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7234B1 - 공구자동 교환장치 - Google Patents

공구자동 교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7234B1
KR910007234B1 KR1019870009964A KR870009964A KR910007234B1 KR 910007234 B1 KR910007234 B1 KR 910007234B1 KR 1019870009964 A KR1019870009964 A KR 1019870009964A KR 870009964 A KR870009964 A KR 870009964A KR 910007234 B1 KR910007234 B1 KR 9100072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
shaft
exchange
main shaft
grindst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099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3700A (ko
Inventor
아끼쯔구 야마모또
요시노리 아베
Original Assignee
마쓰다 가부시끼가이샤
야마모또 겐이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쓰다 가부시끼가이샤, 야마모또 겐이찌 filed Critical 마쓰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800037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37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72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72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155Arrangements for automatic insertion or removal of tools, e.g. combined with manual handling
    • B23Q3/157Arrangements for automatic insertion or removal of tools, e.g. combined with manual handling of rotary to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stituent Portions Of Griding Lathes, Driving, Sensing And Control (AREA)
  • Automatic Tool Replacement In Machine Tools (AREA)
  • Gripping On Spindl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공구자동 교환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관한 공구자동 교환장치의 일실시예를 공작기계로서의 숫돌장치와 함께 표시하는 정면도.
제2도는 제1도의 공구자동 교환장치 및 숫돌장치를 표시하는 측면도.
제3도는 공구자동 교환장치의 교환기구를 교환아암조체 및 퀄아암조체가 함께 주축에서 사이를 두고 떨어진 상태에서 꺼내서 표시하는 측단면도.
제4도는 퀄아암 조체의 걸림부를 꺼내서 표시하는 정면도.
제5도는 콜릿착크를 숫돌이 고착된 상태에서 표시하는 사시도.
제6도는 콜릿착크의 구성의 일부를 파단하여 표시하는 축부분 단면도.
제7도는 교환기구를 교환아암 조체만이 주축에서 사이를 두고 떨어진 상태에서 표시하는 측단면도.
제8도는 교환기구를 교환아암 조체가 콜릿착크에 부착된 숫돌에 걸어맞춰지고, 퀄아암 조체가 콜릿착크에 걸어맞춰진 상태에서 표시하는 측단면도.
제9도는 교환아암 조체의 파지부의 구성을 일부단면을 따서 표시하는 배면도.
제10도는 마가진 기구의 구성의 일부단면을 따서 표시하는 측부분 단면도.
제11도는 숫돌장치의 구성을 제1의 스플라인축과 제1의 보스가 사이를 두고 떨어진 상태에서 표시하는 측단면도.
제12도는 숫돌장치의 구성을 제1의 스플라인 축과 제1의 보스가 서로 걸어맞춰진 상태에서 표시하는 측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숫돌장치 12 : 숫돌자동 교환장치
14 : 테이블 16 : 교환기구
18 : 마가진 기구 20 : 숫돌
20a : 축부 20b : 숫돌본체
22 : 주축 24 : 지지대
26 : 슬라이드대 28 : 교환아암조체
30 : 퀄아암조체(guillarm) 32 : 베어링
34 : 퀄아암축 36 : 퀄아암본체
38 : 걸림부 40 : 원추공
42 : 위치결정핀 44 : 투공
46 : 콜릿착크 48 : 나사링
48a : 안쪽플렌지 50 : 고정링
52 : 스플릿링 54 : 베어링
56 : 교환아암축 58 : 교환아암 본체
60 : 손잡이부 62 : 요동기구
64 : 랙 66 : 피니온
68 : 교환아암 이동기구 70 : 실린더
72 : 피스톤로드 74 : 피스톤
76a, 76b : 유압포오트 78 : 클런치기구
80 : 걸어맞춤편 82 : 걸림편
84 : 슬라이드대 이동기구 86 : 실린더
88 : 피스톤 90 : 피스톤로드
92a, 92b : 유압포오트 94 : 손잡이부 본체
96a, 96b : 떠받침대 98 : 안장코일 스프링
100 : 유압실린더 장치 102 : 실린더
104 : 피스톤 106 : 피스톤로드
108a, 108b : 유압포오트 110 : 구동모우터
112 : 전달치차기구 114 : 회전축
116 : 마가진 본체 118 : 투공
120 : 측공 122 : 걸림보올
124 : 코일스프링 126 : 캡
128 : 하우징 130 : 전동모우터
132 : 제1의 스플라인 축 134 : 결합축
136 : 제1의 보스 138 : 유압실린더 장치
140 : 실린더 142 : 피스톤
144a, 144b : 유압포오트 146 : 제2의 보스
148 : 유압모우터 150 : 구동축
152 : 제2의 스플라인 축 154 : 주축회전기구
156 : 슈우트
본 발명은 숫돌등의 마모성의 공구를 사용한계 이상으로 마모하였을 경우에 교환하거나 대상의 종류에 따라서 여러가지 종류를 준비한 공구중에서 한가지를 선택하여 사용하기 위하여 교환할 수가 있는 공구자동 교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삭가공에 있어서는 숫돌등의 마모성의 공구가 사용한계 이상으로 마모하였을 경우에는 그 숫돌을 다른 신품인 숫돌과 교환하지 않으면 안된다. 그 때문에 예컨대 특공소 47-25622호 공보에 표시되는 숫돌교환장치가 숫돌의 자동교환을 위하여 제안되어 있다.
