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7902B1 - 온열치료장치 - Google Patents

온열치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7902B1
KR910007902B1 KR1019890005851A KR890005851A KR910007902B1 KR 910007902 B1 KR910007902 B1 KR 910007902B1 KR 1019890005851 A KR1019890005851 A KR 1019890005851A KR 890005851 A KR890005851 A KR 890005851A KR 910007902 B1 KR910007902 B1 KR 9100079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plicator
treatment
patient
high frequency
cool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058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2810A (ko
Inventor
노리유키 다카하시
아키토시 미키
야마 준 시모
에이지 가사이
Original Assignee
다데이시 덴기 가부시기가이샤
다데이시 요시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데이시 덴기 가부시기가이샤, 다데이시 요시오 filed Critical 다데이시 덴기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9000028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28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79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79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 Accommodation For Nursing Or Treatment Tabl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온열치료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열치료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
제2도는 온열치료장치의 치료전의 온열치료장치의 베드 및 애플리케이터 지지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
제3도는 애플리케이터 지지장치의 측면도.
제4도는 온열치료장치의 회로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
제5도는 온열치료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계통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10-2 : 베드 11-1, 11-2 : 베드 승강 제어부
13-1, 13-2 : 슬라이드 매트 제어부 20 : 애플리케이터 지지장치
22 : C암 회전 제어부 28 : C암 주행 제어부
32-1, 32-2 : 애플리케이터 눌러붙임 제어부 33-1, 33-2 : 애플리케이터
34 : 전극 35 : 볼러스
40 : 구동제어장치 50 : 쿨러
64 : 기억장치 70 : 온도계측장치
80 : 고주파 유닛
본 발명은, 암치료등에 사용하는 온열치료장치에 관하며, 특히 치료조건을 기억함으로써 그 재현성을 높인 온열치료장치에 관한 것이다.
유전 가온식(誘電加溫式) 온열치료장치는 평판형의 전극사이에 환부가 위치하여 이들 전극간에 고주파를 전달시켜서 환부의 암, 종양조직을 가온하여 괴사에 이르게 하는 것이다. 실제에는 직접 전극을 환자에 접촉시키지 않고, 냉각수가 순환하는 볼러스(bolus)를 통하여 전극을 환자에 접촉시킨다. 이것은, 전극자체가 발열함과 아울러, 전극 바로 밑의 피하지방층의 온도가 높아(피하지방층은 고주파에 대한 저항율이 높다)짐으로, 이것을 냉각하는 목적으로 볼러스가 구비되며, 이 볼러스 및 전극을 일체화한 것을 애플리케이터라고 한다.
종래의 온열치료장치로써는 환자를 지지하는 베드(치료대)와, 상기 애플리케이터를 지지하는 애플리케이터 지지장치(갠트리 형이나, c아암형등)과 이들 애플리케이터 각각의 전극간 사이에서 전달되는 고주파를 발생하는 고주파 유닛, 이들 애플리케이터의 볼러스에 냉각수를 순환시키는 쿨러, 환자의 치료부위 즉 환부나 그 주변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측정장치, 및 고주파 유닛이나 쿨러를 제어하는 중앙제어장치를 갖춘 시스템이 알려져 있다. 또한, 이 제어장치는 고주파출력등의 치료조건을 입력하기 위한 키보드, 환부의 온도 변화등을 모니터하는 디스플레이, 그리고 프린터를 갖추고 있다.
베드에서는 높이 및 열린 위치를, 환자의 치료부위에 대해 적절하게 설정하는 기구를 갖고 있다. 베드의 열림이란, 환부가 베드에 접하는 부분 즉 환자가 위를 향하여 베드에 누워 있을 때, 등부분에 애플리케이터를 눌러 붙이기 위하여 설정되는 것이며 또한 애플리케이터 지지장치에서는 애플리케이터가 환자의 환부에 장착되는 장착위치, 장착방향, 장착압 등의 장착상태를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는 기구가 있다.
