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4926B1 - 냉장고의 온도제어회로 - Google Patents

냉장고의 온도제어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4926B1
KR910004926B1 KR1019880002600A KR880002600A KR910004926B1 KR 910004926 B1 KR910004926 B1 KR 910004926B1 KR 1019880002600 A KR1019880002600 A KR 1019880002600A KR 880002600 A KR880002600 A KR 880002600A KR 910004926 B1 KR910004926 B1 KR 9100049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igerator
voltage
refrigeration cycle
signal
abnormal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026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11631A (ko
Inventor
히로시 오이께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아오이 죠이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아오이 죠이찌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8800116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116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49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49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00Comparing elements, i.e. elements for effecting comparison directly or indirectly between a desired value and existing or anticipated values
    • G05B1/01Comparing elements, i.e. elements for effecting comparison directly or indirectly between a desired value and existing or anticipated values electric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23/00Control of temperature
    • G05D23/19Control of temperat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 G05D23/20Control of temperat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with sensing elements having variation of electric or magnetic properties with change of temperature
    • G05D23/24Control of temperat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with sensing elements having variation of electric or magnetic properties with change of temperature the sensing element having a resistance varying with temperature, e.g. a thermisto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 Control Of Temperature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냉장고의 온도제어회로
제 1 도는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
제 2 도는 본 발명의 실싯예에 관한 냉장고의 온도제어회로의 회로도.
제 3 도는 제 2 도의 마이크로컴퓨터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챠아트.
제 4 도는 제 3 도에 나타낸 마이크로컴퓨터의 동작중에 클럭 인터럽트가 발생한 경우에 실행되는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챠아트.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센서회로 2 : 센서회로
3a : 냉동사이클제어장치 3b : 냉동사이클
4 : 제1판정장치 5 : 제1의 이상신호
6 : 제2판정장치 7 : 제2의 이상신호
21 : 냉장고 내의 온도센서 22 : 저항기
30 : 온도검출회로 31 : 콤퍼레이터
37 : 검출회로(DS) 40 : 마이크로컴퓨터
47 : 콤프레서 제어신호(CCT) 48 : 제1의 표시신호(DCT)
49 : 제2의 표시신호(FCT) 50 : A/D 컨버터
60 : 전환회로 67 : 전환신호(SW)
70 : 리세트회로 77 : 리세트신호(RST)
80 : 콤프레서 제어회로 86 : 콤프레서 모우터
90,100 : 표시회로
본 발명은 냉장고의 온도제어회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냉장고의 온도제어회로는 냉장고 내의 온도센서와 저항기의 분압회로의 분압점에서 얻어지는 센서회로를 출력하는 센서회로와, 이 센서신호의 전압에 따라 냉장고 내의 냉각용 냉동사이클을 작동 또는 정지시키는 냉동사이클 제어장치를 구비한 것이었다.
냉장고 내의 온도센서는 예를들어 저항값이(-)의 온도 특성이 있는 더어미스터로 구성되며, 분압회로는 직류전원이 이 온도센서와 저항기를 순차적으로 직렬로 끼워서 어스로 접속되는 것이었다.
이상 설명한 종래의 냉장고의 온도제어회로에 있어서, 냉장고 내의 온도센서에 단선고장 또는 도통고장이 발생하는 일이 있었다.
센서회로가 전술한 구성인 경우에는 냉장고 내의 온도센서에 단선고장이 발생하면 센서신호의 전압 '0'이 된다.
이때에는 냉동사이클 제어장치는 냉장고 내의 온도가 실제로는 실정온도 이상인 경우라도 냉장고 내의 온도가 매우 낮은 값으로 판정하므로, 냉동사이클을 구동시키지 않는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냉장고 내부가 이상 고온화되어 냉장고내의 식품의 부패를 초래한다.
도통고장의 경우에는 센서신호가 직류전원과 동일한 고전압이 된다.
이때에는 냉동사이클 제어장치는 냉장고 내의 온도가 실제로는 설정온도보다 낮은 경우라도 냉장고 내의 온도가 매우 높은 것으로 판정하므로 사이클을 계속 구동시키킨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냉장고 내부가 과냉각상태가 되어 냉장실등의 식품을 동결시켜 버린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은 냉장고 내의 온도센서의 이상은 이것을 검출할 필요가 있는데도 불구하고 종래는 이 검출이 곤란했었다.
또한 이상과 같은 냉장고 내의 온도센서의 이상이 없는 경우라도 냉동사이클 제어장치 또는 냉동사이클에 이상이 발생하여 전술한 바와같이 냉장고 내부가 이상 고온화되거나 이상 저온화하는 일도 있었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점을 감안하여 냉장고 내의 온도센서의 이상을 검출할 수가 있으며 또한 이 이상을 냉동사이클 제어장치의 이상 및 냉동사이클의 이상과 구별하여 검출할 수 있는 냉장고의 온도제어회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 1 도에 나타낸 바와같은 구성으로 한 것이다.