상기 공보에서는 소정의 연삭가공을 종료한 연삭숫돌을 숫돌반송장치로 연삭장치에서 이탈시켜서 쥐고, 그 연삭숫돌을 숫돌보관장치로 반송하여 거기에 보관하는 동시에 그 다음에 사용해야 할 연삭숫돌을 숫돌반송 장치에 의하여 숫돌보관장치에서 이탈시켜서 잡고, 그 연삭숫돌을 연삭장치로 반송하여 장착시키도록한 숫돌교환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숫돌교환장치에 의하여 숫돌교환이 신속하게 그리고 쉽게 실시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술 공보에 기재된 종래의 숫돌교환장치에 있어서는 숫돌캬리어에 숫돌슬리이브의 계지부와 조임나사에 끼워맞춰지는 구멍을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숫돌캬리어의 구성 및 그 동작제어가 곤란하여지고, 전체의 구성이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고, 본 발명의 목적은 간이한 구성으로 확실하게 공구의 교환을 실시할 수가 있는 공구자동 교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관한 공구자동 교환장치는 복수의 공구를 착탈자재로 보호유지하는 마가진과 나사링에 의하여 조여져서 공구가 고착되는 콜릿착크를 선단에 가진 공작기계의 주축과 요동가능하게 그리고 축 방향을 연하여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술한 나사링에 걸어맞춤으로서 나사링의 회전을 저지하는 퀄아암과 상기 퀄아암에 의하여 나사링의 회전을 저지한 상태에서 상술한 주축을 회전시킴으로서, 주축과 나사링과의 사이에 상대 회전을 발생시키고, 콜릿착크를 조이거나 늦춰주는 주축회전 기구와 전술한 주축과 마가진과의 사이에서 요동가능하게 그리고 축방향을 연하여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마가진에 보호유지된 공구중의 하나를 꺼내서 주축의 선단에 부착하기 위한 교환아암과 전술한 퀄아암과 교환아암과를 요동시키는 요동기구와 전술한 퀄아암과 교환아암과를 축방향을 연하여 이동시키는 이동기구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와같은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같이 구성함으로서 공구를 사용하는 가공중에 있어서는 교환아암 및 퀄아암은 공히 마가진에 대향하는 대기위치에 보호유지되고, 교환동작의 개시에 따라서 교환아암 및 퀄아암은 함께 공작기구의 주축에 대향하는 위치까지 요동하고, 퀄아암은 축방향을 연하여 이동하여 주축의 선단에 설치된 콜릿착크의 나사링에 걸어맞춰서 나사링의 회전을 저지하는 동시에 교환아암은 마찬가지로 축방향을 연하여 이동하여 콜릿착크를 개재하여 주축의 선단에 고착된 공구를 쥐고, 주축이 회전함으로서 나사링은 콜릿착크에 의한 공구의 조임을 해제하고, 교환아암은 축방향을 연하여 원위치로 돌아가도록 이동하여 자유롭게된 공구를 주축에서 떼내고, 마가진까지 요동하여 사용이 끝난 공구를 마가진에 수납한다.
여기서 퀄아암은 나사링을 고정한 상태이다. 그후에 교환아암은 마가진에서 새로운 공구를 꺼내고, 다시 주축까지 요동하여 상기 공구를 주축의 콜릿착크에 장진하고, 주축이 전번과는 반대 방향으로 장진됨으로서 공구는 콜릿착크를 개재하여 주축의 선단에 고착된다. 그리고 교환아암 및 퀄아암은 함께 대기 위치까지 요동하여 일련의 교환동작을 완료한다.
다음은 실시예에 의한 설명으로서 아래에 본 발명에 관한 공구자동 교환장치의 일실시예를 숫돌자동 교환장치에 적용한 경우에 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고져 한다
제1도 및 제2도에 표시한는 바와같이 공작기계로서의 숫돌장치(10)의 윗쪽에는 이 실시예의 숫돌자동 교환장치(12)가 배설되어 있다.
상기 숫돌자동 교환장치(12)는 숫돌장치(10)를 타 넘듯이 설치된 테이블(14)와 상기테이블(14)위에 병열로 배설되어 있었던 교환기구(16) 및 마가진기구(18)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교환기구(16)는 숫돌장치(10)의 바로 윗쪽에 위치하도록 배설되어 있다. 교환기구(16)은 후술하는 숫돌장치(10)에서 사용이 끝난 숫돌(20)을 떼어내고 이것을 폐기하는 동시에 후술하는 마가진기구(18)에 많이 보호유지된 새로운 숫돌(20)을 꺼내서 숫돌장치(10)의 주축(22)에 부착하기 위한 기구이다.
상기 교환기구(16)는 제3도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테이블(14)위에 고정된 지지대(24)와 상기 지지대(24)위에서 그 축방향(도에서는 좌우방향)을 연하여 접동자재로 지지된 슬라이드대(26)와 상기 슬라이드대(26)내에서 서로 같은 요동축 회전으로 요동자재하게 배설된 교환아암조체(28) 및 퀄아암조체(30)를 비치하고 있다.
슬라이드대(26)는 앞단면이 개구된 상태에서 중공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중공부내에 퀄아암조체(30)가 요동자재로 또한 접동불능으로 설치되어 있다.
즉 상기 퀄아암조체(30)는 슬라이드대(26)의 중공부안에 한쌍의 베어링(32)을 개재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퀄아암축(34)과 당해 퀄아암축(34)의 전단 환언하자면 슬라이드대(26)에서 전방으로 돌출한 돌출단에 반지름 방향으로 뻗어나오도록 일체로 부착된 퀄아암본체(36)와 상기 퀄아암본체(36)의 선단에 고정되고 또한 후술하는 숫돌장치(20)의 주축에 부착된 콜릿착크의 나사링에 걸어맞춰서 나사링의 회전을 금지하는 금지부(38)를 비치하고 있다.
상술한 퀄아암축(34)는 슬라이드대(26)와 마찬가지로 앞단면이 개구된 상태에서 중공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중공부내에 교환아암조체(28)가 퀄아암축(34)과 동일한 요동축 회전으로 요동자재로 또한 접동자재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퀄아암본체(36)에는 원추구멍(4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원추구멍(40)에는 후술하는 바와같이 퀄아암조체(30)가 마가진기구(18)에 대향하는 대기위치로부터 숫돌장치(10)의 주축(22)에 대향하는 위치까지 요동된 후에 안쪽으로 접동된 상태에서 지지대(24)에 부착된 위치결정핀(42)이 삽입되고 상기 퀄아암본체(36)의 회동위치가 정확히 결정되도록 되어 있다.
상술한 계지부(38)에는 제4도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투공(4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투공(44)의 내주면에는 제5도에 표시하는 주축(22)의 선단에 부착된 콜릿착크(46)의 외주에 위치하는 나사링(48)의 외주면에 형성된 삼각이빨 모양의 치차부에 맞물리는 안쪽치차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술한 계지부(38)가 축방향을 연하여 접동하여 제3도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당해 안쪽 치차부와 나사링(48)의 치차부하고가 서로 맞물림으로서 나사링(48)은 계지부(38)에 의하여 걸어멈춰지고, 상기 회전이 금지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제6도를 참조하여 상술한 주축(22)의 선단에 부착되고, 주축(22)에 숫돌(20)을 착탈자재로 고착하기 위한 콜릿착크(46)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콜릿착크(46)는 도시하는 바와같이 주축(22)의 선단에 그것과 같은 축으로 부착되고, 외주에 숫나사부가 형성되고 내주에 내부를 들어감에 따라서 반경을 감속하도록 형성된 테이퍼면이 형성된 고정링(50)과 상기 고정링(50)의 외주에 형성된 숫나사부에 나사맞춤되는 암나사부가 내주에 형성되고, 앞단면에 안쪽플랜지(48a)가 형성된 상술한 나사링(48)과 고정링(50)의 테이퍼면에 접어 접촉하는 테이퍼면이 외주에 형성되고 숫돌(20a)를 보호유지하는 원통상의 면이 내주에 형성되고 또한 축방향을 연하여 복수의 슬릿이 형성되어서 내주면의 직경을 가변으로한 스플릿링(split-sing)(52)을 비치하고 있다. 또한 상기 스플릿링(52)의 선단은 나사링(48)의 안쪽플랜지(48a)에 걸어서 고정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같이 콜릿착크(46)는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나사링(48)을 바깥쪽으로 끌어내서 스플릿링(52)의 내주의 직경을 크게한 상태에서 상기 내주의 공간내에 숫돌(20)의 축부는 유동적으로 끼워넣어진다.
