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6092Y1 - 밴드 선택회로 - Google Patents

밴드 선택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6092Y1
KR910006092Y1 KR2019880016948U KR880016948U KR910006092Y1 KR 910006092 Y1 KR910006092 Y1 KR 910006092Y1 KR 2019880016948 U KR2019880016948 U KR 2019880016948U KR 880016948 U KR880016948 U KR 880016948U KR 910006092 Y1 KR910006092 Y1 KR 91000609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transistor
led
output
microcompu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169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9309U (ko
Inventor
이순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시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시환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80016948U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6092Y1/ko
Publication of KR90000930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930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609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6092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6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receiving on more than one standard at wil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50Tuning indicators; Automatic tuning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밴드 선택회로
본 고안의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IC1: 마이콤 Q1-Q4: 트랜지스터
LED1, LED2, LED3: 발광다이오드 R1-R7: 저항
D1, D2: 다이오드
본 고안은 칼라텔레비젼에서 튜너의 밴드를 선택해주는 밴드 선택회로에 관한 것이다.
텔레비젼에서는 리모콘 송신기나 터치 스위치 등을 이용하여 채널을 선택하게 되면 내부 마이콤에서의 콘트롤 신호로 각 밴드(VHF High Band : VH, UHF Band : U)에 전원을 인가시켜 주어야만 하였다.
즉 채널 선국시 각 밴드(VL, VH, U)로 전원을 공급해 주어야 하므로 종래에는 마이콤의 콘트롤 신호를 밴드 선택용 집적소자(LA 7918)에 인가시켜 주어 튜너의 각 밴드(VL, VH, U)에 전원을 공급해 주었었다.
그러나 밴드 선택용 집적소자(LA 7918)를 이용하여 밴드를 선택하는 방식은 집적소자(LA 7918)가 상당한 고가이므로 제조원가 상승을 초래하는 단점이 있는 것이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고가의 집적소자를 사용치 않고 간단히 하드웨어적인 회로를 구성해 주어 각 밴드(VL, VH, U)를 선택해 주도록 한 것으로써, 마이콤에서 출력되는 밴드 선택 콘트롤 신호로 각 트랜지스터의 구동을 제어해 주어 각 밴드(VL, VH, U)에 인가되는 전원 공급을 제어해 주므로써 밴드를 선택하게 구성한 것으로 각각의 밴드선택을 발광다이오드로 표시해 주었다.
이를 첨부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마이콤(IC1)의 출력단(A)(B)에서는 리모콘 송신기 등에서 인가되는 채널 선택에 의하여 밴드 선택 콘트롤 신호를 각 밴드에 따라 다르게 출력시키며 출력단(A)출력은 저항(R1) (R2)이 연결된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인가되게 구성하고 출력단(B) 출력은 저항(R7)을 통하여 트랜지스터(Q4)의 베이스에 인가시킴과 동시에 저항(R5) (R6)을 통하여 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에 인가되게 구성한다.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 측에는 UHF밴드(U) 입력단과 함께 UHF밴드(U) 표시용 발광다이오드(LED1)를 연결함과 동시에 다이오드(D1)와 저항(R4)을 통하여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를 연결하고 트랜지스터(Q2)의 콜렉터측은 트랜지스터(Q3)의 콜렉터측과 연결 구성한후 트랜지스터(Q3)의 메이터측에 VFH 로우밴드(VL) 입력단과 VHF 로우밴드(VL) 표시용 발광다이오드(LED2)를 연결 구성한다.
그리고 트랜지스터(Q4)의 콜렉터측에는 VFH 하이밴드(VH)입력단을 연결함과 동시에 다이오드(D2)를 통하여 VHF 하이밴드(VH)표시용 발광다이오드(LED3)를 연결 구성한다.
이때 본 고안의 각 트랜지스터(Q1) (Q2) (Q4)의 에미터 측에는 전원(B-)이 인가되게 구성하고 마이콤(IC1)의 출력단(A) (B)에서는 아래표와 같이 각 밴드(VL, VH, U)에 따라 다르게 출력된다.
