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5147B1 - 축출장치 및 그 조정법 - Google Patents

축출장치 및 그 조정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5147B1
KR910005147B1 KR1019830004474A KR830004474A KR910005147B1 KR 910005147 B1 KR910005147 B1 KR 910005147B1 KR 1019830004474 A KR1019830004474 A KR 1019830004474A KR 830004474 A KR830004474 A KR 830004474A KR 910005147 B1 KR910005147 B1 KR 9100051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viction
shoe
product
thickness
carri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300044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6152A (ko
Inventor
알. 씨저 제임스
그라우저 아틸라
Original Assignee
콘덱 코포레이션
리챠드 에스. 샤플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콘덱 코포레이션, 리챠드 에스. 샤플러 filed Critical 콘덱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8400061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61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51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51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7/00Shaping techniques not covered by groups B29C39/00 - B29C65/00, B29C70/00 or B29C73/00
    • B29C67/20Shaping techniques not covered by groups B29C39/00 - B29C65/00, B29C70/00 or B29C73/00 for porous or cellular articles, e.g. of foam plastics, coarse-por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34Auxiliary operations
    • B29C44/60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34Auxiliary operations
    • B29C44/36Feeding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C44/46Feeding the material to be shaped into an open space or onto moving surfaces, i.e. to make articles of indefinite length
    • B29C44/50Feeding the material to be shaped into an open space or onto moving surfaces, i.e. to make articles of indefinite length using pressure difference, e.g. by extrusion or by spraying
    • B29C44/505Feeding the material to be shaped into an open space or onto moving surfaces, i.e. to make articles of indefinite length using pressure difference, e.g. by extrusion or by spraying extruding the compound through a flat di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92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8/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extrusion moulding
    • B29C2948/92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C2948/92009Measured parameter
    • B29C2948/92076Position, e.g. linear or angul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8/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extrusion moulding
    • B29C2948/92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C2948/92009Measured parameter
    • B29C2948/92114Dimens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8/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extrusion moulding
    • B29C2948/92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C2948/92009Measured parameter
    • B29C2948/92114Dimensions
    • B29C2948/92152Thick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8/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extrusion moulding
    • B29C2948/92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C2948/92323Location or phase of measurement
    • B29C2948/92428Calibration, after-treatment, or cooling zo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8/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extrusion moulding
    • B29C2948/92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C2948/92504Controlled parameter
    • B29C2948/92609Dimensions
    • B29C2948/92647Thick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8/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extrusion moulding
    • B29C2948/92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C2948/92819Location or phase of control
    • B29C2948/92857Extrusion unit
    • B29C2948/92904Die; Nozzle zo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07Flat, e.g. pa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Molding Of Porous Articles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축출장치 및 그 조정법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축출장치에 대한 수직단면도.
제2도는 제1도의 축출통로에 수직한 면상에서 본 수직단면도의 일부.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축출장치 11 : 축출통로
14 : 뼈대구조 22 : 설치뼈대
23 : 발판 36 : 미끄럼판
39 : 캐리지 설치판 41 : 조절나사
45 : 결착판 50 : 거싯(gusset)
55 : 저널판 62, 63 : C자형 미끄럼판
70 : 코일스프링 75 : 실린더
77 : 피스톤봉 85 : 배어링 하우징
94, 95 : 미끄럼판 100 : 코일스프링
134 : 코일 하우징 140 : 유도선
141 : 소켓
본 발명은 다이에서 축출되어 곧 그 최종형상이 결정되는 거품판의 두께와 그 윤곽을 원격조정할 수 있는 거품축출장치 및 그 조정법에 관한 것이다.
이미 알려진 바와 같이 판상 축출되는 거품제품의 형성은 진공실에서 더욱 촉진되어 축출다이를 빠져나오는 발포성 재료의 팽창은 준 대기압하에서 일어난다. 축출된 거품의 정교하고 유약한 성질 때문에 거품 축출 라인은 상단에 진공실을 정의하는 경사진 기압버팀대에서 행해지며, 진공실로 거품이 축출되어 그 최종형상이 결정된 후에 기압버팀대의 길이를 따라 콘베이어로 유도된다. 하단부에서 기압버팀대는 얕은 각도로 수조까지 뻗어 있고, 콘베이어는 수조의 긴 반경을 따라 거품축출물을 통과시켜 적당한 길이와 크기로 절단한다. 전체 축출라인에서 기압버팀대의 길이는 50미터 이상, 수조에서의 콘베이어의 큰 반경은 30미터 이상이다. 따라서 그 첫과 끝부분이 빠져나가는 시간에 의한 축출물의 길이는 80미터 이상일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축출된 제품의 단면은 그것이 축출된 다이 오리피스의 단면과 다르므로, 축출다이는 두 개의 일정 간격 떨어져 조절할 수 있는 다이 입술을 갖고 있어 그 사이에 길고 축방향 외측으로 뻗어 있는 아아치형 다이 오리피스를 형성함으로써 발포성 재료가 다이 입술에 대해 측면과 축방향 외측으로 움직이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이 입술은 진공실 내부에 설치되어 축출작업중에 손이 닿지 않으므로, 진공실 외부에서 다이 입술을 원격조정하여야 한다. 조정하는 목적은 다이 오리피스의 크기와 형태를 변화시켜 축출되는 제품의 두께와 그 형상을 조절하기 위한 것이다.
축출다이를 적절히 조절하기 위해서는 거품이 최종형상을 정한 후에 그 두께와 형상을 측정해야 한다. 지금까지는 거품 제품이 기압버팀대 끝부분의 수조를 빠져나온 후에 측정을 행할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부대부분의 길이는 측정하여 축출다이를 조정하기 전에 빠져버린다. 더구나 제품의 부대 길이가 빠져나오고 20분 후에 까지 약 5번 측정을 행할 때까지 조정된 결과가 결정되지 않았다. 이러한 과정은 말할필요없이 쓸모없는 부분과 시간을 낭비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판상의 제품을 길이 방향으로 비교적 넓게 두께와 그 형상을 원격조정하기 위한 것이다. 거품 축출라인에서 거품이 축출다이를 빠져나와 그 최종형상이 정해진 후 곧 축출물의 두께와 그 윤곽을 원격조정하기 위해 본 장치는 진공실 내부에 위치하여 축출다이의 변화와 그 수정을 신속하게 행할 수 있음으로서 부대부분과 찌꺼기를 극소량으로 할 수 있다.
