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7248Y1 - 비데오 테이프 레코더의 릴테이블 가변구동장치 - Google Patents

비데오 테이프 레코더의 릴테이블 가변구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7248Y1
KR910007248Y1 KR2019860022131U KR860022131U KR910007248Y1 KR 910007248 Y1 KR910007248 Y1 KR 910007248Y1 KR 2019860022131 U KR2019860022131 U KR 2019860022131U KR 860022131 U KR860022131 U KR 860022131U KR 910007248 Y1 KR910007248 Y1 KR 91000724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el
pulley
central boss
spring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6002213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13333U (ko
Inventor
최계철
Original Assignee
대우전자 주식회사
김용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전자 주식회사, 김용원 filed Critical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60022131U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7248Y1/ko
Publication of KR88001333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1333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724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7248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11B15/26Driving record carriers by member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thereon
    • G11B15/32Driving record carriers by member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thereon through the reels or cores on to which the record carrier is wound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11B15/46Controlling, regulating, or indicating speed
    • G11B15/50Controlling, regulating, or indicating speed by mechanical linkage, e.g. clutch

Landscapes

  • Mechanical Operated Clutch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비데오 테이프 레코더의 릴테이블 가변구동장치
제1도는 본 고안장치의 분리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장치의 조립 상태를 도시한 분리단면도.
제3도는 a,b는 본 장치의 조립된 상태의 단면도로서 플레이 모드시와 FF/REW 모드시의 작용도.
제4도는 종래의 단면도.
제5도는 종래의 조립 상태를 도시한 분리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8 : 프레싱 휘일 9 : 릴풀리
10 : 캡 11,11' : 휄트
12,15 : 스프링 13,14 : 클러치 휘일
본 고안은 비데오 테이프 레코더에 있어서, 서플라이 릴 테이블과 테이크 엎 릴 테이블을 각 모드에 따라 가변 구동 시키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 상세히는, 벨트 드라이브식 릴테이블 구동장치에서 각 모드 이를테면 플레이(PLAY)모드시와(Fast Forward)/REW(Rewind) 모드 등에 따라서 좌우 수평 이동하는 콘넥트 플레이트의 드라이브 캠에 의해 상하 수직 운동으로 변환되는 프레싱 휘일의 클러치 작용으로 드라이브 풀리의 동력을 받아 릴테이블을 적절하게 구동시키는 릴 풀리 어셈블리의 구성 개량에 관한 고안이다.
일반적으로 릴테이블 구동 방식은 릴 모터의 동력을 직접 이용하는 모터 구동 방식과 비데오 테이프의 주행을 위한 기존 캡스턴 모터의 동력을 벨트와 벨트풀리를 써서 전달하는 벨트 드라이브 방식이 있느데, 값비싼 릴모터를 별도로 사용하기 보다는 기존 캡스턴 모터의 동력을 이용하는 것이 경제적인 측면에서 볼때 바람직한 것이다.
한편 릴 테이블을 구동시킴에 있어서는 각 모드에 따라 테이프가 정상속도, 고속 혹은 저속으로 주행할때 테이프의 풀림속도와 감김속도에 다소 차이가 발생하고, 테이프의 인장력 등을 고려하여 각 모드에 맞는 토오크로 구동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동력을 전달하는 부품에 슬립작용을 부여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들 부품의 설계가 어렵고 구성이 복잡해지는 관계로 또다시 새로운 문제 즉, 조립 작업성의 문제가 지적되고 있다.
