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7520B1 - 약병 밀봉기 - Google Patents

약병 밀봉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7520B1
KR910007520B1 KR1019880005299A KR880005299A KR910007520B1 KR 910007520 B1 KR910007520 B1 KR 910007520B1 KR 1019880005299 A KR1019880005299 A KR 1019880005299A KR 880005299 A KR880005299 A KR 880005299A KR 910007520 B1 KR910007520 B1 KR 9100075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al
sealer
connecting cover
cover
insertion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052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13813A (ko
Inventor
월터 죠단 윌리
Original Assignee
애보트 레버러토리즈
죠셉 엠. 버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애보트 레버러토리즈, 죠셉 엠. 버닉 filed Critical 애보트 레버러토리즈
Publication of KR8800138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138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75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75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BAPPLYING CLOSURE MEMBERS TO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OPENING CLOSED CONTAINERS
    • B67B1/00Clos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by applying sto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01L3/50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 B01L3/508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rigid containers not provided for above
    • B01L3/5085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rigid containers not provided for above for multiple samples, e.g. microtitration plates
    • B01L3/50853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rigid containers not provided for above for multiple samples, e.g. microtitration plates with covers or li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9/00Closures arranged within necks or pouring openings or in discharge apertures, e.g. sto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5/00Accessories for container 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5/16Devices preventing loss of removable closure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1/00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or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 B65D71/50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or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comprising a plurality of articles held together only partially by packaging elements formed otherwise than by folding a blank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5/00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 G01N35/10Devices for transferring samples or any liquids to, in, or from, the analysis apparatus, e.g. suction devices, injection devices
    • G01N35/1002Reagent dispens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mat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Packages (AREA)
  • Automatic Analysis And Handling Materials Therefor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약병 밀봉기
제1도는 시약통에 부착되어 약병을 밀봉하는 본 발명의 약병 밀봉기의 사시도.
제2도는 시약통 안의 약병 목 상부 및 주변에 위치한 개구와, 약병 삽입 수단을 보여주는 본 발명의 약병 밀봉기의 사시도.
제3도는 방해받지 않는 위치에서 삽입 수단을 유지하기 위해 유연한 커버의 구멍을 통해 위치한 구형 단부를 보여주는 본 발명의 약병 밀봉기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약병 밀봉기 11 : 제1부분
12 : 연결커버 13 : 제1표면
14 : 삽입 수단 17 : 내단부
18 : 기둥 19 : 구형단부
20 : 구멍 21 : 제 2부분
22 : 눈금 23 : 외단부
24 : 개구 30 : 약병
20 : 시약통
본 발명은 용기 밀폐를 위한 밀봉기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자동화된 임상 분석기와 함께 사용하기 위하여 시약통에 배열된 일단의 시약 함유 약병을 밀폐시키기 위한 약병 밀봉기에 관한 것이다.
바이러스 질병, 세균 감염 등과 같은 생물학적 검사분야에 있어서, 표본을 수집하여, 시약과 반응시켜 이 반응 결과를 공지 기술을 이용하여 분석하고 있다. 이러한 검사에 사용되는 시약은 특정 검사에 필요한 시약을 담고 있는 여러개의 약병을 구비하고 있는 미리 형성된 통안에 편리하게 배열된 약병 또는 다른 용기에서 꺼내어 쓰여진다. 경제성과 실용성을 위해 각 약병은 다수의 표본을 검사할 수 있도록 시약을 분리 보관하고 있다. 이런 시약통은 본 출원과 동일한 날짜에 윌터 죠르단의 이름으로 출원된 "시약통과 카로우젤" 에 기술되어 있다.
"복수용량"시약통은 일단 열리면 시약이 오염되는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면 어떤 시약의 성질은 빛 또는 공기에 노출되거나, 시간이 경과하였을 때, 또는 다른 시약이나 오염물질에 노출됐을 때 영향을 받는다.
이런 시약통의 약병은 각기 돌려서 닫거나 또는 약병에 제공된 폐쇄기를 사용해 폐쇄되고 있다. 그러나 각 폐쇄기는 약병에서 분리되었을 때 잃어버릴 수가 있다. 또한 신속한 시험을 요구하는 임상 검사시에 각 약병을 열고 닫을 때의 시간 소비 등 불편한 점이 있다.
