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6044Y1 - 카드식 공중전화기의 부정 국제 및 시외통화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카드식 공중전화기의 부정 국제 및 시외통화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6044Y1
KR910006044Y1 KR2019880021163U KR880021163U KR910006044Y1 KR 910006044 Y1 KR910006044 Y1 KR 910006044Y1 KR 2019880021163 U KR2019880021163 U KR 2019880021163U KR 880021163 U KR880021163 U KR 880021163U KR 910006044 Y1 KR910006044 Y1 KR 91000604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d
keypad
call
long distance
main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211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3689U (ko
Inventor
이규현
Original Assignee
이규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규현 filed Critical 이규현
Priority to KR20198800211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6044Y1/ko
Publication of KR90001368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368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604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6044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6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with mean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or fraudulent calling
    • H04M1/667Preventing unauthorised calls from a telephone s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30Devices which can set up and transmit only one digit at a time
    • H04M1/50Devices which can set up and transmit only one digit at a time by generating or selecting currents of predetermined frequencies or combinations of frequenc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5/00Arrangements for metering, time-control or time indication ; Metering, charg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voice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e.g. VoIP
    • H04M15/28Arrangements for metering, time-control or time indication ; Metering, charg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voice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e.g. VoIP with meter at substation or with calculation of charges at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7/00Prepayment of wireline communication systems,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or telephone systems
    • H04M17/02Coin-freed or check-freed systems, e.g. mobile- or card-operated phones, public telephones or booths
    • H04M17/023Circuit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7/00Prepayment of wireline communication systems,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or telephone systems
    • H04M17/30Prepayment of wireline communication systems,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or telephone systems using a code
    • H04M17/301Code input or rea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4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card reading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repayment Telephone Systems (AREA)
  • Meter Arrangeme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카드식 공중전화기의 부정 국제 및 시외통화방지장치
제 1 도는 본 고안을 채용한 카드식 공중전화기의 구성을 보인 개략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주제어부 2 : 키패드
3 : 카드리더부 4 : 표시부
5 : 요금설정부 6 : MFC다이얼신호발생기
7 : 핸드세트 8 : 통화회로부
9, 9' : 국선 10 : 차동증폭기
11 : MFC신호변별기 12 : 버퍼
본 고안은 카드식 공중전화기를 이용한 부정 국제 및 시외통화를 방지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카드식 공중전화기를 살펴보면 제 1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키패드, 요금표시부, 카드리더부, 요금설정부를 주제어부에 접속하고, 주제어부와 MFC다이얼 신호발생기를 연결하며, 그 출력을 핸드세트와 접속된 통화회로부에 인가하고 이와 통화선로를 연결하여서된 것이어서, 핸드세트를 들고 카드리더부에 카드를 넣으면 주제어부는 카드리더부로부터 카드에 기록된 요금잔액을 읽어 들이고 이를 요금표시부로 표시하며, 이때 사용자가 키패드를 누르면 그 값을 MFC다이얼 신호발생기로 보내 DTMF(Dual Tone Multi Frequency)신호가 국선을 통하여 전화국의 교환기에 전달되어 사용자가 지정한 상대가입자와 연결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가게되는 것인바, 이때 공중전화기의 주제어부는 사용자가 누른 최초의 첫번째 내지 세번째 내지 세번째 숫자가 "1"인 경우에는 국제전화로 판정하고 첫번째 및 두번째 숫자가 "OX"( 단 X는 1-9까지임)인 경우에는 시외로 판정하며, 첫번째 숫자가 "1-9"인 경우에는 시내통화인 것으로 판정하여 교환기로부터 오는 과금(課金)신호에 따라 예를 들면 국제인 경우과금 신호당 1000원씩 카드의 잔액을 감액하고, 시외의 경우는 25원씩 카드의 잔액을 감액하며, 시내의 경우는 20원씩 카드의 잔액을 감액하도록 하였던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같은 카드식 공중전화기의 과금 체계는 사용자가 초깅 키패드를 누른 숫자에 따라 주제어부에서 국제 또는 시외나 시내 통화로 판정하여 1회당 감산액을 차등 적용하게 되는 것으로 되어 있고, 전화국의 교환기에서는 다만 규칙적인 과금 신호만을 보내 줌으로써 감산회수를 조절하여 주는 것으로 요약될수 있는 것이어서 도용 또는 기타 불순한 의도를 국제전화를 부정 사용할수 있는 맹점이 발견되는 것이다.