[표]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마이콤(IC1)의 출력단(A) (B)으로는 상기 표에서와 같이 밴드 선택 콘트롤 신호를 출력시키게 되며 본 고안은 이같은 출력단(A) (B) 출력에 따라 선택되어진 밴드에 전원(B-)을 공급해 주는 것이다.
이때 각 밴드(VL, VH, U)선택을 발광다이오드(LED1~LED3)로 표시해 주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 표에서와 같이 마이콤(IC1)의 출력단(A) (B)에서 콘트롤 신호가 출력될때 이에 의하여 각 밴드(VL, VH, U)에 전원(B-)을 공급해주고 그에 따른 발광다이오드(LED1~LED3)의 구동을 살피면 된다.
먼저 마이콤(IC1)의 출력단(A)이 로우 레벨, 출력단(B)이 하이레벨로 출력되어 UHF 밴드(U)를 선택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마이콤(IC1)의 출력단(A)에서 로우 레벨이 출력되면 저항(R1) (R2)에 의해 트랜지스터(Q1)의 바이어스를 공급해주게 되어 트랜지스터(Q1)가 "턴온"되므로 UHF밴드 (U)에 전원(B-)이 인가됨과 동시에 발광다이오드(LED1)에 전원(B-)이 인가되게 된다.
따라서 UHF밴드 (U)에 전원(B-)이 인가되어 선택됨과 동시에 발광다이오드(LED1)과 "온"되어 UHF밴드(U) 선택을 표시해 주게되며 이때 트랜지스터(Q2)는 "오프"되게 된다.
그리고 마이콤(IC1)의 출력단(B)에서 출력되는 하이 레벨 출력은 트랜지스터(Q4)의 베이스에 인가되어 트랜지스터(Q4)를 "오프"시킴과 동시에 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에도 인가되나 이때에는 트랜지스터(Q2)가 "오프"상태이므로 트랜지스터(Q3)는 "오프"된다.
따라서 트랜지스터(Q3)의 에미터 측에서 VHF 로우배드(VL)에 전원(B-)을 공급해 주지 못하고 트랜지스터(Q4)의 콜렉터 측에서 VHF 하이밴드(VH)에 전원(B-)을 공급해 주지 못하게 된다.
그러므로 마이콤(IC1)의 출력단(A)에서 로울 레벨 출력단(B)에서 하이레벨을 출력시키면 UHF밴드 (U)에만 전원(B-)이 공급되어 UHF밴드 (U)가 선택되게 되며 발광다이오드(LDE1)가 "온"되어 UHF밴드 (U) 선택을 알리게 되는 것이다.
또한 마이콤(IC1)의 출력단(A) (B)이 모두 하이레벨로 출력되어 VHF 로우밴드(VL)를 선택하게 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마이콤(IC1)의 출력단(A)에서 하이레벨이 출력되면 저항(R1) (R2)이 연결된 트랜지스터(Q1)는 "오프"되게 되고 트랜지스터(Q1)의 "오프"로 저항(R4)이 연결된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에 바이어스가 인가되어 트랜지스터(Q2)는 "턴온"되게 된다.
이때 발광다이오드(LED1)는 전원(B-)이 인가되지 않아 "오프"되며 트랜지스터(Q1)의 "오프"로 UHF밴드(U)에 전원(B-)이 공급되지 않는다.
그리고 출력단(B)에서 출력되는 하이레벨은 트랜지스터(Q4)를 "오프"시켜 VHF 하이밴드(VH)에 전원(B-)을 공급해 주지 않게 되나 저항(R5) (R6)을 통하여 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에 바이어스를 공급해 주게 되어 트랜지스터(Q2)가 "턴온"되어진다. 따라서 트랜지스터(Q2)의 에미터측으로 인가되는 전원(B-)은 트랜지스터(Q2) (Q3)의 콜렉터를 통한후 트랜지스터(Q3)의 에미터측으로 출력되어 VHF 로우밴드(VL)에 인가됨과 동시에 발광다이오드(LED2)에 인가되게 된다.
그러므로 마이콤(IC1)의 출력단(A) (B)에서 하이레벨을 출력시키면 VHF 로우밴드(VL)와 발광다이오드(LED2)에만 전원(B-)이 공급되어 VHF 로우밴드(VL)를 선택함과 동시에 발광다이오드(LED2)를 "온"시켜 VHF 로우밴드(VL)선택을 알리게 되는 것이다.
한편 UHF밴드 (U) 선택시와는 반대로 마이콤(IC1)의 출력단(A)에서 하이레벨 출력단(B)에서 로우 레벨을 출력시켜 VHF 하이밴드(VH)를 선택하는 과정을 살펴보는 다음과 같다.
먼저 마이콤(IC1)의 출력단(A)이 하이레벨이면 VHF 로우밴드(VL)선택시와 동일하게 트랜지스터(Q1)는 "오프"되어 UHF밴드 (U)에 전원(B-)을 공급해 주지 않게 된다.
그리고 마이콤(IC1)의 출력단(B)에서 출력되는 로우레벨 출력은 저항(R5) (R6)이 연결된 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에 인가되어 트랜지스터(Q3)를 "오프"시키게 되므로 VHF 로우밴드(VL)에 전원(B-)을 공급해 주지 않으며 또한 출력단(B)의 로우레벨출력은 저항(R7)을 통하여 트랜지스터(Q4)의 베이스에 바이어스를 공급해 주게 되므로 트랜지스터(Q4)를 "턴온"시키게 된다.
따라서 트랜지스터(Q4)의 콜렉터측에서 출력되는 전원(B-) VHF 하이밴드(VH)에 인가됨과 동시에 다이오드(D2)를 통한후 VHF 하이밴드(VH)표시용 발광다이오드(LED3)에 인가되게 된다.
그러므로 마이콤(IC1)의 출력단(A)에서 하이레벨 출력단(B)에서 로우레벨을 출력시키면 VHF 하이밴드(VH)에만 전원(B-)이 공굽되어 VHF 하이밴드(VH)가 선택되어지고 이때 발광다이오드(LED3)가 "온"되어 VHF 하이밴드(VH)선택을 알리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 회로를 이용하여 다방식 텔레비젼의 비데오 신호를 콘트롤 신호에 의하여 선택해 줄 수 있다.
즉 콘트롤 신호의 변환으로 다방식 비데오 신호를 본 고안 회로에서 선택하여 출력 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튜너의 밴드 선택을 고가의 집적소자를 이용하지 않고 간단히 구성되는 회로를 이용하여 선택해 주므로써 제조원가 하락을 기대할 수 있으며 또한 밴드 선택을 발광다이오드로 표시해 줄 수 있는 것이다.

