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7619B1 - 당김끈이 같이 직조된 탄성밴드 - Google Patents

당김끈이 같이 직조된 탄성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7619B1
KR910007619B1 KR1019840004908A KR840004908A KR910007619B1 KR 910007619 B1 KR910007619 B1 KR 910007619B1 KR 1019840004908 A KR1019840004908 A KR 1019840004908A KR 840004908 A KR840004908 A KR 840004908A KR 910007619 B1 KR910007619 B1 KR 9100076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b
elastic
band
longitudinal direction
cro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400049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1912A (ko
Inventor
그래프 폴
Original Assignee
엔. 에프. 에이. 코포레이션
데이비드 캐스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06/483,367 external-priority patent/US4477928A/en
Application filed by 엔. 에프. 에이. 코포레이션, 데이비드 캐스티 filed Critical 엔. 에프. 에이. 코포레이션
Priority to KR10198400049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7619B1/ko
Publication of KR8600019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19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76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76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7/00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 D04B7/16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for producing fabrics consisting of, or incorporating, elastic thre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Of Fabric (AREA)
  • Details Of Garme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당김끈이 같이 직조된 탄성밴드
제1도는 교차 직조된 당김끈이 있는 탄성밴드를 사용한 의복을 일부를 절단하여 도시한 사시도.
제2도는 교차 직조된 끈이 있는 탄성밴드의 사시도.
제3도는 제2도의 선 3-3에 따른 탄성밴드의 확대 단면도.
제4도는 탄성밴드의 하나의 경사를 구성하는 당김끈의 확대도.
제5도는 당김끈이 같이 직조되어 있는 편성(偏成) 탄성밴드의 평면도.
제6도는 교차 직조된 당김끈이 있는 꼬여진 탄성밴드의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9 : 바지 10 : 탄성밴드
11 : 탄성웨브 12 : 당김끈
13 : 주연부 14 : 허부부분
15 : 층 16 : 통로
17 : 끈 18 : 경사
19 : 위사 21 : 꼬임끈
23 : 구멍 25 : 탄성밴드
26 : 살 27 : 섬유
28 : 당김끈 31 : 탄성밴드
32 : 실 33 : 섬유
34 : 당김끈
의복에는 보통 탄성밴드를 사용한다. 또한, 이러한 탄성밴드를 사용하는 의복에는 의복을 몸에 꼭맞게 조이기 위한 끈도 사용한다.
제조 공정중에 탄성밴드 및 당김끈을 의복에 부착시키기 위해서는 여러 단계의 과정을 거쳐야 한다. 제1공정에서는 탄성밴드와 의복을 만드는 천을 병렬로 위치시킨다. 제2공정에서는 천을 덧대어서 형성한 통로를 통해 비탄성의 당김끈을 삽입한다. 이 당김끈은 착용자가 의복을 몸에 꼭맞게 할 때 사용한다. 제3공정으로 당김끈의 단부를 탄성밴드 또는 상기 통로를 형성하는 천에 부착한다. 따라서, 위와 같은 공정을 거쳐 탄성밴드 및 당김끈을 의복에 부착시키게 되어, 생산량이 감소되고 경비가 많이 들게 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탄성밴드 및 당김끈을 부착하는데는 몇가지의 문제점이 있다. 특히 천을 접어서 형성한 통로내에 당김끈을 위치시킬 때에, 이는 당김끈이 원하는 위치를 이탈하기가 쉽게 된다. 의복을 입을 때에는, 탄성밴드가 말리는 경향이 있어 당김끈이 엉키게 된다. 이렇게 탄성밴드가 접혀지고 당김끈이 그 위치를 바꾸게 되면 착용자가 불편함을 느끼고 성가시게 된다.
또한, 당김끈의 한쪽 끝을 잡아당기게 되면 다른쪽 끈이 천으로 된 통로 내로 들어가게 되어 찾을 수가 없게 된다. 완전히 잡아 당기게 되면, 당김끈은 의복으로부터 완전히 분리되어 분실되게 된다. 따라서, 선행기술의 제조 방법 및 그 제품은 개선할 필요성이 있다.
당김끈이 같이 직조된 탄성밴드를 사용하게 되면 이러한 끈을 사용하는 의복의 제조 공정을 상당히 간소화하게 된다. 이렇게 제조 방법을 간단히 하면 제조 공정을 단축하고 인건비를 감소시킬 수가 있게 된다.
탄성밴드는 통상적으로 그 종방향으로 신축될 수 있는 물질의 연신된 웨브를 포함한다. 당김끈은 탄성웨브를 따라 연장되어 이와 함께 교차 직조된다. 이 끈은 웨브의 종방향으로 되어 있다.
