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8027Y1 - 화분자동급수기 - Google Patents

화분자동급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8027Y1
KR910008027Y1 KR2019890013183U KR890013183U KR910008027Y1 KR 910008027 Y1 KR910008027 Y1 KR 910008027Y1 KR 2019890013183 U KR2019890013183 U KR 2019890013183U KR 890013183 U KR890013183 U KR 890013183U KR 910008027 Y1 KR910008027 Y1 KR 91000802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flower pot
water
plant
absorbent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900131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5272U (ko
Inventor
강영규
Original Assignee
강영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영규 filed Critical 강영규
Priority to KR20198900131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8027Y1/ko
Priority to NL9001748A priority patent/NL9001748A/nl
Priority to US07/565,017 priority patent/US5136806A/en
Publication of KR91000527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527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80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8027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4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 A01G27/06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having a water reservoir, the main part thereof being located wholly around or directly beside the growth substrat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1Pots formed in one piece; Materials us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4Flower-pot sauc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화분자동급수기
제1도는 본 고안의 전체 종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요부 절취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화분본체 3 : 지지부
5 : 가는분토 6 : 식물체
7 : 지지관 8, 9 : 나사부
10 : 흡수재 11 : 통수 및 통기요홈
12 : 지지각 13 : 수반
14 : 화분재치턱 15 : 공기저장실
본 고안은 일정량의 물이 화분내의 분토에 자동 급수되어 분토가 식물의 생육에 적당한 습도를 유지하도록 화분에 착설하는 자동 급수기에 관계되는 것으로서, 특히 급수와 동시에 통기가 이루어 지도록한 자동급수기에 관한 것이다.
화분에서 식물을 재배할때는 식물의 생육에 필용한 영양소를 함유하는 비료를 시비하여야 함은 물론이고 분토가 식물의 생육에 필요한 수분을 포함하고 있어야하며 분토내로 적당량의 공기가 유통되어 분토내의 유기질 물질이나 유기비료등이 부패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화분의 분토가 식물의 생육에 필요한 수분을 포함하도록 하기 위하여는 주기적으로 급수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관리인의 장기 출장이나 또는 관리인의 부주의로 주기적인 급수가 곤란한 경우가 나타나므로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항상 일정량의 물이 급수되도록 하는 방법이 알려졌다.
일본국 공개 실용신안공보 제61-139158호에는 모세관 현상으로 물을 흡상시킬수 있는 흡수물질, 예를들면 섬유질 물질이 삽입된 지지관을 상단부가 화분의 배수공을 통하여 분토내로 돌출되고 하단부가 화분 하방에 위치하는 수조내에 삽입되도록 하여 수조내의 물이 흡수물질을 통하여 지지관 상단으로 이송된 다음 흡수물질과 접촉하고 있는 분토내로 분산 공급되도록 하는 기술내용이 공개되었다.
전술한 문헌에 의하면 주조내의 물이 분토내로 자동 급수되어 분토가 일정한 함수량을 유지하게 되므로 식물이 고사하는 현상을 방지할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전술한 문헌에 의하면 분토 내로 공기가 유통되도록 하는 통기 수단에 대하여는 언급되어 있지 않고, 지지관이 측벽에 지지돌륜을 형성하여 이 지지돌륜이 수조 뚜껑이나 화분 저면의 배수공이 연부에 지지되도록 되어있어서 지지관의 연부가 배수공 내부연부에 밀착되어 사실상 통기가 잘되지 않도록 되었다. 따라서 전술한 화분은 자동급수는 되지만 분토내로의 원활한 통기가 이루어 지지 않게되어 화분바닥에 있는 분토내의 유기질 물질이 부패할 소지가 있고 그에 따라 가는 뿌리를 가진 식물은 뿌리가 썩는 가능성을 갖고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공지의 자동 급수 화분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을 해결하여 자동급수가 이루어짐은 물론이고 분토내로 통기가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한 자동급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한편, 본 고안의 또다른 목적은 화분의 저면 자체에 흡수재 지지관을 부착시킬수 있는 지지부를 형성시키므로서 제작과 조립이 간편히 이루어질수 있는 자동급수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전술한 본 고안의 목적은 흡수 물질이 삽입된 지지관을 나사끼움하도록된 반구형의 지지부를 화분의 저면과 일체로 형성하여 화분 저면과 지지부의 반구형 내면사이에 공기 저장실이 형성되도록 하고 반구형 지지부에 통기공을 형성하여 반구형 지지부에 저장된 공기가 통기공을 통하여 분토 내로 공급되도록 하므로서 달성된다.
이하 본 고안을 도면에 의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 및 제2도에서 보는 바의 본 고안에 의한 화분은 본체(1)의 저면(2)중아에 통공(3')과 나사부(8)가 형성된 지지부(3)를 설치하여 그 지지부(3)의 나사부(8)에 흡수재(10)가 삽입된 지지관(7)의 나사부(9)를 끼워붙혀서 흡수재(10)의 상하 양단부가 각각 가는분토(5)내부와 수반(13)내저면에 이르도록 형성하여서 된 화분의 자동급수기에 있어서, 화분의 저면(2)의 중앙부 하방에 공기저장실(15)이 구성되도록 반구상의 지지부(3)를 화분저면(2)과 일체로 형성하고 그 반구상 지지부(3)에 통공(3')을 뚫어서 된것이다. 도면중 4는 굵은 분토, 6은 식물체, 7'는 통공, 11은 통수 및 통기 요홈, 12는 화분지지각, 14는 화분재치턱을 각각 표시한다.
이와같이 형성된 본 고안은 수반(13)내에 적당량의 물을 한꺼번에 부어 넣어두면 화분(1)에 매일같이 물을 뿌려 주지 아니하여도 지지관(7)내에 끼워진 흡수재(10)의 하단부가 물속에 닿아 있어서 그 미세섬유물질을 통한 모세관현상에 의하여 수분이 가는분토(5)내 깊숙히 연장된 흡수재(10)의 상단부까지 서서히 흡상되므로 자연적인 급수가 이루어지게 된다.
특히, 본 고안에 의하면 화분(1)저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반구형의 지지부(3)로 구성되는 공기저장실(15)내의 공기가 그 지지부(3)나 지지관(7)에 뚫린 통공(3')(7')을 통하여 화분(1)속으로 들어가게되므로 분토(5)내에 공기가 유통되게 된다.
따라서, 이와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화분의 급수가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면서 화분저면의 반구형 지지부(3)내부로 구성되는 공기저장실(15)내의 공기가 통기공(3')(7')을 통하여 분토(5)내로 지속적으로 유통되므로 화분바닥부분의 유기질이 부패되지 않게되고 그에 따라 식물의 뿌리가 썩지않게 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흡수재가 삽입된 지지관을 지지체에 지지시킴에 있어서 화분저면에 일체로 형성한 반구형 지지부에 의하므로서 지지체를 별개로 제작조립하는 것에 비하여 제작과 조립이 간편히 이루어질수 있는 이점도 나타내는 것이다.

