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6914Y1 - 주방용 세척구 - Google Patents

주방용 세척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6914Y1
KR910006914Y1 KR2019900000902U KR900000902U KR910006914Y1 KR 910006914 Y1 KR910006914 Y1 KR 910006914Y1 KR 2019900000902 U KR2019900000902 U KR 2019900000902U KR 900000902 U KR900000902 U KR 900000902U KR 910006914 Y1 KR910006914 Y1 KR 91000691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tergent
sponge body
liquid
handle tube
spo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0000090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3961U (ko
Inventor
이병욱
Original Assignee
이병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병욱 filed Critical 이병욱
Priority to KR2019900000902U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6914Y1/ko
Publication of KR91001396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396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691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6914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7/00Apparatus or implements used in manual washing or cleaning of crockery, table-ware, cooking-ware or the like
    • A47L17/04Pan or pot cleaning utensils
    • A47L17/08Pads; Balls of steel wool, wire, or plastic meshes

Landscapes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주방용 세척구
제1도는 본 고안의 일부절결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단면도.
제3도는 제2도의 A-A선 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 중 가압판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손잡이관 2 : 함실
3 : 캡 4 : 기판
5 : 고정판 6 : 클립
7 : 스펀지체 8 : 가압판
9 : 가압실 10 : 밸브
11 : 하측밸브 12 : 액체세제
본 고안은 각종 주방용기의 세척용 스펀지 솔에 관한것으로 손잡이 겸용의 관체부에 액체세제를 내입하여 세척작업시 적량의 액체세제를 자동으로 공급하면서 편리하게 세척을 할수 있도록한 것으로 종래에도 손잡이봉의 관체내부에 액체세제를 내입한 구조의 세척구가 공지된바 있으나 이는 액체세제의 공급량을 조절할수 있는 기능이 없이 단순히 미량의 세제액이 자동배출되게 한 것이어서 세제액의 공급이 필요없는 경우의 세척작업시에는 오히려 세제액이 세척작업에 방해가 되고 불필요하게 세제액을 낭비하게 되는 폐단이 따랐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종래의 문제점이 착안하여 세제액의 공급밸브 장치를 갖는 세척구를 안출하게된 것으로 이하 본 고안의 구조와 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내부에 액체세제(12)가 내입될수 있도록 함실(2)을 형성한 손잡이관(1)에 뚜껑(3)을 결합하고 하측에는 기판(4)을 형성하여 이를 부직포(7')가 하단에 착설된 스펀지체(7)와 접합하여 세척과 아울러 세제액의 공급이 이루어지도록한 통상의 세척구의 구성에 있어서, 기판(4)은 클립(6)을 갖는 고정판(5)에 착탈이 자제롭게 결합하여 이 고정판(5)과 스펀지체(7)를 접합할수 있도록 하고, 손잡이관(1)의 내면에는 2개의 체크밸브(10)(11)를 내장하여 이들 체크밸브(10)(11)사이에 고무재의 가압판(8)을 착설함으로서 가압판(8)이 눌러질때 상측 밸브(10)는 닫히고, 하측밸브(11)는 열려서 스펀지체(7)쪽으로 적량의 세제액이 흘러나올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면중 부호 11'는 세제액이 스펀지체(7)를 공급되는 공급공이고, (9')가압판(8)의 함실이다.
도면중 10', 11'는 체크밸브(10)(11)에 각각 형성한 절결선이다.
이와같이된 본 고안은 손잡이관(1)의 내부에 액체세제(12)를 내장하여 손잡이관(1)측을 손으로 잡고 스펀지체(7) 및 부직포(7')측으로 각종 주방용기물 등을 세척하는 용도로 사용하게 되는 바, 평상시 스펀지체(7)에 가압력을 가하지 않을시에는 내측상면의 체크밸브(10)는 폐쇄된 상태로서 액체세제(12)는 하부함실(2)측으로 흘러나오지 않고 밀폐상태에 있게된다.
그러나 사용시 스펀지체(7)를 세척용기등 모서리 부분에 B방향으로 가볍게 꾹꾹 눌러주면 가아판(8)이 상향으로 가압력을 받게 되므로 이의 압력이 함실(2)에 전달되며, 상기 가압력이 상향으로 가압될시는 상측 체크밸브(10)는 닫히고 하측 체크밸브(11)는 열려서 함실(2)에 내장된 액체세제가 스펀지체(7)로 공급되고, 위로 늘려진 가압판(8)이 원상복귀될 때에는 하측 체크밸브(11)가 반대로 닫히고 상측 체zm밸브(10)가 열려서 상부함실(2)의 세제가 하부함실로 내려오게 된다.
따라서 스펀지체(7)의 가압판(8)에 압력이 전달되지 않는 평상시의 경우는 내부의 세제액이 스펀지쪽으로 공급되지 않고,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세제액의 공급이 필요할시에는 스펀지체(7)의 후측을 용기등 모서리에 가볍게 눌러주면서 세척을 하면되고, 세제액의 공급이 필요없는 때에는 스펀지체(7)에 자극을 부드럽게 세척을 하면되는 것이다.
그리고 손잡이관(1)의 하측 기판(4)은 고정판(5)의 클립(6)에 착탈 자재할수 있어 스펀지체(7)쪽이 마손되면 후측클립(6)을 벌려서 기판(4)으로부터 이탈을 시켜 새로운 스펀지체로 교체를하여 주면되므로 본 고안은 스펀지체dml 교환으로 손잡이관(1)을 장기적으로 사용할수 있는 잇점이 있다.
그리고 손잡이관(1)의 상면은 길이방향으로 투명부(1')을 형성하였으므로 내부의 세제액이 소모량을 밖에서 쉽게 판별할수 있으므로 세제액의 보충이 용이하다.
본 고안은 이상과 같이 세제액을 공급할수 있는 세척구의 구조를 개량하므로서 스펀지체의 교체사용이 가능하고, 세제액은 필요시에만 공급이 되며, 사용하지 않을시에는 세제액의 유출이 차단되므로 사용의 편의성과 세제액의 절약 효과및 내구성 유지에 크게 유리한 잇점이 있다.

