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5472B1 - 버튼전화장치 - Google Patents

버튼전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5472B1
KR910005472B1 KR1019880011839A KR880011839A KR910005472B1 KR 910005472 B1 KR910005472 B1 KR 910005472B1 KR 1019880011839 A KR1019880011839 A KR 1019880011839A KR 880011839 A KR880011839 A KR 880011839A KR 910005472 B1 KR910005472 B1 KR 9100054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device
data
terminal
line
identification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118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6024A (ko
Inventor
야스노부 나카야마
야스지 사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아오이 죠이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아오이 죠이치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8900060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60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54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54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9/00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not involving centralised switching
    • H04M9/002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not involving centralised switching with subscriber controlled access to a line, i.e. key telephone systems
    • H04M9/003Transmission of control signals from or to the key telephone set; signalling equipment at key telephone set, e.g. keyboard or display equip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00Details of selecting apparatus or arrangements
    • H04Q1/18Electrical details
    • H04Q1/30Signalling arrangements; Manipulation of signalling currents
    • H04Q1/44Signalling arrangements; Manipulation of signalling currents using alternate current
    • H04Q1/442Signalling arrangements; Manipulation of signalling currents using alternate current with out-of-voice band signalling frequenc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ub-Exchange Stations And Push- Button Telephone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버튼전화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버튼전화장치의 블록도.
제2도는 데이터선상의 데이터와 통화선상의 식별신호간의 관계를 나타낸 타이밍차아트.
제3도는 종래의 버튼 전화장치의 블록도.
제4도는 종래의 다른 버튼전화장치의 블록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2 : 국선 3 : 주장치
4, 5 : 단말장치 6 : 음성변환부
7 : 톤발진기 8, 9, 20 : 데이터 인터페이스
10, 31 : 접속라인 11 : 통화선
12 : 데이터선 22, 23 : 번호지정스위치
30 : 발진기 40 : 동기데이터
41 : 공통데이터 42, 43 : 단말장치정보
44 : 식별신호
[적용분야]
본 발명은 버튼전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버튼전화주장치(이하, 주장치라 기재함)와 버튼전화단말장치(이하, 단말장치라 기재함)간의 데이터를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된 버튼전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및 그 문제점]
제3도 및 제4도에는 종래의 버튼전화장치가 도시되어 있는바, 각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표기하였다.
각 도면에 도시된 종래의 버튼전화장치에 있어서는 주장치(3)에 복수의 단말장치(4,5)가 접속되어 있고, 상기 주장치(3)내에는 전화국측으로 연결된 복수의 국선(1,2)과 접속되는 음성변환부(6)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주장치(3)와 각 단말장치(4,5)는 각각 1쌍의 통화선(11)과 1쌍의 데이터선(12)을 매개하여 접속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기 통화선(11)은 주장치(3)와 단말장치(4,5) 사이에서 음성신호를 전송하는 것이고, 상기 데이터선(12)은 주장치(3)와 단말장치(4,5) 사이에서 국선의 사용상태표시 등에 사용되는 발광다이오드의 점등데이터 등을 전송하는 것이다. 그리고 통화선(11)은 주장치(3)내부의 음성변환부(6)에 각각 접속되어 있고, 상기 음성변환부(6)에는 내선의 다이얼톤을 발생시키는데에 사용되는 톤발진기(7)가 접속되어 있다.
제3도에 도시된 종래의 버튼전화장치에 있어서는 주장치(3)내에 단말장치(4,5)에 대응되는 수효의 데이터 인터페이스(8,9)가 설치되어 있고, 각 단말장치(4,5)는 1쌍의 데이터선(12)을 매개하여 대응되는 데이터 인터페이스(8,9)에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제3도처럼 단말장치(4)와 국선(2)간의 통화를 위해 그 단말장치(4)의 통화선(11)과 국선(2)이 음성변환부(6)에서 접속라인(10)에 의해 접속되면, 단말장치(4)와 데이터 인터페이스(8)간에 데이터선(12)을 통해 데이터가 전송되고, 각 단말장치(4,5)에는 국선(2)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점등표시가 있게되며, 당해 단말장치(4)에는 다이얼번호가 표시되게 된다. 이러한 제3도의 종래장치에서는 각 단말장치(4,5)에 대응되는 전용의 데이터 인터페이스(8,9)가 필요하게 되어 있다.