간단히 말해서 장치는 길이 방향으로 움직이는 제품의 통로 양쪽에 한쌍의 비교적 좁은 슈우(shoe)로 구성된다. 제품의 양쪽이 슈우에 접촉하여 통과하는 제품의 두께인 슈우간의 거리가 변화기에 의해 조정되며, 변환기는 제품의 폭과 두께를 나타내는 출력신호를 원격조정회로에 공급한다. 제품 전체의 두께와 폭을 조정하기 위해 슈우는 제품통로에 수직방향으로 움직이며, 제품의 두께 측정을 위해 제품의 폭을 따라 여러개의 지점에 위치 유된다.
각각의 슈우는 각 캐리지 (carriage)의 제품 통로 아래 및 위쪽에 설치되며, 캐리지는 제품 통로에 대해 횡단운동을 위한 각각의 비임에 설치되어 있다. 각각의 나사 또는 워엄기어에 나사 접합된 각 병진너트가 캐리지에 연결된다. 워엄기어는 제품 통로 양쪽에 걸친 측판 사이에 저널되어 있고, 공동 구동장치에 의해 균일하게 구동되어 캐리지와 슈우의 균일한 횡단운동을 하게 된다. 또한 아랫쪽 캐리지를 위한 비임은 측판 사이에 고정되는 반면 윗쪽 비임은 윗쪽 워엄기어의 양끝에 피벗 지지된 피벗판 사이에 고정되어 있음으로써 윗쪽 비임과 캐리지 및 슈우는 잼업(Jam up)의 경우에서와 같이 제품통로에서부터 회전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부 및 하부 슈우는 제품 통로의 폭을 따라 횡단운동중에 서로 반대쪽에 유지된다. 더구나 하부 슈우는 선정된 위치를 통과하는 제품의 밑표면을 지지하고, 상부 슈우는 그 아래를 통과하는 제품의 윗표면 위를 지난다. 따라서 상부 슈우의 위치가 슈우 사이를 통과하는 제품의 두께를 말하며, 그 위치는 선형 가변 변압기에 의해 조정되며 선형 가변 변압기는 조정된 상부 슈우의 위치를 나타내는 전기 출력 신호를 원격 조정회로에 전달한다. 하부 슈우의 상대적 위치가 고정됨으로써, 전기 출력 신호는 슈우 간격 즉 슈우 사이를 통과하는 제품의 두께를 나타낸다. 슈우가 제품 통로의 폭을 따른 몇 개의 점으로 횡단함으로써 전 제품의 두께와 폭을 나타내는 자료가 얻어진다. 거품 축출라인에서 축출다이와 슈우가 진공실 내부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에, 표시장치와 같은 조정회로는 진공실 외부에서 축출다이의 원격조절장치에 인접 위치함으로써 제품의 두께 데이타에 대한 중간 판독값에 따라 신속한 다이 조정이 수행됨으로써 부대부분과 찌꺼기량이 극소화된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축출장치(10)는 미합중국 특허 제 4, 199, 310호에 발표된 거품축출장치를 응용시킨 것으로서 , 분위기 조절 또는 팽창실은 경사진 기압받침대의 상단에 정의된다. 장치(10)는 진공실 내부에서 다이를 빠져나오는 발포성 재료의 최종 두께와 형태를 결정하는데 사용되는 축출다이와 장치의 하류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더구나 다이는 축출다이로부터 몇 피트 예를 들면 거리 8피트에 달하는 축출물의 최종 형태가 정해지는 위치의 하류에 위치한다. 또한 장치의 방향은 제1도의 2점 쇄선(11)으로 도시된 축출경로에 수직하며, 전술한 경사진 기압버팀대를 통과하는 통로와 같이 수평선과 경사져 있다. 이와 같은 종류의 축출장치는 미합중국 특허 제 4, 234, 529에 발표되어 있다.
본 장치는 뼈대구조(14)와 축출통로(11) 양쪽의 상부 및 하부슈우 및 캐리지(15, 16)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부품과 그들간의 상호관계는 다음에 기술한다.
제1도와 제2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뼈대구조(14)는 일반적으로 축출통로(11) 아래에 설치된 설치뼈대(22)를 포함하고 있다. 설치뼈대(24)는 설치뼈대의 측판(24)의 하단에 비교적 좁은 발판(23)을 포함하고 있다. 각 설치뼈대의 측판(24)은 가로로 뻗어 있는 통로(27, 28)에 연결된 수직판(25, 26)에 서로 연결되어 있다. 통로(27, 28)는 수직판(25, 26)의 앞뒤로 돌출하여 가로로 뻗어있는 콘베이어의 끝판에 접촉연결되어 있다. 제1도에는 상류 콘베이어(30)만이 도시되어 있다. 제1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콘베이어(30)의 끝판(31)은 죔쇠(32)에 의해 통로(28)의 폐쇠된 끝에 접촉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이 콘베이어의 상류측 끝부분은 죔쇠(33)에 의해 통로(27)에 고정된다.
상류 콘베이어(30)의 길이가 확장되고 또한 하류 콘베이어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베이어 사이의 틈에 걸친 유연한 미끄럼판(96)이다. 미끄럼판(36)은 각 콘베이어의 상판에 지지되어 콘베이어 사이를 통과하는 축출물을 계속 지지해주며 길이방향으로 움직이는 축출물에 대해 비교적 마찰이 없는 콘베이어 표면을 제공해준다. 따라서 미끄럼판은 축출물에 대해 비접착성 재료 즉 테프론과 같은 미끄럼판은 최소한 축출물의 폭만큼 넓어야 한다.
뼈대구조(14)의 양쪽에는 설치뼈대(22)의 위쪽으로 수직하게 뻗은 측판(38)이 포함되어 있고 축출통로(11)의 양쪽에 걸쳐 있다. 각 측판(38)은 가로로 뻗어 있는 수직판(25, 26) 사이에 있으며 죔쇠(40)에 의해 측판(24)의 내부에 고정된 수직하단의 캐리지 설치판(39)을 포함하고 있어, 죔쇠(40)는 하단부의 캐리지 설치판(39)에 수직의 긴 슬롯으로 뻗어 있다. 각 판은 각 발판(23)에 설치된 조절나사(41)와 같은 것을 이용하여 그 높이와 위치가 조절된다.
