa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1/04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 B66F11/044Working platforms suspended from booms
    • B66F11/046Working platforms suspended from booms of the telescoping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1/04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Transportation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차상(車上)저자세 자주식 고가 작업대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차상 저자세 자주식 고가 작업대의 각기 다른 작업 위치들을 보여주는 정면도.
제2도는 작업대에 접근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신축 가능한 부움 조립체와 작업대가 음의 각도로 내려가 있는 것을 나타내는 본 발명의 고가 작업대의 측면도.
제3도는 신축 가능한 부움 조립체가 자동차에 대해 상승된 위치로 이동해 있는 것을 보여주는 부분 측면도.
제4도는 제3도의 4-4선에서 본 배면도.
제5도는 제3도 및 제4도의 5-5선에 따른 부분 단면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지지 프레임 2 : 평형추
3 : 회전대 4 : 자동차 샤시
5, 6 : 관형 아암 9 : 직립 프레임 조립체
12 : 신축 가능한 부움 조립체 13 : 작업대
15 : 하부 리프트 실린더 18 : 부움 리프트 실린더
32, 33 : 홈 부분 39, 40 : 보강판
44 : 유압 실린더 48 : 마스터 실린더
49 : 슬레이브 실린더 50 : 캐리어 트랙 조립체
본 발명은 저자세 특징을 가지는 차상 자주식 고가 작업대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에 지지된 회전대위에 장착되는 받침대나 하우징을 포함하는 각종 차상 자주식 고가 작업대들이 제안되어 왔다. 바깥쪽 끝에 작업대가 장착되어 있는 부움(boom)조립체가 받침대에 직접 피봇 가능하게 연결되거나 적당한 링크장치를 통해 피봇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런 종래의 가동식 고가 작업대들은 일반적으로 그들의 의도한 목적에는 만족스러웠지만, 그것들의 크기와 도달 능력 때문에, 출입구가 낮고 좁으며 통로가 좁지만 높은 작업 높이를 필요로하는 창고나 제조 공장같은 비교적 작은 작업 장소들에서는 그들의 사용이 제한되었다. 한편, 종래의 고가 작업대를 좁은 출입구 및 통로를 통과할 수 있게하는 경우에는, 자동차 샤시의 폭이 축소되어야 하고 따라서 안정성의 문제가 야기되어, 안정성을 고려하여 자동차 샤시의 폭을 증가시킬 수 없다. 따라서, 자동차 샤시의 크기를 증가시키지 않고 작업대 도달 높이를 증대시키기 위해, 종래의 고가 작업대는, 회전대에 연결된 직립 지주들에 일단부가 피봇 가능하게 연결되고 반대측 단부에서는 수직면에서 치우쳐 있는 제2의 지주 부재에 연결된 1쌍의 평행한 아암들과, 그 평행한 아암들의 수직면에서 옆으로 떨어진 수직면에서 지주 부재의 꼭대기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된 신축 가능한 부움을 구비하여, 그 고가 작업대가 낮추어진때 상기 부움이 상기 평행한 아암들 옆에 나란히 위치되도록 하였다. 이와 같이 부움이 한쪽으로 치우쳐 있는 지주 부재에 연결되어 비틀림 효과가 평행한 아암 및 회전대를 통해 자동차 샤시에 전달됨으로써 어떤 높이 이상에서는 이 기계가 불안정하게 되기 때문에, 부움의 길이 및 그 부움단부의 작업대의 작업 높이가 제한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창고나 제조 공장의 좁고 낮은 통로와 출입구들을 통해 움직일 수 있도록 저자세와 좁은 폭을 가지는 차상 자주식 작업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상 저자세 자주식 고가 작업대는, 자동차 샤시위에 장착되고 자동차의 차축에 아주 가까운 수평면상에 위치되는 회전대를 포함한다. 그 회전대에 지지된 상부 구조물 지지 프레임과 한쪽 끝에 신축 가능한 부움 조립체가 피봇 가능하게 연결된 직립 프레임 조립체와의 사이에, 1쌍의 관형 아암들로 이루어진 평행 사변형 링크장치가 설치되고, 신축 가능한 부움 조립체의 최외단부에 작업대가 장착된다. 그상부 구조물 지지 프레임에 평형추가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고, 그 평형추는 상부 구조물 지지 프레임위에 서로 가깝게 이격되어 있는 측벽들에 의해 형성된 홈부분과 정렬되는 홈부분을 가지고 있다. 작업대에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게 하기위해, 신축 가능한 부움 조립체가 음의 각도로 낮춰졌을때 관형 아암들이 그 홈부분들을 통해 뻗는다. 이런 하강된 위치에 있을때, 예를 들어, 자동차와 관련 링크 장치의 높이는 작업대 높이가 18.29m(60ft)인 기계에서 대략 2.59m(8.5ft)이어서, 이 고가 작업대가 2.74m(9ft) 높이의 출입구를 통과할 수 있다.