냉장고 내의 온도센서의 센서신호(2)를 받은 냉동사이클 제어장치(3a) 및 이 제어장치로 작동 또는 정지시켜지는 냉장고 내의 냉각용 냉동사이클(3b)은 종래와 마찬가지로 구성된다.
"4"는 센서신호(2)의 전압이, 냉장고의 통상 작동시의 전압범위를 포함하며, 이 범위보다 넓게 설정된 제1기준전압 범위밖으로 벗어났을 때 제1의 이상신호(5)를 출력하는 제1판정장치로서, 마이크로컴퓨터(40)로 구성된다.
"6"은 센서신호(2)의 전압이, 제1판정장치의 제1기준전압 범위를 포함하며 이 범위보다 넓게 설정된 제2기준전압 범위밖으로 벗어났을 때 제2의 이상신호(7)를 출력하는 제2판정장치로서, 마이크로컴퓨터(40)로 구성됩니다.
냉장고 내의 온도센서에 단선 또는 도통이 발생하면, 센서신호(2)의 전압은 냉장고의 통상 작동시의 전압범위를 포함하며, 이 범위보다 넓게 설정된 비교장치(4)의 제 1기준전압 범위를 벗어나게 될뿐만 아니라, 이 제 1기준전압 범위를 포함하며 이 범위보다 넓게 설정된 판정장치(6)의 제 1기준전압 범위도 벗어나게 된다.
따라서 이 이상은 제1 및 제2판정장치(4),(6)의 양자에 의해 검출될 수 있다.
즉 제1 및 제2의 이상신호(5),(7)가 모두 출력되었을때는 냉장고 내의 온도센서에 이상이 발생한 것을 알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냉동사이클 제어장치(3a)의 이상 또는 냉동사이클(3b)의 이상인 경우에는 센서신호(2)의 전압은 제1판정장치(4)의 제1기준전압 범위를 벗어날 수는 있지만, 제 2판전장치(6)의 제2기준전압 범위밖으로 벗어나게 되는 일은 없다.
따라서 이 이상은 제 1판정장치(4)에 의한 제 1이상신호는 발생시키지만 제 2판정장치(6)에 의한 제 2이상신호는 발생시키지 않는다.
결국 두 개의 이상신호(5),(7)중 제1의 이상신호(5)만이 출력될 때에는 냉동사이클 제어장치(3a)의 이상 또는 냉동사이클(3b)의 이상인 것을 알 수 있다.
제 2 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냉장고의 온도제어회로도이다.
"1"은 센서회로로서 냉장고 내의 온도센서(21)의 일단과 저항기(22)의 일단은 접속점(23)에서 접속되어 있다.
냉장고 내의 온도센서(21)는 예를들어 저항값이 (-)의 온도특성이 있는 더어미스터로 된다.
그리고 냉장고 내의 온도센서(21)의 타단은 직류전원 Vcc에 접속되며, 저항기(22)의 타단은 어스 접속되어 분압회로가 구성되어 있다.
접속점(23)의 전압은 센서회로(2)로서 출력된다.
"30"은 온도검출회로로서 센서신호(2)는 콤퍼레이터(31)의 반전 입력단자에 입력된다.
콤퍼레이터(31)의 비반전 입력단자는 저항기(32)(33)(34)를 끼워서 각각 직류전원 Vcc, 어스 및 자신의 출력단자에 접속된다.
이 콤퍼레이터(31)의 출력은 이 온도검출회로(30)의 출력 즉 검출회로(DS)(37)로서 마이크로컴퓨터(40)에 입력된다.
마이크로컴퓨터(40)는 내부에 메모리, 타이머 및 입출력 포오트가 있는 하나의 칩으로 된 마이크로컴퓨터이다.
"50"은 A/D 컨버터로서 아나로그 입력단자에 센서신호(2)가 입력된다.
그리고 이 컨버터는 마이크로컴퓨터(40)와의 사이에서 A/D제어신호(57)를 교환하여 A/D변환을 실행하며, 이 A/D변환의 결과를 마이크로컴퓨터(40)에 대하여 데이터신호(58)로서 출력한다.
"60"은 냉장고 내의 온도센서의 이상표시 모우드를 전환하기 위한 전환회로로서, 직류전원 Vcc이 저항기(61) 및 유지형 접점(62)을 차례로 끼워서 어스에 접속되는 회로구성을 하고 있다.
저항기(61)와 유지형 접점(62)의 접속점의 전압은 전환신호(SW)(67)로서 마이크로컴퓨터(40)에 입력된다.
"70"은 냉장고 내의 온도센서의 이상의 기억을 리세트하기 위한 리세트 회로로서 직류전원 Vcc이 저항기(71) 및 수동조작 자동 복귀형 a접점(72)을 차례로 끼워서 어스로 접속되는 회로구성을 하고 있다.