상술한 상태에서 나사링(48)을 회전시키고, 나사의 나사맞춤에 의하여 나사링(48)을 안쪽으로 이동시킴으로서, 그 안쪽 플랜지(48a)가 스프링릿(52) 걸어맞춰서 스프릿링(52)은 안쪽으로 이동된다. 상기 이동에 있어서, 고정링(50)과 스플릿링(52)와의 상호간의 테이퍼면을 접어접촉시켜서 스플릿링(52)의 내주의 직경은 감소되고, 숫돌(20)의 축부(20a)는 상기 스플릿링(52)에 의하여 조여지고, 결국 상기 숫돌(20)은 콜릿착크(46)를 개지하여 주축(22)의 선단에 고착되게 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같은 조임동작은 콜릿착크(46)의 나사링(48)을 회전시키지 않더라도 실시할 수가 있고, 예컨대 나사링(48)을 퀄아암조체(30)의 계지부(38)를 사이에 두고 그 회전을 금지한 상태에서 주축(22)을 회동시킴으로서 고정링(50)과 나사링(48)와의 사이에 상대회전 운동을 발생시킬 수가 있고 그리하여 조임동작을 할 수가 있는 것이다.
상술한 교환아암조체(28)는 다시 제3도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퀄아암축(34)내를 끼워서 통하게 한 상태에서 베어링(44)을 개재하여 회전자재로 또한 미끄럼 자재로 지지된 교환아암축(56)과 퀄아암축(34)에서 전방으로 돌출한 교환아암축(56)의 돌출단에 고정되고, 반경방향을 연하여 뻗쳐나온 교환아암본체(58)와 상기 교환아암본체(58)의 선단에 부착되고, 숫돌(20)의 숫돌본체(20a)를 쥘 수가 있는 쥠부(60)와를 비치하고 있다.
상기 교환아암축(56)의 퀄아암축(34)에서 후방으로 돌출한 부분의 전반부에서 상기 교환아암축(56)을 회전구동 즉 교환아암조체(30)를 축방향으로 연하는 이동을 허용한 상태로 요동되게 구동하기 위한 요동기구(62)가 접속되어 있다.
즉 교환아암축(56)의 후방돌출부의 전반부분은 스플라인축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요동기구(62)는 도시하지 않는 구동원에 의하여 요동축과는 직교하는 방행(지면을 관통하는 방향)을 연하여 접동구동되는 랙(64)과 교환아암축(56)과 동축에 또한 상술한 전반부분의 외주에 스플라인 결합되는 동시에 랙(64)에 맞물리는 피니온(66)을 비치하고 있다.
상술한 바와같이 요동기구(62)는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도시하지 않은 실린더등의 구동원에 의한 구동에 따라서 랙(64)이 이동됨으로서 피니온(66)은 회전되고, 따라서 스플라인 결합을 개재하여 교환아암축(56)의 축방향에 연하는 이동이 허용된 상태에서 교환아암축(56) 즉 교환아암조체(28)는 요동되게 된다.
또한 상기 교환아암축(58)의 후방돌출부의 후반부는 교환아암조체(28)를 축방향을 연하여 이동시키기 위한 교환아암 이동기구(68)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교환아암 이동기구(68)는 슬라이드대(26)에 일체로 부착된 유압실린더(70)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실린더(70)내에는 교환아암축(56)의 후방돌출부의 후반부분이 피스톤롯드(72)로서 삽입되어 있다.
또한 실린더(70)내에 내장된 교환아암축(56)의 후단에는 피스톤(74)이 상기 축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실린더(70)의 전방부 및 후방부에는 도시하지 않는 유압원으로부터의 실린더(70)내에 도입하기 위한 유압포오트(76a)(76b)가 각각 부착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같이 교환아암 이동기구(68)는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한쪽의 유압포오트(76a)에 다른쪽의 유압포오트(76b)보다 높은 유압이 작용함으로서 피스톤(74)에는 도면에서 우측으로의 압력이 작용하고, 따라서 교환아암조체(28)는 전체로서 퀄아암축(34)내에 들어가도록 이동된다.
여기서 퀄아암축(34)과 교환아암축(56)과의 사이에는 그들의 사이를 단속하기 위한 클러치기구(78)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클러치기구(78)는 퀄아암축(34)의 중공부내에 위치한 교환아암축(56)의 외주에 일체로 설치되고, 축방향을 연하여 뻗어나온 복수개의 걸어맞춤편(80)과 다들 걸어맞춤편(80)에 회전방향에서 걸어맞춤이 가능하게 퀄아암축(34)의 중공부의 내주면에 일체로 축방향을 연하여 뻗어나와서 설치된 복수개의 걸림편(82)을 비치하고 있다.
상술한 바와같이 클러치기구(78)는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한쪽의 유압포오트(76a)에 다른쪽의 유압포오트(76b)보다 높은 유압이 작용하여 교환아암축(56)이 퀄아암축(34)안에 끌어당겨지도록 이동함으로서 제3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걸어맞춤편(80)은 걸림편(82)의 사이에 끼워지게 된다. 따라서 요동기구(62)가 작동하여 교환아암축(56)이 회동되면 걸어맞춤편(80)과 걸림편(82)과의 걸어맞춤을 개재하여 퀄아암축(34)도 일체로 회전되게 된다.
또한 다른쪽의 유압포오트(76b)에 안쪽의 유압포오트(76a)보다 높은 유압이 작용하여 교환아암축(56)이 퀄아암축(34)에서 바깥쪽으로 돌출하도록 이동함으로서 제7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걸어맞춤편(80)은 걸림편(82)에서 이탈되게 된다.