종래의 실시예를 들어 그 문제점을 지적한다면, 본원 출원인이 선출원한 바 있는 제4,5도와 같이 캡스턴 모터(도시생략)의 동력이 전달되는 릴드라이브 풀리(21)의 동력을 받아 릴테이블(도시생략)을 가변구동하는 릴풀리 어셈블리는 릴풀리(22), 원판클런치(23), 클러치 휘일(24) 및 스프링(25)으로 구성되어 모드 변환에 따라 콘넥트 프레이트(26)의 캠(27)과 캠플레이트(28)의 작용으로 클러치 휘일(24)이 승강되고, 이에 의해 릴풀리(22)는 직접구동 또는 슬립구동으로 가변구동 되는 것으로서 이는 제5도와 같이 릴풀리어셈블리 부품들이 각기 개별적으로 떨어져 있기 때문에 이들을 조립하는 작업이 매우 번거러워 결국 생산성이 떨어지는 원인이 되었던 것이다. 그 밖에도 캠과 캠플레이트의 작용으로 승강되는 클러치 휘일에는 비교적 강한 탄성을 갖는 스프링의 압력이 하향으로 직접가해지고, 이 힘은 곧바로 캠플레이트를 강하게 누루고 있기 때문에 캠 작용 및 클러치 휘일의 승강 작용에 무리한 힘이 가해져야 함은 물론 오동작이 많은 결점도 있던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생산성 저하의 원인을 해결하고, 동작이 원할한 가변 구동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는 것으로, 특히 릴풀리 어셈블리의 부품들이 개별적으로 분리되었던 것을 개량하여 한 집합체의 덩어리로 가조립 되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조립 또는 분해 작업시 취급에 간편하도록 하고, 강한 탄성을 지닌 스프링의 압력이 클러치 휘일에 가해지지 않도록 하여 이의 캠작용이 원활하도록 하는데 주안점을 둔 것으로 본 고안의 구성과 작용효과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제1도는 본 고안 장치를 분리한 사시도로서, 메인베이스(1)위에 릴드라이브 브라켓(2)이 고정되어 있고, 아래의 콘넥트 플레이트(3)에 고정된 캠(4)에는 캠플레이트(5)가 얹혀 있으며, 그 중심으로 관통되어 있는 포스트(6) 하단부에는 릴드라이브 풀리(7)의 중앙보스(7')가 삽입되어 있는 통상의 릴테이블 가변 구동장치에 있어서, 캠플레이트(5) 위로 돌출되어 있는 릴드라브 풀리(7)의 중앙보스(7')에 드럼형 프레싱 휘일(8)의 중앙보스(8')가 맞물려서 승강되도록 결합되고, 그 상부에는 릴풀리(9)의 중앙보스(9')하단부 주위로 캡(10)의 중앙보스(10')가 강제로 끼워져 고정되며, 릴풀리(9)의 밑면과 캡(10)의 윗면에 접착된 휄트(11,11')에는 비교적 강한 탄성을 지닌 스프링(12)으로 탄지된 상태로 개재된 상하 클러치 휘일(13,14)이 각각 하부 클러치 휘일(14)이 밑면둘레와 상기 프레싱 휘일(8) 내면에는 비교적 약한 탄성을 지닌 스프링(15)을 개재하되, 프세싱 휘일(8) 상단에 돌출된 4개의 돌기(16)는 상하 클러치 휘일(13, 14) 둘레에 마련된 홈(13', 14')에 삽입되어 있으면서 상측의 릴풀리(9) 둘레에 돌출된 3개의 걸림돌기(17)를 사이에 자유롭게 출입되게한 것으로 상기 본 고안 장치 구성에서 특징적인 요소는 릴풀리(9)와 캡(10)이 이들의 중앙보스(9', 10')로 강제 끼워 맞춤하는 식으로 결합되어 쉽게 분리되지 않는다는 데 있으며, 따라서 슬립구동을 위해 강한 스프링(12)으로 탄지된 상하 클러치 휘일(13, 14)이 함께 개재되어 릴풀리 어셈블리(A)가 독립적으로 결합되어 지는 것이다. 여기서 압축되어 있는 스프링(12)의 탄성이 릴풀리(9)와 캡(10)의 결합상태를 물리치려는 작용을 하겠지만 그를 보스(9', 10')의 결합력을 스프링(12)이 물리치려는 힘보다 강하게 할수 있어 자연 분리될 염려는 없을 것이다.