상기 종래의 온열치료장치에서는, 베드의 환자 지지상태 및 애플리케이터 지지장치의 애플리케이터 장착상태의 설정이 카르테 등의 기재를 바탕으로 수동으로 행하여졌으며, 예컨대, 베드의 높이설정에서 베드의 승강은 모터 동력에 의하여 행하여지며, 이 모터회전은 조작자의 버튼조작에 의하여 제어됨으로 조작자는 베드 높이가 적절하다고 판단하였을 때, 모터를 정지시킨다.
이와 같이, 베드상에서 환자의 지지상태, 및 애플리케이터 지지 장치의 애플리케이터 장착상태의 설정이 수동에 의하여 행하여질 때에는, 똑같은 상태로 설정을 하고 싶더라도 조작자가 다르면, 설정의 미묘한 차이가 발생하여 치료조건 역시 달라진다. 또, 조작자가 동일하더라도 치료때마다 설정의 미묘한 차이가 발생하여 치료조건 역시 달라진다. 따라서, 치료조건을 똑같이 하는 것이 힘듬으로써 온열치료의 재현성이 낮아지는 문제점을 가진다. 또한, 치료효과를 판단할 때에는, 치료조건에 따른 검사를 행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을 가진다.
한편, 상기 설정에서는 조작자가 카르테 등에 기재된 치료조건을 확인하면서 행하지 않으면 안되는 조작의 번거로움을 가지며, 환자의 상태검사 및 간호가 소홀시 되어 안전성에 있어서도 문제점을 가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온열치료의 재현성 및 안전성이 향상된 온열치료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온열치료장치에서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다.
ⅰ : 전극 및 볼러스를 갖는 애플리케이터와,
ⅱ : 상기 전극에 전달되는 고주파를 발생시키는 고주파 발생수단과,
ⅲ : 상기 볼러스내에 냉각액을 순환시키는 냉각액 순환수단과,
ⅳ : 환자를 지지하고, 그리고 환자의 지지상태가 설정되는 치료대와,
ⅴ : 상기 애플리케이터를 지지하고, 그리고 이 애플리케이터를 환자의 환부에 장착되는 장착상태가 가능한 애플리케이터 지지장치와,
ⅵ : 환자의 치료부위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측정수단과,
ⅶ : 이 온도 측정수단으로부터 측정된 온도신호를 처리함과 동시에 상기 고주파발생수단 및 상기 냉각액 순환수단을 제어하는 중앙제어수단과,
ⅷ : 치료대의 환자의 지지상태, 상기 애플리케이터의 장착상태를 포함하는 치료조건을 기억하는 치료조건 기억수단과,
ⅸ : 이 치료조건기억수단에 기억된 치료조건에 따라, 상기 치료대 및 애플리케이터 지지장치를 구동제어하고, 상기 치료대의 환자 지지상태 및 상기 애플리케이터의 장착상태를 설정하는 구동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열치료장치이다.
본 발명의 온열치료장치에서는, 치료조건 기억수단에 기억된 치료조건에 따라서, 치료대 및 애플리케이터 지지수단이 구동제어되며, 치료대의 높이 및 애플리케이터 장착위치 등이 설정된다. 따라서, 조작자에 기인한 설정의 차이가 배재되며, 온열치료의 재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조작 방법이 간소화되어 조작자의 부담을 덜어주며 환자의 상태감시나 간호에 있어서 종래보다도 주의를 기울이게 됨으로 안전성 또한 향상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는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 설명된다.
제1도는 본 실시예에 관한 온열치료장치의 전체를 보이는 사시도이며, 이 온열치료장치(1)는 2분할형 베드(치료대)(10-1), (10-2), 애플리케이터 지지장치(20), 구동제어장치(40), 쿨러(50), 콘솔(60), 온도계측장치(70)(도시안됨) 그리고 고주파 유닛(80)(제4도 참조)에 의하여 구성된다.