Claims (2)

  1. 마이콤(IC1)의 출력신호 레벨에 의하여 각 트랜지스터(Q1) (Q3) (Q4)의 구동이 제어되게 구성한 후 트랜지스터(Q1)의 동작ㅇ 따라 트랜지스터(Q2)의 구동이 제어되게 구성하여 상기 트랜지스터(Q1) (Q3) (Q4)가 선택적으로 구동할때 각 밴드(VL, VH, U)에 전원(B-)이 공급되게 구성한 밴드 선택회로.
  2. 제 1 항에 있어서, 각 밴드(VL, VH, U)에 전원(B-)을 인가시키는 트랜지스터(Q1) (Q3) (Q4)가 구동될때 밴드선택 표시용 발광다이오드(LED1~LED3)가 구동되게 구성한 밴드 선택회로.
KR2019880016948U 1988-10-18 1988-10-18 밴드 선택회로 KR91000609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16948U KR910006092Y1 (ko) 1988-10-18 1988-10-18 밴드 선택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16948U KR910006092Y1 (ko) 1988-10-18 1988-10-18 밴드 선택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9309U KR900009309U (ko) 1990-05-04
KR910006092Y1 true KR910006092Y1 (ko) 1991-08-16

Family

ID=192803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16948U KR910006092Y1 (ko) 1988-10-18 1988-10-18 밴드 선택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609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9309U (ko) 1990-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05362B1 (ko) 표시구동장치
WO2003027997A1 (fr) Ecran et procede de fonctionnement associe
JP2007149752A (ja) 発光素子の輝度調整装置
TWI396467B (zh) 適用於車用儀表板之可調式背光顏色控制電路及其控制方法
KR101243144B1 (ko) Lcd 패널용 led 드라이버의 구동회로
KR910006092Y1 (ko) 밴드 선택회로
US624618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wo independent visual indicators with a single output pin
WO1985003795A1 (en) Data display apparatus
KR910004460Y1 (ko) 튜우너의 밴드 선택회로
KR930005230Y1 (ko) 전자볼륨 조절 표시장치(incicator)
JP2756102B2 (ja) シャットルスイッチ操作に対する動作状態表示装置及び表示方法
US20030034966A1 (en) Dual voltage power supply apparatus
KR910007182Y1 (ko) 컬러 tv의 전원구동 표시회로
JPH05129665A (ja) Led駆動回路
JPH0230925Y2 (ko)
CN110611970B (zh) 发光系统、控制装置以及控制方法
KR910004401Y1 (ko) 발광다이오드의 중첩장치
JP4728672B2 (ja) Pwm駆動回路
KR910005931Y1 (ko) 표시소자의 밝기 조절회로
US8237369B2 (en) Light source apparatus and driving circuit thereof
KR900010907Y1 (ko) 정전류 led구동회로
JPH0710789U (ja) 発光素子輝度調整装置
KR910000650Y1 (ko) 스위칭 회로
KR910005418Y1 (ko) 칼라 및 브라이트의 리니어 가변회로
KR910001577Y1 (ko) 모우드 콘트롤 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71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