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4398Y1 - 전기 소케트 - Google Patents

전기 소케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4398Y1
KR910004398Y1 KR2019860014871U KR860014871U KR910004398Y1 KR 910004398 Y1 KR910004398 Y1 KR 910004398Y1 KR 2019860014871 U KR2019860014871 U KR 2019860014871U KR 860014871 U KR860014871 U KR 860014871U KR 910004398 Y1 KR910004398 Y1 KR 91000439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member
upper member
holes
contact
so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6001487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8992U (ko
Inventor
리 막스 리챠드
디오도어 파커 윌리암
Original Assignee
에이 엠 피 인코포레이티드
제이 엘. 사이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 엠 피 인코포레이티드, 제이 엘. 사이칙 filed Critical 에이 엠 피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87000899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899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439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4398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02Arrangements of circuit components or wiring on supporting structure
    • H05K7/10Plug-in assemblages of components, e.g. IC sockets
    • H05K7/1007Plug-in assemblages of components, e.g. IC sockets with means f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at the end of engagement of coupling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nnecting Device With Holders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기 소케트
제 1 도는 본 고안의 이동 유지 및 안내 수단이 합체된 레벨 11 소케트의 투시도.
제 2 도는 제 1 도에 도시된 소케트의 투시도.
제 3 도는 교체 가능한 이동 유지 및 안내 수단의 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 베이스 부재 14 : 상부 부재
18 : 다수의 접촉소자 52 : 크랭크
60 : 캠 블럭 76 : 핀
본 고안은 전기 소케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회로 기판상에 납땜되며, 통로를 얻고 손상된 접촉 소자를 제거하기 위해 부분적으로 분해되는 전기 소케트에 관한 것이다.
레벨 11 소케트로서 주지된 전기 소케트는 회로 기판에 납땜되며, 전자 패키지상에서 이동하도록 리드 또는 핀을 수납하고, 소케트의 전기 상호 접속을 회로와 전자 패키지 및 기판상의 구성 요소상에 제공하도록 접촉소자를 포함한다. 몇몇의 상기 소케트는 접촉 소자가 위치되고, 베이스 부재 상단에서 활주하도록 상부 부재가 장착되며, 접촉 소자로 억세스를 얻기 위해 이동되는 베이스 부재를 갖는 삽입력이 낮거나 0인 형태이다. 그러나, 소케트에 흠이 없게 하기 위해 상부 부재는 베이스 부재에 단단히 고정되도록 하며, 손상된 접촉 소자를 대체하기 위한 상부 부재를 제거하는 것은 어려우며, 동작 시간을 많이 소모한다. 예를 들어, 현재 레벨 11 소케트에서 베이스 부재는 아래 방향을 향해 서로 마주보는 숄더의 경계를 거꾸로 구멍을 뚫는 길다란 통로를 갖는다. 탄력이 있는 핑거로서 래치 부재는 상부 및 베이스 부재가 길며, 탄성 핑거의 상향 숄더가 하향 숄더와 맞물리어, 상부 및 베이스 부재간에 상관적인 이동동안 함께 래치하도록 상부 및 베이스 부재를 유지함으로써 각 통로내에 위치된다. 몇몇 경우에, 기관으로부터 모든 접촉 소자를 완전히 납땜을 제거하는 것이 요구된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부 부재를 베이스 부재에 유지하고, 상부 부재가 베이스 부재의 상단을 따라 이동할때 상부 부재를 안내하기 위한 이동 유지 및 안내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장치는 하나이상의 손상된 접촉수단이 대체되도록 상부 부재를 베이스 부재로부터 쉽게 제거되도록 한다.
본 고안에 따라, 전기 소케트는 절연 베이스 부재 및 베이스 부재를 따라 활주 가능한 절연 상부 부재를 구비한다. 전기 접촉 부재가 단단히 고정되는 베이스 부재는 접촉 수납 공동의 어레이를 갖는다. 전기 접촉 부재는 각 공동내에 위치된 접촉부와 회로 기판상에서 전도 부재에 전기적으로 접속을 위하여 베이스 부재의 하단 표면으로부터 외향하여 뻗는 단자부를 갖는다. 상부 부재는 공동 어레이에 일치하는 상부 부재를 관통한 구멍 어레이를 갖고 있어, 상부 부재가 한 위치에서 다른 위치로 베이스 부재에 관련되어 이동될때 전자 구성요소의 단자부가 전기 접촉의 각 접촉부에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하여 각 구멍을 관통한다. 유지 및 안내수단은 부재를 함께 유지하고 상관적인 이동을 안내하며, 접촉을 체크하거나 손상된 접촉을 대체하기 위해 상부 부재가 베이스 부재로부터 제거될 수 있도록 베이스 부재 및 상부 부재를 제거함으로써 제공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 1 도 및 2 도에 도시된 레벨 11 전기 소케트(10)는 본 명세서에서는 참조된 미합중국 특허 제 4,498,725호에 공지된 형태이며, 베이스 부재(12), 상부 부재(14), 작동기(16) 및, (제 2 도에만 도시된) 다수의 접촉 소자(18)를 포함한다. 각 소자(18)는 리드(20), 한쌍의 이격되어 떨어져 수직 암(22) 및 각 암(22)의 상단에서 소자의 세로축에 수직으로 뻗은 핑거(24)를 포함한다.