따라서 요동기구(62)가 작동하여 교환아암축(56)이 회동되었다고 하더라도 걸어맞춤편(80)과 걸림편(82)은 걸어맞춰지는 일이 없기 때문에 퀄아암축(34)은 회전하는 일이 없고 교환아암축(56)만이 독립하여 회전하게 된다.
또한 지지대(24)에는 슬라이드대(26)를 축방향을 연하여 이동시키는 슬라이드대 이동기구(84)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슬라이드대 이동기구(84)는 지지대(24)의 후단에 일체로 부착된 유압실린더(86)와 상기 실린더(86)안을 미끌어져 움직임이 기능하게 설치된 피스톤(88)과 일단이 슬라이드대(26)의 후단에 접속하고, 타단이 피스폰(88)에 접속된 피스톤로드(90)와를 비치하고 있다. 또한 상기 실린더 (86)의 전방부 및 후방부에는 도시하지 않는 유압원으로부터의 압력유를 실린더(86)내에 도입하기 위한 유압포오트(92a)(92b)가 각각 부착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같이 슬라이드대 이동기구(84)는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다른쪽의 유압포오트(92b)에 한쪽의 유압포오트(92a)보다 높은 유압이 작용하므로서 피스톤(88)에는 도면중에서 좌측방향으로 입력이 작용하고, 제3도에 표기하는 바와같이 슬라이드대(26)는 좌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상태에서 퀄아암조체(30)의 걸림부(38)는 주축(22)의 선단에 설치된 콜릿착크(46)의 나사링(48)으로부터 이탈되게 된다.
또한 한쪽의 유압포오트(92a)에 다른쪽의 유압포오트(92b)보다 높은 유압이 작용함으로서 피스톤(88)에는 도면에서는 우측으로의 압력이 작용하고, 제8도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슬라이드대(26)는 우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술한 상태에서 퀄아암조체(30)의 걸림부(38)는 주축(22)의 선단에 설치된 콜릿착크(46)의 나사링(48)에 걸어맞춰지고, 나사링(48)의 회전을 저지하게 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같이 교환아암 이동기구(68)를 개제하여 교환아암조체(30)는 슬라이드대(26)에 대하여 축방향을 연하여 이동가능으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슬라이드대 이동기구(84)를 개재하여 퀄아암조체(30)의 걸림부(38)가 콜릿착크(46)의 나사링(48)에 걸어맞춰진 상태에서 교환아암조체(30)의 손잡이부(60)는 제8도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콜릿착크(46)에 부착된 숫돌(20)의 숫돌본체(20b)를 쥐는 위치와 제7도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숫돌본체(20b)로부터 간격을 둔 위치와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게 되어있다.
여기서 교환아암조체(30)의 손잡이부(60)는 제9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교환아암본체(58)의 선단에 고착되는 쥠부 본체(94)와 상기 쥠부 본체(94)에 부착되고 서로 대항하여 설치된 한쌍의 떠받침체(96a)(96b)를 비치하고 있다.
숫돌(20)의 숫돌본체(20b)는 양쪽 떠받침체(96a)(96b)에 사이에 끼워잡아 지지되는 것으로 한쪽의 떠받침체(96a)는 사이에 끼고 지지하는 면을 평면으로한 위에서 쥠부본체(94)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다른쪽 떠받침체(96b)는 사이에 끼고 지지하는 면에 V 홈이 형성된 위에서 손잡이부 본체(94)에 이동가능하게 더 상세히는 한쪽의 떠받침체(96a)에 대하여 접촉이탈이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여기서 양쪽 떠받침체(96a)(96b) 사이에는 인장코일스프링(98)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인장코일스프링(98)은 양쪽 떠받침체(96a)(96b)를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부세하고 있다. 또한 다른쪽의 이동가능한 떠받침체(96b)에는 그것을 이동시키기 위하여 유압실린더장치(100)가 접촉되어 있다.
상기 유압실린더장치(100)는 한쪽의 고정된 떠받침체(96a)에 일체적으로 부착된 실린더(102)와 당해 실린더(102)내를 미끄럼 자재로 설치된 피스톤(104)과 일단이 상기 피스톤(104)에 접속되고, 타단이 다른쪽 떠받침체(96b)에 접속된 피스톤로드(106)를 비치하고 있다. 상기 실린더(102)의 좌우양단에는 도시하지 않는 유압원으로부터의 압력유를 실린더(102)안에 도입하기 위한 유압포오트(108a)(108b)가 각각 부착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같이 파지부(60)은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한쪽의 유압포오트(108a)에 다른쪽이 유압포오트(108b)보다 높은 압력이 작용함으로서 피스톤(104)에는 도면상에서는 우측으로의 압력이 작용하고, 다른쪽의 떠받침체(96b)는 한쪽의 떠받침체(96a)에서 사이를 두고 떨어지도록 인장코일스프링(98)의 부세력에 대향하여 이동되고, 양쪽 떠받침체((96a)(96b)는 충분히 거리를 두고 떨어지게 된다. 상기 상태에서 양쪽 떠받침체(96a)(96b) 사이에 숫돌(20)의 본체(20b)가 느슨하게 삽입된다.
또한 다른쪽의 유압포오트(108b)에 한쪽의 유압포오트(108a)보다 높은 압력이 작용함으로서 피스톤(104)에는 도면상에서는 좌측방향으로 압력이 작용하고, 다른쪽의 떠받침체(96b)는 한쪽의 떠받침체(96a)를 향하여 인장코일스프링(98)의 부세력에 의하여 더욱 부세된 다음 접근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같이 하여 그 상태에서는 양쪽 떠받침체(96a)(96b) 사이에서 느슨하게 삽입된 숫돌(20)의 본체(20b)는 양쪽 떠받침체(96a)(96b)에 의하여 강하게 사이에 끼고 지지되겠금 된다.
여기서 한쪽의 떠받침체(96a)의 사이에 끼고 지지하는 면은 평면으로 다른쪽이 떠받침체(96b)의 사이에 끼고 지지하는 면은 V 홈을 가지도록 각각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사이에 끼고 지지하는 면과 유압실린더장치(100)와를 비치하는 구조에 의하여 숫돌(20)의 본체(20b)의 직경이 개별적으로 변화하였다 하더라도 각각을 확실히 쥘 수 있도록 된다.
