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85129A - 폐자원을 이용한 재생제품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폐자원을 이용한 재생제품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85129A
KR20010085129A KR1020000010801A KR20000010801A KR20010085129A KR 20010085129 A KR20010085129 A KR 20010085129A KR 1020000010801 A KR1020000010801 A KR 1020000010801A KR 20000010801 A KR20000010801 A KR 20000010801A KR 20010085129 A KR20010085129 A KR 200100851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s
waste
drying
recycled
pro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108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복술
고희주
Original Assignee
양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철 filed Critical 양철
Priority to KR10200000108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85129A/ko
Publication of KR200100851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5129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4/00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 C23C14/22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f coating
    • C23C14/34Sputtering
    • C23C14/46Sputtering by ion beam produced by an external ion source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4/00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 C23C14/06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material
    • C23C14/14Metallic material, boron or silicon
    • C23C14/16Metallic material, boron or silicon on metallic substrates or on substrates of boron or silicon
    • C23C14/165Metallic material, boron or silicon on metallic substrates or on substrates of boron or silicon by cathodic sputter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Separation, Recovery Or Treatment Of Waste Materials Containing Plas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재생 가능한 폐자원을 이용한 재생제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폐플라스틱이나 화학제품 제조과정에서 발생되는 스크랩등을 재활용 가능하게 하는 재생제품의 제조방법에 관한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시대적 상황에 부응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환경오염을 일으키는 산업폐기물을 수거하여 오염을 줄이고 폐자원을 재활용할수 있는 폐자원을 이용한 재생제품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폐합성수지를 분쇄기를 이용하여 1차로 거칠게 분쇄시킨 다음 분말기를 이용하여 미세 분말가루로 제조하여 저장용기에 보관하는 공정과, 상기 저장용기에 보관된 폐합성수지 분말과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교반기에 투입하여 교반시키는 공정과, 상기 교반기에서 혼합된 재료에 경화제를 투입하는 공정과, 경화제가 혼합된 재료를 그 표면에 왁스등이 도포된 성형몰드에 투입하여 자연건조시키는 공정과, 소정건조기간이 경과후 제품을 성형몰드로 부터 분리하여 상기 제품에 부착된 불필요한 부분을 제거하는 공정으로 이루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폐합성수지 분말과 수지의 비율은 중량대비 대략 7:3의 비율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성형몰드에 투입된 재료가 건조/경화후 분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왁스타입 겔코트 수지를 상기 성형몰드 표면에 도포하는 것이 효과적이며, 상기 성형몰드에서 제품이 대략 80% 정도 경화되면 분리하여 제품에 붙어 있는 이물질(스크렙)을 제거하는 것이 제조상 유리하다.