당김끈의 길이는 연신되지 않은 상태의 탄성밴드의 길이보다 길게 되어 있다. 그 남은 길이는 고리를 형성하여 착용자가 의복을 조일 때 당김끈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한다. 당김끈의 단부는 탄성밴드 또는 이 끈에 연결된 의복에 단단하게 부착시킨다. 고리는 다음에 당김끈의 중간 부분을 형성한다. 고리 자체는 단부가 없어 천으로 된 통로내로 감춰지지 않는다.
당김끈이 묻혀 있는 탄성밴드의 구조는 탄성재료의 연신된 웨브를 형성하는 과정을 필요로 한다. 이 재료는 그 종방향으로 탄성 특성을 가져야 한다. 다음에는 비탄성의 당김끈을 탄성재료의 웨브의 일부와 교차 직조한다. 당김끈은 웨브의 종방향으로 연장시킨다. 당김끈의 길이는 이 끈이 묻혀 있는 웨브의 길이보다는 길게하여야 한다.
당김끈이 묻혀 있는 탄성밴드는 대체로 의복의 일부를 형성한다. 이 밴드는 의복의 허리 부분의 개구부 주연부에 부착된다. 고리를 형성하는 잔여끈은 의복을 조이는 당김끈 역할을 한다.
의복을 제조할 때는 허부 개구부의 주연부에서 탄성밴드를 위치시키는 공정을 포함한다. 이 공정은 웨브를 천에 부착시키는 공정까지 연결되며, 이는 보통 재봉으로 수행한다. 다른 방법으로는 밴드를 천의 접혀진 부분내에 감쌈으로써 이를 간단하게 수행할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당김끈을 웨브의 일부와 교차직조한다. 그러나, 이 공정은 탄성웨브 또는 밴드를 천에 부착하기 전에 수행할 수도 있다.
통상적으로, 당김끈은 직조, 편성(knit) 또는 꼬여진 탄성밴드의 일부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 끈은 밴드의 일체로 된 실 또는 밴드와 교차직조된 여분의 실로 대치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을 상술한다.
제1도에 도시된 바지(9)는 착용자의 허리 위에 이를 고정시키기 위한 탄성밴드를 포함하고 있다. 바지(9)는 또한 꼭맞도록 하기 위한 당김끈(12)로 포함한다.
보통 밴드는 바지의 허리 부분(14)의 주연부(13)에 인접 위치한다. 바지(9)의 접혀진 천의 층(15)는 당김끈(12)가 있는 탄성밴드(10)의 통로(16)을 형성한다.
제2도에 도시한 탄성밴드(10)은 직조된 탄성웨브(11)를 포함한다. 당김끈(12)는 밴드(10)내에 묻힘 형태로 위치한다. 당김끈(12)의 잔여 길이는 고리(17)을 형성한다. 착용자는 고리(17)을 잡아 당기고 매듭을 묶어 바지(9)를 꼭맞도록 할 수가 있다.
제3도 및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직조된 탄성밴드(10)은 경사(18)과 위사(19)를 교차 직조하여 형성한다. 당김끈(12)는 경사(18)의 하나로 구성하거나, 또는 경사가 아닌 다른 실을 부가적으로 탄성밴드(10)에 재봉하여 구성한다. 밴드(10)이 그 종방향으로 신축되는 특징을 가져야 하기 때문에, 경사(18)은 탄성 성분을 가져야 한다. 위사(19)도 또한 탄성 특성을 갖는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밴드(10)이 횡방향으로 신축될 수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직조된 탄성밴드는 그 종방향으로만 신축되면 된다.
당김끈(12) 자체는 통상적인 구조로 할 수도 있다. 도면에는 당김끈(12)를 꼬임끈(21)로 구성하였음을 보여준다. 그러나, 사용가능한 다른 형태의 당김끈도 밴드(10)에 사용할 수가 있다. 당김끈(12)는 약간의 탄성 특성이 있거나 비탄성이어도 된다. 당김끈(12)가 탄성이면, 이는 웨브(11)의 탄성보다는 작은 탄성을 가져야 한다. 따라서, 고리(17)을 조여 고리를 만들면, 의복은 착용자에 꼭붙게 된다. 이는 바지의 허리에 적용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바지 다리의 밑 부분이나 소매 또는 자켓이나 셔츠의 밑부분에도 사용할 수가 있다.