각 측판(38)은 하단부의 캐리지 설치판(39)과 같은 수직면에 위치하며 결착판(45)과 짝지어진 상부 측판(44)을 포함하고 있다. 상부의 측판(44)은 수직 높이 중 어느 한 위치에서 하단의 캐리지 설치판(39)에 짝지어질 수도 있다. 결착판(45)에 세 개의 수직 공간열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중의 최상부 또는 최하부의 두 열은 상부 측판의 두 수직열의 구멍과 일치한다.
제2도에 상세히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부측판(44)은 내측으로 돌출된 수평끝판(48)과 수직 상단의 캐리지 설치판(49)으로 구성된 측판(38)의 수직 연장부를 외팔보와 같이 지지해준다. 강성도를 높이기 위해 각 수평끝판(48) 아랫쪽과 상부 측판(44)의 내부에 거싯(50)이 고정되어 있다.
하부 슈우와 캐리지(16)을 참조하면, 제1도에서 캐리지(52)는 축출통로(11)에 대해 횡단운동을 하기 위한 빔(54)상을 달리는 모양의 몸체(53)를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빔(54)은 가로방향으로 뻗어 있으며, 제2도에서와 같이 저널판(55)과 죔쇠(56)에 의해 하단부 캐리지 설치판(39)의 양쪽 끝에 고정된다.
제1도에서와 같이 빔(54)은 빔의 양쪽에 아래쪽으로 뻗은 레그(leg)(58, 59)를 갖춘 -자형 몸체(53)의 굴곡부에 수용되어 있다. 비의 상단에서 로울링 운동을 위한 몸체를 지지하고 있는 로울러 베어링(61)이 굴곡부의 상단에서 핀(60)에 의해 이러한 레그(58, 59) 사이에 저널되어 있다. 또한 C자형 미끄럼판(62, 63)이 빔의 양쪽과 접촉된 상부 및 하부 베어링으로 뻗어 있는 상부 및 하부 레그와 함께 레그(58, 59)의 내부에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몸체는 빔축에 대해 길이방향의 경사운동을 유지시켜준다.
캐리지 몸체(53)도 역시 빔의 하단과 인장 미끄럼 접촉된 횡단 로울러 베어링(66)에 의해 빔(54)상에서 안정되어 있다.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로울러 베어링(66)은 유도보울트에 의해 캐리지 몸체의 하단부에 설치된 U자형 인장판(69)의 아랫쪽으로 뻗은 레그 사이의 핀(67)에 저널되어 있다. 각 유도 보울트(58)에 설치된 코일스프링(70)은 빔(54)의 상 및 하단과 인장 연결된 로울러 베어링(61, 66)의 아래 및 윗쪽 세트를 지지하고 있는 인장판과 보울트 헤드 사이에 끼워져 있다.
제1도를 참조하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캐리지 몸체(53)은 수직 공기 피스톤-실린더 장치(74)의 한쪽 끝에 설치되어 있다. 장치의 각 실린더(75)는 클램프(76)에 의해 축출통로(11)에 수직한 피스톤봉(77)과 함께 캐리지 몸체(53)에 고정되어 있다. 버섯모양의 모루(78)가 피스톤봉(77)의 상단에 고정되어 있고, 모루(78)는 미끄럼판(36) 밑에 설치된 헤드(79)를 갖추고 있다. 다음 사실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피스톤-실린더 장치(74)는 미끄럼판(36)을 지지하고 있는 위치쪽으로 슈우(78)를 밀어줌으로써 축출물의 밑면이 미리 정해진 위치를 통과하게 된다. 반면에, 피스톤-실린더 장치는 후퇴하여 미끄럼 통로로부터 슈우를 제거시켜준다.
축출통로의 폭에 대해 비교적 좁은 하부 슈우(78)의 횡단운동을 실행하기 위해, 캐리지 몸체(53)는 변환너트(83)가 횡단 설치되어 있고 회전을 유지시키는 상측에 개방된 슬롯(82)를 갖추고 있다. 너트(83)는 저널판(55)에 인접하여 고정된 베어링 하우징(85)에 저널된 각각의 끝부분을 갖추고 가로방향으로 뻗어 있는 나사 또는 워엄기어(84)와 나사 접합되어 있다. 제2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워엄기어(84)의 최소한 한쪽 끝에 베어링 하우징(85)이 저널판(55) 내측으로 일정간격 떨어져 있어 워엄기어의 돌출된 끝에 고정된 구동 스프로켓(86)이 수용된다. 다음 사실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스프로켓(86)은 공동 구동장치(17)의 다른 스프로켓과 함께 수직선상에 있게 된다.
제1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부 슈우의 캐리지(90)와 캐리지(15)는 하부 캐리치 몸체(53)와 비슷한 구조의 캐리지 몸체(91)를 포함한다. 상부 캐리치 몸체(91)는 자 모양이며, 가로 모양의 빔(93)의 상단에서 가로 방향 로울러 베어링(92)에 의해 구동된다. 빔의 양쪽과 베어링 접합되어 있는 미끄럼판 (94, 95)이 캐리지 몸체(91)의 지지 레그의 내측에 고정되어 있다. 미끄럼판(94, 95)은 장방형이며, 수평축상에서 회전하는 빔(93)에서 캐리지(90)를 베어링 지지하고 있다.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끄럼판(95)은 빔에 고정된 가로방향 척도(95)를 수용하고 있는 빔 지지면의 가로방향 슬롯을 갖추고 있으며, 척도(95)는 빔을 따라 캐리지(90)의 가로위치와 축출통로(11)의 폭에 대한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것이다.
상부 캐리지(90)는 유도 보울트(99)에 의해 캐리지 몸체(91)의 바닥에 고정된 가로방향 인장판(98)이 다른 형태를 가지므로 하부 캐리지(52)와는 구별된다. 동심인 코일 스프링(100)은 빔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인장 접촉된 인장판과 로울러 베어링(92)을 고정시키고 있는 인장판과 보울트의 헤드 사이에 끼워져 있다. 하부 캐리지(52)와 같이 상부 캐리지(90)도 가로방향 원운동을 하는 동안 빔상에서 안정상태를 유지한다.