Claims (1)

  1. 손잡이관(1)의 내부에 액체세제를 내장하여 스펀지체(7)에 공급할수 있게한 통상의 세척구dml 구성에 있어서, 손잡이관(1)의 내부에 체크밸브(10)(11)를 내장하du 기판(4)저면에 착설한 가압판(8)의 압축에 의해서 세제액이 스펀지체(7)쪽으로 공급되게 하고 기판(4)은 스펀지체(7)에 착설하는 고정판(5)의 클립(6)에 의해 착탈자재 할 수 있게 구성하여서된 주방용 세척구.
KR2019900000902U 1990-01-23 1990-01-23 주방용 세척구 KR91000691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00902U KR910006914Y1 (ko) 1990-01-23 1990-01-23 주방용 세척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00902U KR910006914Y1 (ko) 1990-01-23 1990-01-23 주방용 세척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3961U KR910013961U (ko) 1991-08-30
KR910006914Y1 true KR910006914Y1 (ko) 1991-09-17

Family

ID=192955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00000902U KR910006914Y1 (ko) 1990-01-23 1990-01-23 주방용 세척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6914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5958Y1 (ko) * 2000-01-29 2000-06-15 염천권 세제공급이 가능한 수세미용 세척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3961U (ko) 1991-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59102A (en) Contoured cleaning device
US6530502B2 (en) Self-draining dishwashing caddy
US6171004B1 (en) Cleaning apparatus
US2770828A (en) Cleaning device, including fluid dispensing means
US4618279A (en) Dishwashing apparatus with plural sponges
KR910006914Y1 (ko) 주방용 세척구
US3135003A (en) Scrubbing sponge for drinking vessels
CN212698060U (zh) 喷水刷子
KR100668697B1 (ko) 세제 용기
US2834036A (en) Combined mop, squeezer and reservoir
KR200295646Y1 (ko) 젖병 세척기
KR940009441B1 (ko) 다목적 설겆이대
CN201192326Y (zh) 内装洗洁精的洗锅刷子
JP3055532U (ja) 洗剤自動補給式の洗剤液収容部兼用柄付き 洗浄道具
KR920006230Y1 (ko) 식기 세척기
KR0119429Y1 (ko) 세제주출기
CN215305661U (zh) 一种带加液装置的清洗刷
JP3241023U (ja) 多目的石鹸液ケース及びその取り付けアセンブリ
KR102060780B1 (ko) 세제 일체형 청소솔
CN2129135Y (zh) 家庭多用洗碗器
JPS6326142Y2 (ko)
KR940003216Y1 (ko) 자동차용 세척기
KR970002253Y1 (ko) 글라스 크리너
JPH0622310Y2 (ja) 洗剤容器付きたわし入れ
KR200292078Y1 (ko) 세제액을 수용한 휴대용 세정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