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7783Y1 - 라인(Line) 성형기 - Google Patents

라인(Line) 성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7783Y1
KR910007783Y1 KR2019890007140U KR890007140U KR910007783Y1 KR 910007783 Y1 KR910007783 Y1 KR 910007783Y1 KR 2019890007140 U KR2019890007140 U KR 2019890007140U KR 890007140 U KR890007140 U KR 890007140U KR 910007783 Y1 KR910007783 Y1 KR 91000778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apter
pins
insertion hole
line forming
protrus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9000714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20115U (ko
Inventor
최만수
Original Assignee
최만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만수 filed Critical 최만수
Priority to KR2019890007140U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7783Y1/ko
Publication of KR90002011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2011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778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778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9/00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 B29C59/007Forming single grooves or ribs, e.g. tear lines, weak spo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9/00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 B29C59/02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by mechanical means, e.g. pres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naps, Bayonet Connections, Set Pins, And Snap Ring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라인(Line) 성형기
제1도는 본 고안의 분리사시도.
제2a도는 아답터의 사시도.
제2b도는 제2a도의 가-가선을 따라 절취한 상태의 단면도.
제2c도는 제2a도의 나-나선을 따라 절취한 상태의 단면도.
제3a도는 아답터에 구관을 삽입하기 직전의 사시도.
제3b도는 제3a도의 다-다선을 따라 절취한 상태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하우징(Housing) 2 : 회전축
3 : 축돌출부 3' : 압축스프링
4 : 아답터(Adapter) 4' : 축수용홀
5 : 구관삽입홀 6 및 6' : 핀(Pin)
7 : 압축스프링 8 : 구관
9 : 커버(Cover)
본 고안은 라인(Line) 성형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축상에 체결된 아답터에 부재를 삽입하여 자동적으로 부재표면에 소정수의 라인을 형성하는 라인 성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예를들어 화장용 솔을 고정하는 원통형 구관 표면에는 미적감각을 돋우기 위하여 일정수의 라인을 성형한다.
그러나, 소형의 구관표면에 라인을 자동 및 다량으로 성형하기에는 공정상에 여러가지 제약이 뒤따르며, 따라서 작업자의 전적인 수동작업에 의존할 수 밖에 없었다.
다량생산을 요하는 구관에 작업자가 일일히 수동작업으로 라인을 성형하기에는 비경제적일 수 밖에 없으며, 그러한 수동작업으로 인하여 다량생산의 한계 및 그에 따른 제품단가의 상승등 여러가지 단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이러한 단점을 제거하고, 다량생산을 유도할 수 있음은 물론, 부재의 크기에 관계없이 다양한 라인을 성형할 수 있는 라인 성형기를 제공하는데에 있다.
본 고안의 특징은 일반적인 동력전달장치에 소형의 아답타(Adapter)를 체결함으로서 소정의 작업목적을 이룰수가 있어 제조상의 경제적 문제점을 간단히 해결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은 상기 소형의 아답타내에 부재가 체결될 수 있는 구멍의 크기를 다양하게하여 부재의 여러 직경에 따라 아답타만 대체 사용할 수 있는 큰 호환성을 가진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을 이루는 각 부재의 분리사시도로서, 본 고안을 크게 나누어 회전력 전달장치인 회전축(2)과 하우징(1)회전축에 삽입되는 아답타(4) 및 커버(9)로 구성된다. 구동모우터(도시않됨)의 회전력을 전달받는 회전축(2)과 하우징(1)사이의 구조는 일반적인 구조, 즉 베어링 및 기타부재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명세서에 간략화를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아답터(4)가 삽입되는 회전축(2) 상단은 축(2)의 한 지름선상에 중심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된 1쌍의 원통형 돌출부(3)를 구성하여 그외주면에 압축스프링(3')을 삽설한다.