따라서, 복수 용량 시약병을 편리하고 경제적으로 열고, 다시 닫을 때 견고하게 재밀봉시킬 수 있는 약병 밀봉 장치가 필요하게 되었다. 이러한 장치의 바람직한 특징은 시약통에 배치된 일단의 약병을 재밀봉시키는데 있고, 다른 바람직한 특징은 시약을 취급할 때에 오염을 최소화시키고 시약을 안전하게 밀봉시킬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자동화된 임상 분석기에서 시약통을 사용할 때 시약통의 약병에 방해 받지 않고 이를 부착 유지시킬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바림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시약통 안에 수용된 약병을 경제적이고 편리하게 밀봉하는 약병 밀봉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약병 밀봉기는 시약통을 사용할 때 뿐만아니라 보관시에 약병에 제거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약병 밀봉기는 일단 부착되면 시약통과 결합되어 단일 유닛을 형성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약병 밀봉기는 시약통의 다수의 시약 보관 약병의 개구에 끼워지는 일렬로 배치된 얇고 유연한 연결 커버에 부착된 다수의 삽입 수단을 구비한다. 커버는 구부릴 수가 있어서 각 삽입 수단을 약병의 개구에 삽입시킬 수 있고 또한 뺄수 있다 커버는 시약 보관 약병의 목 상부 및 주변에 고정하기 위한 일렬 배치된 일련의 개구를 갖기 때문에 약병 밀봉기가 시약 보관 약병의 목에 제거가능하게 부착된다. 양호한 실시예에 있어서, 커버는 제1부분과 제2부분을 포함하고, 제1부분은 약병 삽입 수단이 돌출 형성되어있는 제1표면과, 제2표면을 갖는다. 제1표면은 내단부에서 외단부로 감에 따라 넓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약병 밀봉기는 각기 유연한 연결 커버에 형성되는 구형 단부를 갖는 기둥과 이에 대응하는 구멍을 포함한다. 양호한 실시예에 있어서, 구멍은 제1,제2부분사이의 커버 중앙부에 위치한다. 시약통이 사용될 때, 구형 단부는 임상분석자 또는 다른 장치의 작동을 방해하지 않기 위해 약병의 개구에서 떨어진 삽입 수단 위치의 구멍안에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개구는 약병의 목 상부 및 주변에 유지되어서 검사시에도 약병 밀봉기가 시약통과 함께 연결되어 유지된다.
본 발명의 특징과 장점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하기에서 자세히 설명하겠다.
제1도, 제2도 및 제3도는 유연한 연결 커버(12)를 갖는 약병 밀봉기(10)를 구비하는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를 보여준다. 연결 커버(12)의 한 면에는 일련의 약병 삽입 수단(14)이 형성되어 있다. 각 삽입 수단(14)은 삽입 수단(14)의 단부 주변에 위치한 리브(16)와 원통형 하부(15)를 갖는다. 각 삽입 수단(14)은 시약통(40)에 장착된 약병(30)의 개구에 끼워진다. 특히, 커버(12)는 제1표면(13) 및 제2표면(26)을 갖는 제1부분(11)과, 제2부분(21)을 갖는다. 약병 삽입 수단(14)은 내단부(17)와 외단부(23)를 갖는 제1부분(11)의 제1표면(13)상에 위치한다. 양호한 실시예에 있어서, 제1부분(11)은 내단부(17)}에서 외단부(23)로 갈수록 넓어진다. 제1부분(11)의 "날개형" 형태는 외단부(23) 근처에 손잡이 면을 제공한다. 이 손잡이 영역은 커버(12)의 삽입 수단(14)을 만지지 않고 연결 커버(12)를 개폐시킬 수 있어 시약의 오염을 최소화시킨다. 각 삽입 수단(14)과 연결 커버(12)는 유연한 플라스틱으로 형성된다. 삽입 수단(14)이 약병의 목(32)에 의해 형성된 약병(30)의 개구로 삽입될 때, 유연하게 형성된 삽입 수단(14)은 약병(30)의 개구에 고정된다. 제3도에서, 삽입 수단(14)이 약병(30)안으로 압착 고정되는 것은 삽입 수단(14)의 돌출 부분 또는 리브(16)에 의해 이루어진다. 삽입 수단(14)에 의해 제공되는 유체 차단 밀봉은 다른 시약, 표본 또는 환경등에 의한 시약의 오염을 방지한다.