상부 캐리지(90)의 가로방향 운동은 하부 캐리지(52)의 그것과 비슷하게 수행되며, 변환너트(104)가 가로로 설치되고 회전상태를 유지하는 캐리지 몸체(91)에 상부로 개방된 슬롯(103)이 설치되어 있다. 너트(104)는 베어링 하우징(106)의 각 끝부에 저널된 가로방향 나사 또는 워엄기어(105)와 나사 접합되어 있다. 베어링 하우징(106)은 죔쇠(107)에 의해 상부 캐리지 설치판(49)의 상단에 고정된다.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빔(93)의 양 끝에 각 피벗판(110)이 고정되어 있고, 피벗판(110)의 상단은 저널베어링(111)에 의해 워엄기어(105)의 끝부분에 인접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피벗판(110)과 빔(93) 및 캐리지(90)는 축출통로(11)와는 높은 위치에서 워엄축을 중심으로 피스톤-실린더 장치(112)에 의해 회전된다.
피스톤-실린더 장치(112)는 U자형 갈고리(113)에 의해 수평판(48)에 설치된 폐쇄된 끝부분을 갖추고, 그 봉은 빔(93)에 피벗 연결되거나 또는 워엄기어(105)축과 떨어진 적당한 위치에서 피벗판(110)에 인접 설치된다. 그러나 정상 작동에서 피스톤-실린더 장치(112)는 후진하여 캐리지가 그 위치 아랫쪽으로 회전되도록 하며 피벗판의 하단부의 길이 방향으로 돌출한 플랜지(115)는 말굽자석(116)의 극면에 접합된다. 죔쇠(117)에 의해 상부 캐리지 설치판(49)에 고정된 자석을 피스톤-실린더 장치(112)가 후진한 다음에 그 작동위치에 상부 캐리지를 유지시켜 준다.
상부 캐리지(90)가 작동위치에 있을 때, 상부추적 슈우(120)는 축출통로(120)를 향하여 왕복운동한다. 제1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부 슈우는 단추 모양의 죔쇠(121)에 의해 미끄럼봉(112)의 하단에 연결되며, 미끄럼봉(122)은 설치블록(124)의 볼부싱(123)의 축운동에 의해 캐리지 몸체(91)의 한쪽으로 유도된다. 볼부싱(123)은 리테이너(125, 126)에 의해 설치블록(124)의 구멍내에서 유지된다.
상부 추적 슈우(120)는 짧은 스키 모양을 하고 있으며, 즉 위쪽으로 굴곡진 앞부분(126)과 뒷쪽은 경사져 있다. 슈우(120)는 초고분자 폴리에틸렌과 같은 비점착성 재료로 만들어진 바닥부분(128)과 함께 두 조각으로 되어 있다. 슈우(128)의 바닥부분(128)은 중심부에 평면의 바닥(129)을 갖추고 있어, 그 아래를 통과하고 있는 축출물의 상표면과 맞닿게 되어 있다. 슈우의 윗 부분(1300은 금속으로 제작하여도 좋다.
상부 슈우(120)와 그것에 부착된 부품의 중량은 축출물을 분쇄시키지 않고서도 축출물의 윗면과 슈우가 접촉을 유지하기에 충분한 것이다. 그러나 꾸겨짐 또는 분쇄되지 않고 축출물에 조절된 압력을 가하는 동안 슈우를 부유시키기 위한 다른 장치가 설치될 수도 있다.
축출물의 윗표면을 달리는 동안 상부 슈우(120)의 위치는 변환기(132)에 의해 조절된다. 변환기(132)는 선형가변 차동변압기(LVDT)로서 정지 코일과 전기자(135)가 내장된 하우징(134)이 있고, 전기자는 정지 코일의 속이 빈 코어 내부에서 움직인다. 종래와 같이, 중심부에 제1차 권선과 양쪽에 제2차 권선을 갖추고 있다. 제1차 권선이 에너지를 받으면, 자기재료로 만들어진 전기자(135)는 제1차 권선으로부터 제2차 권선에 전압을 유도시킨다. 정지코일의 코어 내부의 전기자 위치는 각 제2차 권선의 전압을 결정한다. 만약 전기자가 정확히 두 개의 제2차 권선 가운데 위치한다면 각 제2차 권선의 유도 전압은 같고 서로 반대이며 출력은 없다. 그러나 전기자가 영점 위치에서 벗어나면, LVDT는 영점 위치로부터 전기자의 변위에 비례하는 출력 전압을 발생하며, 제1차 공급전압과의 상관계가 코일 내에서의 전기자의 움직임을 보여준다. 따라서 그 차이는 아주 미미한 것이지만, 전기자의 각 위치에 대해서, 어떤 다른 위치에서와는 다른 전위와 극성의 출력전압이 나타난다.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LVDT(132)의 코일 하우징(134)은 클램장치(136)에 의해 미끄럼봉(122)에 평행하며 아랫쪽으로 뻗어 있는 전기자(135)와 함께 슈우 설치블록(124)의 끝부분에 고정되어 있다. 전기자(135)의 하단에 헤드(137)가 갖추어져 있으며, 헤드(137)는 상부 슈우(120)의 윗쪽(130)에 나사접합된 나사(138)의 헤드와 연결되어 있다. LVDT의 영점 조정을 위해서 조정나사(138)를 미조정하며, 주조정은 클램프장치(136)의 코일 하우징(134)을 조정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상부 추적 슈우(120)의 운동은 LVDT 전기자(135)의 대응되는 운동을 유발시킨다. 결과적으로 LVDT(132)는 상부 추적 슈우의 조정된 위치를 나타내는 전기출력신호를 발생한다. 이러한 신호는 유도선(140)과 소켓(141)과 플러그(142) 및 유도선(143)을 거친 다음 원격조정회로에 전달된다. 진공축출 라인은 경우에는 상부 추적 슈우의 감지된 위치는 진공실(146) 외부에 위치한 계기(145)에 의해 원격표시되며, 계기는 축출다이의 원격조정장치에 인접 위치할 수도 있다.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켓(141)은 LVDT(132)의 코일 하우징(134)에 고정된 홀더(147)에 설치된다.