저항기(71)와 a접점의 접속점의 전압은 리세트 신호(RST)(77)로서 마이크로컴퓨터(40)에 입력된다.
마이크로컴퓨터(40)로부터 출력되는 콤프레서 제어신호(CCT)(47)는 콤프레서 제어회로(80)에서 저항기(81)을 끼워서 NPN트랜지스터(82)의 베이스에 입력된다.
이 트랜지스터의 에미터는 어스되며, 이 콜렉터는 릴레이의 코일(83)을 끼워서 직류전원 Vcc에 접속된다. 이 코일의 양단에는 다이오드(84)가 캐소드를 직류전원 Vcc쪽으로 향하게 하여 접속된다.
코일(83)이 있는 릴레이의 a접점(85)은 콤프레서 모우터(86)와 직렬로 교류전원(87)에 접속된다.
또한 온도검출회로(30), 콤프레서 제어회로(80) 및 교류전원(80) 및 교류전원(87)에 접속된 회로는 냉동사이클 제어회로(3a)를 구성하며,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은 냉동사이클(3b)은 콤프레서 모우터(86)로 구성된다.
또한 냉장고 내의 온도센서(21)의 이상을 표시하기 위하여 마이크로컴퓨터(40)에서 출력되는 제1의 표시신호(DCT)(48)는 제1의 표시회로(90)에서 저항기(91)을 끼워서 NPN트랜지스터(92)의 베이스로 입력된다.
이 트랜지스터의 에미터는 어스되며, 이 콜렉터는 발광 다이오드(93)의 캐소드에 접속된다.
이 발광 다이오드의 애노드는 저항기(94)를 끼워서 직류전원 Vcc에 접속된다.
냉동사이클 제어장치(3a) 또는 냉동사이클(3b)의 이상을 표시하기 위하여 마이크로컴퓨터(40)에서 출력되는 제2의 표시신호(FCT)(49)는 제2의 표시회로(100)에서 저항기(101)를 끼워서 NPN트랜지스터(102)의 베이스에 입력된다.
이 트랜지스터의 에미터는 어스되며, 이 콜렉터는 발광 다이오드(103)의 캐소드에 접속된다.
이 발광 다이오드의 애노드는 저항기(104)를 끼워서 직류전원 Vcc에 접속된다.
제 3 도 및 제 4 도는 마이크로컴퓨터(40)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챠아트이다.
이하 제 2 도 및 이들 플로우챠아트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냉장고의 온도제어회로의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스텝 1에서는 마이크로컴퓨터(40)에 내부메모리중 냉장고 내의 온도센서(21)의 이상을 기억하기 위한 두 개의 기억장소, 즉 이상기억 DFLR 및 DFAIL을 0으로 리세트하는 동시에 냉동사이클 제어장치(3a) 또는 냉동사이클(3b)의 이상을 기억하기 위한 두 개의 기억장소, 즉 이상기억 FFLR 및 FFAIL을 0으로 리세트한다.
스텝 2에서는 L레벌의 표시신호(DCT)(48) 및 L레벨의 표시신호(FCT)(49)를 출력하며, 이들 신호는 마이크로컴퓨터(40)의 내부에 래치된다. 이때 표시회로(90)(100)에서 트랜지스터(92)(102)가 각각 OFF하여 발광 다이오드(93)(103)가 모두 소등된다.
이상과 같이하여 초기화가 된 뒤 스텝3에서 검출회로(DS)(37)의 전압레벨이 조사된다.
온도검출회로(30)에서 출력되는 이 신호는, 통상의 냉장고 내의 온도가 설정온도 이상일때에 L레벨이 되며 설정온도보다 낮을때에 H레벨이 된다.
즉 콤포레이터(31)의 비반전 입력단자의 전압은 직류전원 Vcc의 전압과 저항기(32)(33)의 전압으로 정해지는 설정전압으로, 저항기(34)에 따른 정귀환에 의해 히스테리시스가 부여되어 있다.
즉 이 설정전압의 상한값은 VSU이며, 그 하한값은 VSL이다.
한편 냉장고 내의 온도센서(21)의 저항값이(-)의 온도특성이 있으므로 센서신호(2)의 전압 V 즉 콤퍼레이터(31)의 반전입력 단자의 전압은 온도가 높아지는 만큼 높아진다.
따라서 냉장고 내의 온도가 상승하여 콤퍼레이터(31)의 반전입력 단자의 전압 V 가 설정전압의 상한값 VSU보다 높아지면 이 콤퍼레이터의 출력이 L레벨이 된다.
또한 냉장고 내의 온도가 저하되어 콤퍼레이터(31)의 반전입력 단자의 전압 V가 설정전압의 하한값 VSL보다 낮아지면 이 콤퍼레이터의 출력이 H레벨이 된다.
즉 전술한 바와같은 전압 레벨의 검출신호(DS)(37)가 출력된다.