즉, 국제전화를 부정사용하고져 하는 경우에는 국제번호 "1"과 지역번호 "82"에 해당하는 DTMF신호를 녹음하여 두고 시외전화를 부정 사용하고져 하는 경우에는 지역번호인 "53"에 해당하는 DTMF신호를 녹음하여 두었다가 통화시에 핸드세트를 들고 전술한 바와같이 녹음된 DTMF신호를 재생시켜 줌으로써 핸드세트 및 통화회로부, 국선을 거쳐 교환기에 입력되게 하면 교환기는 현재의 통화상태가 국제 또는 시외 통화인 것으로 인식하게 되는 것이고, 이어서 나머지 전화번호 예를 들면"782-1689"를 키패드로 입력시키면 카드식 공중전화기의 주제어부는 이것이 시내통화용 전화번호인 것으로 인식하여 교환기로부터 공급되는 과금신호당 20원씩 카드의 잔액을 감액하도록 하는 것이어서, 결국 시내통화 요금만을 갖고 국제나 시외통화를 얼마든지 할수 있게 되는 것이고, 특히 최근에는 키패드를 사용하지 않고 전화번호를 입력시킬수 있는 휴대용 DTMF신호발생장치가 출현하고 있는바, 이 역시 전술한 바와같이 활용하면 국제나 시외전화를 시내전화요금만으로 얼마든지 도용할 수 있게 되며, 그 피해 금액은 공익사업자인 전기통신공사가 부담하게 되는 불합리함이 발생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같은 종래의 카드식 공중전화기가 안고 있는 불합리함을 제거하기 위하여 주제어부가 선로로 전송되는 신호를 키패드로 입력되는 숫자와 대비하여 불일치하는 경우에는 통화가 차단되도록 한것으로, 이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주제어부(1)와 키패드(2)및 카드리더부(3) 그리고 표시부(4)및 요금설정부(5)를 접속하고 주제어부(1)의 출력을 MFC다이얼 신호발생기(6)와 연결하며, 그 출력을 해드세트(7)과 함께 통화회로부(8)에 접속하고 그 출력을 국선(9), (9')과 주제어부(1) 사이에 차동층폭기(10)및 MFC신호변별기(11), 그리고 버퍼(12)를 설치 하여서된 것으로 미설명부호 13은 훅크스위치, 14는 링회로, 15는 과금검출회로이다.
이와같이된 본 고안은 먼저 핸드세트(7)를 들고 카드를 넣으면 훅크스위치(13)가 절환되면서 국선(9), (9')과 통화회로부(8)가 연결되고 또한 카드리더부(3)의 데이타가 입력되어 주제어부(1)는 잔액을 표시부(4)로 표시하게 되는 것인데, 이때 키패드(2)를 상대방 번호에 따라 눌러주면 주제어부(1)는 이를 인식하여 그 데이타를 MFC다이얼 신호발생기(6)에 인가함으로써 통화회로부(8)를 거쳐국선(9),(9')으로 DTMF신호를 출력시키게 되고 교환기는 이를 인지하여 상대방 전화국선과 연결시켜 주게 됨으로써 정상적인 통화가 이루어지는 것인바, 이때 특히 본 고안에서는 사용자가 초기에 누른 키패드(2)의 번호에 따른 DTMF신호가 국선(9),(9')을 통하여 교환기로 전달되는 한편 차동증폭기(10)에 입력되어 충분한 크기로 증폭된 후 다수의 낮은 주파수와 높은 주파수의 성분만 통과시키는 액티브필터(active filter)및 디코더로된 MFC신호 변결기(11)에서 해당DTMF신호에 상응하는 디지탈 값이 출력되고 이는 버퍼 (17)를 거쳐 주제어부(1)에 인가되는데, 이때 주제어부(1)는 미리 입력된 프로그램에 따라 종전의 사용자가 초기에 누른 키패드(2)의 번호와 버퍼(12)를 통하여 받은 신호를 대비하여 동일한 경우에는 훅크스위치(13)를 통화 가능상태로 두어 정상적인 통화가 이루어지도록 함과 동시에 초기에 누른 키패드의 번호에 의하여 국제나 시외 또는 시내통화인 것으로 판별하여 교환기에서 보내오는 과금펄스에 따라 카드리더부(3)에 삽입된 카드의 잔액을 감액하게 되는 것이나, 만일 주제어부(1)가 버퍼(12)를 통하여 받은 디지탈 값과 키패드(2)를 통하여 받은 디지탈 값이 다른 경우에는 부정 사용으로 간주하고 즉시 훅크스위치(13)를 일정시간동안 대기 상태로 절환시켜 사용자가 일체의 조작을 할수 없도록 하고, 일정시간이 경과된 후 활성상태로 하여 줌으로써 초기의 카드리더부(3)에 카드를 삽입시키고 핸드세트(7)를 들은 상태로 복귀시켜 정상적인 사용만이 가능하도록 되는 것이다. 즉 사용자가 부정한 국제나 시외통화를 하기 위하여 키패드(2)를 누르지 않고 전술한 바와같이 카드식 공중전화기의 맹점을 약용하기 위하여 국제전화인 경우 예를 들면 키패드(2)의 번호 "001 82"에 해당하는 녹음된 DTMF신호가 입력되게 하면 이는 통화회로부(8)를 지나 국선(9), (9')을 통하여 교환기에 가하여 짐으로써 교환기는 국제통화인 것으로 인식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국선(9), (9')에 인가된 DTMF신호는 차동증폭기(10)에서 증폭되고 MFC신호 변별기(11)에서 낮은 주파수와 높은 주파수로 구분되어 다수의 액티브필터에 가하여지므로 해당 액티브필터 2개는 DTMF신호를 통화시키게 되고 이는 디코더에 인가되어 예를 들면 낮은 주파수(fL)가 94Hz, 높은 주파수(fh)가 1336Hz라면 최종 출력값은 1010(키패드(2)의 값 0과 동일)이 되고 낮은 주파수가 697Hz이고, 높은 주파수(fh)가 1209Hz라면 최종출력값은 0001(키패드(2)의 값 1과 동일)이 되어 버퍼(12)를 통하여 출력되어 주제어부(1)에 입력되는데 현재 키패드(2)는 전혀 누르지 않은 상태이므로 주제어부(1)는 키패드(2)로 부터의 디지탈값과 버퍼(12)로 부터의 디지탈 값이 상이함을 인지하여 즉시 훅크스위치(13)를 대기 상태로 하는 것이고, 이러한 상태를 일정시간 지속시킨후 정상상태로 복귀시킴으로써 정상적인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며, 시외통화인 경우에는 상기한 경우와 마찬가지로 되어 부정 사용을 방지할수 있게 되는 것임은 물론이다.