하나의 핑거(24)의 자유 단부(26)는 다른 핑거(24)의 자유단부(26)쪽으로 집중되어, 핀 수납 접촉 영역(28)의 경계를 정한다. 소자(18)는 종래에 예를들어, 주석 납 또는 니켈 도금같이 적당하게 도금된 구리 합금으로 찍어 형태를 만들어 제조되었다.
베이스 부재(12)에서 다수의 공동(30)은 회로기판(32)내의 (도시되지 않는) 구멍에서 납땜하기 위하여 부재(1)로부터 뻗은 리드(20)를 갖는 접촉 소자(18)를 수납한다. 공동(30)에서 소자(18)와 함께, 핑거(24)는 부재(12)의 상단면(34) 바로 밑에 위치된다.
홈(36)은 확장 중앙 부분(38) 및 열린 단부(40)와 함께 표면(34)에 제공된다.
한쌍의 이격된 블록(42)은 베이스 부재(12)의 양 벽(44, 46)상에 제공된다. 구멍(48)은 상단면(34)과 평핸인 축상에서 각 블록(42)을 관통한다.
작동기(16)는 핸들(50) 및 크랭크(52)를 포함한다. 크랭크는 오프셋 부분(54)을 포함한다.
작동기(16)는 스테인레스스틸로 만드는 것이 좋다.
상부 부재(14)는 베이스 부재(14)와 동일한 길이 및 폭을 갖는 판(56)을 포함한다. 판(56)을 관통하는 다수의 구멍(58)은 숫적인 면과 형태에서 소자(18)를 수납하는 공동(30)의 영향을 받는다. 캠 블록(60)은 캠 블록의 한쪽 단부에서 판(56)의 각 하위면(62)에 달려있으며, 하향 개방 채널(64)를 포함한다. 한쌍의 이격된 블록(66)은 판(56)의 각 측면(68, 70)에 부착되며 하위면(62) 아래 방향으로 돌출한다. 판(56)에 평행하여 관통하는 구멍(72)은 각 블록(66)에 제공되며, 래치(74)는 판(56)의 측면(68)상에 제공된다.
베이스 부재(12) 및 상단 부재(14)는 VALOX 420을 제조하는 GEC에 의해 판매되는 나일론이 충만한 유리로서 주형된다.
제 1 도 및 2 도에 도시된 핀(76)은 본 발명의 이동 유지 및 안내 수단의 한 실시예를 구비한다. 각 핀(76)은 각 단부(80)에 접한 업세트 부분(78) 및 중간 부분(82)을 포함한다. 업세트 부분(78)의 유효 직경은 구멍(48, 72)의 직경보다 약간 크며, 중간 부분(82)의 직경은 구멍 직경보다 약간 작다. 핀(76)은 스테인레스 스틸로 만드는 것이 좋다.
소케트(10)는 베이스 부재(12)로부터 뻗은 리드(20)를 갖는 공동(30)에 접촉 수단(18)을 위치함으로써 장착된다. 작동기(16)는 베이스 부재(12)에 부가되어, 중앙 부분(38)에 오프셋 부분(54)과 측벽(44)을 따라 뻗는 핸들(50)과 함께 홈(36)에 크랭크(52)가 위치한다.
상부 부재(14)는 상단면(34)상에서 놓여 활주하는 하부면(62)과 함께 베이스 부재(12)의 상단상에 위치된다. 캠 블록(60)의 채널(64)은 크랭크(52)의 오프셋 부분(54)의 윗부분에 아래방향으로 끼워진다.
블록(66)은 측벽(44, 46)을 따라 아래방향으로 끼워지며, 구멍(48, 72)이 있는 블록 사이에는 서로 일치한다.
핀(76)은 제 1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블록(42, 66)의 구멍(48, 72)으로 삽입된다. 즉, 업세트 부분(78)은 베이스 부재(1)로 상부 부재(1)를 지탱하기 위해 블록(42, 66)을 떠받친다. 업세트 부분(78)을 구멍(48)으로 강제 밀어넣을때, 주위 물질이 구멍을 관통하여 업세트 부분(78)이 구멍을 관통한 후, 원래 직경으로 다시 환원된다.
동작시, 작동기(16)의 핸들(50)은 탄성으로 래치(74) 주위로 굽혀지고, 윗방향으로 피봇되어, 크랭크(52) 및 캠 블록(60)를 통과하는 이동이 제 1 도에서 화살표(84)에 의해 도시된 방향으로 상부 부재(14)를 활주시킨다.(도시되지 않은) 전자 패키지로부터 뻗은(도시되지 않음) 리드 또는 핀은 상부 부재(14)에 있는 구멍(58)을 통하여 그리고 집중 핑거(24)에 의해 규정된 접촉 영역(28)에서 떨어져 수직 암(22) 사이로 삽입된다. 그다음, 작동기(16)는 적소에 고정하여 래치(74)의 아래방향 및 주위로 피봇한다. 상부 부재(14)가 베이스 부재(12)의 상단면(34)을 거쳐 활주될때, 핀(76)의 중간부분(82)은 리드가 트위스트 되고 접촉소자(18)를 손상 입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부 부재(14)를 손상 입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부 부재(14)를 안내한다. 업세트 부분(78)은 핀(76)이 구멍(48, 72)을 벗어나 작업하는 것을 방지한다.
접촉 소자(18)가 손상을 입는 경우, 핀(76)은 (도시되지 않은)프라이어로 업세트 부분(78)을 꽉 죄고, 베이스 부재(12)로부터 상부 부재(14)를 들어올리며, 손상된 소자(18)상에서 리드(20)를 분리함으로써 제거된다. 그다음, 손상된 접촉 소자(18)는 공동(30)으로 부터 제거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새로운 소자(18)가 대용된다. 새로운 소자(18)의 리드(20)에서 납땜하고, 상부부재(14) 및 핀(76)을 대체한 후, 소케트(10)는 다시 작동된다.
제 3 도는 교체 가능한 유지 및 안내 수단을 도시한다. 단일 U형 부재(86)는 바이트(90)에 의해 접속된 두개의 평행하고 길다란 다리(88)를 포함한다.
업세트 부분(92)에는 각 다리(88)상에 인접한 자유단부(94)가 제공된다. 중간 부분(96)은 바이트(90) 및 각 업세트 부분(92) 사이에 제공된다.
부재(86)는 핀(76)을 직접 대용한다. 즉, 베이스 부재(12) 또는 상부 부재(14)에 어떤 변형을 가할 필요가 없다. 사용시, 부재(86)의 다리(88)는 소케트(10)의 단부로부터 각각 블록(42, 66)의 구멍(48, 72)을 거쳐 활주함과 더불어 분해시에는 그와 반대로 한다. 핀(76)과 함께, 업세트 부분(92)은 부재(86)가 구멍(48, 72)을 통하여 후지하는 것을 방지하며, 중간 부분(96)은 상부 부재(14)를 안내한다. 부재(86)는 스테인레스스틸로 제조하는 것이 좋다.
알수 있는 바와 같이, 전기 소케트는 상부 및 베이스 부재를 함께 보유하는 유지 및 안내 수단을 포함하고, 소케트의 동작 기간동안 상대적인 이동을 안내하며, 접촉 부재를 체크하고 손상된 부재를 대체하기 위해 상부 부재가 하부 부재에서 제거될 수 있도록 이동 가능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설명하였다.