Claims (1)

  1. 화분본체(1)의 저면(2)에 통공(3')과 나사부(8)가 형성된 지지부(3)를 설치하여 그 지지부(3)의 나사부(8)에 흡수재가 삽입된 지지관(7)의 나사부(9)를 끼워붙여서 된것에 있어서, 화분저면(2)의 중앙부 하방에 공기저장실(15)이 구성되도록 반구상의 지지부(3)를 화부저면(2)과 일체로 형성하고 그 지지부(3)에 통공(3')을 뚫어서 된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자동급수기.
KR2019890013183U 1989-08-31 1989-09-06 화분자동급수기 KR910008027Y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13183U KR910008027Y1 (ko) 1989-09-06 1989-09-06 화분자동급수기
NL9001748A NL9001748A (nl) 1989-08-31 1990-08-02 Bloempot en watertoevoerorgaan voor bloempot.
US07/565,017 US5136806A (en) 1989-08-31 1990-08-09 Flowerpot and water supplying member for flowerpo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13183U KR910008027Y1 (ko) 1989-09-06 1989-09-06 화분자동급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5272U KR910005272U (ko) 1991-04-22
KR910008027Y1 true KR910008027Y1 (ko) 1991-10-12

Family

ID=192898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90013183U KR910008027Y1 (ko) 1989-08-31 1989-09-06 화분자동급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802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5272U (ko) 1991-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00351B2 (en) Molded body for improving cultivation conditions for plants
JP4898161B2 (ja) 植木鉢
KR100403830B1 (ko) 식물 재배용 화분
KR910008027Y1 (ko) 화분자동급수기
KR910006795Y1 (ko) 화분자동 급수기
JP4003103B2 (ja) 自動灌水植物栽培容器
JP2000152721A (ja) 植木鉢
KR910005993Y1 (ko) 화분자동 급수기
KR900008347Y1 (ko) 화분 받침대
KR200251469Y1 (ko) 저수조가 내장된 화분
KR200257503Y1 (ko) 자연 급수식 화분
KR200159549Y1 (ko) 저수형 식물재배용기
KR200166854Y1 (ko) 장기급수기능을갖는화분
KR940000476B1 (ko) 급수량 조절이 가능한 자동급수 화분
KR200246697Y1 (ko) 식물 재배용 화분
JPH0410757Y2 (ko)
KR200278197Y1 (ko) 식물재배용 화분용기
KR890004433Y1 (ko) 급수통이 부설된 화분
KR200284611Y1 (ko) 양수화분
KR820000167Y1 (ko) 2중 화분
KR200141322Y1 (ko) 분망이 일체로 형성된 화분
KR200202641Y1 (ko) 받침을 구비한 화분
JP2000152725A (ja) 植木鉢
KR900001134Y1 (ko) 자동 급수 조절형 조립 화분
JP3003407U (ja) 自動潅水植木鉢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