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5166Y1 - 파이프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파이프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5166Y1
KR910005166Y1 KR2019890002848U KR890002848U KR910005166Y1 KR 910005166 Y1 KR910005166 Y1 KR 910005166Y1 KR 2019890002848 U KR2019890002848 U KR 2019890002848U KR 890002848 U KR890002848 U KR 890002848U KR 910005166 Y1 KR910005166 Y1 KR 91000516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binding ring
present
ring holder
peripheral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900028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7304U (ko
Inventor
신상만
Original Assignee
신상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상만 filed Critical 신상만
Priority to KR2019890002848U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5166Y1/ko
Publication of KR90001730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730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516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5166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1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using hooks, pawls or other movable or insertable locking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8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dditional lock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파이프 연결장치
제 1 도는 본 고안의 일부횡단면도.
제 2 도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제 3 도는 본 고안에 있어서 일측 파이프로부터 타측파이프를 이탈시킨 상태의 단면도.
제 4 도는 본 고안의 요부 단면도.
제 5 도는 제 4 도의 측면도.
제 6 도는 본 고안의 타실시예를 보인 일부횡단면도.
본 고안은 파이프와 파이프를 연결함에 있어 간단하고도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함과 동시에, 해체가 용이하도록 하는 자동차에 있어서의 배관, 특히, 히터물배관, 연료배관, 에어콘냉매배관등에 사용되는 파이프 연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자동차 배관등의 파이프 연결장치에 있어서는 암나사가 형성된 연결구에 숫나사가 형성된 파이프를 나사조립 시키는 것이었기 때문에, 파이프나 연결구등의 일단부 또는 양단부에 나사를 형성하지 않으면 결합이 불가능하고, 자동차의 배관 고장시 또는 배관조립시 시간이 장시간 필요로 하는 결함이 지적되고 있다.
그리고, 공개된 일본특허 공개소 58-187189호 "관계수"가 출현된 바 있으나, 이 경우에는 바같측에 덮개를 접합부 외측홈에 끼우고 파이프를 코렛트 내측방향으로 밀어넣어 파이프를 연결하고 있다. 그러나 이경우에는 별도의 덮개조작에 의하여 파이프를 결착시키게 되므로 본고안에서 적용시키고자하는 자동차내에 있어서의 배관작업시에는 그 작업이 매우 불편하고, 번거로운 점이 지적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결합을 해소하기 위하여 파이프에 파이프의 일단을 끼워 걸리도록 견고하고도 간단하게 끼울 수 있도록 하고, 해체가 용이하도록 하는 것으로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일측의 파이프(1) 외주면에, 내주면에 경사부(2')를 갖는 결착링 홀더(2)를 용착하고, 이 결착링홀더(2)내의 공간부(2")에 절결요홈(3')이 수개형성된 결착링(3)을 끼우되, 결착링(3)의 내척 주연부에 돌턱(3")을 형성하고, 타측의 파이프(4) 일단에 걸림돌턱(4') 및 경사부(4")를 형성시켜 상기 파이프(4)의 걸림돌턱(4')이 결착링(3)의 돌턱(3")에 걸리도록 하여서된 것이다.
상기에 있어서, 결착링홀더(2)의 일단단부(2'")와 타측의 파이프(4)의 외주면 사이에는 간극(D)을 형성시킨다.
그리고, 상기 타측파이프(4)의 일단에 경사부(4")를 형성하지 않고, 별도의 돌출환테(4'")를 형성하여 이 돌출환테(4'")가 결착링(3)의 돌턱(3")에 걸릴수 있도록 할수 있다.(제 6 도 참조)
이때에는 결착링홀더(2)의 일측단부(2'")와 파이프(4)의 외주면 사이의 간격이 상기 간극(D)보다 크게 형성된 간극(D')으로 되어 있다.
즉, 돌출환테(4'")의 크기 만큼의 간극(D')이다.
도면중 5,6은 0링, 7은 파이프를 뺄 때 사용하는 드라이버등의 기구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는 다음과 같다.
결착링 홀더(2)에 대해 타측파이프(4)를 끼우면, 일측파이프(1) 외주면과 타측파이프(4)의 내주면이 닿으면서 끼워지게 되는데, 결착링홀더(2)의 공간부(2")에 위치하고 있던 결착링(3)은 타측파이프(4)의 걸림돌턱(4')에 의해 절결요홈(3') 부위가 결착링홀더(2)의 경사부(2')측으로 벌어지게 되어 타측파이프(4)가 용이하게 끼워짐과 동시에, 타측파이프(4)의 걸림돌턱(4')이 결착링(3)의 돌턱(3")을 지나게 되면 벌어졌던 결착링(3)의 절결요홈(3')부위가 원상복귀되어 상기 돌턱(3")이 타측파이프(4)의 걸림돌턱(4)에 견고하게 걸리게 된다.
따라서 타측의 파이프(4)를 일측의 파이프(1)측에 밀어 끼우기만 하면 용이하고도 간단하게 조립시킬수 있게 되며, 결착링(3)에 의한 탄력에 의하여 파이프와 파이프가 견고하게 결합되므로 상호간의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0링(5)(6)이 각각 일측파이프(1)와 타측파이프(4)의 외, 내주면 임의부위에 설치되므로, 누수의 염려는 없다.
이와같이 결합되는 본 고안에 있어서 파이프를 교체하거나, 수리할 경우에 있어 파이프를 탈리시킬 경우에는 제 2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드라이버(7)등을 결착링홀더(2)의 일측단부(2'")와 타측파이프(4)의 외주면사이의 간극(D)으로 밀어넣어 파이프(4)를 일측의 파이프(1)로부터 뺄수가 있다.
즉, 드라이버(7)를 간극(D)으로 밀어 넣어 타측파이프(4)의 경사부(4")로 끼운다음, 결착링(3)의 절결요홈(3)의 절결요홈(3')부를 외측으로 밀면서 타측파이프(4)를 빼면, 걸림돌턱(4')이 결착링(3)의, 돌턱(3")으로부터 해방되어 용이하게 파이프(4)를 뺄수가 있다.
따라서, 파이프등의 교체가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제 6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타측파이프(4)에 돌출환테(4'")를 형성시킨 경우에도 상기와 같이 용이하고도 간단하게 파이프와 파이프를 결합 또는 해체시킬수 있으며, 파이프(4)에 경사부(4")르라 형성시키지 않아도 실현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파이프와 파이프의 연결시 파이프를 밀어 넣기만 하면 간단하게 연결될수 있고, 결착링의 탄성력에 의하여 타측파이프를 견고하게 결합시킴과 동시에, 필요에 의해 파이프를 파이프로부터 이탈시킬수 있는 유용하고도 실용적인 고안이다.