신축 가능한 부움 조립체와 관형 아암들이 동일한 수직면에 위치되고 상부 구조물 지지 프레임, 관형 아암들, 직립 프레임 조립체, 그리고 그 직립 프레임 조립체에 연결된 신축 가능한 부움 조립체의 피봇축이 기계의 중심선에 대해 대칭으로 구성되고 배치되어, 신축 가능한 부움 조립체로부터 직립 프레임 조립체를 거쳐 관형 아암들, 상부 구조물 지지 프레임의 측벽들 및 회전대를 통해 자동차 샤시까지 전달되는 하중 응력들이 균일하게 분포되고, 따라서 종래 기술에서와 같은 비틀림 효과가 제거되어, 자동차 샤시의 폭을 증가시킴없이 작업높이를 증대시킬 수 있다. 상승된 위치에 있을 때, 직립 프레임 조립체, 관형 아암들, 상부 구조물 지지 프레임 및 평형추는 자동차의 바퀴 간격안에 위치되고, 따라서 후단 선회반경이 전혀 없게된다. 즉, 상부 구조물 지지프레임과 신축 가능한 부움 조립체의 선회중 자동차 바퀴들 밖으로 뻗는 요소가 없다.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에 따르면, 본 발명의 차상 저자세 자주식 고가 작업대는 상부 구조물 지지 프레임(1)을 포함하는데, 그 프레임은 자동차 샤시(4)에 지지된 회전대(3)위에 장착되고 평형추(2)를 갖는다. 대략 평행한 1쌍의 관형 아암들(5,6)이 그의 일단부에서 피봇축들(7,8) 각각에 의해 상부 구조물 지지 프레임(1)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되고, 다른쪽 단부에서는 피봇축들(10,11) 각각에 의해 직립 프레임 조립체(9)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된다. 신축 가능한 부움(boom) 조립체(12)가 피봇축(14)에 의해 직립 프레임 조립체(9)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되고, 그 부움 조립체의 가장 바깥쪽 끝에 작업대(13)가 장착되어 있다. 지지 프레임(1)과 관형 아암(5)사이에 피봇축들(16,17)에 의해 하부 리프트(lift) 실린더(15)가 연결되어, 관형 아암들(5,6)과 직립 프레임 조립체(9)가 자동차에 대해 승강될 수 있게 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직립 프레임 조립체(9)와 신축 가능한 부움 조립체(12)의 기부 사이에 피봇축들(19,20)에 의해 부움 리프트 실린더(18)가 연결되어, 제1, 2 및 3도에서 보다시피 신축 가능한 부움 조립체(12)가 직립 프레임 조립체(9)에 대해 승강될 수 있게 되어 있다.
본 발명의 고가 작업대의 상세한 구조가 제3, 4 및 5도들에 대해 더 상세히 도시되어 있는데, 이들 도면에서, 저자세 특징을 얻기 위해 회전대(3)가 자동차 차축들(21)의 평면에 아주 가깝게 수평 면상에 위치됨을 볼 수 있다. 상부 구조물 지지 프레임(1)은 회전대(3)에 고정된 1쌍의 밀접하게 이격된 측벽들(22,23), 앞끝벽(24), 그리고 바깥쪽으로 뻗어 있는 1쌍의 횡방향 뒷벽들(25,26)로 구성된다. 분리 가능한 평형추(2)는 훅크들(27,28)에 의해 뒷벽들(25,26)에 걸리고 볼트들(29,30)에 의해 위치 고정된다. 그 평형추(2)에는 또한, 리프트 핀(31)이 설치되어 있어, 크레인으로 그 평형추를 들어올려서 상부 구조물 지지 프레임에 연결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제5도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1쌍의 평행한 아암들(5,6)은 그의 단면이 관형이나 상자형 구조로 되어 있고, 상부 구조물 지지 프레임의 측별들(22,23) 사이의 간격부에 위치하며, 피봇 축들(7,8)은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으로 정렬되어 있다. 그 측벽들(22,23) 사이의 간격부에는 자동차 샤시(4)의 중심선과 일치하는 홈부분(32)이 제공되어 있는데, 그 홈부분은 평형추(2)에 있는 비슷한 홈부분(33)과 정렬된다.