축출물의 윗면이 손상되지 않고 축출물의 폭을 따라 다른 위치로 추적 슈우(120)를 움직이기 위해, 피스톤-실린더 장치(149)가 슈우를 축출경로로부터 제거시켜 준다. 장치의 실린더(150)는 미끄럼봉(122)에 평행하며 설치 블록 아랫쪽으로 뻗어 있는 피스톤봉(151)과 함께 슈우 설치블록(124)에 설치되어 있다. 피스톤봉의 하단부는 미끄럼봉(122)에 커플링(153) 고정된 멈춤개(152)에서 큰 구멍을 통과한다. 잼너트(154)가 피스톤봉의 하단부에 나사 연결되어 있어 축출통로로부터 슈우를 들어 올리기 위해 피스톤-실린더 장치가 후진할 때 멈추개의 밑면에 접촉하게 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공동 구동장치(17)는 장치의 한쪽에서 상부 캐리지 지지판(49)에 설치된 공기 모터(155)를 포함한다. 모터의 구동축(156)은 가로로 뻗어 있으며 제2도에서와 같이 고정된 구동 스프로켓(157)을 갖추고 있다. 체인(158)이 구동 스프로켓(157) 주위에 실려 있으며, 체인(158)은 상부 캐리지 워엄기어(105)에 고정된 스프로켓 장치(160)의 피구동 스프로켓(159) 주위에 실려있다. 스프로켓 장치(160)는 하부 캐리지 워엄기어(84)에서 상기한 피구동 스프로켓(86)과 수직 일직선 상에 구동 스프로켓(161)을 갖추고 있다. 구동체인(162)은 구동 스프로켓(161)과 피구동 스프로켓(86) 주위에 실려 있어 상부 캐리지 워엄기어(105)와 함께 하부 캐리지 워엄기어(84)를 회전시킨다. 바람직하게도 한 개 이상의 유차 스프로켓(163)이 있어 각각은 예를 들면 상부 측판(44)에 고정된 짧은 축(164)에 저널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모터(155)의 작동은 캐리지 워엄기어(84, 105)의 회전을 균일하고 같은 방향으로 해주며, 균일한 회전은 축출통로(11)에 대하여 하부 및 상부 캐리지(52, 90)의 균일한 운동을 유발시킨다. 따라서 워엄기어의 회전은 캐리지를 같은 방향 및 같은 정도로 움직이게 한다. 이와 같이 캐리지에 설치된 상부 및 하부 슈우(120, 78)는 그들이 축출통로의 폭에서 다른 지점으로 움직임에 따라 축출통로의 양쪽에서 서로 마주보며 유지된다.
길이 방향으로 움직이는 축출물 및 다른 생산물의 두께와 규격을 제어하는 기구(10)의 작동을 설명하겠다. 처음에 상하부 슈우(78, 120)를 축출물의 길이 전체가 각 피스톤-실린더 장치(74, 149) 사이를 이동할 때까지 축출통로(11)에서 격리 시킨다. 그후 피스톤-실린더 장치(74)는 미끄럼판(36)을 경유하여 축출물의 저면에 하부 슈우(78)가 설치되도록, 또 축출물 저면이 예정위치에 이르도록 연장될 수 있다. 상승되었을 때의 하부 슈우는 축출물 저면과의 결합관계를 확실히 유지하도록 미끄럼판의 약간 돌출된 크라운에 위치되거나 또는 상하이동 콘베이어부에 지지된다.
또, 상부 추적 슈우는 피스톤-실린더 장치(145)가 연장됨에 따라 축출물 상면까지 하강할 수 있다. 축출물이 그 아래를 통과하면 상부 슈우는 축축물 상면에 닿아서 추적하게 된다. 하부 슈우가 예정위치에 유지되면 상부 슈우의 위치는 슈우 간격, 즉 제품 두께를 나타낸다. 따라서, 상부 슈우 위치 조절용 변화기를 설치하여 대향된 슈우 사이를 통과하는 제품 두께 표시 출력신호를 내게한다. 예를 들어 계기(145)에서 제품 두께를 직접 측정할 수 있도록 하면 확실한 계산을 할 수 있다. 전체적인 제품의 두께와 규격을 조정하는 데 있어서, 상하부 슈우(120, 78)가 공동 구동장치(17) 작동에 의해 축출통로 폭에 따른 지점까지 이동한다. 슈우가 단계적으로 횡측 이동할 때 축출물 표면이 상처를 입거나 훼손되지 않도록 축출물에서 각 슈우(특히 상부 슈우)의 결합을 해제하면 적합하다. 그러나 슈우는 각 위치에서 제품 두께를 계속 측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어서 작업조건을 변화시킴으로써 발생하는 두께의 라인 또는 길이 변화를 지시한다.
진공으로 축출하는 공정에서는 기구가 상기한 바와 같이 축출물이 완성되는 지점과 축출다이 하부의 진공실(146)에 위치하면 이상적이다. 그러나 표시장치(145) 또는 조정장치를 진공실 외측에 위치시켜 축출다이 조절용으로 진공실 외측의 제품 두께 측정 자료를 직접 표시하면 제품 두께 및 규격을 조정할 수 있다. 제품이 최종치수로 가공되어 다이를 떠난 직후에 제품 두께 및 치수를 측정하면 종래에서처럼 제품 찌꺼기의 길이를 비교적 길게 뽑아낼 필요가 없게 된다. 반면에, 제품 두께 측정치를 직접 읽어서 다이를 빠르고 적당하게 조절할 수 있다. 다이를 좀더 빠르고 적당하게 조절하기 위해서 본원과 같은 날짜로 출원된 본 출원인의 양수인이 양도 받은 미국 특허출원 "거품축출 다이 및 조정장치"에 기재된 장치와 함께 본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한 장치는 환경조절 또는 진공실 내에서 사용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압력 축출라인과 같은 다른 곳에서도 적용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은 두께가 0.5인치에서 4인치 정도인 제품에 사용하도록 설계하였으나 실제로는 어떤 두께의 예를 들면, 도시한 장치에서는 두 개의 수직 위치에 하부 이송설치판(39)에 상부 측면판(44)을 결합시켜 광범위하게 제품 두께를 조정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기술분야에서 숙련된자가 본원 명세서를 읽고 이해한 후 다른 여러 가지 실시예가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음의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이 실시예를 모두 포함한다.