마이크로컴퓨터(40)가 L레벨의 검출신호(DS)(37)을 입력하면 스텝4에서 H레벨의 콤프레서 제어신호(CCT)(47)가 출력된다.
이때, 콤프레서 제어회로(80)에서 트랜지스터(82)가 ON되며 코일(83)이 통전되어 a접점(85)이 ON된다.
따라서 교류전원(87)으로 콤프레서 모우터(86)가 구동되며 냉동사이클이 작동을 개시하여 냉장고 내부가 냉각된다.
한편 H레벨의 검출신호(DS)(37)를 입력했을 때에는 스텝 5에서 L레벨의 콤프레서 제어신호(CCT)(47)가 출력된다.
이때 콤프레서 제어회로(80)에서 트랜지스터(82)가 OFF되며, a접점(84)이 OFF된다.
따라서 콤프레서 모우터(86)의 구동이 정지되어 냉장고 내의 냉각이 정지된다.
이상과 같이 냉장고 내의 온도센서(21)에 이상이 없는 경우에는 센서신호(2)의 전압 V이 냉장고 내의 온도에 대응하므로, 냉동사이클 제어장치(3a) 및 냉동사이클(3b)에 이상이 없는 한 냉장고 내의 온도에 따라 콤프레서 모우터(86)가 작동 또는 정지되어 냉장고 내의 온도가 설정온도 근방에서 유지된다.
이때 센서신호(2)의 전압 V는 설정전압의 상한값 VSU와 하한값 VSL사이의 전압 범위의 값이 된다.
이어서 스텝 6에서 리세트 신호(RST)(77)의 전압레벨이 조사되며 이것이 L레벨일때만 스텝 7에서 DFAIL 및 FFAIL이 0으로 된다.
이때 리세트 신호(RST)(77)가 L레벨이 되는 것은 a접점(72)이 ON 조작되었을 때이다.
스텝 8에서는 마이크로컴퓨터(40)와 A/D컨버터(50)의 사이에서 A/D제어신호(57) 즉, 변환개시요구 신호 및 변환종료 신호의 교환을 하여 이 A/D 컨버터(50)에 의해 디지탈량으로 변환된 센서신호(2)의 전압 V를 데이터신호(58)로서 입력한다.
그리고 스텝 9에서는 이 전압이 제1기준상한 전압 FVU와 제1기준하한 전압 FVL사이의 값인지의 여부가 판단된다.
제1기준상한 전압 FVU는 설정전압의 상한값 VSU보다 높으며, 또한 Vcc보다 낮게 설정되며, 제2기준 하한 전압 FVL은 설정전압의 하한값 VSL보다 낮은 (+)의 값으로 설정된다.
즉 센서신호(2)의 전압에 대하여 제1기준상한 전압 FVU가 제1기준하한 전압 FVL사이의 전압범위는 냉장고의 통상 작동시의 전압범위 VSU-VSL을 표함하며 또한 이 범위보다 넓게 설정된다.
그런데 냉장고 내의 온도센서(21)에 이상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에는 냉동사이클 제어장치(3a) 및 냉동사이클(3b)에 이상이 없는 한 전술한 바와 같인 센서신호(2)의 전압 V는 VSU와 VSL사이의 값이므로, 당연히 FVU와 FVL사이의 값이다.
그렇지만 냉동사이클 제어장치(3a) 또는 냉동사이클(3b)에 이상이 발생하면 센서신호(2)의 전압 V는 FVU와 FVL사이의 값에서 벗어나게 되며, 그러나 0또는 Vcc까지는 도달하지 않는다.
한편 냉장고 내의 온도센서(21)에 전술한 바와같은 단선 또는 도통의 이상이 발생하면 센서신호(2)의 전압 V는 0 또는 Vcc가 된다.
냉동사이클 제어장치(3a) 및 냉동사이클(3b) 및 냉장고 내의 온도센서(21)에 이상이 없고 센서신호(2)의 전압 V가 FVU와 FVL사이의 값인 경우에는 스텝 10에서 DFLR 및 FFLR을 0으로 리세트하며, 스텝 11에서 소정의 기간, 예를들면 1분, 10분 혹은 한시간을 계시(計時)하는 타이머(A) 및 타이머(B)의 계시를 리세트시킨 뒤 스텝 17로 진행시킨다.
한편, 냉동사이클 제어장치(3a) 또는 냉동사이클(3b) 또는 냉장고 내의 온도센서(21)에 이상이 발생하여 센서신호(2)의 전압 V가 FVU와 FVL사이의 값에서 벗어난 경우에는 스텝 12에서 전술한 타이머(A)의 계시를 스타트 시킨 뒤 스텝 13으로 진행시킨다.
스텝 13에서는 재차 센서신호(2)의 전압 V가 제2기준 상한 전압 DVU와 제2기준하한 전압 DVL사이의 값인지의 여부가 판단된다.
