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5949B1 - 광섬유를 연결하기 위한 플러그 및 플러그에 광섬유를 고정시키는 방법 - Google Patents

광섬유를 연결하기 위한 플러그 및 플러그에 광섬유를 고정시키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5949B1
KR910005949B1 KR1019880013376A KR880013376A KR910005949B1 KR 910005949 B1 KR910005949 B1 KR 910005949B1 KR 1019880013376 A KR1019880013376 A KR 1019880013376A KR 880013376 A KR880013376 A KR 880013376A KR 910005949 B1 KR910005949 B1 KR 9100059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fiber
plug
fixing pin
plug body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133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6800A (ko
Inventor
단 박
김경복
유석준
Original Assignee
금성전선 주식회사
문 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성전선 주식회사, 문 박 filed Critical 금성전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8800133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5949B1/ko
Publication of KR9000068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68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59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59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69Mounting ferrules to connector body, i.e. plu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87Anchoring optical cables to connector housings, e.g. strain relief features
    • G02B6/3888Protection from over-extension or over-compress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chanical Coupling Of Light Guid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광섬유를 연결하기 위한 플러그 및 플러그에 광섬유를 고정시키는 방법
제1도는 본 발명의 분해사시도.
제2a, 2b도는 본 발명 플러그에 광섬유가 조립된 상태의 측단면 구성도로서,
제2a도는 직경이 큰 광섬유가 조립된 상태의 측단면 구성도.
제2b도는 직경이 작은 광섬유가 조립된 상태의 측단면 구성도.
제3a, 3b도는 본 발명 플러그에 광섬유가 조립된 상태의 평단면 구성도로서,
제3a도는 직경이 큰 광섬유가 조립된 상태의 평단면 구성도.
제3b도는 직경이 작은 광섬유가 조립된 상태의 평단면 구성도.
제4도는 또 다른 상태 플러그의 사시도.
제5도는 종래 플러그의 사시도.
제6a, 6b도는 제5도의 측단면 구성도로서,
제6a도는 조립전,
제6b도는 조립후.
제7도는 종래 또 다른 종류 플러그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콘넥터 리셉타클 6 : 플러그몸체
8 : 공간부 10 : 플랜지
13 : 고정핀 14, 14' : 지지각
15 : 지지편 17, 17' : 훅크편
18 : 콘넥터
본 발명은 광신호 전송장치인 송신기와 수신기를 상호연결함에 있어서, 그 광섬유를 연결하기 위한 플러그 및 그 플러그에 광섬유를 고정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프라스틱 광섬유코아의 단말을 처리하고 수발광소자와의 정열을 돕는 플러그에 광섬유를 직경에 관계없이 가변하여 플러그에 고정시키려는 것이다.