양호한 실시예에 있어서, 삽입 수단(14)은 약병이 시약통(40)에 장착될 때 약병(30)을 일렬로 수용하기 위해 제1부분(11)의 제1표면(13)을 따라 일렬로 배치되었다. 여러가지 시약통 형태를 수용할 수 있도록 다른 형태가 사용될 수도 있다. 삽입 수단(14)은 각 약병(30)의 목 부분에 대응하는 부분에서 유연한 연결커버(12)의 제1표면(13)을 따라 형성된다. 리브(33) 또는 조인트는 커버(12)를 더욱 유연하게 굴곡시킬수 있게 각 삽입 수단(14)의 중간 부분에서 커버(12)에 양호하게 형성된다.
삽입 수단(14)과 함께, 유연한 연결 커버(12)도 각각 시약통(40)안의 약병(30)에 끼워지는 일련의 개구(24)를 포함한다. 제2도에서 보듯이, 개구(24)는 제2부분(21)을 따라 정렬하였다. 각 개구(24)는 개구로부터 커버(12)안으로 방사상으로 잘려져 연장하는 복수의 눈금(22)을 갖는다. 방사상의 눈금(22)은 플랜지나 그위에 형성된 나사 결합부를 포함하는 각 약병의 목 상부 및 주변에 개구가 고정되도록 가요성을 제공한다. 또한 눈금(22)은 적소에 있는 개구(24)가 약병(30)의 목(32)을 감싸고 그 위치에 견고하게 유지되도록 한다. 약병 밀봉기(10)의 제2부분(21)상의 개구(24)는 제1부분(11)의 제1표면(13)상의 삽입 수단(14)이 약병(30)내 개구로부터 분리될 때도 약병(30)의 목(32)에 부착된 상태로 유지된다. 따라서, 약병 밀봉기(10)는 일단 시약통의 약병(30)상에 장착되면, 약병(30) 빌때까지 시약통(40)고 함께 단일 유닛으로 부착되어 있는다. 양호한 실시예의 약병 밀봉기는 약병(30)이 비었을 때 교체할 수 있도록 분리 가능하다.
또한 약병 밀봉기(10)는 삽입 수단(14)이 약병(30)으로부터 분리될 때 이를 약병에 근접하여 견고하게 위치시키기 위한 수단을 삽입 수단(14)과 대항하는 제2표면(26)상에 구비한다. 양호한 실시예에서의 위치 수단은 결합을 견고하게 하는 협력 샤프트와 수용 샤프트를 구비한다. 제3도에서 보듯이, 샤프트는 일반적으로 구형 단부(19)를 갖는 기둥(18)이다. 기둥(18)과 구형 단부(19)는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부분상의 제일 끝에 있는 삽입 수단(14)과 제2부분(21)상의 제일 앞에 있는 개구(24)사이에 위치한 구멍(20)에 대응된다. 구형 단부(19)가 구멍(20)과 정렬하여 고정되는 방식으로 연결커버(12)가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혀진다. 구형 단부(19)가 구멍(20)에 삽입될 때, 약병 밀봉기는 삽입 수단(14)이 시약통(40)의 약병(30)에 인접하여 유지되는 위치에서 있고, 삽입 수단(14)이 약병(30)의 목(32)에서 떨어져 있어 임상 분석자가 여기에 보유된 시약을 꺼내고자 할 때 방해를 받지 않게 된다. 이 특징은 약병 밀봉기(10)를 항시 시약통(40)안의 일련의 약병(30)과 함께 단일 유닛으로 유지하도록 한다.
구멍(20)은 개구(24)와 연관된 눈금과 유사한 방사상 눈금(22)을 구비한다. 이 눈금(22)은 기둥(18)의 구형 단부(19)가 구멍(20)을 통해 용이하게 삽입되게 해준다. 일단, 기둥(18)의 구형 단부(19)가 구멍(20)을 통해 삽입되면 방사상 눈금(22)은 구형 단부(19)를 제위치에 유지하도록 해준다.
비록 시약통(40)과 함께 사용하도록 약병 밀봉기(10)의 특정 형태가 기술되고 설명되었지만 약병 밀봉기(10)는 또 다른 형태의 시약통과 함께 사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약통(40)은 3개의 약병(30)을 구비하였지만, 4개의 약병을 구비할 수도 있다.