이와 같은 구성 및 배치에 의해, 평행한 관형 아암들(5,6)이 자동차 샤시의 중심선과 정렬되고,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대가 하강된 때 홈 부분들(32,33)안에 수용된다. 이런 배치는 또한, 이 고가 작업대의 저자세 특징에 기여하는데, 그 작업대의 높이는 제2도처럼 위치했을때 약 2.59m(8.5ft)이다. 이러한 최저 작업대 높이가 전체의 최저 높이이다. 제2도와 같은 하강 위치에서, 평행한 관형 아암들(5,6)은 비록 수평면상에 있다 하더라도 자동차 뒷쪽 방향으로 약간 기울어져 있고 따라서 처음에는 제3도와 같이 하부 리프트 실린더(15)가 가동되자마자 상승 모드로 움직이도록 위치되어 있다.
그 아암들(5,6)의 구조가 관형이기 때문에, 제4도에서 보는것처럼, 그 아암들을 승강시키는 중에 하부 리프트 실린더(15)와 그에 관련된 피스톤 로드를 수용하는 개방부들(34,35)을 각각 형성하도록 아랫쪽 관형아암(6)의 윗벽과 바닥벽의 일부분이 잘라내어져 있다.
제4도에서, 직립 프레임 조립체(9)는 웨브 부재(38)에 의해 서로 연결된 1쌍의 이격된 평행한 측벽들(36,37)을 갖는 채널 부재 형태이다. 관형 아암들(5,6)의 피봇축들(10,11)에서 그 측벽들(36,37)에 보강판들(39,40)이 설치되어 있다.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형 아암들(5,6)과 직립 프레임 조립체(9)의 상기한 구조 및 배치에 의해, 신축 가능한 부움 조립체(12)는 지상 위로 약 4.57m(15ft) 정도의 높이에 피봇축(14)을 가지고 있고, 따라서 신축 가능한 부움 조립체(12)가 수평방향으로 있을 때 장애물(41)위에서 뻗을 수 있다. 이런 타입의 기계가 때로 업앤드 오버(up and over)기계라 불리운다. 직립 프레임 조립체(9)는 이 고가 작업대의 방향이 어떤 위치에 있어도 항상 수직으로 향해있다. 피봇축(14)이 높이 위치되기 때문에, 신축 가능한 부움 조립체(12)와 작업대(13)가 제1도에 가상선으로 도시된 위치까지 회전되어 뻗을 수 있는데, 이때 작업대(13)는 지상에서 약 18.29m(60ft)까지 뻗는다.
신축 가능한 부움 조립체(12)는 또한, 기부 구간(42)과 신축 가능한 부움 구간(43)으로 구성되는데, 그 기부 구간안에는 유압 실린더(44)가 축(45)에 의해 그 기부 구간의 안쪽끝에 고정되어 수용되고, 그 유압실린더(44)는 신축 가능한 부움 구간(43)안으로 뻗고 축(47)에 의해 그 부움 구간에 고정된 피스톤 로드(46)를 갖는다. 직립 프레임 조립체(9)와 기부 구간(42)의 안쪽끝 사이에 마스터 실린더(48)가 연결되고, 그 마스터 실린더(48)는, 신축 가능한 부움 구간(43)의 바깥쪽 끝에 장착되고 작업대(13)에 연결된 슬레이브(slave)실린더(49)와 유체가 소통하도록 되어 있어, 당기술에 공지된 바와 같이, 신축 가능한 부움 조립체(12)를 회전시키는 동안 작업대(13)를 수평으로 유지할 수 있다. 기부 구간(42)안에는 또한, 작업대(13)위에 장착된 통상의 제어장치들까지 신축 부움 조립체를 통해서 뻗어있는 각종의 동력 케이블들과 호오스들을 지지하기 위한 캐리어 트랙 조립체(50)가 배치되어 있어, 그 작업대 위에서 작업자가 자동차의 움직임뿐만 아니라 신축 부움 조립체의 회전, 즉 승강을 제어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신축 가능한 부움 조립체(12), 부움 리프트 실린더(18), 1쌍의 평행한 관형 아암들(5,6) 및, 하부 리프트 실린더(15) 모두가 회전대(3)의 회전 중심선, 그리고 하강된 위치에서 자동차 샤시의 중심선과 정렬된 동일한 수직면에 위치되어 있기 때문에 그 구조물은 완전히 대칭이고, 따라서 이와 같은 일반적인 유형의 대부분의 종래 기계들의 경우들과 마찬가지로 작업대(13)상의 하중과 기계 부품들의 중량이 회전대에 어떤 토오크도 전달하지 않는다. 각종의 구조적 요소들이 서로에 대해 매우 인접한 거의 수평의 면들에 위치하는 기하학적 형상,지지 프레임에 연결된 평행한 관형 아암들(5,6)의 피봇축들이 수직으로 정렬된 구조, 직립 프레임 조립체(9)에 연결된 평행한 관형 아암들의 피봇축들이 수직으로 정렬된 구조, 그리고 직립 프레임 조립체에 연결된 신축 가능한 부움 조립체의 피봇축들이 수직으로 정렬한 구조에 의해, 이 기계가 철회되어 접힌 위치에 있을 때 그의 자세가 낮게되는 본 발명의 중요한 특징이 제공된다.