Description

폐자원을 이용한 재생제품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재생 가능한 폐자원을 이용한 재생제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폐플라스틱이나 화학제품 제조과정에서 발생되는 스크랩등을 재활용 가능하게 하는 재생제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산업화와 도시화에 따른 대량생산과 1회용품 사용량이 증가하는 대량소비와 같은 풍요로운 물질문명의 이면에는 산더미같은 폐기물들이 배출되고 있으며 그 양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특히, 석유화학산업의 급속한 발전으로 폐플라스틱등과 같은 유해산업 폐기물이 급증하여 인류의 생존을 위협하고 있다.
즉, 폐합성수지 제품등과 같은 악성 유해폐기물을 환경적으로 적정처리할 수 있느냐 없느냐는 전 인류의 당면 과제가 되고 가고 있으며, 또한 귀중한 자원으로서 재활용할수 있는 방안이 강구되어져야 하다.
또한, 폐합성수지 제품의 단순 쓰레기화및 불법처리는 대기오염, 토양오염, 및 전체적인 환경오염 부하량을 증가시키는 환경오염원으로 작용하며, 대기오염으로는 석유화학제품인 폐플라스틱의 소각에 따른 다이옥신 발생과 유해가스 발생 그리고 악취원으로서 작용하고, 토양오염으로는 토양속에 매립되어 토양의 공극성을줄이고 농작물의 생장에 이로운 미생물의 증식을 억제하여 심각한 토양 오염원이 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시대적 상황에 부응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환경오염을 일으키는 산업폐기물을 수거하여 오염을 줄이고 폐자원을 재활용할수 있는 재활용 제품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폐합성수지를 분쇄기를 이용하여 1차로 거칠게 분쇄시킨 다음 분말기를 이용하여 미세 분말가루로 제조하여 저장용기에 보관하는 공정과, 상기 저장용기에 보관된 폐합성수지 분말과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교반기에 투입하여 교반시기는 공정과, 상기 교반기에서 혼합된 재료에 경화제를 투입하는 공정과, 경화제가 혼합된 재료를 그 표면에 왁스등이 도포된 성형몰드에 투입하여 자연건조시키는 공정과, 소정건조기간이 경과후 제품을 성형몰드로 부터 분리하여 상기 제품에 부착된 불필요한 부분을 제거하는 공정으로 이루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폐합성수지 분말과 수지의 비율은 중량대비 대략 7:3의 비율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성형몰드에 투입된 재료가 건조/경화후 분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왁스타입 겔코트 수지를 상기 성형몰드 표면에 도포하는 것이 효과적이며, 상기성형몰드에서 제품이 대략 80% 정도 경화되면 분리하여 제품에 붙어 있는 이물질(스크렙)을 제거하는 것이 제조상 유리하다.
이하, 본 발명의 폐자원을 이용한 재생제품의 제조방법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폐합성수지는 가전제품, 장난감, 주방용구, 각종 용기의 폐기물로서 이를 재활용하기 위해, 분쇄기를 이용하여 1차로 거칠게 분쇄시킨 다음 세척과정을 거친후 건조시키게 된다.
이어서, 분말기를 이용하여 상기 거칠게 분쇄된 폐합성수지를 미세 분말가루로 제조하여 저장용기에 보관하게 되며, 상기 저장용기에 보관된 폐합성수지 분말과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교반기에 투입하여 소정시간동안 교반시킨다.
여기서, 폐합성수지 분말과 수지의 비율은 중량대비 대략 7:3의 비율로 하는 것이 적정하다.
상기 교반기에서 혼합된 재료에 경화제, 예를들면 MEKP(메칠에틸케톤퍼옥사이드)를 투입하여 혼합한후 표면에 왁스타입 겔코트 수지가 도포된 성형몰드에 투입하여 자연건조시킨다.
상기 성형몰드에 투입후 소정건조기간( 대략 80%정도 건조)이 경과후 제품을 성형몰드로 부터 분리하여 상기 제품에 부착된 불필요한 부분을 제거한다.
상기의 공정이 종료되면 재활용제품이 완성된다.
재활용 제품은 대개 대형차의 부품이나 범퍼나 건축자재 및 가정용품등으로 사용되며 인체에 무해하고, 내구성이 뛰어난 제품이 재활용되어 생산되어 진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환경오염을 일으키는 산업폐기물을 수거하여 오염 발생원인을 제거할수 있을 뿐만아니라 버려지는 폐자원을 생필품으로 재활용할수 있는 효과를 지니고 있다.

Claims (1)

  1. 폐합성수지를 분쇄기를 이용하여 1차로 거칠게 분쇄시킨 다음 분말기를 이용하여 미세 분말가루로 제조하여 저장용기에 보관하는 공정과,
    상기 저장용기에 보관된 폐합성수지 분말과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교반기에 투입하여 교반시키는 공정과,
    상기 교반기에서 혼합된 재료에 경화제를 투입하는 공정과,
    경화제가 혼합된 재료를 그 표면에 왁스등이 도포된 성형몰드에 투입하여 자연건조시키는 공정과,
    소정건조기간이 경과후 제품을 성형몰드로 부터 분리하여 상기 제품에 부착된 불필요한 부분을 제거하는 공정으로 이루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자원을 이용한 재생제품의 제조방법.
KR1020000010801A 2000-02-28 2000-02-28 폐자원을 이용한 재생제품의 제조방법 KR2001008512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0801A KR20010085129A (ko) 2000-02-28 2000-02-28 폐자원을 이용한 재생제품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0801A KR20010085129A (ko) 2000-02-28 2000-02-28 폐자원을 이용한 재생제품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5129A true KR20010085129A (ko) 2001-09-07