아답터(4)는 그 중앙부에 후술한 부재, 즉 구관을 삽통할 수 있도록 단수의 원형의 홀(5)을 구성하고 하부면에는 회전축(2)상에 구성한 1쌍의 원통형 돌출부(3)를 각각 수용할 수 있는 1쌍의 원형홀(4')을 구성한다(제2a도에 상세히 도시됨).
또한 아답터(4)의 측면에는 소정수의 핀(6 및 6')을 구관삽입홀(5)에 연통될 수 있도록 삽입하여, 이는 상기 커버(9)의 중심원통형 동공내로 저부에서 조립된다.
아답터(4)의 내부구조를 상세히 설명하면, 제2a도는 본 고안에 이용한 아답터(4)의 사시도로서, 저면을 중심으로 도시하고 있는데, 측면에는 소정수의 핀(6)이 설치되고, 저면에는 제1도에서 기술한 바와같이 회전축(2)의 상단에 형성되는 한쌍의 돌출부(3)에 삽입될 수 있는 한쌍의 원형홀(4')과 구관삽입홀(5)이 도시된다.
제2b도에 제2a도의 가-가선을 따라 절취한 상태의 단면도로서, 제2a도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아답터(4)의 저면에는 회전축(2) 평면에 구성한 1쌍의 돌출부(3)를 수용할 수 있는 원형홀(4')을 아답터(4)의 소정 깊이까지 구성하는 한편, 아답터(4)는 그 외주면이 제1도의 커버(9)내주면과 동일한 직경으로 이루어진다.
제2c도는 제2a도상에 도시된 아답터의 나-나선을 따라 절취한 상태의 단면도로서, 아답터(4) 내부구조 및 삽입된 핀(6 및 6')의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아답터(4)의 양측면상에 서로 소정의 높이 차를 유지하면서, 아답터(4)의 외주면에서부터 중앙부의 구관삽입홀(5) 연변까지 구성한 홈내부에 삽입되어 있는 핀(6 및 6')의 구조는 소정직경의 원통형으로서, 한쪽 외측 단부는 라운딩 처리하여 상기 커버(9)와 원할히 연동될 수 있게 하였으며, 또다른 내측 단부는 날카롭게 각진 구성을 각각 취한다. 또한 라운딩 처리한 부분에는 본체보다 큰 직경을 가진 소정폭의 융기부를 구성하여 후술되는 압축스프링을 수용케 구성한다.
이상과 같이 핀(6 및 6')이 삽입되는 각 홀의 구성은 핀(6 및 6')의 융기부와 거의 동일한 작경으로 구성하되, 구관삽입홀(5) 연변부는 핀(6 및 6')의 본체와 동일한 직경으로 되어 있다.
상기 홀의 내측단부에는 돌기부(11)를 형성하여 핀(6 및 6')을 삽입할 경우, 먼저 압축스프링(7)을 상기 홀에 수용한후 핀(6 및 6')을 스프링(7)내에 삽입한다.
핀(6 및 6')을 완전히 삽입한후, 핀(6 및 6') 원주면 주위의 아답터(4) 부재를 핀(6 및 6')을 향하여 소정깊이(핀 융기부가 걸릴정도)늘이면, 결과적으로 융기부(11')가 형성되어 융기부(11')가 핀(6 및 6')은 이홀내에 수용되며, 핀(6 및 6') 외주면의 압축스프링(7)은 핀(6 및 6')의 융기부와 홀단부의 각진부분에 걸쳐 핀(6 및 6')과 함께 수용된다.
이러한 구조의 각 부재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작동을 제1도 및 제2c도, 제3a 및 3b도를 통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제3a도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편의상 아답터(4) 및 커버(9)를 제외한 나머지 동력전달부는 도시하지 않았다.
회전축(2)상에 형성한 2개의 돌출부(3)에 삽입되어 커버(9)내에서 회전하는 아답터(4)의 상부 구관삽입홀(5)에 원주면에 선을 만들고자 하는 부재인 구관(8)(제3a도에서는 다수의 구관으로 연결된 구관열로 도시)을 삽입하는데, 이때 구관열을 별도의 수단으로 회전하지 않게 고정한다.
구관(8)을 구관삽입홀(5)에 삽입한후, 프레스(도시되지 않음)로 구관(8) 상부면을 가압하면 구관(8) 및 아답터(9)는 회전축(2)상의 2개의 돌출부(3)를 따라 그 연변의 스프링(3')을 압축하면서 하향운동을 하게되며, 이때 아답터(4)의 양측면에 삽입한 양 핀(6 및 6')은 라운딩 처리한 부분이 커버(9) 상부 내면에 밀리면서 구관삽입홀(5)쪽으로 이동하게 되어, 결과적으로 구관삽입홀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양 핀(6 및 6')은 구관삽입홀(5)내에 삽입, 고정되어 있는 구관(8)의 표면에 접촉하면서 2개의 선(10)을 형성하게 된다.
이때 핀(6 및 6') 부재는 커버(9)와 접촉할때 발생하는 마모를 방지하기 위하여 초경금속으로 제조한다.
구관(8)의 원주면에 선을 형성한후 구관에 가한 프레스의 힘을 제거하면, 회전축(2)상의 스프링(3') 및 핀(6 및 6') 외주면의 스프링(7)이 동시에 복원되면서, 아답타(4)는 상향운동을, 핀(6 및 6')은 제자리 이동을 동시에 수행함으로서 작동하기 전의 원위치로 복귀하게 되며, 선이 형성된 구관을 제거하고 다음 구관을 상술한 동작을 반복 실시한다. 이때 작업이 완료된 구관의 외주면에는 아답터(4) 내부에 높이차를 가지고 삽입된 양 핀(6 및 6')에 의하여 2개의 선이 형성된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간단한 부재를 사용함으로서 수동작업을 완전히 대체할 수 있어 작업의 능률향상 및 정확한 제품들을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2개의 핀을 이용한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의 원리를 적용하여 1개 또는 2개 이상의 핀을 사용하므로서 그 수에 맞는 선을 형성할 수 있으며, 또한 적용제품도 구관 뿐만이 아니라 선을 형성하고자 하는 원통형 부재에 본 고안의 원리를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아답터 중심에 형성된 삽입홀의 직경을 달리함으로써 부재의 직경에 따라 다수의 아답타만을 대체 사용하므로써 기기의 호환성이 크게 증대 될수 있다.