Claims (18)

  1. 자동차 샤시(4)와, 그 자동차 샤시(4)위에 장착된 회전대(3)와, 그 회전대(3)위에 장착된 상부 구조물 지지 프레임(1)과, 각자의 한쪽 끝이 상기 상부 구조물 지지 프레임(1)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1쌍의 평행 아암들(5,6)과, 그 아암들(5,6) 각자의 다른쪽 끝이 피봇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직립 프레임 조립체(9)와, 한쪽 끝은 상기 상부 구조물 지지 프레임(1)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다른쪽 끝은 상기 아암들중 하나의 아암(5)에 작동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하부 리프트 실린더(15)와, 한쪽 끝이 상기 직립 프레임 조립체(9)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되고 다른쪽 끝에 작업대(13)를 가진 신축 가능한 부움(boom)조립체(12) 및, 상기 신축 가능한 부움 조립체(12)를 선회시키기 위해 상기 직립 프레임 조립체(9)와 부움조립체(12) 사이에 작동적으로 연결된 부움 리프트 실린더(18)로 구성되고, 상부 구조물 지지 프레임(1), 평행 아암들(5,6) 그리고 직립 프레임 조립체(9)가 평행사변형 링크 조립체를 제공하여, 상기 하부 리프트 실린더(15)의 작동시, 평행 아암들(5,6) 및 직립 프레임 조립체(9)가 수직 면에서 이동되도록 된 차상 자주식 고가 작업대에 있어서, 상기 상부 구조물 지지 프레임(1)이, 2개의 밀접히 떨어져 있는 면들을 형성하는 1쌍의 떨어져 있는 측벽들(22,23)을 가지며, 그 상부 구조물 지지 프레임(1)의 한끝에, 상기 밀접히 떨어져 있는 면들에 횡으로 뻗어있는 평형추(2)가 연결되고, 상기 밀접히 떨어져 있는 면들 사이의 홈부분(32)과 정렬되어 그 홈부분의 연장부를 이루는 홈 부분(33)이 상기 평형추(2)을 통과하여 연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리프트 실린더들(15,18)이 수축하여 직립 프레임 조립체(9)와 신축 부움 조립체(12)를 그 부움 조립체(12)가 음의 각도까지 내려가는 최하 위치로 이동시켰을 때 상기 평행 아암들(5,6)이 상부 구조물 지지 프레임의 상기 밀접히 떨어져 있는 면들 사이로 해서 평형추를 통해 뻗게 되고, 하부 리프트 실린더(15)는 상기 면들 사이 홈 부분(32)내에 위치되며, 상기 부움 조립체(12) 및 평행 아암들(5,6)이 공통의 수직면에 대칭으로 위치되어, 자동차와 부움 조립체(12)가 창고나 제조공장의 낮고 협소한 출입구와 통로들에서 쉽게 움직일 수 있게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상 저자세 자주식 고가 작업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부 구조물 지지 프레임(1), 평행 아암들(5,6), 직립 프레임 조립체(9) 및, 신축 가능한 부움 조립체(12)가 이 고가 작업대의 중심선에 대해 대칭으로 구성되고 배치되어, 하중 응력들이 상기 신축 가능한 부움 조립체(12)로부터 직립 프레임 조립체(9)과 아암들(5,6)을 통해 상부 구조물 지지 프레임의 측벽들(22,23)까지 균일하게 분산되도록 된 차상 저자세 자주식 고가 작업대.