제2기준상한 전압 DVU는 제1기준상한 전압 FVU보다 높으며 또한 Vcc보다 낮게 설정되며 제2기준 하한 전압 DVL은 제1기준하한 전압 FVL보다 낮은 (+)값으로 설정된다.
즉, 센서신호(2)의 전압에 대하여 제2기준상한 전압 DVU와 제2기준하한 전압 DVL사이의 전압범위는 제1기준상한 전압 FVU와 제1기준하한 전압 FVL사이의 전압범위를 포함하며 또한 이 범위보다 넓게 설정된다.
따라서 냉장고 내의 온도센서(21)의 이상이 아니라, 냉동사이클 제어장치(3a) 또는 냉동사이클(3b)의 이상이 발생하여 센서신호(2)의 전압 V가 DVU와 DVL사이의 값인 경우에는 스텝 14에서 DFLR을 0으로 리셋트하고 스텝 15에서 타이머(B)의 계시를 리세트시켜 타이머 A만 스타트된 상태에서 스텝 17로 진행시킨다.
한편 냉장고 내의 온도센서(21)에 전술한 바와같은 단선 또는 도통의 이상이 발생하면, 센서신호(2)의 전압 V는 전술한 바와같이 0 또는 Vcc가 된다.
따라서 이때에는 센서신호(2)의 전압 V는 DVU와 DVL사이의 값에서 벗어나게 된다.
이 경우에는 스텝 15에 타이머(B)의 동작도 스타트시킨 뒤 스텝 17로 진행시킨다.
스텝17에서는 스텝12에서 계시를 개시한 타이머(A)가 타임-업 되었는지의 여부 즉, 냉동사이클 제어장치(3a) 또는 냉동사이클(3b)의 이상이 소정시간 계속되고 있는지의 여부가 판단되어 계속되고 있지않은 경우에는 검출의 오류라고 판단하여 그래도 스텝 19로 진행시킨다.
반대로 이 이상이 소정시간 계속된 경우에는 냉동사이클 제어장치(3a) 또는 냉동사이클(3b)의 이상이라고 판정하여 스텝18에서 FFLR 및 FFAIL에 1을 셋트시킨 뒤 스텝 19로 진행시킨다.
즉 이상기억 FFLR 및 FFAIL을 셋트하는 것은 냉동사이클 제어장치(3a) 또는 냉동사이클(3b)의 이상이 소정시간 계속된 경우에 한정되어 있으므로 이상상태에 대한 검출의 오류가 방지된다.
스텝 19에서는 스텝 16에서 계시를 개시한 타이머(B)가 타임-업 되었는지의 여부 즉 냉장고 내의 온도센서(21)의 이상이 소정시간 계속되고 있는지의 여부가 판정되어 계속되고 있지않은 경우은 검출의 오류라고 판정하여 그래도 스텝 3으로 되돌아온다.
반대로 냉장고 내의 온도센서(21)의 이상이 소정시간 계속된 경우에는 냉장고 내의 온도센서(21)의 이상이라고 판정하여 스텝(20)에서 DFLR 및 DFAIL에 1을 셋트시킨 뒤 스텝(3)으로 되돌아온다.
즉 이상기억 DFLR 및 DFAIL을 셋트하는 것은 냉장고 내의 온도센서(21)의 이상이 소정시간 계속된 경우에 한정되어 있으므로 이상상태에 대한 검출의 오류가 방지된다.
그런데 냉장고 내의 온도센서(21)는 단선고장 또는 도통고장과 같은 영구고장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냉장고 내의 습도의 영향으로 일시적으로 도통상태가 되는 일도 있다.
또한 냉동사이클 제어장치(3a)의 이상, 또는 냉동사이클(3b)의 이상에 대해서도 이들 이상은 회복되는 일이 있다.
마이크로컴퓨터(40)가 이상 설명한 플로우챠아트에 따라 동작하면 이상 기억중 FFLR은 냉동사이클 제어장치(3a) 또는 냉동사이클(3b)의 이상이 검출되어 스텝 18에서 또는 냉동사이클(3b)의 이상이 검출되어 스텝 18에서 1이 셋트된 뒤라도 이 이상이 회복되었을 때에는 스텝 10에서 0으로 리세트 된다.
이에 대해 FFAIL은 이상 검출후에 이것이 회복되어도 a접점(72)이 ON조작될 때까지는 1로 셋트된 상태 그대로 이다.
또한 이상 기억중 DFLR은 냉장고 내의 온도센서(21)의 이상이 검출되어 스텝 20에 1이 셋트된 뒤라도 이 이상이 회복되었을 때에는 스텝 10 또는 스텝 14에서 0으로 리세트된다.
이에 대하여 DFAIL은 이상 검출후에 이것이 회복되어도 a접점(72)이 ON조작될때까지는 1로 셋트된 그대로이다.