다른 양호한 실시예에 있어서({도시되지 않았음), 제1표면(13)은 커버(12)의 삽입 수단(14)이 약병(30)과 결합할 때, 각 시약 함유 약병(30)의 목(32)에 고정된 각 삽입 수단(14)을 둘러싸는 돌출링인 오염 방지 수단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 추가적인 방지링은 오염을 최소화시키도록 작용한다.
본 발명이 본 양호한 실시예와 연관하여 기술되었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사용되는 구조, 장치, 부분, 부재, 재료, 구성 부품등은 본 발명의 영역 및 정신을 벗어나지 않고 변화 및 수정할 수 있다는 것은 본 기술에 숙련된 자에게는 자명한 사실이다. 전술한 사항은 제한적이기 보다는 예시적고, 발명의 영역은 청구 범위만을 한정한다.

Claims (10)

  1. 복수의 약병(30)에 대응하여 제거가능하게 밀봉을 하기 위한 복수의 십입 수단(14)을 구비하고, 상기 삽입 수단(14)은 유연한 연결 커버(12)에 의해 단일 유닛으로서 부착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병 밀봉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연한 연결 커버(12)는 제1부분(21)을 포함하고, 상기 제1부분(11)을 제1표면(13)을 따르는 약병 삽입 수단(14)을 포함하며, 상기 제1부분(11)은 내단부(17)와 외단부(23)를 구비하고, 상기 내단부(17)에서 상기 외단부(23)로 갈수록 넓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병 밀봉기.
  3. 복수의 약병(30)을 밀봉하기 위하여 유연한 연결 커버(12)의 제1표면(13)상에 형성된 복수의 약병 삽입 수단(14)과, 상기 삽입 수단(14)으로 밀봉을 하기 위해 복수의 약병(30)에 상기 연결 커버(12)를 부착시키는 상기 커버(12)에 형성된 복수개의 개구(24)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병 밀봉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수단(14)이 상기 약병(30)에서 분리될 때 이를 상기 약병에 근접하여 견고하게 위치시키기 위한 기둥(18)과 구멍(2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병 밀봉기.
  5. 제4항에 있어서, 그 제1부분(11)에는 약병 삽입 수단(14)이 형성되고 그 제2부분(21)에는 개구(24)가 위치하는 연결 커버가 제1 및 제2표면(13,26)을 포함하고, 상기 삽입 수단(14)은 상기 제1표면(13)으로부터 돌출하여, 상기 구멍(20)은 상기 제1 및 제2부분(11,12)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1부분(11)의 제2표면(26)을 따라 위치하고 이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기둥(18)을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병 밀봉기.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연한 연결 커버(12)상의 약병 삽입 수단(14)은 3개이고, 상기 커버(12)는 3개의 개구(2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병 밀봉기.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연한 연결 커버(12)상의 약병 삽입 수단(14)은 4개이고, 상기 커버(12)는 4개의 개구(2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병 밀봉기.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연한 연결 커버(12)는 쉽게 구부릴 수 있도록 상기 삽입 수단(14)사이에 리브(33)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병 밀봉기.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표면(13)은 상기 각 약병 삽입 수단(14)에 인접한 밀폐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병 밀봉기.
  10. 원통형 하부(15)와 상기 원통형 하부(15)의 단부 근처에 모울드된 리브(16)을 가지며, 얇고 유연한 연결 커버(12)에 의해 일렬로 연결되는 복수개의 삽입 수단(14)을 구비하고, 상기 연결 커버(12)는 밀봉을 하기 위해 상기 삽입 수단(14)이 삽입되는 약병 개구를 포함하는 시약통(40)에 대응하고, 상기 약병(30)에서 떨어진 위치에 상기 삽입 수단을 유지시키기 위해 상기 삽입 수단(14)과 함께 일렬로 위치한 장착 수단을 구비히고, 상기 장착 수단은 상기 삽입 수단(14)이 약병으로부터 제거되고 상기 유연한 연결 커버(12)가 접혀진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해, 구형 단부(19) 및 기둥(18)과 이 구형 단부(19)를 수용 및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유연한 연결 커버에 형성되는 대응 구멍(20)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 커버(12)에는 상기 삽입 수단(14)의 수효에 대응하는 수효의 개구(24)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개구(24)는 상기 삽입 수단에 의한 밀봉 여부에 관계없이 상기 약병(30)과 함께 상기 약병 밀봉기(10)를 유지하기 위해 상기 시약통 안의 상기 약병(30)의 목 상부 및 주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병 밀봉기.