Family

ID=196521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0801A KR20010085129A (ko) 2000-02-28 2000-02-28 폐자원을 이용한 재생제품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8512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8462A (ko) * 2016-12-30 2018-07-10 장재형 슬래그포트 단열내피와 그 제작방법 및 그 단열내피가 구비된 슬래그포트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4906A (ko) * 1987-09-25 1989-05-10 키이스 아아르 사이먼즈 차상(車上)저자세 자주식 고가 작업대
JPH05147036A (ja) * 1991-11-30 1993-06-15 Yoshiharu Sato 廃プラスチツクの再生方法及び再生装置
KR950005484A (ko) * 1993-08-14 1995-03-20 이상일 폐섬유를 이용한 산업용재의 제조방법
KR960016584A (ko) * 1994-10-28 1996-05-22 사또오 후미오 화상 디코딩 장치
KR0134682B1 (ko) * 1995-02-20 1998-04-20 박동현 섬유 및 플라스틱 폐기물을 이용한 성형제품의 제조방법
KR100298312B1 (ko) * 1998-12-24 2001-10-26 백대현 혼합폐합성수지를이용한목재대체소재의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4906A (ko) * 1987-09-25 1989-05-10 키이스 아아르 사이먼즈 차상(車上)저자세 자주식 고가 작업대
JPH05147036A (ja) * 1991-11-30 1993-06-15 Yoshiharu Sato 廃プラスチツクの再生方法及び再生装置
KR950005484A (ko) * 1993-08-14 1995-03-20 이상일 폐섬유를 이용한 산업용재의 제조방법
KR960016584A (ko) * 1994-10-28 1996-05-22 사또오 후미오 화상 디코딩 장치
KR0134682B1 (ko) * 1995-02-20 1998-04-20 박동현 섬유 및 플라스틱 폐기물을 이용한 성형제품의 제조방법
KR100298312B1 (ko) * 1998-12-24 2001-10-26 백대현 혼합폐합성수지를이용한목재대체소재의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8462A (ko) * 2016-12-30 2018-07-10 장재형 슬래그포트 단열내피와 그 제작방법 및 그 단열내피가 구비된 슬래그포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iddique et al. Use of recycled plastic in concrete: A review
AU6313596A (en) A process for manufacturing, by molding non-resinous organic and inorganic compositions
US20070149625A1 (en) Process for recycling waste plastics
JP2009274318A (ja) 射出成型用樹脂および射出成型用樹脂の製造方法。
Paipa-Álvarez et al. Biodegradable thermosets polymers as an alternative solution to pollution generated by plastics
JPH07266338A (ja) 廃タイヤを利用した成形物の製造方法
KR20010085129A (ko) 폐자원을 이용한 재생제품의 제조방법
KR20090073918A (ko) 폐기물 재활용 조립식 판넬
US5844008A (en) Process for treating municipal solid waste
KR100718949B1 (ko) 폐 유리섬유 강화 플라스틱을 이용한 경량보드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경량보드
KR20010085128A (ko) 폐스치로풀을 이용한 재활용품의 제조방법
JP4050029B2 (ja) 廃棄物処理システム
JPH09313326A (ja) 古紙を活用した経時に分解可能な成形物
JPH08131989A (ja) 有機繊維廃材の再生処理方法
EP0616878A1 (en) A process to manufacture an ecological and recyclable material for constructing various moulded objects and the material thus obtained
CA3086346C (en) Method for manufacturing subgrade utility vaults, lids and trenches using recycled polystyrene
KR102591822B1 (ko) 폐플라스틱을 이용한 생활용품 제조방법
Siddique et al. Recycled/waste plastic
JP2005305876A (ja) Frpリサイクル成形品の製法
JPH09316472A (ja) 燃料、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1002929A (ja) ウッドプラスチック
AU2004279476B2 (en) Process for recycling waste plastics
EP4139063A1 (en) Waste recycling process
JPH08238620A (ja) 廃プラスチックを利用した型枠成形物、その製造法及びそのための装置
JP3463222B2 (ja) 生分解性成形品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