Claims (55)

  1. 분위기 조절실 내부의 축출다이 아래쪽에 설치되는 축출장치로서, 통과하는 축출물의 두께변화에 따라 최소한 하나의 부재가 서로의 폭을 조절함으로써 축출다이를 빠져 나오는 축출물의 양쪽 측면과 접촉 작동하는 서로 면하고 있는 두 개 부재와 두 부재간의 간격 따라서 축출물의 두께를 조정하는 장치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조정장치가 조절된 두께를 나타내는 출력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출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출력신호가 분위기 조절실 외부에 위치하고 있는 원격조정회로에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출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원격조정회로가 축출다이의 원격조정장치에 인접설치되어 있음으로서 축출물 두께 자료의 중간 판독에 대해서 신속하고 민감한 다이 조정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출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두 개의 부재는 축출물이 그 최종형상을 나타내는 지점 또는 그 지점 바로 아래쪽에 위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출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부재는 축출물의 폭에 비해 좁으며, 축출통로에 대해 부재를 가로 방향으로 움직이게 하는 장치가 있어 축출물의 폭을 다른 여러 지점에서 두께를 조정하고, 부재는 이러한 각 점에서 서로 마주보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출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부재가 이러한 점 사이에서 균일하게 가로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출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제품으로부터 부재를 탈피시키는 장치가 있어 이러한 점 사이에서 가로 방향으로 운동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출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부재가 축출물에 접촉하고 있는 유효표면은 축출물의 손상을 방지하기에 충분한 평면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출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부재가 축출물에 접촉하고 있는 유효표면은 축출물에 대해 비점착성 재료로 만들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출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부재는 각각 상부 및 하부 슈우를 포함하며, 상부 슈우가 축출물의 윗표면위을 달리는 동안 하부 슈우는 정해진 위치에서 그 위를 통과하는 밑표면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출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조정장치는 상부 슈우에 연결되어 작동하는 변환기를 포함하고 있어 상부 슈우의 위치를 나타내는 출력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출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조정장치는 상부 슈우에 연결되어 작동하는 선형 가변차동 변환기를 포함하고 있어 상부 슈우의 위치를 나타내는 전기 출력 신호가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출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슈우의 상류 및 하류에 위치한 축출물 콘베이어와 콘베이어에 지지되어 있고 하부 슈우 윗쪽과의 틈을 메우고 있는 유연한 미끄럼판이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출장치.
  15. 제 14항에 있어서, 하부 슈우를 위쪽으로 움직여 미끄럼판에 접촉시키고 약간 위쪽의 크라운을 부여하는 장치를 포함하고 있음으로써 크라운의 꼭대기가 선정된 위치에서 축출물의 밑면을 지지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출장치.
  16. 판상과 같이 길이 방향으로 움직이는 비교적 넓은 폭의 제품의 두께와 그 형상을 조정하는 축출장치로서, 제품의 폭에 비해 가로 방향의 폭이 좁은 한쌍의 마주 보는 슈우와 통과하는 제품의 두께변화에 따라 서로 왕복운동함으로서 제품의 양 표면에 슈우를 접촉 작용하게 하는 장치와 두 부재 간의 간격을 따라서 통과하는 제품의 두께를 조절하는 장치 및 제품의 가로방향으로 슈우를 움직이게 함으로서 제품 폭의 여러 지점에서 두께를 조정하여 제품의 형상을 조정하는 장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출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부 및 하부 슈우는 축출통로의 윗쪽 및 아래쪽에 각각 설치되며, 상부 슈우와 제품의 윗 표면을 달리는 동안 정해진 위치에서 하부 슈우가 통과하는 제품의 밑면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출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조정장치가 상부 슈우에 연결되어 작동하는 변환기를 포함하고 있어 상부 슈우의 위치를 나타내는 출력신호가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출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부 및 하부 슈우에는 상부 및 하부 캐리지가 각각 설치되어 있으며, 캐리지 설치 장치가 있어 제품 통로에 대해 횡단운동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출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조정장치가 제품 통로 아래 및 윗쪽에 설치되어 가로 방향으로 뻗어 있는 상부 및 하부 빔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부 및 하부 빔에 상부 및 하부 캐리지가 각각 설치되어 있어 함께 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출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캐리지는 로울러를 포함하고 있어 각 빔 위에서 캐리지가 달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출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캐리지의 단면은 n자 모양이며, 빔과 로울러는 각 캐리지의 굴곡부에 수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출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로울러를 탄성유지하는 장치가 있어 빔의 상단부에 굴림접촉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출장치.
  24. 제23항에 있어서, 탄성장치는 캐리지에 설치된 베어링을 포함하고 있으며, 스프링 하중이 빔의 하단부에 베어링 접촉시켜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출장치.
  25. 제22항에 있어서, 각 캐리지의 굴곡부는 의존 레그에 의해 정의되며, 베어링 판은 레그의 내부에 고정되어 각 빔의 양쪽 표면에 베어링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출장치.
  26. 제20항에 있어서, 가동장치가 빔을 따른 캐리지의 균일한 횡단운동을 일으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출장치.
  27. 제26항에 있어서, 가동장치는 캐리지에 유지된 각 너트와 너트에 톱니 접합된 상부 및 하부 워엄기어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출장치.
  28. 제27항에 있어서, 제품통로의 양쪽에 걸친 한쌍의 수직 측면 뼈대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부 및 하부 워엄기어는 측면 뼈대 사이의 윗쪽 및 아래쪽에 각각 저널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출장치.
  29. 제28항에 있어서, 뼈대는 상부 및 하부 빔이 지지된 상부 및 하부 측판을 포함하며, 두 개의 조절된 높이중 최소한 한 위치에서 상판을 하판에 연결시키는 장치가 있어 넓은 범위의 제품 두께를 조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출장치.
  30. 제28항에 있어서, 상부 빔이 상부 워엄기어에 피벗 지지된 끝판 사이에 고정되어 있으며, 피벗팅하는 장치가 있어 빔 따라서 상부 캐리지와 그곳에 설치된 슈우를 상부 워엄기어의 축 윗쪽에 피벗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출장치.
  31. 제28항에 있어서, 하부 빔이 뼈대의 하단부 사이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출장치.
  32. 제28항에 있어서, 측면 뼈대가 콘베이어 뼈대의 양쪽에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출장치.
  33. 제32항에 있어서, 슈우의 상류 및 하류의 콘베이어 뼈대에 설치된 콘베이어 부분을 포함하고 있으며, 콘베이어 부분에 지지되어 있으며 하부 슈우 윗쪽 사이의 틈을 메워 주는 축출물의 유연한 미끄럼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출장치.
  34. 제32항에 있어서, 하부 캐리지 위에 하부 슈우를 위쪽으로 움직여 미끄럼판을 접촉시키고 약간 위쪽의 크라운을 부여함으로서 크라운의 꼭대기가 선정된 위치를 통과하는 제품의 밑표면을 지지해주는 장치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출장치.
  35. 제25항에 있어서, 워엄기어의 공동 구동장치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출장치.