  3. 제1항에 있어서, 이 고가 작업대가 상승위치에 있을 때, 직립 프레임 조립체(9), 평행 아암들(5,6), 상부 구조물 지지 프레임(1), 그리고 평형추(2)가 모두 자동차의 바퀴 간격안에 위치하여, 후단선회 반경이 제로이도록 한 차상 저자세 자주식 고가 작업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들(5,6)이 관형 구조이고 서로에 대해 수직면에 배치되는 차상 저자세 자주식 고가 작업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리프트 실린더(15)가 상부의 평행 아암(5)에 작동적으로 연결된 차상 저자세 자주식 고가 작업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들(5,6)이 승강하는 중에 상기 하부 리프트 실린더(15)를 수용하는 개방부들(34,35)을 제공하기 위해 하부의 평행 아암(6)의 윗벽과 바닥벽의 일부분이 잘라내어진 차상 저자세 자주식 고가 작업대.
  7. 제4항에 있어서, 상부 구조물 지지 프레임(1)의 측벽들(22,23)에 연결되는 평행 아암들(5,6)단부의 피봇 축들(7,8)은 수직으로 정렬되고, 상기 신축 부움 조립체(12)가 음의 각도위치에 있을 때 그 부움 조립체 밑에 위치되는 차상 저자세 자주식 고가 작업대.
  8. 제7항에 있어서, 평행 아암들(5,6)이 하강 위치에 있을 때 약간 경사져, 하부 리프트 실린더(15)가 가동되자마자 상승 모드에 위치되도록 된 차상 저자세 자주식 고가 작업대.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평행 아암들(5,6)과 직립 프레임 조립체(9)가 신축 부움 조립체(12)를 위한 높은 피봇축(14)을 제공하도록 구성되고 배치되어, 상기 신축 부움 조립체(12)를 음의 각도 위치까지 움직이도록 직립 프레임 조립체(9)를 하강시켰을 때 그 피봇축(14)이 지상위 2.44m(8ft)에 있으며, 직립 프레임조립체(9)를 상승 위치로 이동시킨때 그 피봇축(14)이 지상위 4.57m(15ft)에 있도록 된 차상 저자세 자주식 고가 작업대.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 부움 조립체(12)가 음의 각도위치에 있을때는 평행 아암들(5,6)과 상기 신축 부움 조립체(12)가 자동차 앞쪽으로 같은 방향으로 기울어지는 차상 저자세 자주식 고가 작업대.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평행 아암들(5,6), 하부 리프트 실린더(15), 직립 프레임 조립체(9), 부움 리프트 실린더(18) 및, 신축 부움 조립체(12)가 공통의 수직면에서 대칭으로 위치되는 차상 저자세 자주식 고가 작업대.
  12. 제11항에 있어서, 하강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신축 부움 조립체(12), 상기 부움 리프트 실린더(18), 그리고 상기 평행 아암들(5,6)이 각각 위아래로 포개져 위치되는 차상 저자세 자주식 고가 작업대.
  13.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대(3)가 상기 자동차 샤시(4)상에 있는 회전 중심선을 가지며, 상부 구조물 지지 프레임(1)의 측벽들(22,23)에 연결되는 아암들(5,6)단부의 피봇축들(7,8)은 회전대의 회전 중심선에 대해서 신축 부움 조립체(12)의 끝에 있는 작업대(13)와 같은 쪽에 있는 차상 저자세 자주식 고가 작업대.
  14.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직립 프레임 조립체(9)에 연결되는 아암들(5,6) 단부의 피봇축들(10,11)이 수직으로 정렬되어 있고, 상기 직립 프레임 조립체(9)에 연결되는 신축 부움 조립체(12)의 피봇축(14)은 상기 피봇축들(10,11)과 수직으로 정렬되어 상기 피봇축들보다 위에 있는 차상 저자세 자주식 고가 작업대.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부움 리프트 실린더(18)가, 상기 직립 프레임 조립체(9)에 연결되는 상기 신축 부움 조립체(12)의 피봇축(14)과 아암들(5,6)의 피봇축들(10,11)과의 사이의 위치에서 피봇축(19)에 의해 상기 직립 프레임 조립체(9)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된 차상 저자세 자주식 고가 작업대.