마이크로컴퓨터(40) 내부의 다른 타이머는 예를들어 1초마다의 클럭 인터럽트를 발생한다.
제 4 도에 나타낸 루우틴은 이 클럭 인터럽트가 발생할 때마다 실행되는 것으로서 이상과 같이 하여 검출되어 기억되는 냉동사이클 제어장치(3a) 또는 냉동사이클(3b)의 이상 또는 냉장고 내의 온도센서(21)의 이상표시를 목적으로 하는 루우틴이다.
스텝 21에서는 전환신호(SW)(67)의 전압레벨이 조사된다.
전환회로(60)에서 유지형 접점(62)이 OFF조작되며 전환신호(SW)(67)가 H레벨이 되며 이 접점이 ON조작되면 이 신호가 L레벨이 된다.
유지형 접점(62)이 OFF조작되어 전환신호(SW)(67)가 H레벨인 경우에는 스텝 22에서 이상기억 DFLR의 내용이 조사된다.
이에 대하여 유지형 접점(62)이 ON조작되어 이 신호가 L레벨인 경우에는 스텝 23에서 이상기억 DFAIL의 내용이 조사된다.
그리고 어느 경우에도 이상기억이 1일때에는 스텝 24에서 H레벨의 표시신호(DCT)(48)가 출력된다.
표시신호(DCT)(48)가 H레벨이 되면 표시회로(90)에서 트랜지스터(90)가 ON되어 저항기(93)를 통하여 발광 다이오드(93)로 전류가 공급된다.
따라서 이 발광 다이오드(93)가 점등되어 냉장고 내의 온도센서(21)의 이상발생을 표시한다.
반대로 이상기억이 0일 때에는 어느 경우에는 스텝 25에서 L레벨의 표시신호(DCT)(48)가 출력된다.
표시신호(DCT)(48)가 L레벨 이되면 트랜지스터(92)가 OFF되어 발광 다이오드(93)가 소등된다.
스텝 24 또는 스텝 25에서 이상기억 DFLR 또는 DFAIL의 내용에 따라 발광 다이오드(93)를 점등 또는 소등시킨 뒤에는 스텝 26으로부터 스텝 30에서, 이상과 동일하게 하여 이상기억 FFLR 또는 FFAIL의 내용에 따라 제2의 표시신호(FCT)(49)를 출력하여 발광 다이오드(103)를 점등 또는 소등시킨다.
이 경우에는 전환신호(SW)(67)의 전압레벨에 따라서 표시해야할 이상기억으로 FFLR 과 FFAIL 중 어느 한쪽이 선택된다.
이와같이 하여 냉동사이클 제어장치(3a)의 이상 또는 냉동사이클(3b)의 이상 발생의 유무를 표시한 뒤 제 3 도에 플로우챠아트를 나타낸 앞의 프로그림에 링크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표시회로(90)(100)에서 냉장고 내의 온도센서(21)의 이상 또는 냉동사이클 제어장치(3a) 또는 냉동사이클(3b)의 이상이 표시는 전환회로(60)의 유지형 접점(62)의 전환으로 DFLR, FFLR과 DFAIL, FFAIL이 전환된다.
즉 유지형 접점(62)을 OFF조작하면 이상기억 DFLR,FFLR의 내용에 따라 각각 발광 다이오드(93)(103)가 점등 또는 소등시켜진다.
또한 이 접점(62)을 ON조작하면 이상기억 DFAIL,FFAIL의 내용에 따라 발광 다이오드(93)(103)가 점등 또는 소등시켜진다.
따라서 유지형 접점(62)을 OFF조작하고 또한 ON조작한 경우에 어느 경우에도 발광 다이오드(93)가 점등하지 않을 때에는 이상기억 DFLR=DFAIL='0'이므로 냉장고 내의 온도센서(21)에 이상이 한번도 발생하지 않았던 것이 판명된다.
또한 어느 경우에나 발광 다이오드(93)가 점등될때에는 이상기억 DFLR= DFAIL='1'이기 때문이며 이 센서에 영구고장이 발생해 있음이 판명된다.
또한 유지형 접점(62)을 ON 조작했을 때에는 발광 다이오드(93)가 점등되는데 이 접점을 OFF조작했을 때에는 이 발광 다이오드가 소등되는 경우에는, DFAIL=1이고 DFLR=0인 것으로 냉장고 내의 온도센서(21)에 일시적인 이상이 발생되었다는 것이 판명된다.