  36. 제19항에 있어서, 상부 슈우가 상부 캐리지에 의해 유도되는 지지부의 하단에 설치되어 있음으로서 하부 슈우를 향하여 왕복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출장치.
  37. 제36항에 있어서, 지지부가 상부 캐리지에 유지된 볼부싱에서 축방향 운동위해 유도되는 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출장치.
  38. 제37항에 있어서, 상부 슈우를 제품에서 상승시키는 장치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출장치.
  39. 제37항에 있어서, 조정장치는 전기자와 코일 하우징을 갖춘 선형 가변차동 변환기를 포함하며, 코일 하우징을 상부 캐리지에 설치하는 장치가 있어 봉과 평행하게 뻗어 있는 전기자를 상부 슈우의 상부에 접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출장치.
  40. 제17항에 있어서, 상부 슈우는 위쪽으로 굴곡진 길이 방향 끝에서 끝나는 표면에 접촉하는 제품의 평판한 밑면을 갖추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출장치.
  41. 제40항에 있어서, 제품 접촉면은 초고분자 폴리에틸렌으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출장치.
  42. 축출물이 진공실 안에서 최종형상이 이루어지는 지점에서 또는 바로 그 하류에서 축출다이를 빠져나오는 거품축출물의 각 마주보는 슈우를 접촉 작동시키는 단계와, 하나의 슈우와 다른 슈우 사이를 통과하는 축출물의 두께 변화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슈우가 다른 슈우로부터 또는 그쪽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단계와, 슈우의 상대 위치, 이에 따른 슈우 사이를 통과하는 축출물의 두께를 표시하는 출력신호를 마련하도록 상기 슈우에 연결되어 작동되는 변환기를 사용하는 단계와, 진공실 외부의 제품 두께 데이터의 대응 변환 판독을 마련하는 조정회로에 상기 출력 신호를 공급하는 단계와, 필요한 축출물 두께를 얻거나 유지할 필요가 있을 때 진공실 외부에 위치한 원격 다이 조정장치의 수단에 의해 중간 단계의 민감한 축출다이를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거품축출 조정법.
  43. 제42항에 있어서, 축출물의 폭을 따라 여러 점에서 두께를 조정하여 전 제품의 두께 및 형상 데이터를 판독하도록 축출통로에 대하여 슈우를 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품축출 조정법.
  44.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슈우가 그 위를 통과하는 축출면의 하부면을 설정된 위치에서 지지하도록 사용되는 동시에 상기 한 슈우는 상부면상을 달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품축출 조정법.
  45. 제44항에 있어서, 선형 가변차동 변환기가 상기 한 슈우의 위치의 전기적 출력 신호값을 마련하기 위한 변환기로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품축출 조정법.
  46.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된 위치를 통하여 그리고 이에 대하여 평행하게 연장된 평면 아래로 약간 오프셋(off set)된 콘베이어 표면 상에 슈우의 상류 및 하류의 양쪽에 축출물을 지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품축출 조정법.
  47. 밀폐실과 상기 밀폐실 안의 축출다이를 포함하는 축출라인을 갖는 거품축출 조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밀폐실 안의 설정 위치에서 다이를 빠져 나오는 축출물의 두께를 판독하도록 작동하는 모니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품축출 장치.
  48.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위치가 축출물이 최종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지점이나 바로 그 하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품축출 장치.
  49.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가 상기 밀폐실 내부에 있고, 판독장치가 상기 밀폐실 외부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품축출 장치.
  50. 제49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가 상기 선택위치에서의 축출 두께를 표시하는 출력신호를 발생하도록 작동하는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밀폐실 외부에 위치한 판독장치에 상기 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장치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품축출 장치.
  51.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가 축출물의 폭을 따라 여러점에서 축출물의 두께를 판독하고 이에 따라 축출물의 형상을 판독하도록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품축출 장치.
  52.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가 축출물의 마주보는 측면과 접촉 작동하는 마주보는 장치를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의 상기 장치가 그 사이를 통과하는 축출물의 두께 변화에 따라 다른 장치쪽으로 그리고 다른 장치로부터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품축출 장치.
  53. 제52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가 축출물의 두께를 표시하는 추력신호를 마련하기 위하여 상기 마주보는 장치에 연결작동되는 변환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밀폐실 외부에 위치한 판독장치에 상기 변환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장치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품축출 장치.
  54. 제53항에 있어서, 상기 판독장치가 상기 축출다이용 원격조정장치 부근에 위치한 표시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품축출 장치.
  55. 제52항에 있어서, 축출물의 폭을 따라 여러점에서 축출물의 두께를 판독하기 위하여 축출통로에 대하여 상기 마주보는 장치를 균일하게 횡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장치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품축출 장치.