베드(10-1), (10-2)는, 각각의 승강용 모터(도시생략)를 갖추고 있고, 각 승강용 모터는 제4도에 도시된 베드 승강 제어부(11-1,11-2)에 의해 제어된다.
베드(10-1), (10-2)의 상면에는, 슬라이드 매트(12)가 장치되어 있으며(제1도 참조), 슬라이드 매트(12)는, 각각 수동에 의하여 종방향으로 독립되어 이동가능하도록 베드(10-1), (10-2)에 장치되며 슬라이드 매트(12)에는 이 슬라이드 매트(12)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검출센서와, 슬라이드 매트(12)를 일정한 위치에서 정지시키는 스톱기구(도시 생략)가 장치되어 있다. 이 스톱기구에서는 , 예를 들자면 솔레노이드로 구동되는 핀이 슬라이드매트(2)를 향하여 돌출하고, 슬라이드 매트 하면에 길이방향으로 등간격을 두고 뚫려진 구멍 중에 삽입되어 슬라이드 매트(12)를 일정위치에서 정지된다. 상기 위치검출센서는 슬라이드 매트제어부(13-1, 13-2)(제4도에 참조)에 접속되고, 이 슬라이드 매트제어부(13-1)에 의하여 스톱기구가 제어된다.
베드(10-1,10-2)의 각각에는, 서포트바(14)가 설치되어 있으며(제1도 및 제3도 참조), 제1도에는 베드(10-1)의 서포트바(14)만이 돌출된 상태가 도시되고 있다. 서포트바(14)는, 베드(10-1), (10-2)에 따른 면(10a)에 설치되어 있으며 서포트바(14)는, 슬라이드 매트(12)의 수평 길이방향으로 돌출 후퇴 가능하게 모터(도시안됨)로써 구동된다. 이 모터는 서포트바 제어부(15-1)에 의하여 제어되며(제4도 참조), 그리고 베드(10-2) 역시 마찬가지로 서포트바(도시생략)가 있고 제어부(15-2)에서 제어된다.
참조번호(20)는, C아암형의 애플리케이터 지지장치이며(제3도 참조), 이 애플리케이터 지지장치(20)는 레일(29) 상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받침대 차(21)위에서 C아암(23)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여 구성하며 C아암(23)은 그 배면의 레일(23a)과 받침대 차(21)의 롤러(24a)들에 의하여 지지되고 제3도에 도시된 정립위치(A)로부터 우회전방향으로 약 90o각도의 수평위치(B)까지 회전된다.
레일(23)의 배면(23a)을 따라서, 이 레일(23)보다 약간 긴 체인(25)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 체인(25)의 각각의 끝 부분은 레일(23)의 끝 부분에 고착되어 있고, 또 이 체인(25)은 받침대 차(21)내의 스프로킷(24b), (24c)에 걸려져 있으며, 스프로킷(24c)은 체인(26)에 의하여 모터(27)의 회전이 전달되어지며, 이 모터(27)에 의하여 C아암(23)이 회전 구동된다. 이 모터(27)는 제4도에 도시된 C아암 회전 제어부(28)에 의하여 제어된다.
한편, 받침대 차(21)는 차 바퀴(21b), (21.b)를 통하여 레일(29)위에 실려있으며, 차바퀴(21b)는 모터(21a)에 의하여 회전 구동되고, 받침대 차(21)는 제3도 상의 좌우방향으로 이동된다. 상기 이동은 제4도에 도시된 C아암 이동제어부(22)에 의하여 제어된다.