제2도는 상기와 같은 본 고안 장치를 도립하는 상태를 나타낸 부리 단면도로서 릴풀리 어셈블리(A)가 독립되어 있는 상태를 명시해 줄 것이다. 즉, 메인베이스(1) 위에 릴드라이브 브라켓(2)이 고정되고, 이의 중앙에 고정설치된 포스트(6) 아래에서 상기와 같이 결합되어 있는 릴풀리 어셈블리(A)를 그 중앙구멍(부호생략)을 통하여 포스트(6)에 끼운뒤에 콘넥트플레이트(3)의 캠(4)에 캠플레이트(5)를 얹고, 여기에 드럼형 프레싱휘일(8)과 스프링(15)을 올려 놓은 상태에서 콘넥트 플레이트(3)를 설치하여 끝으로 릴드라이브 풀리(7)를 조립하면 된다. 이와같이 본 고안 장치를 조립함에 있어서는 릴어셈블리(A)가 따로 임시 결합되므로 이를 각부품들을 개별적으로 조립하는 번거러움이 제거된다. 릴어셈블리(A)의 조립은 릴풀리(9) 밑면에 붙은 휄트(11)에 상부 클러치 휘일(13)을 밀접시키고, 또 캡(10)의 휄트(11')에 하부 클러치 휘일(14)을 얹어 놓은 상태에서 이들을 스프링(12) 양단에 맞대어 압압하면, 릴풀리(9)와 캡(10)의 중앙보스(9',10')가 억지로 끼워지면서 결합되므로 이의 작업은 제한된 협소한 장소가 아닌 임의의 넓은 공간에서 할 수 있어 쉽게 작업할 수 있는 것이다.
다음에 상기와 같이 조립되는 본 고안 장치의 작용은 제3도를 보면서 설명하고자 한다. 제3도 가는 본 고인 장치가 플레이 모드시의 상태를 말해준다. 이 상태를 캠플레이트(5)가 캠(4)의 낮은면(부호생략)에 위치되어 하강되어 있는 상태로서 프레임 휘일(8)의 돌기(16)들이 상하 클러치 휘일(13, 14)의 홈(13', 14') 들에만 삽입되어 있다. 따라서 릴 드리이브풀리(7)의 동력은 프레싱 휘일(8)과 상하 클러치 휘일(13, 14)에 직접전달되고, 릴풀리(9)는 스프링(12)의 탄성으로 주어진 상하 클러치 휘일(13, 14)에 편집된 휄트(11, 11') 사이의 마찰력으로 구동되어 도시되지 않은 릴테이블을 구동시키게 된다. 만일 테이프 주행중에 규정 이상의 과부하가 걸리면 상하 클러치 휘일(13, 14)과 휄트(11, 11')사이에는 미끄럼이 발생하여 이른바 슬립작용을 하므로 안전하게 구동시키는 것이다. 한편 FF/REW모드로 변환시키면 테이프는 빠른 속도로 감기거나 되감겨야 하기 때문에 이때의 릴테이블 구동은 토오크를 요하는 것이다. 이 경우는 제3도 나와 같이 콘넥트 플레이트(3)가 소정거리 만큼 전진하여 캠플레이트(5)가 캠(4)의 높은면으로 상승하고, 따라서 프레임 휘일(8)로 상승하여 그 돌기(16)들은 릴풀리(9)둘레에 돌출된 걸림돌기(17)들 사이로 삽입된다. 그러므로 릴풀리(9)는 릴드라이브 풀리(7)의 동력을 받아 직접적으로 릴테이블을 구성시키므로 이 모드시의 릴테이블은 비교적 큰 토오크를 가지고 회전하는 것이다.
이후 다시 플레모드로 변화되면 콘넥트 플레이트(3)가 본래의 위치로 후진하여 제3도 a와 같이 복원된다.
이때 프레싱휘일(8)은 자중에 의해 자연 낙하할 수도 있으나 부드럽게 탄성작용하는 스프링(15)에 의해 오동닥 없이 확실하게 하강된다. 이렇게 캠작용에 의해 승강되는 프레싱 휘일(8)은 부드럽게 작용하는 스프링(15)외에는 아무런 큰 압력이 가해지지 않으므로 원활하게 작용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 장치에 의하면 독립적으로 결합된 릴풀리 어셈블리의 취급이 간편하므로 조립 작업에 편리를 기하게 되며 기능면에서도 원활하게 동작되므로 오동작 발생률이 감소되는 동 제품의 신뢰도가 높아지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2)

  1. 메인베이스(1)위에 릴드라이브 브라켓(2)이 고정되어 있고, 아래의 콘넥트 플레이트(3)에 고정된 캠(4)에는 캠플레이트(5)가 얹혀 있으며, 그 중심으로 관통되어 있는 포스트(6) 하단부에 릴드라이브 풀리(7)의 중앙보스(7')가 삽입되어 있는 통상의 릴레이블 가변구동 장치에 있어서, 캠블레이트(5) 위로 돌출되어 있는 릴드라이블 풀리(7)의 중앙보스(7')에 드럼형 프레싱 휘일(8)의 중앙보스(8')가 맞물려서 승강되도록 결합되고, 그 상부에는 릴풀리(9)의 중앙보스(9') 하단부 주위로 캡(10)의 중앙보스(10')가 강제로 끼워져 고정되며, 릴풀리(9)의 밑면과 캡(10)의 윗면에 접착된 휄트(11,11')에는 비교적 강한 탄성을 지닌 스프링(12)으로 탄지된 상태로 개재된 상하 클러치 휘일(13, 14)이 각각 마찰되고 하부 클러치 휘일(14)의 밑면 둘레와 상기 프레임 휘일(8) 내면에 비교적 약한 탄성을 지닌 스프링(15)을 개재하되, 프레싱 휘일(8) 상단에 돌출된 4개의 돌기(16)는 상하 클러치 휘일(13, 14) 둘레에 마련된 홈(13', 14')에 삽입되어 있으면서 상측의 릴풀리(9) 둘레에 돌출된 3개의 걸림돌기(17)들 사이로 자유롭게 출입됨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오 테이프 레코더의 릴테이블 가변구동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릴풀리(9)의 중앙보스(9') 하단부 주위의 캡(10)의 중앙보스(10')가 억지로 결합 고정되어 상하 클러치(13, 14) 및 스프링(12)이 함께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오 테이프 레코더의 릴테이블 가변구동 장치.