  16. 제1항에 있어서, 신축 부움 조립체(12)가 음의 각도위치에 있는 철회된 위치에서는 1쌍의 평행 아암들(5,6)이 상기 회전대(3)면에 아주 가깝게 그 위에 있는 수평면들상에 위치해 있고, 상기 부움 리프트 실린더(18)가 상기 평행 아암들(5,6)의 수평면들에 아주 가깝게 그 위에 있는 수평면 상에 위치하는 차상 저자세 자주식 고가 작업대.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직립 프레임 조립체(9)에 연결되는 신축 부움 조립체(12)의 피봇축(14)이, 상기 직립 프레임 조립체(9)에 연결되는 부움 리프트 실린더(18)의 피봇축(19)위에 위치하고, 상기 직립 프레임 조립체(9)에 연결되는 평행 아암들(5,6)단부의 피봇축들(10,11)과는 수직으로 정렬되어 있는 차상 저자세 자주식 고가 작업대.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평행 아암들(5,6)이 상기 상부 구조물 지지 프레임(1)의 상기 떨어져 있는 측벽들(22,23)사이 홈 부분(32)에서 연장하도록 그 홈 부분에서 상부 구조물 지지 프레임에 피봇축들에 의해 연결된, 차상 저자세 자주식 고가 작업대.
KR1019880008978A 1987-09-25 1988-07-18 차상(車上)저자세 자주식 고가 작업대 KR9100081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7/101,016 US4757875A (en) 1987-09-25 1987-09-25 Vehicular low profile self propelled aerial work platform
US101,016 1987-09-25
US101016 1993-01-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4906A KR890004906A (ko) 1989-05-10
KR910008173B1 true KR910008173B1 (ko) 1991-10-10

Family

ID=222826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08978A KR910008173B1 (ko) 1987-09-25 1988-07-18 차상(車上)저자세 자주식 고가 작업대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4757875A (ko)
EP (1) EP0308595B1 (ko)
JP (1) JPH0639319B2 (ko)
KR (1) KR910008173B1 (ko)
AU (1) AU593205B2 (ko)
DE (1) DE3871683T2 (ko)
ES (1) ES2031961T3 (ko)
FI (1) FI88792C (ko)
MX (1) MX16393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58723A (en) * 1988-07-29 1989-08-22 Hi-Ranger, Inc. Bucket leveling system
BE1003344A4 (fr) * 1990-01-24 1992-03-03 Manitou Bf Sa Chariot elevateur a bras telescopique.
US5249643A (en) * 1992-04-03 1993-10-05 Kidde Industries, Inc. Vehicular self-propelled aerial work platform and telescoping parallelogram boom therefor
FR2702752B1 (fr) * 1993-03-17 1995-05-05 Hiviaco 88 Dispositif élévateur pour nacelle de transport de personnes.
US5460246A (en) * 1993-08-23 1995-10-24 O'flaherty Finance Articulated aerial lift
US5355970A (en) * 1993-08-26 1994-10-18 Kidde Industries, Inc. Multicell articulated riser system for a self propelled aerial work platform
US5584356A (en) * 1995-05-31 1996-12-17 Kidde Industries, Inc. Centerline double riser with single lift cylinder and link for a low profile self propelled aerial work platform
US5743149A (en) * 1996-02-26 1998-04-28 Skyjack Equipment Inc. Articulated telescopic boom having slide-through knuckle
CA2177508C (en) * 1996-05-28 2001-03-20 George Leslie Lawson Mobile lift assembly
US6170606B1 (en) 1996-06-28 2001-01-09 Safety Dynamicon, Inc. Analog control
CA2227986C (en) * 1997-01-31 2004-12-28 Kidde Industries, Inc. Lift apparatus having an articulated double parallelogram boom assembly
FR2774083B1 (fr) 1998-01-27 2000-04-07 Kidde Ind Inc Dispositif elevateur perfectionne
US6217044B1 (en) 1999-04-15 2001-04-17 Beeche Systems, Corp. Steerable and retractable wheels for multi-purpose carriage
US6341665B1 (en) 1999-09-13 2002-01-29 Grove U.S. L.L.C. Retractable counterweight for straight-boom aerial work platform
KR20010085129A (ko) * 2000-02-28 2001-09-07 양철 폐자원을 이용한 재생제품의 제조방법
US6488161B1 (en) 2000-05-02 2002-12-03 Jlg Industries, Inc. Boom mechanism
US7963695B2 (en) * 2002-07-23 2011-06-21 Rapiscan Systems, Inc. Rotatable boom cargo scanning system
DE202004011990U1 (de) 2004-07-30 2005-12-08 Liebherr-Hydraulikbagger Gmbh Umschlaggerät