Claims (4)

  1. 동력전달장치인 하우징(1)에 수용되는 회전축(2) 상단에 한쌍의 원통형 돌출부(3)를 구성하되, 그의 연변에는 압축스프링(3')을 삽설한 상태에서 원통형의 아답터(4)를 체결시키고, 상기 아답터(4)는 상기 돌출부(3)가 체결될 수 있는 1쌍의 수용홀(4')을 그 저면에 구성하고, 그의 중앙부에는 부재의 삽입홀(5)을 구성하며, 그의 원주측면 상에는 원주면에서 상기 삽입홀(5)까지 연통될 수 있도록 다수의 핀(6 및 6')을 구성하여 커버(9)에 의해 고정되고 연동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인성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답터(4) 측면홈에 설치되는 다수의 핀(6 및 6')은 상호간의 서로 다른 높이차를 가지고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인성형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답터(4) 측면 홈에 설치되는 다수의 핀(6 및 6')은 홈내부에서 압축스프링(7)과 함께 수용하되, 삽입홀(5)에 대응하는 단부는 각진 형태로 하고, 다른 외측단부는 소성폭의 스프링 지지용 돌출부를 가지고 라운딩 처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인성형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답터(4)에 구성한 핀(6 및 6')의 수용홀은 핀(6 및 6') 및 스프링(7)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내외측 단부에 각각 돌기부(11 및 11')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인성형기.
KR2019890007140U 1989-05-30 1989-05-30 라인(Line) 성형기 KR91000778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07140U KR910007783Y1 (ko) 1989-05-30 1989-05-30 라인(Line) 성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07140U KR910007783Y1 (ko) 1989-05-30 1989-05-30 라인(Line) 성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20115U KR900020115U (ko) 1990-12-12
KR910007783Y1 true KR910007783Y1 (ko) 1991-10-05

Family

ID=192865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90007140U KR910007783Y1 (ko) 1989-05-30 1989-05-30 라인(Line) 성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778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20115U (ko) 1990-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38438A (en) Construction toy and adapter
US20040016067A1 (en) Electric toothbrush with a replaceable head section
WO1996014960A2 (en) Universal polishing fixture for polishing optical fiber connectors
CA2114021A1 (en) Device for wiping a brush used in applying mascara to the lashes or similar and mascara applicator provided with same
KR910007783Y1 (ko) 라인(Line) 성형기
EP0031309A1 (en) Device for rigidly coupling a handle to its corresponding manual implement, and an implement provided with the said device
GB2200579A (en) Angle head for centrifuge
US4799288A (en) Pivot bush
KR100333137B1 (ko) 전동칫솔
EP3603906B1 (en) Razor handles
US3289234A (en) Brush assembly and mounting means
US4970751A (en) Adaptor for windshield wiper pin
US4622198A (en) Method of making a coupling nut for a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 molded anti-decoupling mechanism
CN100456986C (zh) 锁定构件和装置
EP0928576A2 (en) Lipstick container with increased carrier ride-by force
JP3198150B2 (ja) 電気掃除機における回転ブラシの製造方法
US4698908A (en) Shaving appliance
US6224281B1 (en) Cosmetic pencil cartridge having a replaceable auxiliary holder
EP0380337A3 (en) Connector
CN217196755U (zh) 旋转脱模装置及成型模具
KR880000660Y1 (ko) 비데오 테이프 레코더의 리일 테이블
US5842809A (en) Plastic mold fixing structure for chassis
CN212122760U (zh) 一种模具打磨装置
JPS60237410A (ja) 光コネクタの接続スリ−ブ構造
US4073463A (en) Sprocket mol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801 Dismissal of trial

Free format text: DISMISSAL OF TRIAL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19930325

Effective date: 1994053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