다음은 상술한 마가진장치(18)에 관하여 제10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마가진장치 (18)는 도시하는 바와같이 구동원으로서의 구동모우터(110)와 상기 구동모우터(110)로부터의 구동력이 전달치차기구(112)를 개재하여 전달되고, 회전구동되는 회전축(114)과 상기 회전축(114)의 선단에 당해 축에 고정되고, 주위에 다수의 새로운 숫돌(20')이 배설된 마가진본체(116)를 비치하고 있다. 상기 마가진본체(115)는 원판상으로 형성되고 외주부에는 등간격을 두고 숫돌(20')의 축부(20a')가 삽입되는 투공(118)이 다수 형성되어 있다. 각 투공(118)에는 마가진본체(116)의 외주면에 개구하도록 형성된 측공(120)이 연통되어 있다. 상기 측공(120)내에는 일부를 투공(118)내에 돌출한 상태에서 걸림보울(122)이 수납되어 있다.
상기 수납보올(122)은 투공(118)내에 수납된 코일스프링(124)에 의하여 투공(118)내에 일부가 돌출하도록 부세되어 있다. 또한 상기 코일스프링(124)은 측공(120)을 덮는 캡(126)에 의하여 측공(120)으로부터의 탈락이 방지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같이 마가진장치(18)는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숫돌(20')은 그 축부(20')를 투공(118)안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코일스프링(124)에 의하여 부세된 걸림보올(122)에 의하여 투공(118)내에 보호유지되고, 투공(118)으로부터의 탈락이 방지되어 있다.
또한 상기 걸림보올(122)에 의한 보호유지력은 작은 것이기 때문에 숫돌의 교환동작시에 있어서, 교환아암조체(28)에 의하여 숫돌(20')의 숫돌 본체(20b')에 쥐여져서 축방향으로 이동되었을 경우에는 양호하게 투공(118)에 빼내지게 된다.
이하 전술한 공작기계로서의 숫돌장치(10)에 관하여 제11도 및 제12도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숫돌장치(10)는 하우징(128)과 당해 하우징(128)에 수평방향을 연하여 연신하고, 일단의 외부에 꺼내져서 회전자재한 상술한 주축(22)과 하우징(128)내에 설치되고, 상기 주축(22)을 고속으로 회전구동하기 위한 전동모우터(130)을 비치하고 있다. 또한 상기 주축(22)의 하우징(128)에서 돌출한 일단부에는 상술한 콜릿착크(48)가 부착되어 있다.
한편 주축(22)의 하우징(128)내에 수장된 타단부에는 그것과 같은 축으로 제1의 스플라인축(132)이 고정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의 스플라인축(132)에 대향하고, 그리고 주축(22)과 정합되어 있는 상태에서 결합축(134)이 축방향을 연하여 이동가능하게 하우징(128)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결합축(134)의 제1의 스플라인축(132)에 대향하는 일단에는 제1의 스플라인축(132)이 끼워넣어지는 제1의 보스(136)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결합축(134)의 타단은 하우징(128)의 후면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하고 있으며, 상기 결합축(134)의 타단에는 결합축(134)을 축방향을 연하여 구동하기 위한 유압실린더장치(138)가 접속되어 있다.
상기 유압실린더장치(138)는 하우징(128)의 후면에 부착되고, 결합축(134)의 타단이 피스톤로드로서 내부에 수장된 실린더(140)와 상기 실린더(140)내 축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결합축(134)의 타단이 같은 축에 고정된 피스톤(142)을 비치하고 있다.
상기 실린더(140)의 좌우양단에는 도시하지 않는 유압원으로부터의 압력유를 실린더(140)내로 도입하기 위한 유압포오트(144a)(144b)가 각각 부착되어 있다.
또한 피스톤(142)의 결합축(134)이 부착된 축과는 반대쪽의 면에는 그것과 같은 축에 제2의 보스(146)가 고정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유압실린더장치(138)의 실린더(140)의 후부에는 이것과 같은 축에 유압모우터(148)이 부착되어 있다. 상기 유압모우터(148)는 구동축(150)을 비치하고, 당해 구동축(150)의 피스톤(142)측의 단부에는 제2의 보스(146)에 끼워넣어져 있는 제2의 스플라인축(152) 및 제2의 보스부(146)는 서로 항상 계합하여 구동축(150)의 회전구동력을 결합축(134)에 전달하는 동시에 구동축(134)의 축방향을 연하는 이동을 허용하고 있다.
또한 유압모우터(148)는 주지의 구성이고, 이 제1실시예에 있어서는 구동축(150)을 높은 토오크로 약 270°에 걸쳐서 회전구동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결합축(134) 유압실린더장치(138) 및 유압모우터(148)에 의하여 주축회전기구(154)가 구성된다.
상술한 바와같이 숫돌장치(10)는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유압실린더장치(138)의 한쪽의 유압포오트(144a)에 다른쪽의 유압포오트(144b)보다 높은 유압이 작용함으로서 피스톤(142)에는 도면상에서는 오른쪽으로의 압력이 작용하고, 결합축(134)은 오른쪽으로 이동한다. 상술한 바와같이 하여 제1의 스플라인축(132)과 제1의 보스(136)는 제11도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서로 사이를 두고 떨어진다. 즉, 주축(22)은 주축회전기구(154)와는 단절된 상태로 만들어지게 된다. 그런상태에 있어서, 주축(22)은 전동모우터(130)에 의하여 고속으로 회전구동한다.
한편 다른 쪽의 유압포오트(144b)에 한쪽의 유압포오트(144a)보다 높은 유압이 작용함으로서 피스톤(142)에는 좌측으로 이동한다. 상기와 같이하여 제1의 스플라인축(132)과 제1의 보스(136)와는 제12도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서로 결합하여 결합축(134)의 회전에 의하여 주축(22)이 회전구동하게 한다.
또한 제1도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교환아암본체(58)의 요동범위의 중속부의 아래쪽에는 교환아암조체(28)의 쥠부(60)에서 탈락한 숫돌(20)을 도시하지 않은 폐스박스까지 인도하기 위한 슈우트(156)가 설치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같이 구성되는 숫돌장치(10) 및 숫돌자동교환장치(12)에 있어서의 작동을 아래에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연삭 동작시에 있어서는 제11도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유압실린더장치(138)의 한쪽의 유압포오트(144a)에 다른쪽의 유압포오트(144b)보다 높은 유압이 작용하고 있으며,따라서 제1의 스플라인 축(132) 및 제1의 보스(136)는 서로 사이를 두고 떨어져 있다. 그와같이하여 주축(22)은 전동모우터(130)에 의하여 고속회전 구동되는 상태로 되어있는 것이다.