상기한 기능을 행하는 종래의 플러그 및 플러그에 광섬유를 고정시키기 위한 방법으로서는 두가지 형태와 방법이 제안사용되어 왔는바, 이를 제5도와 관련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통상의 회로기판(41)상에 장착된 콘넥터 리셉타클(30)에 결합되는 플러그(31)의 상면에 공간부(32)를 형성하되, 공간부(32)의 4귀에는 안내홈(33)을 요설되게 하였으며, 후측에는 광섬유(34)가 관통되는 홀(35)을 천공하고, 좌,우측에는 록커(36)가 일체로 돌설되게 한 것으로, 이 공간부(32)내로 4개의 지지핀(37)을 일체화하고 반원형 접촉면(38)을 형성한 고정핀(39)을 삽입하되, 지지편(37)이 안내홈(33)에 끼워지면서 반원형 접촉면(38)이 홀(35)을 관통한 광섬유(34)의 피복층(40)에 접촉되고 지지편(37)을 타발하여 된 탄편(41)이 공간부(32) 내벽에 탄삽되면서 고정핀(39)이 공간부(32)내에서 탈락됨이 없게되는 것이고, 고정핀(39)의 반원형 접촉면(38)은 광섬유(34)의 피복층(40)에 접촉됨과 동시에 4개의 지지편(37)이 피복층(40)을 파고 들어가면서 광섬유(34)를 플러그(31)내에 견고하게 고정되게 하는 것으로 이러한 구성의 플러그(31)를 회로기판(41)상의 콘넥터 리셉타클(30)에 결합되게 하여 양측록커(36)에 의해 빠지지 않게하므로서 콘넥터가 구성되는 것이고, 전술한 방법에 의하여 광섬유(34)를 플러그(31)내에 고정되게 하는 방법이 그 첫째방법인 것이며. 또 다른 구성의 플러그(50) 및 그 플러그(50)에 광섬유(51)를 고정시키기 위한 방법은 제7도에서와 같이 상면은 밀폐되고, 후측 및 좌,우측에 홀(52) 및 록커(53)를 일체로 형성한 플러그(50)의 홀(52)에 광섬유(51)를 관통되게하되 홀(52)과 대응된 축에서 금속링(55)을 끼워 클램핑(clamping)시키므로서 고정되게 하는 방법이 두번째 방법인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방법은 모두 광섬유의 직경에 따라 고정핀 및 금속링의 치수를 각기 달리하여야 하고, 광섬유의 직경에 따라 거기에 맞는 치수의 고정핀 및 금속링을 일일이 찾아 사용하여야 하므로 사용상의 번거로움이 따르게 되었고, 광섬유의 직경에 맞는 고정핀 및 금속링을 모두 구비하여야 함에 따른 경제적인 손실 또한 경시할 수 없는 것이었다.
특히, 양자모두 고정시키는 방법상에서 광섬유의 피복층을 파고 들어가야 하므로 잘못하면 프라스틱 광섬유 코아부에 치명적이니 손상을 입히게 되어 광섬유 특유의 기능을 상실시키게 되는 등 여러 가지 문제점이 발생되는 것이었다.
상기한 제반사안을 고려한 본 발명의 주목적은 광섬유의 직경에 관계없이 하나의 고정핀으로 가변하여 광섬유를 플러그에 고정되게 하려는 것이고, 또 다른 목적은 광섬유의 피복층을 파고 들지않고 주면상에 압착되게 하므로서 프라스틱 광섬유 코아에 손상을 입히지 않게 하려는 플러그 및 그 플러그에 광섬유를 고정되게 하는 방법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과 관련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로서 회로기판(1)에 장착된 콘넥터 리셉타클(2)은 넥크(Neck)부(3)와 걸림턱(4)이 형성되어 있어 케이스(5)에 용이하게 부착되도록 하였으며, 콘넥터 리셉타클(2)에 조립되는 플러그몸체(6)는 그 상면(7)에 공간부(8)를 형성하고, 상, 하부로는 보강편(9)(9')을 일체화되게하되, 후단부로는 플랜지(10)의 주면상에는 홀(11)을 천공되게 하고 후단부와 대향되는 선단부의 좌,우측에는 록커(12)를 일체화되게 한 것이다.
전술한 공간부(8)에는 고정핀(13)을 삽입되게하되, 고정핀(13) 좌,우측으로는 지지각(14)(14')을 일체화시켜 4귀를 절곡되게 하므로서 지지편(15)을 형성되게 하고 지지편(15) 자체는 탄성을 부여받음으로서 절곡부위(16)를 힌지점으로 휨발생이 가능토록 한 것이며 지지각(14)(14')면의 중심부위는 타발하여 외측으로 훅크편(17)(17')이 돌출되게 한 것이고, 콘넥터 리셉타클(2)과 플러그몸체(6)는 서로 한조로 구비 조립되면서 콘넥터(18)를 구성되게 한 것으로, 미설명부호(19)는 광섬유, (20)은 광섬유 피복층, (21)은 프라스틱 광섬유 코아, (22)는 수발광소자이다.