C아암(23)의 끝부분에서는, 애플리케이터 부착부(30-1), (30-2)가 각각 설치되며 애플리케이터 부착부(30-1), (30-2)는 모터(31-1), (31-2)를 내장하고 있고, 애플리케이터 부착부(30-1), (30-2)를 C아암(23) 끝부분에 대하여 눌러붙임(장착)방향(D)과 그 반대방향(E)으로 구동할 수 있으며, 이 구동은 애플리케이터 눌러붙임 제어부(32-1), (32-2)에 의하여 각각 제어된다.(제4도 참조)
애플리케이터 부착부(30-1), (30-2)에서는 애플리케이터(33-1), (33-2)가 환자의 환부에 붙여지고 떼어지며 각 애플리케이터(33-1), (33-2)는 전극(34) 및 볼러스(35)를 가지고 그리고 참조번호(36)는 냉각수 튜브이다.
구동제어장치(40)에는 아암(41)이 부착되고 또한 이 아암(41)의 선단에는 조작 보드(42)가 부착되며 (제1도 참조), 이 조작보드(42)는 표시부(42a)와 버튼부(42b)를 가지고 있다. 또한 쿨러(50)는 냉각수 튜브(36)를 통하여 애플리케이터(33-1), (33-2)에 접속되어서, 이들 애플리케이터(33-1), (33-2)에 각각 냉각수를 순환시킨다.
콘솔(60)에는 입력장치(키보드)(61), 표시장치(CRT)(62), 출력장치(프린터)(63), 기억장치(플로피 디스크 드라이브)(64)가 구비되어 있다.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 온열치료장치 전체의 회로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며 중앙제어장치(65)에는 상기 입력장치(61), 표시장치(62), 출력장치(63), 기억장치(64), 온도계측장치(70), 쿨러(50)의 냉각수 제어장치(51), 고주파유닛(80)의 전자파 출력제어부(81)가 연결되어 있으며 이 중앙제어장치(65)는 치료용 데이터의 처리기능, 치료조건의 기억장치(64)로부터의 독출/격납기능, 입력장치(61)로부터의 입력을 제어하는 기능, 쿨러(50) 그리고 고주파 유닛(80)에 치료조건(냉각수온, 유량, 주수량, 고주파출력 등)을 전송하는 기능들을 지니고 있다.
쿨러(50)의 냉각수 제어장치(51)에는 수온 제어부(52), 유량제어부(53), 그리고 주수량 제어부(54)가 연결되어 있고, 애플리케이터(33-1), (33-2)를 순환하는 냉각수온, 유량 및 각 볼러스(35)에 유입되는 냉각수량이 제어된다.
중앙제어장치(65)에는 구동제어장치(40)가 접속되고, 치료조건 중에서 베드(10-1), (10-2) 및 애플리케이터 지지장치(20)에 관계되는 것을 중앙제어장치(65)에서 구동제어장치(40)로 전송된다. 구동제어장치(40)에는, 상술한 서포트바 제어부(15-1), (15-2), 슬라이드 바(13-1), (13-2) 베드 승강 제어부(11-1), (11-2), C아암이동제어부(2,2), C아암 회전제어부(28), 애플리케이터 눌러붙임 제어부(32-1), (32-2)가 연결된다. 다음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인 온열치료장치의 동작을 제2도 및 제5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지금부터 치료할 환자의 플로피 디스크를 기억장치에 장치하면, 환자의 이름, 연령, 신분(I.D), 절환병등의 데이터가 플로피 디스크에서 독출되고, 표시장치(62)에 표시된다.(스텝 1(이하 ST라고 함)).
다음에는 플로피 디스크에서, 지금까지 행하여진 각각의 진료시에 따른 치료조건이 열람 표시된다. 이 치료조건에는, 온도계측장치(70)의 열전대 프로브(도시생략)가 환부에 닿는 위치에서 이 열전대 프로브로 계측되는 환부의 온도, 고주파 출력, 치료시간, 냉각수온, 냉각수유량, 냉각수 주수량, 베드(10-1), (10-2)의 슬라이드 메트(12)위치 및 높이, 애플리케어터 지지장치(20)의 위치, C아암(23)의 회전각도, 애플리케이터(33-1), (33-2)의 눌러붙임 상태등이 전달된다. 그리고, 플로피디스크에는 , 환자데이터, 치료조건과 함께 참조사항이 기억될 수 있다. 이 참조사항에는 예컨대, 치료중의 환자의 증상 설명 등이 포함된다.