냉동사이클 제어장치(3a)의 이상 또는 냉동사이클(3b)의 이상인 경우도 유지형 접점(62)을 ON/OFF함에 따라 발광 다이오드(103)가 어떻게 되느냐를 기초로 동일하게 판명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냉장고 내의 온도센서(21)의 이상 발생 유무를 냉동사이클 제어장치(3a)의 이상 및 냉동사이클(3b)의 이상과 구별하여 인식할 수 있을뿐만 아니라, 이들 이상이 영구적인 것인지, 일시적인 것이었던지를 판별할 수 있어서 보수유지시에 이상의 원인을 알 수 있는 단서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들 이상을 검출한 것을 이상기억 DFAIL, FFFAIL로 기억하여 이 기억에 따라 표시회로(90)(100)로 이상의 표시를 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이들 이상이 영구적인 것인지의 여부에 관계없이 이상이 발생한 경우에는 반드시 이 이상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스텝(6)(7)에서 리세트 신호(RST)(77)의 전압레벨을 조사하여 이것이 최초로 L레벨이 되었을 때 비로서 전술한 클럭 인터럽트를 인에블로 하고, 이어서 이 신호가 L레벨이 되었을때에 전술한 바와 같이 FAIL을 0으로 하는 프로그램으로 할 수도 있다.
이와같이 하면 통상은 발광 다이오드(93)(103)의 점등을 하지않고, 필요할 때만 a접점(72)을 ON조작하면 이들 발광 다이오드의 점등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제1판정장치(4) 및 제2판정장치(6)로서 하나의 칩으로 된 마이크로컴퓨터(40)를 사용하였지만, 이 컴퓨터는 멀티칩인 컴퓨터라도 좋다.
또한 제1판정장치(40 및 제2판정장치(6)로서 전술한 온도검출회로(30)에 사용되고 있는 콤퍼레이터(31)와 동일한 콤퍼레이터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센서신호의 전압이 냉장고의 통상 운전시의 전압범위를 포함하며 이 범위보다 넓게 설정된 제1기준전압 범위를 벗어났을 때 제1의 이상신호를 출력하는 제2판정장치와, 센서신호의 전압이 이 제2판정장치의 제1기준전압 범위를 포함하며 이 범위보다 넓게 설정된 제2기준전압 범위를 벗어났을 때 제2의 이상신호를 출력하는 제2판정장치를 가지고 있으므로 냉장고 내의 온도센서의 이상은 제2이상신호가 출력되므로써 검출되며, 냉동사이클 제어장치의 이상 및 냉동사이클의 이상은 제1의 이상 신호만이 출력되므로서 검출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냉장고 내의 온도센서의 이상을 검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 이상을 냉동사이클 제어장치의 이상 및 냉동사이클의 이상과 구별하여 검출할 수 있는 냉장고의 온도제어회로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2)

  1. 냉동사이클내 온도센서(21)의 센서신호 전압치에 따라 냉동사이클 내의 냉각용 냉동사이클(3b)을 운전 또는 정지시키는 냉동사이클 제어수단(3a)을 구비한 냉장고의 온도제어회로에 있어서, 센서신호의 전압치가, 냉장고 통상운전시의 전압범위를 포함하며 이 범위보다도 넓게 설정된 제2기준압 범위를 (DVU와 DVL사이)를 벗어났을 때, 제2의 이상신호(7)를 출력하는 제2판정장치(6)와, 상기 제2판정장치(6)으로부터 출력되는 제2이상신호를 기억하는 제1 및 제2의 기억수단(DFLR, DFAIL)과, 상기 제1 및 제2의 기억수단의 내용을 표시하는 표시수단(90)과, 상기 제2판정장치(6)로부터의 제2의 이상신호 발생이 중단되었을 때, 제1기억수단(DFLR)의 내용을 클리어하는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온도제어회로.
  2. 제 1 항에 있어서, 전술한 온도센서(21)의 센서신호 전압치가, 냉장고의 통상 운전시의 전압범위보다 넓게 설정되는 동시에 상기 제2판정장치 (6)의 제2기준전압범위(DVU와 DVL사이)내에 설정된 제1기준전압 범위(FVU와 FVL사이)를 벗어났을 때, 제1의 이상신호(5)를 출력하는 제1판정장치(4)와, 상기 제1판정장치(4)에서 출력되는 제1이상 신호를 기억하는 제3 및 제4기억수단(FFLR, FFAIL)과, 상기 제1판정장치(4)에서의 이상신호가 중단되었을 때 제3기억수단(FFLR)의 내용을 클리어하는 수단과, 상기 제3 및 제4 기억수단의 내용을 표시하는 표시수단(100)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온도제어 회로.