이상은 본 발명의 플러그가 콘넥터 리셉타클과 결합된 콘넥터구성을 설명한 것이며 이러한 구성중 플러그에 광섬유를 고정시키기 위한 방법인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플러그몸체(6)의 후단부 플랜지(10)면에 천공된 홀(11)에 광섬유(19)를 관통시켜 광섬유(19) 중앙에 매설된 광섬유코아(21)가 플러그몸체(6)선단의 수발광소자(22)부와 일정 간격을 두고 정열되게한 후, 플러그몸체(6)의 공간부(8)내로 고정핀(13)을 삽입하되, 고정핀(13)의 양측지지각(14)(14')저단이 플러그몸체(6)의 저부와 일치하게되면, 고정핀(13)양측의 훅크편(17)(17')이 공간부(8) 내벽에 탄지되어지면서 광섬유(19)는 4귀의 지지편(15) 날부가 광섬유(19)의 피복측(20)에 압착되어짐과 동시에 양측훅크편(17)(17')에 의해 광섬유(19)의 피복층(20)을 더욱 압착하게 되는 것이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의 콘넥터(18)는 콘넥터 리셉타클(2)과 플러그몸체(6)가 한조로 구비되어지되, 회로기판(1)상에 정착되어지는 콘넥터 리셉타클(2)은 넥크(Neck)부(3)와 결림턱(4)이 케이스(5)의 주벽상에 결합되므로서, 케이스(5)에 적용하기 쉬운것이고, 광섬유(19)를 고정시키는 고정핀(13)의 지지편(15)은 광섬유(19) 직경변화에 따라 지지편(15)(15')의 각도를 절곡부위(16)를 중심으로 적절히 휘게하는 것인바, 제2도 및 제3a도에서와 같이 큰 광섬유(19)를 고정시에는 지지편(15)의 각도가 ∠A°을 유지하면서, 지지편(15)의 날부가 광섬유(19)의 피복층(20)을 압착하게 되는 것이고, 지지편(15)이 피복층(20)을 파고들지않고 지지편(15)자체의 탄성에 의한 압착력과 훅크편(17)(17')에 의한 압착력으로 광섬유(19)를 플러그몸체(6)내에서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것이며, 이같은 상태시에 인위적인 힘을 가하여 외부에서 광섬유를 잡아 빼더라도 지지편(15)의 날부가 피복층(20)을 약간 파고들게 되므로서, 고정핀(13)을 플러그몸체(6)의 공간부(8) 상에서 탈리시키지 않는한 광섬유(19)는 플러그몸체(6)상에서 탈락되지 않는 것이다.
이때 광섬유(19)의 피복층(20)을 파고드는 지지편(15)의 날부는 피복층(20)에 살짝 박힘으로 중앙에 매설된 프라스틱 광섬유 코아(21)부에는 전혀 영향이 미치지 않는 것이고, 제2도 및 제3b도에서와 같이 직경이 작은 광섬유(19)를 고정시에는 지지편(15)의 각도를 ∠B°만큼 크게 조절하므로써 지지편(15)의 날부가 피복층(20)을 압착하게 되는 것이며, 또한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이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제4도에서와 같이 플러그몸체의 내부구성을 복식구조로 하여 사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탁월한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의하면 광섬유 직경의 대,소에 관계없이 하나의 고정핀만으로 간편히 광섬유를 고정되게 하므로써, 종래의 각기 다른 크기의 광섬유 직경에 맞는 고정핀 및 금속링을 일일이 구비하여야 하는 폐단을 완전 배제시킴과 동시에 사용상의 번거로움 또한 해소되게 한 것이며 경제성에서도 호환성이 있게 한 것이고, 특히, 광섬유에서 가장 중추적인 역할을 행하는 프라스틱 광섬유 코아에 전혀 악영향을 미치지 않으므로 광섬유의 기능을 완벽하게 수행해내는 등 본 발명에 의해 달성되는 효과가 매우 큰 것이다.