조작자는 표시장치(62)에는 표시되는 치료조건의 열람을 보고 치료조건을 그대로 사용할 경우에는 변경되지 않는다는 입력을 그리고 변경될 경우는 변경되는 입력을 입력장치(61)로 입력한다. 변경되지 않는 경우에는, (ST4)의 판정이 NO가 되고, (ST5)로 나누어지며 그 상황에서의 치료조건이 지금까지의 치료조건 중에서 선택한다. 한편, 변경되는 경우에는, (ST6)으로 나누어지며, 변경된 치료조건이 입력된다.
(ST5) 또는 (ST6)의 입력이 종료되면, 지금부터 다시 입력한다는 뜻의 메시지가 조작보드 표시부(42a)에 표시된다.(ST7) 이때, 베드(10-1), (10-2) 및 애플리케이터 지지장치(20)는 제2도에 도시된 상태로 되며 이때, 베드(10-1), (10-2)의 높이는 가장 낮아져 있고 (이것은 환자가 베드(10-1), (10-2)에 눕기 쉽게 하기 위해서이다). 양 베드(10-1), (10-2)의 슬라이드 메트(12)는 각각 서로 맞댄 상태로 되어 또한 , 애플리테이터 지지장치(20)는 후퇴한 상태로 되며 애플리케이터 부착부(30-1), (30-2)는 눌러 붙임 방향 반대방향(E)으로 이동한 상태로 된다.
다음에, 슬라이드 메트(12)가 움직이게 되어, 베드(10-1), (10-2)의 열리는 부분이 형성된다(ST8). 상술한 것과 같이 슬라이드 메트(12)는 , 손으로 움직여지고, (ST5)로 선택된 또는 (ST6)으로 변경된 상황에서의 치료조건에 포함된 설정된 슬라이드메트 위치에 이르렀을 때 스톱기구에 의하여, 정지되어 고정된다.
이어서, 양 베드(10-1), (10-2)에 의하여 서포트바(14)가 돌출하며(ST9), 그리고 조작자, 간호자의 손에 의하여 환자가 베드(10-1), (10-2) 위에 올려진다(ST10). 이때, 서포트바(14)에 의하여 환자의 몸이 지탱됨으로써 베드(10-1), (10-2) 사이의 열린 부분에서 환자의 몸이 빠지는 것이 방지된다.
(ST11)에서는 베드(10-1), (10-2)가 상승하고, 그 높이가 설정된다. 이 설정에서는 조작자가 조작버튼(42b)를 누르고 있는 동안은 베드(10-1), (10-2)가 상승을 계속하며, 그 높이가 치료 조건중에 포함된 베드 높이에 달했을 때 베드(10-1), (10-2)이 상승이 자동적으로 정지한다. 베드(10-1), (10-2)가 설정높이에 달하기 전에 있어서도, 조작자가 조작버튼(42b)에서 손가락을 떼면, 베드(10-1), (10-2)는 정지하고, 다시 조작버튼(42b)가 눌러지면, 베드(10-1), (10-2)는 상승을 개시한다.
이러한 방법은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며, 말하자면 반자동식이라 할 수 있다. 혹은 표시부(42a)에 설정높이와 현재의 높이가 표시되고 현재의 높이가 설정 높이와 같아지도록 조작버튼(42b)를 조작하는 소위 '수동식'으로도 할 수 있다.
(ST12)에서는 애플리케이터 지지장치(20)의 전후 위치가 설정됨, 즉 조작버튼(42b)를 누르면 애플리케이터 지지장치(20)가 전진구동하며 설정위치에 달하면, 자동적으로 정지된다. 이 경우에도 안정성이 고려되어 조작버튼(42b)로부터 손가락이 떨어지면, 애플리케이터 지지장치(20)가 일단 정지하는 반자동식으로 되어 있다. 물론 상술한 바의 수동식으로도 할 수 있다.