한편 숫돌교환자동장치(12)에 있어서는 제1도에 --점쇄선으로 표시하는 바와같이 교환아암조체(28) 및 퀄아암조체(30)는 같이 마가진기구(18)에 대향하는 대기위치로 보호유지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같이 하여 숫돌장치(10)의 주축(22)의 선단에 콜릿착크(46)를 개재하여 일체로 부착된 숫돌(20)은 전동모우터(130)의 회전구동에 따라서 고속으로 회전구동되고, 도시하지 않은 피공작물을 연삭가공 하게 된다. 여기서 교환아암조체(28) 및 퀄아암조체(30)는 상술한 대기위치에 보호유지된 상태에서 제3도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슬라이드대 이동기구(84)의 다른쪽의 유압포오트(76b)보다 높은 유압이 작용하고 있으며, 그 결과 교환아암축(56)은 도면중에서 우측으로 이동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같이 하여 클러치기구(78)에 있어서는 걸어맞춤편(80)과 걸림편(82)은 서로 결합하여 교환아암축(56)과 퀄아암축(34)은 일체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같은 숫돌(20)에 의한 연삭가공 상태에 있어서, 가공시간이 경과하고 숫돌(20)이 사용한계 이 상으로 마모되었을 경우에는 숫돌(20)을 교환하겠금 된다.
상기 숫돌교환시에는 우선 숫돌장치(10)에 있어서 전동모우터(130)의 구동이 정지되는 동시에 유압실린더장치(130)의 구동이 정지되는 동시에 유압실린더장치(138)의 다른쪽의 유압포오트(144b)에 한쪽의 유압포오트(144a)보다 높은 유압이 작용하게 된다. 그 때문에 결합축(134)은 도면중에서 죄측으로 이동하여 제1의 스플라인축(132)과 제1의 보스(136)는 서로 결합한다. 그와같이 하여 주축회전기구(154)의 유압모우터(148)의 구동력에 의하여 주축(22)이 회전구동될 수 있는 상태로 된다.
한편 상술한 숫돌교환시에 있어서는 숫돌자동 교환장치(12)는 우선 요동기구(62)의 랙(64)을 이동시킴으로서 피니온(66)을 사이에 두고 교환아암축(56)을 회전시키고, 교환아암본체(58)를 제1도에서 --점쇄선으로 표시하는 대기위치로부터 실선으로 표시하는 교환위치까지 요동시킨다. 그때에 상술한 바와같이 클러치기구(78)는 접속상태에 있기 때문에 교환아암축(56)의 회전에 따라서 퀄아암축(34)도 일체로 회전하고, 따라서 퀄아암본체(36)도 교환아암본체(58)와 마찬가지로 대기위치로부터 교환위치까지 요동한다.
상술한 바와같이 하여 교환아암본체(58) 및 퀄아암본체(36)가 함께 교환위치로 도달한 상태에서 슬라이드대 이동기구(84)의 한쪽의 유압포오트(92a)에는 다른쪽의 유압포오트(92b)보다 높은 유압이 작용하고, 따라서 슬라이드대(26)는 도면중에서 우측으로 이동하여, 제8도에 표시하는 상태로 된다.
또한 제3도에 표시하는 상태로 되기 전에 교환아암조체(28)의 쥠부(60)에서는 제9도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유압실린더장치(100)의 한쪽의 유압포오트(108a)에 다른쪽의 유압포오트(108b)보다 높은 유압이 작용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같이 하여 다른쪽의 떠받침체(96b)는 코일스프링(98)의 부세력에 대항하여 한쪽의 떠받침체(96a)에서 크게 사이가 벌어져서 두개의 떠받침체(96a)(96b) 사이에 숫돌(20)의 숫돌본체(20b)가 삽입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그리고 제8도에 표시하는 상태로 교환아암조체(28) 및 퀄아암조체(30)가 이루어진 상태에서 교환아암조체(28)의 손잡이부(60)의 양쪽 떠받침체(96a)(96b) 사이에는 숫돌(20)의 숫돌본체(20b)가 유동적으로 삽입되고, 한편 퀄아암조체(30)의 계지부(38)에서는 그것의 투공(44)안에 콜릿착크(46)의 나사링(48)이 삽입되어서 서로 걸어맞춰지게 된다.
또한 상술한 상태에서 퀄아암본체(36)의 원추공(40)안에는 지지대(24)에 고정된 위치결정핀(42)이 삽입되어 있고, 상술한 바와같이 하여 걸림부(35)의 투공(44)에의 나사링(48)의 삽입이 확실히 시행되는 동시에 그러한 상태에서의 퀄아암조체(30)의 그후의 요동이 저지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제8도에 표시하는 상태에 있어서 숫돌장치(10)의 주축회전기구(154)의 유압모우터(148)가 구동축(150)을 한방향을 연하여 회전하도록 구동한다. 상기 구동력은 결합축(134)을 개재하여 주축(22)에 전달되고, 주축(22)은 높은 토오크로 또한 낮은 회전속도로 약 270°만큼 회전구동된다.
여기서 콜릿착크(56)의 나사링(48)은 상술한 바와같이 퀄아암조체(30)의 걸림부(38)에 걸어맞춰져서 그 회전이 저지되어 있다. 그 때문에 상기 주축(22)의 회전에 따라서 나사링(48)은 고정링(5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동하게 되고, 상기 콜릿착크(46)에 의한 숫돌(20)의 고착이 해제된다.
상술한 바와같이 하여 숫돌(20)은 주축(22)에 떠내는 것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상술한 상태에 있어서 교환아암조체(28)의 손잡이부(60)의 다른쪽의 유압포오트(108b)에는 한쪽의 유압포오트(108a)보다 높은 유압이 작용하고, 때문에 다른쪽이 떠받침체(96b)는 코일스프링(98)에 의하여 부세된 상태에서 숫돌(20)의 숫돌본체(20b)를 한쪽의 떠받침체(96a)에 대하여 밀어붙이게 된다. 그와 같이 하여 숫돌(20)은 상기 손잡이부(60)에 쥐어지게 된다.
그후에 상기 상태로부터 교환아암 이동기구(68)의 다른쪽의 유압포오트(76b)에 한쪽의 유압포오트(76a)보다 높은 유압이 작용하고 따라서 교환아암축(56)은 도면상에서 좌측으로 이동하여 제7도에 표시하는 상태로 된다. 상술한 상태에서 교환아암조체(28)의 손잡이부(60)에 쥐어진 숫돌(20)은 주축(22)에서 떼내어지는 동시에 클러치기구(78)는 단절되고, 퀄아암조체(30)는 현재의 상태를 유지한 채로 교환아암조체(28)만이 요동가능한 상태로 된다.