Claims (2)

  1. 회로기판(1)상에 장착되는 콘넥터 리셉타클(2)에 조립되는 플러그몸체(6)의 상면(7)에 공간부(8)를 형성하며, 공간부(8)의 상, 하부로는 보강편(9)(9')을 일페화시키되, 후단부로는 플랜지(10)를 형성하여 주면상에 홀(11)을 천공되게 하였으며, 후단부와 대응되는 선단부의 좌,우측에는 록커(12)를 일체화되게 하고 상기 공간부(8)로는 고정핀(13)을 삽입되게하되 고정핀(13) 좌,우측으로 지지각(14)(14')을 일체화하고 4귀를 절곡하여 지지편(15)을 형성하는 한편, 지지편(15)자체는 탄성을 부여받도록 하여 절곡부위(16)를 힌지점으로 휨발생이 가능토록하고 지지각(14)(14')면의 중심부위는 타발하여 외측으로 훅크편(17)(17')을 돌출토록 구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를 연결하기 위한 플러그.
  2. 플러그몸체(6)의 플랜지(10)면에 천공시킨 홀(11)에 광섬유(19)를 관통시켜 광섬유(19) 중앙에 매설된 광섬유 코아(21)가 플러그몸체(6) 선단의 수발광소자(22)부와 일정 간격을 두고 정열되게한 후, 흘러그몸체(6)의 공간부(8)내로 고정핀(13)을 삽입하되, 고정핀(13)의 양측지지각(14)(14') 저단이 플러그몸체(6)의 저부와 일치토록하고 고정핀(13)양측의 훅크편(17)(17')을 공간부(8)내벽에 탄지시키는 한편, 피복층(20)에 상기 고정핀(13) 4귀의 지지편(15)날부가 압착되게 하되, 양측훅크편(17)(17')에 의해 광섬유(19)의 피복층(20)을 더욱 압착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에 광섬유를 고정시키는 방법.
KR1019880013376A 1988-10-13 1988-10-13 광섬유를 연결하기 위한 플러그 및 플러그에 광섬유를 고정시키는 방법 KR9100059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80013376A KR910005949B1 (ko) 1988-10-13 1988-10-13 광섬유를 연결하기 위한 플러그 및 플러그에 광섬유를 고정시키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80013376A KR910005949B1 (ko) 1988-10-13 1988-10-13 광섬유를 연결하기 위한 플러그 및 플러그에 광섬유를 고정시키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6800A KR900006800A (ko) 1990-05-08
KR910005949B1 true KR910005949B1 (ko) 1991-08-09

Family

ID=192784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13376A KR910005949B1 (ko) 1988-10-13 1988-10-13 광섬유를 연결하기 위한 플러그 및 플러그에 광섬유를 고정시키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594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4782B1 (ko) * 2002-06-28 2006-01-23 주식회사 케이티 플라스틱 광 케이블용 커넥터
KR100570421B1 (ko) * 2002-09-30 2006-04-11 주식회사 케이티 플라스틱 광 케이블용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6800A (ko) 1990-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40365A (en) Fiber optic cable connector housing
EP0213672A2 (en) Multifiber optical cable connector
US4477022A (en) Polarizing and latch arrangement for an electrical connector
TW333616B (en) Bare fiber connector
US4605281A (en) Self-aligning fiber optic connector
JPS59103287A (ja) 防水型電気コネクタ
KR920010322A (ko) 인터로킹 스트레인 릴리프(Interlocking Strain Relief)
EP0201748A2 (en) Connector for a fiber optic cable
JPS646441B2 (ko)
KR910005949B1 (ko) 광섬유를 연결하기 위한 플러그 및 플러그에 광섬유를 고정시키는 방법
EP0126629A3 (en) Strap assembly
KR100278956B1 (ko) 광섬유 커넥터
JPH01169416A (ja) 光伝送モジュール
EP1199585A3 (en) Optical connector device
KR940018676A (ko) 광섬유 커넥터
US5800199A (en) Connector alignment guide
KR970018857A (ko) 가동 커넥터의 위치결정 장치 및 방법
JPS62159108A (ja) 光フアイバ用コネクタ
KR930011822B1 (ko) 파이버 광 탭 커넥터 및 방법
SE9701833D0 (sv) Optokapsel med kontaktdon
CN214154625U (zh) 摄像头座子固定结构及主板
KR810001582Y1 (ko) 플 러 그
KR200217607Y1 (ko) 조립식 광 커넥터
JPS60128305U (ja) 光フアイバコネクタ
KR20010007145A (ko) 커넥터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701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