KR1019880002600A 1987-03-13 1988-03-12 냉장고의 온도제어회로 KR9100049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9702 1987-03-13
JP62-59702 1987-03-13
JP62059702A JPH0689976B2 (ja) 1987-03-13 1987-03-13 冷蔵庫の温度制御回路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1631A KR880011631A (ko) 1988-10-29
KR910004926B1 true KR910004926B1 (ko) 1991-07-18

Family

ID=131208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02600A KR910004926B1 (ko) 1987-03-13 1988-03-12 냉장고의 온도제어회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4841735A (ko)
JP (1) JPH0689976B2 (ko)
KR (1) KR910004926B1 (ko)
GB (1) GB2202344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5430B1 (ko) * 1999-02-26 2006-07-03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36666A (ja) * 1988-11-16 1990-05-25 Nippon Kentetsu Co Ltd 冷凍冷蔵庫の運転制御方法
JP2824297B2 (ja) * 1989-12-01 1998-11-1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空気調和機のセンサ異常時の運転方式
KR910020404A (ko) * 1990-05-11 1991-12-20 강진구 자기 진단 기능을 가진 냉장고
IES68864B2 (en) * 1996-04-03 1996-07-24 Business And Technology Links A food handling control system
US6091324A (en) * 1998-11-13 2000-07-18 Ford Motor Company Comparing sensor outputs to distinguish between sensor faults and extreme temperature conditions
US6405548B1 (en) 2000-08-11 2002-06-18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temperature using air flow
US6782706B2 (en) 2000-12-22 2004-08-31 General Electric Company Refrigerator—electronics architecture
US6606870B2 (en) 2001-01-05 2003-08-19 General Electric Company Deterministic refrigerator defrost method and apparatus
US6802369B2 (en) * 2001-01-05 2004-10-12 General Electric Company Refrigerator quick chill and thaw control methods and apparatus
US6802186B2 (en) 2001-01-05 2004-10-12 General Electric Company Refrigerator system and software architecture
US6668568B2 (en) 2001-01-05 2003-12-30 General Electric Company Flexible sealed system and fan control algorithm
KR100423972B1 (ko) * 2001-11-30 2004-03-22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JP2007255762A (ja) * 2006-03-22 2007-10-04 Daikin Ind Ltd コンテナ用冷凍装置
CN105242705A (zh) * 2015-06-02 2016-01-13 深圳市至爱的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车载恒温控制器
JP7356219B2 (ja) * 2018-11-30 2023-10-04 ホシザキ株式会社 冷却貯蔵庫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48579A (en) * 1980-04-19 1981-11-18 Bridgestone Corp Printing body
JPS56164498U (ko) * 1980-05-09 1981-12-05
US4313308A (en) * 1980-09-08 1982-02-02 Boratgis James P Temperature control with undercool protection
US4381549A (en) * 1980-10-14 1983-04-26 Trane Cac, Inc. Automatic fault diagnostic apparatus for a heat pump air conditioning system
JPS6027905B2 (ja) * 1981-04-03 1985-07-0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空調制御方法
US4387578A (en) * 1981-04-20 1983-06-14 Whirlpool Corporation Electronic sensing and display system for a refrigerator
GB2111203A (en) * 1981-10-23 1983-06-29 Ranco Inc Temperature control unit
US4441329A (en) * 1982-07-06 1984-04-10 Dawley Robert E Temperature control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5430B1 (ko) * 1999-02-26 2006-07-03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2202344A (en) 1988-09-21
GB8805984D0 (en) 1988-04-13
KR880011631A (ko) 1988-10-29
JPS63226579A (ja) 1988-09-21
US4841735A (en) 1989-06-27
GB2202344B (en) 1991-06-12
JPH0689976B2 (ja) 1994-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04926B1 (ko) 냉장고의 온도제어회로
US20070040532A1 (en) Motor controll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and error detecting apparatus of inverter
US7886587B2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cting the exchange of sheathed-element glow plugs in a combustion engine
KR930004399B1 (ko) 냉장고의 제상회로
US4385290A (en) Liquid level sensing circuitry
JPS63226578A (ja) 冷蔵庫の温度制御回路
US4231073A (en) Automatic improved engine control system containing both solid state circuits and relays
US4764715A (en) Electronic service timer for an appliance
JPH0266612A (ja) 冷蔵庫の温度制御回路
JPS63231183A (ja) 冷蔵庫の温度制御回路
EP0566996A2 (en) Programmable controller with erroneous input prevention control circuit
EP0142310A1 (en) Electrical circuit arrangements with charge storage detector
KR19990053425A (ko) 냉장고의 운전방법
CN215639540U (zh) 一种霍尔器件检测电路及装置
KR820000613Y1 (ko) 냉장고의 이상전압 감지회로
KR950009360Y1 (ko) 냉장고의 써미스터 불량 검출회로
KR920008889Y1 (ko) 전자레인지의 접지불량 감지회로
KR930004431Y1 (ko) 온도센서의 단선 감지회로
KR890005621Y1 (ko) 냉장고의 압축기 고장 표시회로
JP3194696B2 (ja) 温度表示機能付き液体容器
JPH04175439A (ja) 水温センサ異常検出装置
KR0119032B1 (ko) 냉장고의 온도감지센서 불량검출방법
JP2576448Y2 (ja) 電源の異常表示回路
KR920000287Y1 (ko) 의료용 냉장고의 온도 전원 감시회로
JPS59108887A (ja) コンプレッサの保護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626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