직조된 밴드(10)을 형성할 시에 , 제조 장치로서 탄성밴드를 제직 공정에서와 같이 연신 상태로 위치시킨다. 그러나, 제3도 및 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당김끈(12)는 밴드(12)의 하나의 경사로 대치되기도 한다. 또한, 제조 장치는 장력하에, 또는 신장된 상태의 탄성 경사(18)이 있는 끈(12)를 사용하기도 한다. 제조후에 밴드(10)의 장력을 제거하면 이는 수축되게 된다. 다시말하면, 그 길이가 줄어들게 된다. 탄성특성이 없는 당김끈(12)는 마찬가지로 수축되지는 않는다. 반대로, 밴드(10)을 따라 약간 주름지게 된다. 이는 탄성밴드가 수축된 상태에서 탄성밴드(10)의 잔여 부분에 비해 당김끈(12)의 길이를 길어지게 한다. 당김끈(12)의 특정점을 잡아 이를 당겨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한 고리(17)을 형성한다.
제1도에 도시한 바지(9)를 제조할 시에, 제조자는 접혀진 층(15)의 전면에 있는 구멍(23)에서 당김끈(12)를 잡는다. 구멍(23)을 통해 끈(12)을 잡아당겨 고리(17)을 착용자가 잡기 쉬운 특정 위치에 놓는다. 잔여 끈(12)를 잡아당겨 구멍(23)에서 고리(17)을 만드는 과정은 별도의 당김끈을 바지(9)의 전체 허리 둘레에 실을 꿰는 것보다는 용이하고 또 신속하게 수행할 수가 있다.
고리(17)을 형성하여도 여분의 당김끈(12)가 탄성밴드(10)내에 남아 있어 주름을 형성한다. 그래도 고리(17)은 착용자가 남아 있어 주름을 형성한다. 그래도 고리(17)은 착용자가 용이하게 잡을 수 있을만한 충분한 길이를 갖는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도 내지 제4도에 도시한 탄성밴드를 제직공정으로 제조한다. 제5도에 도시한 밴드(25)는 실(26)을 편성 방법으로 교차 직조하여 형성한다. 탄성밴드(25)는 연신될 수 있는 신축성 섬유(27)을 포함하며, 이는 밴드에 탄성을 제공해 준다. 당김끈(28)도 또한 편성 제직된 실(26)과 교차 직조하여 밴드(25)의 일부를 구성하도록 한다.
마찬가지로, 제6도에서는 실(32)를 종방향 탄성 섬유(33) 주위로 꼬아서 형성하는 탄성밴드(31)을 도시하였다. 당김끈(34)는 섬유(33)과 교차 직조한다.
제5도 및 제6도에 도시한 탄성밴드(25) 및 (31)은 장력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로 직조한다. 따라서, 단순히 장력을 이완시켜도 당김끈(28)은 여유 길이가 남지 않는다. 반대로, 밴드(25) 및 (31)을 제조하는 장치로 통상적으로 필요한 각각의 밴드의 길이보다 더 긴 끈(27) 및 (34)를 삽입시켜야 한다. 이는 주름진 끈(28) 및 (34)에 여분의 길이가 형성되게 한다. 따라서 이 부가적인 길이로 고리를 형성하여 당김끈으로 사용하도록 한다.
또한, 제5도 및 제6도는 끈(28) 및 (34)를 단지 편성 및 꼬임 직조된 실(26) 및 (32)내로 삽입되어 교차 직조된 부가적인 요소로서 도시하였다. 적절한 편성 및 꼬임 형태로서, 당김끈(28) 또는 (34)를 그 자체를 편성 또는 꼬임실로 사용할 수도 있다.

Claims (18)

  1. 종방향으로 향한 교차 직조된 탄성실로 구성되고, 그 종방향으로 탄성 특성을 갖는 연신된 웨브와, 상기 웨브의 일부분을 따라 상기 종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탄성 실의 일부를 구성하고 상기 웨브가 수축된 상태일 때 상기 웨브의 일부분의 종방향 길이보다 긴 길이를 갖고 있고, 격설된 간격으로 주름진 당김끈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밴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웨브가 경사 및 위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밴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웨브가 편성 구조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웨브가 꼬임 구조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
  5. 밴드 제조 방법에 있어서, 탄성을 갖는 탄성 실을 종방향으로 하여 교차 직조하여 상기 종방향으로 탄성을 갖는 연신된 웨브를 제조하는 공정과, 상기 웨브의 일부를 수축된 상태에서 상기 웨브의 종방향에서의 일부분의 길이보다 길게 되어 있는 당김끈과 종방향으로 교차직조하는 공정과, 상기 당김끈을 격설된 간격으로 주름을 잡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 제조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실이 경사 및 위사의 천 내로 직조되어 교차 직조되고, 상기 탄성 실이 상기 경사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끈이 상기 끈을 상기 천의 경사의 하나의 위치로 직조하여 상기 웨브의 상기 부분내로 교차 직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실이 상호 편성 직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끈이 상기 탄성실의 하나로 상기 웨브의 상기 부분내로 편성 직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실이 상호 꼬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끈이 상기 탄성실의 하나로 상기 웨브의 상기 부분내로 꼬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개구부를 형성하는 주연부를 갖는 의복의 일부와, 상기 부연부에서 의복의 상기 부분에 부착되고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탄성웨브와, 상기 종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웨브와 교차 직조되고, 수축된 상태의 상기 웨브의 종방향 부분의 길이보다 길게 되어 있고, 격설된 간격으로 주름이 형성된 당김끈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복.