Claims (1)

  1. 일측의 파이프(1) 외주면에, 내주면에 경사부(2')를 갖는 결착링 홀더(2)를 용착하고, 이결착링홀더(2)내의 공간부(2")를 형성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공간부(2")에 절결요홈(3')이 수개형성된 결착링(3)을 끼우되, 결착링(3)의 내측주연부에 돌턱(3")을 형성하고, 타측의 파이프(4)일단에 걸림돌턱(4') 및 경사부(4")를 형성시켜, 상기 파이프(4)의 걸림돌턱(4')이 결착링(3)의 돌턱(3")에 걸리도록 하여서 된 파이프 연결장치.
KR2019890002848U 1989-03-14 1989-03-14 파이프 연결장치 KR91000516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02848U KR910005166Y1 (ko) 1989-03-14 1989-03-14 파이프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02848U KR910005166Y1 (ko) 1989-03-14 1989-03-14 파이프 연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7304U KR900017304U (ko) 1990-10-05
KR910005166Y1 true KR910005166Y1 (ko) 1991-07-20

Family

ID=192843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90002848U KR910005166Y1 (ko) 1989-03-14 1989-03-14 파이프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516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7304U (ko) 1990-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70795B1 (ko) 관 접속용 조인트
US6908123B2 (en) Bayonet quick coupler
JP2691550B2 (ja) 細径配管接続用コネクター
KR930006022B1 (ko) 작은 직경의 금속파이프와 가요성 호스를 연결하기 위한 컨넥터
US6312025B1 (en) Pipe coupling
KR19990076954A (ko) 호스 연결 장치
CA2218212C (en) Retainer for use in fluid couplings
ES2066751T3 (es) Pieza de union y de conexion para tubos ondulados.
JPH0459511B2 (ko)
US3574354A (en) Flexible coupling
JP2592358B2 (ja) 管継手
US6511098B1 (en) Seal mechanism for bayonet-type connector
KR910005166Y1 (ko) 파이프 연결장치
JP6242626B2 (ja) 管継手
US4457541A (en) Pipe coupling
JPS62101993A (ja) 管継手
KR200242197Y1 (ko) 파이프 연결구
JP3501812B2 (ja) スプリングチャック装置
JPS6220436B2 (ko)
JPS60208689A (ja) 管継手
WO2022085415A1 (ja) 接続構造
JP7278598B2 (ja) 共回り防止具
KR200280086Y1 (ko) 파이프 연결구
JP6592487B2 (ja) 管継手
KR200269779Y1 (ko) 배관 연결용 커플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72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