한편, 제4도에 도시된 종래의 버튼전화장치에 있어서는 각 단말장치(4,5)가 데이터선(12)을 매개하여 1개의 데이터 인터페이스(20)에 접속된 구성으로 되어, 데이터 인터페이스의 수효를 삭감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버튼전화장치에서는 시분할방식에 의거 데이터 인터페이스(20)로부터 각 단말장치(4,5)로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제어를 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각 단말장치(4,5)에서는 시분할방식에 의해 전송된 데이터로부터 당해 단말장치(4,5)로 송신된 정보를 추출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각 단말장치(4,5)에는 번호지정스위치(22,23)가 설치되어 있는바, 이 번호지정스위치(22,23)에 의해 각 단말장치(4,5) 특유의 단말번호가 설정된다. 따라서 버튼전화장치를 설치할 때에는 단말번호가 중복되지 않도록 설정할 필요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처럼, 제3도에 도시된 종래의 버튼전화장치에 있어서는 단말장치마다 전용의 데이터 인터페이스가 필요한 문제점이 있었고, 제4도에 도시된 종래의 버튼전화장치에 있어서는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1개만 설치하면 되지만 각 단말장치를 구별하기 위해 각 단말장치에다 번호지정스위치를 더 부가시킬 필요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발명의 목적]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고려하여 발명된 것으로, 소수의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면서 각 단말장치에 번호지정스위치를 설치할 필요가 없는 버튼전화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에 목적이 있다.
[발명의 구성]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주장치와 복수의 단말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주장치와 각 단말장치를 통화신호전송용 통화선과 데이터전송용 데이터선으로 접속시킨 버튼전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주장치에 선택되어진 단말장치의 통화선을 통해 소정의 식별신호를 전송하는 식별신호 출력수단을 설치하고, 상기 주장치로부터 복수의 단말장치의 데이터선을 통해서 각 단말장치로 각각의 단말장치정보를 전송하도록 하며, 각 단말장치는 상기 통화선을 통해서 전송된 식별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선을 통해 전송되는 단말장치정보로부터 자신의 단말장치정보를 추출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 전화장치에 의해 달성되게 된다.
[작용]
상기한 것처럼 구성된 본 발명에서는 각 단말장치가 통화선으로부터 입력된 식별신호에 기초하여 자신에 관한 단말장치정보를 추출해내게 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버튼전화장치의 블록 구성도이고, 제2도는 데이터와 식별신호간의 대응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차아트로서, 본 실시예의 버튼전화장치는 주장치(3)와 단말장치(4,5)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주장치(3)는 전화국측으로 연결된 복수의 국선(1,2)과 접속되는 음성변환부(6)와 내선의 다이얼톤을 발생시키는데에 사용되는 톤발진기(7), 데이터 인터페이스(20) 및 발진기(30)를 구비하여 구성돼 있다. 여기에서 상기 음성변환부(6)는 통화선(11)을 매개하여 복수의 단말장치(4,5)에 접속되고 있고, 데이터 인터페이스(20)는 1개만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각 단말장치(4,5)는 각각 데이터선(12)을 매개하여 데이터 인터페이스(20)와도 접속되고 있다. 이로써 단말장치(4,5)와 데이터 인터페이스(20)간에 데이터가 전송되게 된다.
한편, 상기 발진기(30)는 음성변환부(6)에 접속되어 식별신호를 발진시키는 것으로서, 이 발진기(30)는 음성변환부(6)와 통화선(11)을 매개하여 각 단말장치(4,5)에도 접속되는 것이다. 이로써 발진기(30)에서 발진되는 식별신호는 통화선(11)을 거쳐서 단말장치(4,5)로 입력되도록 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기 식별신호는 통화선(11)을 거쳐서 단말장치(4, 5)로 입력되기 때문에, 그 식별신호입력시 통화에 지장을 주는 경우를 배제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발진기(30)로는 예컨대 50KHz 정도로 가청주파수대를 벗어난 고주파를 출력하는 발진기가 바람직하다.
상기한 특성이 있는 실시예에서 데이터 인터페이스(20)로부터 데이터선(12)을 거쳐서 단말장치(4,5)로 전송되는 데이터로는 예컨대 제2a도의 타이밍차아트에 나타낸 구조의 데이터를 사용하게 된다. 즉, 데이터는 동기데이터(40; SNC)와 공통데이터(41; CD) 및 어떤 단말장치에 대한 개별 단말장치정보(42,43; PD)가 차례로 반복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기 공통데이터(41)는 모든 단말장치에 공통적인 통화, 착신보류 등과 같은 국선의 상태정보이고, 상기 단말장치정보(42,43)는 각 단말장치(45)에 관한 국선 사용시간이나 호출신호 등과 같은 정보이다.