  13. 제12항에 있어서, 의복의 상기 부분의 일부가 상기 탄성웨브를 감싸고 있고, 의복의 상기 부분이 구멍을 갖고 있어 이를 통해 상기 끈을 잡고 상기 웨브의 부분으로부터 부분적으로 당길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개구부를 형성하는 주연부를 갖는 천의 일부분으로부터 의복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의 상기 주연부에 평행한 종방향으로 위치한 교차 직조된 탄성 실로 구성되는 연신된 탄성웨브를 상기 주연부를 따라 대략 그와 일치되도록 위치시키는 공정과, 상기 웨브를 상기 천에 부착시키는 공정과, 상기 탄성웨브의 종방향으로 탄성웨브가 수축된 상태일 때 상기 탄성웨브의 상기 부분보다 긴 길이를 갖는 당김끈을 상기 탄성웨브의 상기 부분내에서 교차 직조하고, 상기 당김끈에서 격설된 간격으로 주름을 형성하는 공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복 제조 방법.
  15. 종방향으로 위치하는 교차 직조된 탄성실로 구성되고, 종방향으로 탄성을 갖는 연신된 웨브와, 상기 웨브의 일부를 따라 상기 종방향으로 연장되어 이에 부착되고, 상기 탄성 실에 덧붙여지고 상기 웨브의 수축된 상태에서의 상기 부분의 종방향 길이보다 긴 길이를 갖고 있고, 격설된 간격으로 주름이 형성된 당김끈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밴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웨브가 경사 및 위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웨브가 편성 직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웨브가 꼬임 구조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
KR1019840004908A 1983-04-08 1984-08-16 당김끈이 같이 직조된 탄성밴드 KR9100076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40004908A KR910007619B1 (ko) 1983-04-08 1984-08-16 당김끈이 같이 직조된 탄성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6/483,367 US4477928A (en) 1983-04-08 1983-04-08 Elastic with embedded pull cord
KR1019840004908A KR910007619B1 (ko) 1983-04-08 1984-08-16 당김끈이 같이 직조된 탄성밴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1912A KR860001912A (ko) 1986-03-24
KR910007619B1 true KR910007619B1 (ko) 1991-09-28

Family

ID=266273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40004908A KR910007619B1 (ko) 1983-04-08 1984-08-16 당김끈이 같이 직조된 탄성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761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1912A (ko) 1986-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77928A (en) Elastic with embedded pull cord
US5375266A (en) Composite drawcord/elastic waistband
US20100180911A1 (en) Elastic band
US20060157077A1 (en) Elastic band
US5963988A (en) High stretch composite elastic waistband
USRE33586E (en) Elastic with embedded pull cord
US2785413A (en) Method of holding socks in pairs for laundering
US3711868A (en) Waistband for trousers, skirts and the like
US1823034A (en) Rubberless elastic fabric
KR910007619B1 (ko) 당김끈이 같이 직조된 탄성밴드
US3286739A (en) Process of manufacturing a textile fabric for pocket materials having no stitched seam
US3813698A (en) Trousers having narrow elastic fabric waistband
US5457854A (en) Draw-cord and methods of incorporating it within a tunnel of fabric
NL192023C (nl) Samengestelde band voor opname in een tunnel van een kledingstuk.
JP2007138323A (ja) パイピングテープ
KR200402409Y1 (ko) 목도리 겸용 숄
US2837747A (en) Supporting means for hosiery and the like
KR200304039Y1 (ko) 장식용 머리끈
JP2009242988A (ja) 衣類
JPH0114698Y2 (ko)
JPS6239117Y2 (ko)
JPH0219532A (ja) 複合糸
JPS6026104Y2 (ja) たて編地によるすそ上げ用接着テ−プ
JP3031911U (ja) ベルト
JPWO2022059771A5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924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