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9689Y1 - 이중 공기 유입구를 가지는 화분 - Google Patents

이중 공기 유입구를 가지는 화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9689Y1
KR200329689Y1 KR20-2003-0023387U KR20030023387U KR200329689Y1 KR 200329689 Y1 KR200329689 Y1 KR 200329689Y1 KR 20030023387 U KR20030023387 U KR 20030023387U KR 200329689 Y1 KR200329689 Y1 KR 20032968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air
pot
outer tube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33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명각
김규형
Original Assignee
김명각
김규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명각, 김규형 filed Critical 김명각
Priority to KR20-2003-00233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968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968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9689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8Multi-compartmented po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01G7/06Treatment of growing trees or plants, e.g. for preventing decay of wood, for tingeing flowers or wood, for prolonging the life of plan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이중 구조를 가지는 공기 유입구 화분에 관한 것으로, 물이 고여 있어도 화분 내부 뿌리 깊숙이 공기가 유입되어 화분이 고사되지 않고 잘 자라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를 위한 본 고안은, 화분 속 깊숙이 공기 유입을 위해 통기공(6a)을 외부 관체(2)와 내부 관체(1)를 형성시켰으며 공간부(7)에 물이 고여 있어도 절개홈(2a)으로 공기가 유입 될 수 있으며, 또한 물을 주면 물과 같이 흙이 공기 구멍의 통기공(6a) 막음을 방지 하기 위하여 외부 관체(2) 상단 즉 절개홈(2a)위를 덮개(5)를 씌워 공기 유입구 통기공(6a)을 이중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중 공기 유입구를 가지는 화분{Doubleness Air Inflowhole A flowerpot}
본 고안은 이중 공기 유입구를 가지는 화분에 관한 것으로, 화분 안에 부족한 공기를 원활하게 공급하고 물과 빗물이 고이게 하여 인공적으로 자주 물 줄 필요가 없어지며 물이 고이거나 하여 물이나 흙이 공기 구멍을 절개홈(2b)으로 막아도 공기가 유입되므로 화초의 뿌리가 썩거나 고사되지 않는 특징을 가진다.
통상의 화분은 도3을 참조하여 볼 때 외부 관체(10)와 바닥에 공기 구멍의역할을 하는 통기공(6a)이 형성되어 물과 흙 그리고 액체 영양제를 주면 액체 영양제가 통기공(6a) 밖으로 흘러 내려 실내외 바닥이 지저분하여 청소하는데 시간 낭비 뿐만 아니라 영양제 손실이 따르므로 비경제적이다. 또한 종래의 화분은 통기공(6a)으로 공기 유입과 흙 유출 방지를 위해 그물망이나 덮개를 화원에서 구입해 씌우는데 불편함과 경제적 손실이 따르며 흙이 화분에 다져져서 통기공(6a)으로 공기유입이 원활하지 못해 화초가 성장하는데 어렵게 하는 원인이기도 하다. 통기공(6a)으로 물이 쉽게 빠지므로 한여름에는 화초에 매일 물을 주어야 하나 본 고안의 화분은 2∼5일에 한 번씩 주어도 물 부족으로 인해 화초가 고사 되지 않을 것이다.
이에 본 고안은, 물을 저장하여도 뿌리가 썩지 않도록 이중 공기 유입구를 만들어 화분 안 공간부(7)에 물이 저장되어도 통기공(6ab)으로 공기가 유입되며 만약 물이 공간부(7)에 가득 차면 절개홈(2b) 또는 통기공(6b)으로 공기가 유입되지 않더라도 언제나 공기 유입이 되는 절개홈(2a)으로 공기가 유입되게 하여 종래의 화분에서 비롯된 문제를 해결 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중 공기 유입구를 형성하여 공기가 유입되도록 이중 공기 유입구를 형성시켜 이중 공기 유입구를 가지는 화분을 제공하여 종래의 화분에서 비롯된 문제를 해결코저 한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통기공(6a)을 화분 밑 중앙에 원뿔형 또는 원기둥 모양의 내부 관체(1)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통기공(6a)이 형성되었다. 