예컨대 단말장치정보(42)가 단말장치(4)에 관한 개별정보이고, 단말장치정보(43)가 상기 단말장치(4) 이외의 단말장치(5)에 관한 개별정보라면, 단말장치(4)에는 단말장치정보(43)가 불필요한 대신 단말장치정보(42)가 필요하게 되고, 단말장치(5)에는 단말장치정보(42)가 불필요한 대신 단말장치정보(43)가 필요하게 된다. 제2b도는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데이터로부터 각 단말장치가 필요로 하는 단말장치정보만을 추출하기 위한 식별신호(44)를 나타낸 것으로, 이 식별신호(44)는 발진기(30)로부터 통화선(11)을 거쳐서 단말장치(4,5)로 입력되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는 본 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한다.
단말장치(4)가 국선(2)을 사용하는 경우, 음성변환부(6)는 접속라인(10)으로 단말장치(4)의 통화선(11)과 국선(2)을 접속시킴과 더불어, 접속라인(31)으로 단말장치(4)의 통화선(11)과 발진기(30)을 접속시킨다. 한편, 데이터 인터페이스(20)로부터는 제2a도에 나타낸 데이터가 데이터선(12)을 통해 모든 단말장치(4,5)로 전송된다. 또한, 발진기(30)로부터는 제2b도에 나타낸 식별신호(44)가 통화선(11)을 통해서 선택 되어진 단말장치(4)로 전송된다. 이 식별신호(44)는 예컨대 제2b도에 나타낸 것처럼 단말장치(4)가 필요로 하는 단말장치정보(42)의 기간만큼 발생되는바, 이로써 단말장치(4)는 통화선(11)상의 식별신호(44)에 기초하여 데이터선(12)상의 단말장치정보(42)를 자신의 데이터로 추출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단말장치(4)의 통화선(11)에는 단말장치정보(43)의 기간에 식별신호(44)가 발생되지 않으므로, 단말장치(4)는 단말장치정보(43)가 자신의 단말장치정보가 아니라는 것을 알게 된다. 따라서 통화선(11)을 통해서 식별신호(44)를 입력시킴으로써 데이터 인터페이스(20)에서 전송되는 데이터로부터 각 단말장치(4,5)가 필요로 하는 개별정보만을 추출해낼 수 있게 되어, 데이터 인터페이스(20)를 단말장치(4,5)의 수효만큼 설치할 필요가 없게됨과 더불어 단말장치(4,5)내에 번호지정스위치를 설치할 필요도 없게 되는바, 이로써 장치전체를 간소화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고 여러가지로 변형실시할 수 있는 것으로서, 예컨대 최초에 통화선으로 식별신호를 전송할때 데이터선으로 단말장치의 어드레스를 전송하고, 그 어드레스를 단말장치의 내부에 설치된 RAM에 기억시켜 놓음으로써 각 단말장치에 대한 어드레스 자동설정에 적용시켜도 좋다. 그렇게하여 각 단말장치에 어드레스를 한번 설정해 놓으면, 그 후에는 단말장치정보의 선두번지에 단말장치의 어드레스를 부가함으로써 단말장치정보를 전송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식별신호를 발진시키는 것은 최초 1회만으로 충분하고 그 후에는 자동적으로 자신의 단말장치정보를 추출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는 특히 통화중에 많은 단말장치정보를 전송하는 경우에 유용한 것으로서, 국선사용표시를 하는 발광다이오드 등에 노이즈의 영향이 끼쳐지지 않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단말장치정보가 출력되고 있는 기간중 계속해서 식별신호를 전송하도록 되어 있는데, 이와 달리 단말장치정보와의 관계를 알게 되면 그 단말장치정보의 선두기간에만 식별신호를 출력하도록 해도 좋고, 공통데이터의 기간중에 식별신호를 출력하고 다음에 계속되는 단말장치정보를 나타내도록 해도 된다.
[발명의 효과]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하면, 통화선상에 입력시킨 식별신호로 데이터선상의 데이터중 필요한 단말장치정보를 추출하도록 했으므로, 소수의 데이터 인터페이스로도 단말장치를 확실하게 작동시킬 수 있으며 각 단말장치에 번호지정스위치를 설치할 필요도 없어지게 된다.