KR2019860022131U 1986-12-31 1986-12-31 비데오 테이프 레코더의 릴테이블 가변구동장치 KR91000724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22131U KR910007248Y1 (ko) 1986-12-31 1986-12-31 비데오 테이프 레코더의 릴테이블 가변구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22131U KR910007248Y1 (ko) 1986-12-31 1986-12-31 비데오 테이프 레코더의 릴테이블 가변구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3333U KR880013333U (ko) 1988-08-30
KR910007248Y1 true KR910007248Y1 (ko) 1991-09-25

Family

ID=192587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60022131U KR910007248Y1 (ko) 1986-12-31 1986-12-31 비데오 테이프 레코더의 릴테이블 가변구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724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34990B1 (ko) * 1997-09-26 2000-01-15 박세만 석탄재를 이용한 건자재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437871B1 (ko) * 2002-02-22 2004-06-30 주식회사 씨쓰리 산업폐기물을 이용한 시멘트 혼합재 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34990B1 (ko) * 1997-09-26 2000-01-15 박세만 석탄재를 이용한 건자재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437871B1 (ko) * 2002-02-22 2004-06-30 주식회사 씨쓰리 산업폐기물을 이용한 시멘트 혼합재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3333U (ko) 1988-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92994A (en) Video tape recorder
KR910007248Y1 (ko) 비데오 테이프 레코더의 릴테이블 가변구동장치
JPH01159858A (ja) キャップスタンモーターを利用したビデオテープレコーダーのカセットローディング装置
JP2583737Y2 (ja) Vcrのキャプスタンフライホイールの回転力伝動装置
WO2022188225A1 (zh) 一种具有墨水屏的无源智能锁
JPH0337150Y2 (ko)
KR940001206Y1 (ko) Vtr의 아이들러 클러치 슬립 유발장치
US5136442A (en) Cassette loading device of a tape player utilizing power from capstan motor
JPH089784Y2 (ja) ベルトテンションクラッチの操作レバー保持装置
US4522140A (en) Clutch for sewing machine thread winding mechanism
JPS61131266A (ja) テ−プロ−デイング装置
KR880001386B1 (ko) 비디오 테이프 레코오더의 모드 변환 장치
KR900000498Y1 (ko) 비데오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의 리일 구동장치
KR940001127Y1 (ko) 브이씨알의 클러치 장치
KR0165260B1 (ko) 릴구동장치
JPS6134593Y2 (ko)
KR0170948B1 (ko) 테이프 레코더의 릴 구동장치
SU1693633A1 (ru) Реверсивный лентопрот жный механизм
KR890006623Y1 (ko) 디지탈 오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로우딩장치
JPH0210595Y2 (ko)
KR910004219Y1 (ko) 브이씨알 및 디에이티의 릴테이블 및 브레이크 구동장치
KR940005805Y1 (ko) 브이씨알의 권취릴 구동장치
KR860000596Y1 (ko)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VTR)의 릴 디스크(Reel Disc)구동장치
JPH01174732U (ko)
GB1590302A (en) Rotational speed changeover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83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