US8631902B2 (en) * 2009-01-08 2014-01-21 California Manufacturing & Engineering Co. Apparatus for elevating and positioning a work platform
ITUB20155900A1 (it) * 2015-11-25 2017-05-25 Magni Telescopic Handlers S R L Piattaforma aerea semovente
CN108561626B (zh) * 2018-05-24 2023-11-28 张跃 一种管道安装装置及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96141A (en) * 1959-05-08 1961-08-15 Jay M Eitel Mobile lifting equipment
US3103345A (en) * 1960-12-08 1963-09-10 Telsta Corp Cable guiding device
US3448827A (en) * 1967-08-16 1969-06-10 Clark Arthur D Mobile worker support
US3483948A (en) * 1967-11-03 1969-12-16 Walter E Thornton Trump Elevator-boom structure
US3575262A (en) * 1968-12-27 1971-04-20 Transairco Inc Aerial lift apparatus with elevator
US3836025A (en) * 1973-05-21 1974-09-17 Loed Corp Material-handling machine
US3856108A (en) * 1973-05-25 1974-12-24 Fulton Industries Three wheel aerial platform apparatus
GB1412558A (en) * 1973-06-27 1975-11-05 Simon Eng Dudley Ltd Access equipment
US3861498A (en) * 1973-07-13 1975-01-21 Fulton Industries Counterbalancing chassis for aerial platform apparatus
US4000787A (en) * 1974-09-16 1977-01-04 Groenig Robert E Vehicle for picking fruit
US4273214A (en) * 1977-02-28 1981-06-16 Jlg Industries, Inc. Track mounted aerial lift platform apparatus
US4160492A (en) * 1977-10-06 1979-07-10 Simon-Krause, Inc. Control system for mobile self-propelled aerial lift
US4226300A (en) * 1979-02-21 1980-10-07 Mark Industries Self propelled and extensible boom lift
US4280589A (en) * 1980-01-31 1981-07-28 Merrick John A Elevat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308595A1 (en) 1989-03-29
JPH0198599A (ja) 1989-04-17
FI883327A (fi) 1989-03-26
FI88792B (fi) 1993-03-31
FI883327A0 (fi) 1988-07-13
EP0308595B1 (en) 1992-06-03
AU593205B2 (en) 1990-02-01
AU1908588A (en) 1989-04-06
MX163936B (es) 1992-07-02
US4757875A (en) 1988-07-19
JPH0639319B2 (ja) 1994-05-25
DE3871683T2 (de) 1992-12-17
ES2031961T3 (es) 1993-01-01
DE3871683D1 (de) 1992-07-09
FI88792C (fi) 1993-07-12
KR890004906A (ko) 1989-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08173B1 (ko) 차상(車上)저자세 자주식 고가 작업대
USRE30021E (en) Material handling machine
US2646182A (en) Loading and unloading apparatus
US6516961B1 (en) Ringlift crane
US3856108A (en) Three wheel aerial platform apparatus
US4216869A (en) Industrial crane
US3655081A (en) Straddle carriers
US5106257A (en) Lift truck with telescopic arm
US3090494A (en) Lift truck attachments
US4692085A (en) Material handling system
EP1157959B1 (de) Hafenmobilkran zum kombinierten Container- und Schüttgutumschlag
US3338426A (en) Heavy duty truck crane
US3198359A (en) Reaching type loader
JP5514434B2 (ja) 自走式高所作業車及び自走式高所作業車におけるバッテリの搭載位置決定方法
US4002242A (en) Vehicle cranes
US5031727A (en) Lift for vehicles
US3777898A (en) Traction and steering device
CA1301117C (en) Transportable, articulated-arm crane comprising three hydraulically actuated members
CA1194842A (en) Industrial truck
CA1292957C (en) Vehicular low profile self propelled aerial work platform
CN110577168A (zh) 一种能调节平衡的可移动式汽车维修升降平台
CN204938897U (zh) 一种高稳定性的曲臂式高空作业平台
GB2371788A (en) A bogie for supporting a railway vehicle body
US4270629A (en) Linkage system for load-lifting arrangements
JPH0139637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923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