(ST13)에서는, C아암(23)의 회전각도의 설정이 조작버튼(42b)을 누름으로서 역시 반자동적으로 설정된다. 다음에, (ST14)에서는 애플리케이터 부착부(30-2)가, 눌러붙임 방향(D)쪽에 구동되며, (ST15)에서는, 애플리케이터(33-2)가 서포트바(14)에 이르렀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이 판정이 NO인 경우에는, 애플리케이터(33-2)의 눌러붙임이 계속되고, YES의 경우에는, (ST16)에서 나눠지며 애플리케이터 부착부(30-2)가 일단 정지한다. 그리고, 서포트바(14)가 후퇴하고 (ST17), 다시 애플리케이터 (30-2)가 눌러붙임쪽에 구동되어, 설정위치에 달한 때에는 자동적으로 정지하고, 애플리케이터(33-2)가 환자(P)에 눌러져 붙여진다. 이 애플리케이터(33-2)의 눌러 붙임도 역시 상술한 반자동식(혹은 수동식)이다.
(ST19)에서는, 애플리케이터(33-1)의 눌러붙임이 반자동식(또는 수동식)으로 행하여지며, 즉, 조작버튼(42b)이 눌러지고 있는 동안, 애플리케이터(30-1)가 눌러붙임 방향(D)으로 구동되어, 설정위치에 달하면, 자동적으로 정지하고, 애플리케이터(33-1)가 환자(P)에 눌러져 붙여진다(제3도 참조).
(ST20)에서는, 설정된 치료시간, 설정된 출력의 고주파가 애플리케이터(33-1), (33-2)에 전달되어, 가온(加溫)이 행하여진다. 이 동안에 애플리케이터(33-1), (33-2)내에는, 쿨러(50)에 의하여 냉각수가 순환하며, 전극(34)과 환자의 피부는 냉각되어진다. 이 냉각수의 온도, 유량, 애플리케이터에의 주수량은, 상기 치료조건에 달하도록 제어된다.
가온이 종료되면, 이 상황에서의 치료조건과 기타의 데이터를 플로피 디스크에 격납하고(ST21), (ST8)-(ST19)의 역의 순서로 애플리케이터(33-2),(33-2)의 눌러 붙임 반대방향의 이동이 행하여진다(ST22).
그리고, 상기 실시예 에서는, 기억장치로서 플로피 디스크장치를 쓰고 있으나, 하드 디스크 장치나 광 디스크장치도 적용될 수 있으면 적절한 설계변경 역시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온열치료장치는, 치료대의 환자지지상태를 포함한 치료조건을 기억하는 치료조건 기억수단과, 이 치료조건 기억수단에 기억되고 있는 치료조건에 따라, 상기 치료대 및 상기 애플리케이터 지지장치를 구동제어하고, 상기 치료대의 환자 지지상태 및 상기 애플리케이터 장착상태를 설정하는 수동제어수단을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며 온열치료장치로서 치료대의 높이 애플리케이터의 장착 상태 등의 설정의 차이가 배제되고 치료의 재현성을 향상시킬 수있고 상기 치료 조건에 따른 치료효과의 차이검토를 용이하게 행할 수 가 있다.
또, 조작이 간략화됨으로 환자의 상태감시나 간호에 충분한 주의를 기울일 수 있음으로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것 역시 가능하다.
또한, 동기종 사용상으로써 치료조건이 통일되고, 라인화 가능하며, 즉 2개의 병원에 동기종의 온열치료장치가 설치되어 있으면, 한병원에서 치료를 받을 때의 기억매체를 다른 병원의 온열치료장치에 세트하면, 이 병원에서도 동일한 조건에서 치료를 받을 수가 있다.