Claims (2)

  1. 주장치(3)와 복수의 단말장치(4,5)를 구비하고, 통화신호전송용의 통화선(11)과 데이터전송용의 데이터선(12)에 의해 상기 주장치(3)와 상기 각 단말장치(4,5)가 접속되도록 구성된 버튼전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주장치(3)내에 소정의 식별신호를 선택되어진 단말장치의 통화선(11)으로 전송하는 식별신호 출력수단(30)을 설치하고, 상기 주장치(3)로부터 상기 복수의 단말장치(4,5)의 데이터선(12)으로 단말장치 각각의 단말장치정보를 전송하도록 하며, 상기 각 단말장치(4,5)가 상기 통화선(11)을 통해서 전송되는 식별신호에 기초해서 데이터선(12)으로 전송되는 상기 단말장치정보중에서 자신의 단말장치정보를 추출하도록 구성된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전화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신호 출력수단(30)이 가청주파수대를 벗어난 주파수의 식별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전화장치.
KR1019880011839A 1987-09-24 1988-09-14 버튼전화장치 KR9100054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7-239585 1987-09-24
JP62239585A JPS6481594A (en) 1987-09-24 1987-09-24 Key telephone set
JP62-239585 1987-09-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6024A KR890006024A (ko) 1989-05-18
KR910005472B1 true KR910005472B1 (ko) 1991-07-29

Family

ID=170469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11839A KR910005472B1 (ko) 1987-09-24 1988-09-14 버튼전화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4932043A (ko)
JP (1) JPS6481594A (ko)
KR (1) KR910005472B1 (ko)
CA (1) CA1288185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059883C (en) * 1991-01-24 1995-08-08 Isaku Komuro Key telephone system provided with telephone sets connectable to add-on modules
CA2068009C (en) * 1991-08-19 1998-05-19 Richard Norman Ames System for decentralizing uplink network control and minimizing overhead in radio frequency data communications network
DE19507866C2 (de) * 1995-03-08 1997-08-07 Philips Patentverwaltung Mobilfunkübertragungssystem mit integrierter Meßeinrichtung zum Ausmessen des Funkversorgungsbereich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1018270A (en) * 1972-05-23 1977-09-27 Federico R. Laliccia Key telephone system using time division and space division control
JPS58195393A (ja) * 1982-05-10 1983-11-14 Nec Corp ボタン電話装置
JPS58213597A (ja) * 1982-06-05 1983-12-12 Nitsuko Ltd ボタン電話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S6481594A (en) 1989-03-27
KR890006024A (ko) 1989-05-18
US4932043A (en) 1990-06-05
CA1288185C (en) 1991-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39723A (ko) 휴대용 전화기 및 표시 어댑터
KR960043614A (ko) 이동 무선전화기의 발신 방법
KR910005472B1 (ko) 버튼전화장치
KR19980082804A (ko) 114전화 자동안내 기능에 적용되는 문자 송/수신 제어 처리 방법
KR0132363B1 (ko) 이중음 다주파 톤(DTMF tone)을 이용한 문자 데이터 송수신 장치
US7113583B2 (en) Telephone and private branch exchange
KR0133866B1 (ko) 전화용 반도체 집적 회로
JPS6347197B2 (ko)
KR100226473B1 (ko) 전화기의 메모리장치
KR920005012B1 (ko) 시험장치를 이용한 범용신호 송수신 회로팩의 신호서비스 기능 테스트 방법
JPS5634270A (en) Connection system between main units in key telephone set
KR19990016768A (ko) 전화기에서 디티엠에프를 이용한 문자정보 서비스방법
KR100266382B1 (ko) 교환기의원격모니터링장치
KR960040039A (ko) 디지탈 이동통신 교환기 (msc)의 가청 톤 전용 신호 서비스 장치 및 방법
KR920002213B1 (ko) 전자식 사설교환 시스템을 이용한 포켓벨 시스템 중계방법
KR840006580A (ko) 전화 전송원 식별 방법 및 장치
KR890001902B1 (ko) 무선송수신기용 고유번호 발생장치
KR960027985A (ko) 키폰시스템의 발신자 정보 수신장치
KR19980015957A (ko) 전자수첩에 의한 다이얼링 방법
SU1270906A1 (ru) Устройство идентификации абонента
KR100251958B1 (ko) 다이얼 방식 자동설정방법
KR940013026A (ko) 디지탈 전화기의 시험 회로
KR970019308A (ko) 송신기를 이용한 다이얼링 장치 및 방법
KR950002291A (ko) 디지탈 전송방식
JPH0557790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62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