이와같이하여 본 고안은 카드식 공중전화기의 맹점을 제거하여 국제나 시외전화의 부정사용을 완벽하게 방지할수 있게 되므로 카드식 공중전화기를 수익 부담의 원칙에 따라 합리적으로 운용할수 있게 되는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

  1. 키패드(2)및 카드리더부(3) 그리고 요금설정부(5) 및 표시부(4)를 주제어부(1)와 접속하고, 주제어부(1)의 출력으로 MFC다이얼 신호발생기(6)를 제어하며, MFC다이얼 신호발생기(6)의 출력을 핸드세트(7)와 함께 통화회로부(8)에 접속하고, 그 출력을 훅크스위치(13)및 국선(9), (9')에 연결하여서된 공지의 것에 있어서, 국선(9),(9')과 주제어부(1) 사이에 차동증폭기(10)및 신호변별기(11) 그리고 버퍼(12)를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식 공중전화기의 부정 국제 및 시외통화 방지장치.
KR2019880021163U 1988-12-21 1988-12-21 카드식 공중전화기의 부정 국제 및 시외통화방지장치 KR91000604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21163U KR910006044Y1 (ko) 1988-12-21 1988-12-21 카드식 공중전화기의 부정 국제 및 시외통화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21163U KR910006044Y1 (ko) 1988-12-21 1988-12-21 카드식 공중전화기의 부정 국제 및 시외통화방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3689U KR900013689U (ko) 1990-07-05
KR910006044Y1 true KR910006044Y1 (ko) 1991-08-16

Family

ID=192823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21163U KR910006044Y1 (ko) 1988-12-21 1988-12-21 카드식 공중전화기의 부정 국제 및 시외통화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604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3689U (ko) 1990-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99033A (en) Telephone security device
US4985913A (en) Multiple message answering machine keyed to the incoming phone number
US5349629A (en) Portable telephone with speed dialing
JPH05336271A (ja) 公衆電話機
JPH0215739A (ja) 前払い式データ通信システム
JPH02124677A (ja) 公衆電話機
US4482787A (en) Telephone-call prohibit circuit
KR910006044Y1 (ko) 카드식 공중전화기의 부정 국제 및 시외통화방지장치
JPH0348562A (ja) ダイヤルユニット
US3737576A (en) On-premise paystation adapter
JPS6329459B2 (ko)
JPS6356742B2 (ko)
SU1589422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ограничени вызовов
KR0141053B1 (ko) 대화형 텔레비젼 수상기의 통신보호장치
JP2794452B2 (ja) 自動ダイヤル発信器
KR0150084B1 (ko) 전화요금을 표시하는 전화기
JPS634983B2 (ko)
US4873721A (en) Device for starting charging in a pay phone
KR0119195B1 (ko) 공중전화기의 카드 데이타 백업 방법
JP2920777B2 (ja) 公衆電話機
JP2932024B2 (ja) 公衆電話システム
JP2946981B2 (ja) 公衆電話システム
JPH04354461A (ja) ファクシミリ装置
JPH0522477A (ja) 公衆電話機
JPH02230851A (ja) ワンタッチダイヤル/短縮番号ダイヤル機能付き電話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