그리고 요동기구(62)의 랙(64)이 전번과는 반대방향으로 이동함으로서 교환아암조체(28)는 제1도 상에서 교환위치로부터 대기위치까지 요동된다. 상기 요동의 도중에서 손잡이부(60)의 한쪽의 유압포오트(108a)에 다른쪽의 유압포오트(108b)보다 높은 유압이 작용하고, 다른쪽의 떠받침체(96b)는 한쪽의 떠받침체(96a)로부터 사이를 두고 떨어진다. 그 때문에 주축(22)에서 떼내어진 마모한 숫돌(20)은 손잡이부(60)로부터 자체중량 때문에 탈락하고, 슈우트(156)를 개재하여 도시하지 않는 폐기박스안에 수납된다.
상술한 바와같이 사용이 끝난 숫돌(20)을 탈락시켜 버린후의 교환아암체(28)는 계속 윗쪽으로 요동하여 대기위치에 도달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대기위치에 도달한 교환아암조체(28)의 손잡이부(60)에 대향하는 위치에는 새로이 숫돌장치(10)에 장치되는 신품인 숫돌(20')이 마가진기구(18)의 마가진본체(116)의 회전에 대응하여 도달되어 있다.
상기 상태로부터 교환아암 이동기구(68)의 한쪽의 유압포오트(76a)에 다른쪽의 유압포오트(76b)보다 높은 유압이 작용하고 교환아암축(56)은 도면중에서 우측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손잡이부(60)의 다른쪽이 유압포오트(108b)에 한쪽의 유압포오트(108a)보다 높은 유압이 작용함으로서 다른쪽의 떠받침체(96b)는 신품의 숫돌(20')의 숫돌본체(20b')를 한쪽의 떠받침체(96a)로 밀어올린다. 상술한 바와같이하여 신품의 숫돌(20')은 손잡이부(60)에 의하여 쥐어지게 된다.
그후에 교환아암 이동기구(68)의 다른쪽의 유압포오트(75b)에 한쪽의 유압포오트(76a)보다 높은 유압이 작용하여 교환아암축(56)은 도면상에서 좌측으로 이동한다.
상술한 바와같이하여 신품인 숫돌(20')은 마가진기구(18)에서 꺼내진다. 그리고 요동기구(62)의 랙(64)이 전번과는 반대방향으로 이동함으로서 교환아암본체(58)는 그 손잡이부(60)에 신품인 숫돌(20')을 쥔 상태에서대기위치에서 교환위치까지 요동한다. 그리고 교환위치까지 교환아암본체(58)가 요동한 후 교환아암 이동기구(68)의 한쪽의 유압포오트(76a)에는 다른쪽 유압포오트(76b)보다 높은 유압이 작용하고, 교환아암축(56)은 도면중에서는 우측으로 이동한다.
상술한 바와같이 하여 손잡이부(60)에 잡아쥐어진 신품인 숫돌(20')의 축부(20a')가 콜릿착크(46)내에 삽입된다.
상술한 상태에서 손잡이부(60)의 한쪽의 유압포오트(108a)에는 다른쪽의 유압포오트(108b)보다 높은 유압이 작용하고, 숫돌(20')의 손잡이부(60)에 의한 잡아쥔 상태는 해제된다.
그후에 주축회전기구(154)의 유압모우터(148)가 전번과는 반대방향을 따라서 주축(22)을 회동하고, 콜릿착크(64)를 단단히 조인다. 그와같이 하여 새로운 숫돌(20')은 주축(22)에 콜릿착크(46)를 개재하여 고착된다.
다음은 슬라이드대 이동기구(84)의 다른쪽의 유압포오트(92b)에 한쪽의 유압포오트(92a)보다 높은 유압이 착용하고, 따라서 슬라이드대(26)는 도면중에서 좌측으로 이동한다. 상기 이동에 따라서 교환아암조체(28)와 퀄아암조체(30)는 함께 일체로 도면중에서는 좌측으로 이동하고, 손잡이부(60)는 숫돌(20')에서 이탈하는 동시에, 걸림부(38)는 콜릿착크(46)의 나사링(48)로부터 사이를 두고 떨어지게 된다.
그후에 요동기구(62)의 랙(64)이 전번과는 반대로 이동하여 교환아암축(56) 및 상기 교환아암축((56)과 클러치기구(78)를 개재하여 일체로 회전이 가능하게 접속된 퀄아암축(34)은 함께 회동하여 교환아암조체(28) 및 퀄아암조체는 교환위치로부터 대기위치까지 일체로 요동하고 양쪽을 대기위치에서 보호유지한다.
한편 주축회전기구(154)에 있어서는 유압실린더장치(138)의 한쪽의 유압포오트(144a)에 다른쪽의 유압포오트(144b)보다 높은 유압이 작용하고 따라서 결합축(134)은 도면상에서 우측으로 이동되어서 제1의 스플라인축(132)과 제1의 보스(136)는 서로 사이를 두고 떨어진다.
상술한 바와같이 하여 주축(22)과 주축회전기구(154)와는 단절된 상태로 되고, 주축(22)은 전동모우터(130)에 의하여 고속으로 회전구동할 수 있는 상태로 된다.
상술한 바와같이 하여 숫돌장치(10)의 주축(22)에는 콜릿착크(46)를 개재하여 새로운 숫돌(20')이 숫돌자동 교환장치(12)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교환되어서 부착되게 된다.
이상에서 전술한 바와같이 이 일실시예에 따르며, 교환아암축(56)과 퀄아암축(34)을 클러치기구(78)를 개재하여 그 회전이 전달되도록 하고 있다. 그 때문에 클러치기구(78)가 접속된 상태에 있어서, 교환아암축(56)과 퀄아암축(34)은 서로 일체적으로 회전하게 된다.
한편 클러치기구(78)가 단절된 상태에 있어서, 교환아암축(56)은 퀄아암축(34)을 고정한 채로 독립하여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같이 하여 교환아암축(56)과 퀄아암축(34)과를 회전구동 시키기 위하여 단순히 교환아암축(56)을 회전구동하기 위한 요동기구(62)만을 설치하면 되고, 퀄아암축(34)을 회전구동하기 위한 수단이 불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숫돌자동 교환장치(12)의 구성이 대폭으로 간략화하게 된다.