KR1019880005299A 1987-05-08 1988-05-07 약병 밀봉기 KR9100075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4783187A 1987-05-08 1987-05-08
US047831 1987-05-08
US047,831 1987-05-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3813A KR880013813A (ko) 1988-12-21
KR910007520B1 true KR910007520B1 (ko) 1991-09-27

Family

ID=219512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05299A KR910007520B1 (ko) 1987-05-08 1988-05-07 약병 밀봉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EP (1) EP0290019B1 (ko)
JP (1) JP2561700B2 (ko)
KR (1) KR910007520B1 (ko)
AT (1) ATE74095T1 (ko)
AU (2) AU1562488A (ko)
CA (1) CA1314022C (ko)
DE (1) DE3869460D1 (ko)
ES (1) ES2031173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130517C (en) * 1993-09-10 1999-10-05 Walter Fassbind Array of reaction containers for an apparatus for automatic performance of temperature cycles
DE4425277A1 (de) 1994-07-16 1996-01-18 Boehringer Mannheim Gmbh Verpackungssystem für Flüssigreagenzien
NL1012996C2 (nl) 1999-09-08 2001-03-12 Micronic B V Afsluitmat voor het afsluiten van reageerbuizen.
GB2365414A (en) * 2000-07-31 2002-02-20 Cambridge Life Sciences Storage devices for fluids
DE102006001882A1 (de) * 2006-01-13 2007-07-19 Roche Diagnostics Gmbh Zu einem Verbund zusammengefasste Gruppe von Reagenzienträgern
EP2446966B1 (en) * 2009-06-25 2014-01-29 Shinichiro Kakuda Lid array and microtube array set including sam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431190A1 (fr) * 1978-07-11 1980-02-08 Electro Chimie Soc D Dispositif collecteur de gaz s'echappant d'un accumulateur
US4338383A (en) * 1978-08-21 1982-07-06 Richardson Chemical Company Container for a maintenance-free battery
JPS6093268U (ja) * 1983-12-02 1985-06-25 長澤 宏幸 バツテリ−用電解液の容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290019A2 (en) 1988-11-09
JP2561700B2 (ja) 1996-12-11
AU1562488A (en) 1988-11-10
ATE74095T1 (de) 1992-04-15
EP0290019B1 (en) 1992-03-25
KR880013813A (ko) 1988-12-21
AU7814291A (en) 1991-08-29
CA1314022C (en) 1993-03-02
DE3869460D1 (de) 1992-04-30
EP0290019A3 (en) 1989-10-25
JPS63307070A (ja) 1988-12-14
ES2031173T3 (es) 1992-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05721A (en) Vial seal
EP0173811B1 (en) Biological specimen collection device
JP4850977B2 (ja) 採集アセンブリ
US3419179A (en) Captive cap specimen vial
US7854896B2 (en) Closed system storage plates
US4830217A (en) Body fluid sample collection tube assembly
JP5199418B2 (ja) 採集アッセンブリ
EP0820812B1 (en) A specimen collection assembly
EP3320974B1 (en) Specimen collection container assembly
KR100944919B1 (ko) 시약 용기를 자동 개방하기 위한 시스템
JPH06509253A (ja) 診断に役立つテストの試薬パック用再使用可能な封止
US5370252A (en) Cap
US4942966A (en) Containment device for a test tube
JPH0588427B2 (ko)
US5160329A (en) Biological fluid specimen collection bag
US4932081A (en) Sputum cup
US4960219A (en) Snap cap
KR910007520B1 (ko) 약병 밀봉기
US7371355B2 (en) Reagent vessel cap and method for shielding reagent from the air
WO2021209755A1 (en) A cap for a pathogen sample tube
CA2245031C (en) Collection container assembly
WO1989002399A1 (en) Cap
CA2037551A1 (en) Vial seal
AU631583B2 (en) Cap
CA2042553A1 (en) Ca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5070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