내부 관체(1)는 화분 몸체(10) 밑의 중앙에 고정되어 있으며 또한 내부관체(1), 외부 관체(2) 안에 있으며 외부 관체(2)하단에 공기 유입 또는 과다한 물의 양이 빠지도록 절개홈(2b)을 외부 관체(2) 사방에 여러개의 형태로 절개되어 있으며 이 절개홈(2b)은 내부 관체(1)의 높이보다 조금 낮게하여 흙이 내부 관체(1), 통기공(6a)으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 하기도 한다. 이중 공기 유입구관체(1,2)를 둠으로 물이 빠지더라도 흙은 화분 밑 밖으로 새어 흘러 내리지 않고 과다한 물은 정화되어 맑은 물이 밖으로 나올 수 있다. 이때 물이 공간부에 가득 차 있으면 절개홈(2b)과 통기공(6b)이 막혀 공기가 유입 되지 않으며 공기를 유입 시키기 위해 통기공(6a)으로 유입되는 공기가 통기공(6b)나 절개홈(2b)으로 유입되지 않고 외부 관체(2) 절개홈(2a)으로 공기가 계속 유입되므로 공간부(7)에 물이 가득 채워져 있어도 화초의 성장에는 아무런 지장을 주지 않는 특징을 가진다. 내부 관체(1)는 화분 몸체와 견고히 고정되도록 하여 공간부(7)의 물이 새지 않도록 하였고 화초의 뿌리가 공간부(7)에 물이 장기간 잠겨 있을시 뿌리 썩음이 오는 것을 방지 하기 위해 외부 관체(2) 상단에 공기 유입을 위하여 절개홈(2a)을 만들었으므로 공간부(7) 뿌리가 물에 잠겨 썩더라도 공간부(7) 위쪽의 뿌리는 상하지 않는 것은 역시 절개홈(2a)으로 공기가 들어오기 때문이다. 절개홈(2a)이 없으면 화초는 성장 할 수가 없는 것이다. 또한 공기 유통이 외부 관체(2) 상단의 절개홈(2a)으로 공기가 유입되기 때문에 공간부(7)에서 썩는 화초의 뿌리는 화초가 자라는데 필요한 영양분을 제공하여 절개홈(2a)으로 인하여 공간부(7)의 물도 빨리 흡수 분산되는 것이다. 물이나 흙, 액체, 영양분이 외부 관체(2)의 통기공(6c)과 내부관체(1) 통기공(6a)으로 물과 흙과 영양제가 흐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외부 관체(2) 위에 덮개(5)를 씌워 놓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 본 고안건은 본 고안에 대하여 시제품을 수십개를 만들어 화초를 키우고 있는데 화초가 잘 자라고 있습니다.
심사관님께서 자료 제출을 원하실 경우 언제라도 제출하겠습니다.
도면1은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
도면2는 본 고안의 단면도.
도면3은 본 고안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내부관체 2: 외부관체 2a: 절개홈
2b: 절개홈 5: 덮개 6a,6b: 통기공 10: 몸체
7: 공간부 12a: 물 빼는 구멍 12b: 물구멍을 막는 마개
21: 물 주는 표시 눈금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애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3은 본 고안에 있어서, 몸체(10) 밑 통기공(6a)을 내부 관체(1)로 물과 흙으로 흘려 내리지 않도록 하고 공기 유입을 위해 내부 관체(1) 밖 공간부에 통기공(6b) 역할을 원활하기 위해 외부 관체(2)를 내부 관체(1)를 감싸서 공간부(7)에 물이 저장되어 있지 않을시 공기 유입이 될 수 있으며 또한 흙이나 영양분이 내부 관체(1)의 통기공(6a)으로 바로 흘러 내리는 것을 방지 하였으며 내부 관체(1)는 화분 몸체(10)에 고정되어 있고 외부 관체(2)는 내부 관체(1)와 접촉되지 않도록 내부 몸체(1) 밖이나 외부 관체(2) 안 사방 벽에 돌출로 해 놓을 수 있다. (도면에 표시는 상식상 아는 상태이므로 표시는 생략함) 화분 몸체(10)와 내부관체(1)는 외부관체(2)와 덮개는 사출로 일체형으로 생산이 가능하지만 외부 관체(2)와 덮개(5)는 내부 관체(1)와 일체형으로 사출로 생산하지 못하고 외부 관제(2)와 덮개(5)는 일채형으로 사출 생산하여 내부 관체(1)가 몸체(10)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외부 관체(2)를 내부 관체(1)에 삽입하면 되는 것이다. 또는 적기에 물을주지 않기 때문에 화초가 잘 자라나지 않는데 본 고안은 물을 많이 주어도 일정량의 물은 흘러 내보내고 공간부(7)에 물이 저장되어 있어도 절개홈(2a)으로 공기가 유입되기 때문에 화초의 성장에는 지장이 없으며 또한 물이 고여 있으므로 특히 물이 많이 필요한 여름철에는 매일 물을 주지 않아도 2∼5일에 한번 주어도 화초는 죽지 않으며 본 고안은 물을 주면 흘러 내려가지 않기 때문에 물을 적게 주어도 화초가 잘 자라 경제적인 측면에서도 매우 유익한 물 절약 화분으로 본다. 화분에 물을 줄 때 처음에 얼마를 주어야 하고 경제적인 물 주기 위해 화분 표면에 물주는 양을 표시눈금(21)을 하였고 화분을 밖에 놓아 두면 장마시 비가 자주 와 특히 가로변 화분 속 공간부(7)에 장기간 물이 고여 있으면 뿌리가 썩는 것는 방지하기 위해 물 빼는 구멍(12a)과 구멍마개(12b)를 형성시켜 물의 양을 조정을 쉽게 할 수 있도록 하는 특징을 가진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화분의 공기 유입을 이중 구조를 가지도록 함으로써 공기 유입을 간단하게 해결하고 공간부에 물이 고여 있어도 화초나 식물이 성장하는데 고사되지 않고 화초를 키우는 초보자들도 손쉽고 편리하게 사후 관리 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또한 물을 많이 주거나 물을 적게 주어도 화초 성장에 큰 효과를 얻으며 화분내에 물이 고이게 하므로 물을 절약할 수 있는 등 경제적인 면과 관리적인 면에서 유용한 장점이 있다. 