KR1019830004474A 1982-09-24 1983-09-24 축출장치 및 그 조정법 KR9100051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422679 1982-09-24
US06/422,679 US4454082A (en) 1982-09-24 1982-09-24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the thickness of a foamed extrudate in an environmental control chamber downstream of an extrusion di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6152A KR840006152A (ko) 1984-11-22
KR910005147B1 true KR910005147B1 (ko) 1991-07-23

Family

ID=236758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30004474A KR910005147B1 (ko) 1982-09-24 1983-09-24 축출장치 및 그 조정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4454082A (ko)
EP (1) EP0107319A1 (ko)
JP (1) JPS5978822A (ko)
KR (1) KR910005147B1 (ko)
CA (1) CA1225212A (ko)
DK (1) DK434883A (ko)
FI (1) FI833310A (ko)
NO (1) NO833426L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77564A (en) * 1988-07-25 1989-10-31 Mobil Oi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and controlling blow-up of a foam sheet in a thermoformer oven
US4897230A (en) * 1988-07-25 1990-01-30 Mobil Oil Corp. Method of and apparatus for measuring and controlling blow-up of a foam sheet in a thermoformer oven
US4956395A (en) * 1990-01-18 1990-09-11 Amoco Corporation Styrenic foam blowing agent composition
US6093350A (en) * 1996-08-14 2000-07-25 Owens Corning Fiberglas Technology, Inc. Sealable chamber extrusion apparatus and method with process controls
US6036468A (en) 1997-08-21 2000-03-14 Owens Corning Fiberglas Technology, Inc. Vacuum extrusion system
US5753161A (en) * 1996-08-14 1998-05-19 Owens-Corning Fiberglas Technology, Inc. Vacuum extrusion system and method
US6116882A (en) * 1996-08-14 2000-09-12 Owens Corning Fiberglas Technology, Inc. Sealable chamber extrusion apparatus with seal controls
US8557884B2 (en) * 2002-05-31 2013-10-15 Owens Corning Intellectual Capital, Llc To enhance the thermal insulation of polymeric foam by reducing cell anisotropic ratio and the method for production thereof
US20110160689A1 (en) * 2009-12-30 2011-06-30 Steven Ray Merrigan High internal phase emulsion comprising photoinitiator
DE102018111764A1 (de) 2018-05-16 2019-11-21 Windmöller & Hölscher Kg Verfahren zur automatisierten Regelung der Größe eines Spaltes einer Düsenanordnung und Steuer- und/oder Regelsystem
DE102018111766A1 (de) 2018-05-16 2019-11-21 Windmöller & Hölscher Kg Verfahren zur automatisierten Regelung der Größe eines Spaltes einer Düsenanordnung und Steuer- und/oder Regelsystem
DE102018127671A1 (de) 2018-11-06 2020-05-07 Windmöller & Hölscher Kg Verfahren für die Kontrolle eines Dickenprofils einer Folienbahn
DE102018127670A1 (de) 2018-11-06 2020-05-07 Windmöller & Hölscher Kg Stellvorrichtung für eine Kontrolle einer Austrittsdicke eines Düsenaustrittsspaltes einer Flachfolienmaschine
DE102018127673A1 (de) 2018-11-06 2020-05-07 Windmöller & Hölscher Kg Verfahren für die Kontrolle eines Düsenspaltes einer Austrittsdüse für eine Folienbahn eine Flachfolienmaschine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83557A (en) * 1935-04-27 1937-06-15 Du Pont Extrusion apparatus
US2576317A (en) * 1947-01-14 1951-11-27 New Wrinkle Inc Apparatus for producing selfsupporting wrinkle film
US2566854A (en) * 1949-01-26 1951-09-04 Us Rubber Co Extrusion control
US3024404A (en) * 1959-07-15 1962-03-06 Lab For Electronics Inc Servomotor control system
US3474160A (en) * 1965-04-27 1969-10-21 Industrial Nucleonics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blown film extruder
US3782873A (en) * 1968-09-20 1974-01-01 Du Pont Thickness control apparatus for polymeric film structures
US3649726A (en) * 1968-09-20 1972-03-14 Du Pont Method for controlling the thickness of polymeric film structures
US3775035A (en) * 1970-01-12 1973-11-27 Owens Illinois Inc Foam plastic extrusion apparatus with plurality of die lip temperature controls
BE789774A (fr) * 1972-02-18 1973-02-01 Sinclair Koppers Co Procede et appareil pour la fabrication de profiles en mousse
GB1410075A (en) * 1972-12-07 1975-10-15 British Insulated Callenders Observation method and equipment
US3914357A (en) * 1973-01-04 1975-10-21 Western Electric Co Method of monitoring the application of cellular plastic insulation to elongated conductive material
JPS49110760A (ko) * 1973-02-23 1974-10-22
JPS5010858A (ko) * 1973-06-05 1975-02-04
DE2444470C3 (de) * 1974-09-18 1978-08-17 Carl Schenck Ag, 6100 Darmstadt Vorrichtung zur Herstellung eines gestreuten Vlieses
US4087499A (en) * 1975-08-07 1978-05-02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Method for controlling uniformity in tire tread stock
DE2612993C3 (de) * 1976-03-26 1979-07-12 Zumbach Electronic Ag, Orpund (Schweiz) Vorrichtung zur Prüfung der Wandstärke eines Rohres
US4211739A (en) * 1978-07-10 1980-07-08 Condec Corporation Foam extrusion apparatus and method
US4199310A (en) * 1978-07-10 1980-04-22 Condec Corporation Extrusion apparatus
US4234529A (en) * 1978-12-18 1980-11-18 Condec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shaping plastic foams
US4247276A (en) * 1979-08-27 1981-01-27 Condec Corporation Vacuum extrusion apparatus for forming foamed plastic products
DE3107701A1 (de) * 1980-03-05 1982-01-14 Basf Ag, 6700 Ludwigshafen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regelung der dicke von extrudierten flachfolien oder platten aus thermoplastischen kunststoff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6152A (ko) 1984-11-22
DK434883D0 (da) 1983-09-23
JPS5978822A (ja) 1984-05-07
EP0107319A1 (en) 1984-05-02
CA1225212A (en) 1987-08-11
US4454082A (en) 1984-06-12
FI833310A (fi) 1984-03-25
NO833426L (no) 1984-03-26
FI833310A0 (fi) 1983-09-16
DK434883A (da) 1984-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05147B1 (ko) 축출장치 및 그 조정법
US6857301B1 (en) Displacement-type shape sensor for multi-roll leveler
US4761979A (en) Roller bending apparatus equipped with a curvature measuring unit
NL9000775A (nl) Inrichting voor het hanteren van onderdelen met een grijpinrichting.
KR970000373B1 (ko) 만능 로울 스탠드의 자동조정방법 및 상기 방법을 구체화한 만능 로울 스탠드
DE3237083A1 (de) Spitzenbock
ES2028137T5 (es) Dispositivo de ajuste para una caja de laminacion universal.
CN109500168B (zh) 型钢弯曲加工方法
DE8901227U1 (de) Vorrichtung zum Beschichten von Abstandhalterrahmen
US5305646A (en) Gauge for compressible medium
KR940002748B1 (ko) 형강의 압연용 안내장치
US5238047A (en) Roller apron for beam blank and rectangular strand in continuous casting facilities
CN111410006B (zh) 液压迈步移动输送机
CN111835284A (zh) 一种光伏组件机械载荷试验装置及其自动上料机构
US4177892A (en) Conveyor comprising a driven flexible belt for stepwise advancing moulds
US5335387A (en) Device for drying a rolled metal strip
JP2854681B2 (ja) 押出設備のストレッチャー
SU893338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калибровки труб раздачей
CN213997204U (zh) 冷轧带钢横向厚度测量设备
CN217434144U (zh) 一种可调节的无缝钢管加工用定位装置
US3958436A (en) Dynamically controlled forming by drawing machine
JPS60179376A (ja) 加工物の位置決め装置
CN111410131B (zh) 一种浮法玻璃纵顶辅助装置
US5457893A (en) Width measuring device for slab being discharged from slab casters
CN215557499U (zh) 一种试纸加工用压线机的定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