또한 교환아암조체(28)의 손잡이부(60)를 주축(22)에 대하여 접촉이탈시키기 위한 교환아암 이동기구(68)에 의한 교환아암축(56)의 이동에 의하여 클러치기구(78)의 단·접을 실시하도록 되어 있다. 그 때문에 클러치기구(78)를 독립하면 단·접시키기 위한 수단이 불필요하게 되고, 숫돌자동 교환장치(12)의 구성이 대폭으로 간략화되게 된다.
또한 교환아암축(56)과 퀄아암축(34)을 서로 같은 축에 보다 상세히 말하자면 퀄아암축(34)의 내부에 교환아암축(56)을 수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같이 하여 교환아암조체(28) 및 퀄아암조체(30)의 동작타이밍을 간단히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클러치기구(78)가 단절된 상태에서 정지한 퀄아암조체(30)가 요동하는 교환아암조체(28)에 간여하는 일이 없어지고, 교환아암조체(28)는 양호하게 독립하여 요동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일실시예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이니며, 본 발명의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가지로 변형이 가능하다. 예컨대 상술한 일실시예에서는 공작기계로서 숫돌장치를 사용하고 공구로서 숫돌을 사용할 수 있도록 설명하였다. 그러나 그와같은 적용에 한정되는 일이없이 드릴, 프라이스등 다른 공구와 절삭기계에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술한 일실시예에서는 공구로서 소모성의 공구 예컨대 숫돌을 사용하고, 상기 숫돌이 사용허용한도까지 소모되었을 때에 교환하기 위한 교환장치에 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그와같은 경우에만 교환하는 것은 아니고, 예컨대는 공구의 종류을 바꾸기 위하여 회환하는 경우에도 본 교환장치가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같이된 본 발명의 공구자동 교환장치는 복수의 공구를 착탈자재로 보호유지하는 마가진과 나사링으로 조여져서 공구가 고착되는 콜릿착크를 선단에 비치한 공작기계의 주축과 요동가능하게 그리고 축방향을 연하여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술한 나사링에 걸어맞춤으로서 나사링의 회전을 저지하는 퀄아암과 상기 퀄아암에 의하여 나사링의 회전을 금지한 상태에서 상술한 주축을 회전시킴으로서 주축과 나사링과의 사이에 상대회전을 발생시키고, 콜릿착크를 조이거나 느슨하게 하는 주축 회전기구와 상술한 주축과 마가진과의 사이에서 요동가능하게 또한 축방향을 연하여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마가진에 보호유지된 공구중의 한 개를 꺼내서 선단에 부착하기 위한 교환아암과 상술한 퀄아암과 교환아암을 요동시키는 요동기구와 상술한 퀄아암과 교환아암을 축방향을 연하여 이동시키는 이동기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간단한 구성으로 공구의 교환을 확실하고 용이하게 실시할 수가 있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3)

  1. 복수의 공구(20)를 착탈자재로 보호유지하는 마가진(18)과 나사링(48)에 의하여 조여져서 공구가 고착되는 콜릿착크(46)(callet chuck) 선단에 가진 공작기계의 주축(22)과 요동가능하게 또한 축방향을 연하여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술한 나사링(48)에 걸어맞춤으로서 나사링(48)의 회전을 저지하는 퀄아암(30)과 상기 퀄아암(30)에 의하여 나사링(48)의 회전을 저지한 상태에서 상기 주축(22)을 회전시킴으로서 주축(22)과 나사링(48)과의 사이에 상대회전을 발생시키고 콜릿착크(46)를 조이거나 풀어주는 주축회전기구(154)와 상술한 주축(22)과 마가진(18)과의 사이에서 요동가능하게 또한 축방향을 연하여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마가진(18)에 지지된 공구중의 한 개를 꺼내서 주축(22)의 선단에 부착하기 위한 교환아암(28)과 상술한 퀄아암(30)과 교환아암(28)을 요동시키는 요동기구(62)와 상술한 퀄아암(30)과 교환아암(28)을 축방향을 연하여 이동시키는 이동기구(84)(8)등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자동 교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교환아암(28)과 퀄아암(30)은 공통의 요동중심축을 가지며, 상기 요동중심축을 연하여 이동가능하게 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자동 교환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퀄아암축(34)은 교환아암축(56)의 외주에 그것과 동축으로 배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자동 교환장치.
KR1019870009964A 1986-09-19 1987-09-09 공구자동 교환장치 KR9100072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19650 1986-09-19
JP86-219650 1986-09-19
JP61219650A JPS6377653A (ja) 1986-09-19 1986-09-19 工具自動交換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3700A KR880003700A (ko) 1988-05-28
KR910007234B1 true KR910007234B1 (ko) 1991-09-24

Family

ID=167388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09964A KR910007234B1 (ko) 1986-09-19 1987-09-09 공구자동 교환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S6377653A (ko)
KR (1) KR91000723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248672A (ja) * 2012-05-30 2013-12-12 Hideki Iino 棒材切断装置
CN117655380B (zh) * 2024-01-04 2024-05-28 徐州鸿业仪器仪表有限公司 一种阀门配件加工用数控铣床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3700A (ko) 1988-05-28
JPH025548B2 (ko) 1990-02-02
JPS6377653A (ja) 1988-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64229A (en) Quick release chuck device
US5951025A (en) Method for fixing a clamping attachment on a workpiece and device for implementing the method
EP2062681A1 (en) Spindle device for machine tool
US3787136A (en) Adjustable torque controlled tool holder
US7387479B1 (en) Quick-release tool holder for rotary tools
JPH0741500B2 (ja) 増速スピンドル装置
US3372951A (en) Tool adapter for reciprocating drawbolt connection
JPH0696203B2 (ja) 旋削機械用バイトホルダ装置
US4407615A (en) Tool-clamping device
US5560271A (en) Hand wheel engagement/disengagement mechanism for drive selection in a brake lathe
US4175898A (en) Tool changing apparatus
US5431416A (en) Collet attachment/closer
US4767246A (en) Quick-release tool holding device
KR910007234B1 (ko) 공구자동 교환장치
US6135684A (en) Tool holder
US4576528A (en) Rotary tool holder
US2513213A (en) Machine tool
US1552085A (en) Tool-holding chuck
US2606034A (en) Lathe attachment
US4810138A (en) Tap holder
US4218165A (en) Quick action collet lock
US4679970A (en) High speed toolholder for a machining center
JPS6377652A (ja) 工具自動交換装置
JPH10309663A (ja) ワークドライブ装置
GB2108877A (en) Inner surface grind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0915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