내부 관체(1)의 높이가 높은 화분은 공간부(7)에 물이 저장을 많이 할 수 있으며 또한 외부 관체(2)를 내부 관체(1)보다 크고 길고 폭이 넓은 것을 구입하여 내부 관체(2)에 삽입하면 속에 스치로폼 등으로 채우지 않아도 화초가 잘 크게 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4)

  1. 공기 유입과 흙과 영양분의 유출을 방지 하기 위해 내부 관체(1)를 애워 싼 외부 관체(2)에 흙이 내부 관체(1)의 공기 유입구인 통기공(6a) 막음을 방지하기 위해 공기 유입구 이중구조로 외부 관체(2) 하단에 절개홈(2b)과 외부 관체(2) 상단에 물과 흙과 영양분이 화분 밖으로 새어나가지 않도록 덮개(5)를 씌웠고 덮개(5) 밑에는 외부 관체 상단에는 화분 속 뿌리 깊숙이 공기가 유입되도록 절개홈(2a)를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공기 유입구를 가지는 화분.
  2. 화분 공간부(7)에 물이 고이게 하였고 공기를 유입하기 위해 즉 통기공을 화분 내부에 내부 관체(1)를 원형 기둥으로 원뿔 모양을 세워 놓았고 공간부(7)에 물이 없으면 외부 관체(2) 하단 절개홈(2b)으로 공기 유입이 되기도 하고 또한 외부 관체(2)는 흙이 내부 관체(1)를 흐르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공기 유입구를 가지는 화분.
  3. 본 고안의 화분에 물을 조정하기 위해 노천에 화분을 내 놓았을시 우기시 공간부에 물을 장기간 저장시 뿌리의 썩음을 방지하기 위해 화분 밑 공간부에 고여있는 물을 빼내기 위해 화분에 물 구멍(12a)을 뚫어 놓았으며 물을 저장시키고자 할 때나 평상시에는 물 구멍을 막을 수 있는 물구멍 마개(12b)를 가지는 이중 공기 유입구를 가지는 화분
  4. 화초를 키우는 초보자가 제일 어려운 것은 물을 얼마나 많이 주어야 하는지 모르고 있으며 일반들도 물을 무조건 많이 주어 물 낭비를 자져 오는데 물이 밖으로 유출되는 과다 물주기를 방지하기 위해 화분 표면에 물 표시 눈금(21)을 한 이중 주조를 공기 유입을 가지는 화분.
KR20-2003-0023387U 2003-07-19 2003-07-19 이중 공기 유입구를 가지는 화분 KR20032968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3387U KR200329689Y1 (ko) 2003-07-19 2003-07-19 이중 공기 유입구를 가지는 화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3387U KR200329689Y1 (ko) 2003-07-19 2003-07-19 이중 공기 유입구를 가지는 화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9689Y1 true KR200329689Y1 (ko) 2003-10-10

Family

ID=493392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3387U KR200329689Y1 (ko) 2003-07-19 2003-07-19 이중 공기 유입구를 가지는 화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968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476937Y (zh) 环保节水蓄水花盆
KR200207813Y1 (ko) 통기유지 기능을 갖는 하부 급수식 화분
KR101037162B1 (ko) 화분장치
KR200214155Y1 (ko) 화분
KR200329689Y1 (ko) 이중 공기 유입구를 가지는 화분
KR101280123B1 (ko) 식물재배기 겸용 화분 받침대
KR20170001235U (ko) 공기 통로가 있는 액비 공급용 화분 받침과 이중화분
KR200278159Y1 (ko) 이중 구조를 가지는 일체형 화분
KR200257503Y1 (ko) 자연 급수식 화분
KR200159549Y1 (ko) 저수형 식물재배용기
JP3048063U (ja) 着生植物着生用鉢
JPH0410757Y2 (ko)
KR200251374Y1 (ko) 화분
KR200286602Y1 (ko) 무배수 식물 재배 용기 세트
CN2311932Y (zh) 润灌种植容器
KR20230130332A (ko) 식물재배용 화분
KR910008027Y1 (ko) 화분자동급수기
KR200278197Y1 (ko) 식물재배용 화분용기
JPH0965766A (ja) W 鉢
KR910006795Y1 (ko) 화분자동 급수기
KR200364349Y1 (ko) 분수형 급수화분
KR200284611Y1 (ko) 양수화분
JPS6337799Y2 (ko)
KR20010002902A (ko) 모세관 현상을 이용한 화분의 급수장치
KR20240000016U (ko) 저수화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