그리고 실시예에 상술된 대로 치료조건을 열람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치료전에 가장 효과적인 치료조건의 설정이 용이하게 된다.

Claims (1)

  1. 전극 및 볼러스를 갖는 애플리케이터(33-1, 33-2)와, 상기 전극에 인가하는 고주파를 발생시키는 고주파 발생수단(80)과, 상기 볼러스내에 냉각액 순환시키는 냉각액 순환 수단(50)과, 환자를 지지하고, 그환자 지지상태가 설정 가능한 치료대(10-1,10-2)와, 상기 애플리케이터를 지지하며, 이 애플리케이터의 상기 환자에의 장착 상태가 설정 가능한 애플리케이터 지지장치(20)와, 상기 환자의 치료 부위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측정수단과, 이 온도 측정 수단으로부터의 온도신호를 처리하는 동시에 상기 고주파 발생 수단 및 상기 냉각액 순환수단을 제어하는 중앙제어수단(65)를 구성하여 이루어진 온열치료장치에 있어서, 상기 치료대의 환자 지지상태 및 상기 애플리케이터의 장착상태를 포함하는 치료조건을 기억하는 치료 조건 기억수단(64)과, 이 치료조건 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치료조건에 의거하여, 상기 치료대 및 상기 애플리케이터 지지장치를 구동제어하여 상기 치료대의 환자 지지상태 및 상기 애플리케이터의 장착 상태를 설정하는 구동제어수단(40)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열치료장치.
KR1019890005851A 1988-04-24 1989-04-29 온열치료장치 KR9100079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9892 1988-04-24
JP63209892A JP2739734B2 (ja) 1988-08-24 1988-08-24 温熱治療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2810A KR900002810A (ko) 1990-03-23
KR910007902B1 true KR910007902B1 (ko) 1991-10-04

Family

ID=165803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05851A KR910007902B1 (ko) 1988-04-24 1989-04-29 온열치료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739734B2 (ko)
KR (1) KR91000790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3739U (ja) * 1991-10-14 1993-05-07 オムロン株式会社 温熱治療装置
KR100394222B1 (ko) 1999-07-13 2003-08-06 윤희선 고온/저온 치료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257274A (ja) 1990-02-27
JP2739734B2 (ja) 1998-04-15
KR900002810A (ko) 1990-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14367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and controlling core body temperature
JP4919576B2 (ja) 熱交換カテーテルと、外部熱交換器と、熱交換流体を流すためのポンプとを含む回路内の熱交換流体の温度および流れを制御するためのシステム
JP4456764B2 (ja) 熱交換留置カテーテル用冷却システム
US6544257B2 (en) Thermal treatment apparatus
JPH084626B2 (ja) 自給式液投与装置
KR910007902B1 (ko) 온열치료장치
US20060243720A1 (en) System for keeping a patient warm during the perioperative period
US5046495A (en) High frequency heat therapy system
CN111134711A (zh) 一种心内科腹腔血管造影装置
CN107929948B (zh) 一种智能化全身微波热疗系统
JP3027566B2 (ja) 動物用診療ユニット
JP2005514085A5 (ko)
CN210186188U (zh) 一种手术室输血液护理加温装置
JPH0533739U (ja) 温熱治療装置
EP0336370A2 (en) High frequency heat therapy system
CN219645755U (zh) 一种用于彩超检查的患者专用床
CN215128265U (zh) 一种乳腺外科乳管镜
CN108634988A (zh) 一种用于检测胎儿畸形的超声波诊断装置
JP2003126135A (ja) 温熱治療装置
CN219423222U (zh) 一种内科医生检查用的托举装置
CN215457877U (zh) 一种具备温度调节功能的宫腔镜装置
KR940000191B1 (ko) 온열치료장치
CN215689526U (zh) 一种医疗科室影像肾成像暖肾座椅
CN210844052U (zh) 带暖体功能的picc操作穿刺支座
KR910007878B1 (ko) 고주파 온열치료용 베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100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