Claims (2)

  1. 베이스 부재(12)상에서 활주하도록 위치된 상부 부재(14)를 가지며, 구멍(48, 72)이 서로 일치하도록 상부 부재(14)상의 블록(66)과 베이스 부재(12)상의 블록(42)이 일치하고, 각 부재(12, 14)가 구멍(48, 72)이 뚫린 블록(42, 66)를 갖는 전기 소케트(10)에 있어서, 구멍(48, 72)에 수납된 단단한 핀(76)이 상기 구멍(48, 72)에 손상을 주지 않고 간신히 상기 구멍(48, 72)을 관통할 수 있는 크기인 단단한 핀의 각 단부에 인접한 업세트 부분(78)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소케트.
  2. 제 1 항에 있어서, 단단한 핀(76)이 상부 부재(14)가 베이스 부재(12)상에서 활주할때 상부 부재(14)상에서 블록(66)을 안내하는 업세트 부분(78) 중간의 안내 부분(9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소케트.
KR2019860014871U 1985-11-06 1986-09-29 전기 소케트 KR910004398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6/795,395 US4648669A (en) 1985-11-06 1985-11-06 Removable retaining and guide means for electrical sockets
US795395 1997-02-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8992U KR870008992U (ko) 1987-06-15
KR910004398Y1 true KR910004398Y1 (ko) 1991-06-29

Family

ID=251654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60014871U KR910004398Y1 (ko) 1985-11-06 1986-09-29 전기 소케트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4648669A (ko)
JP (1) JPH0339908Y2 (ko)
KR (1) KR910004398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34967A (en) * 1987-12-15 1990-06-19 Amp Incorporated Socket for pin grid array
US5057031A (en) * 1990-08-15 1991-10-15 Aries Electronics, Inc. Zero insertion force pin grid array test socket
US5092789A (en) * 1990-08-15 1992-03-03 Aries Electronics, Inc. Electrical connector for ZIF PGA test socket
JPH0675417B2 (ja) * 1992-05-21 1994-09-21 山一電機株式会社 ソケットコンタクト
JP2672450B2 (ja) * 1993-06-30 1997-11-05 山一電機株式会社 電気接触子
US5370549A (en) * 1993-10-15 1994-12-06 Lee; Chih-Chung Slidably engaging and disengaging PGA connector integrated with simplified manipulating member
US5569045A (en) * 1994-02-10 1996-10-29 Hsu; Fu-Yu Electrical connector
US5425652A (en) * 1994-10-03 1995-06-20 Hsu; Feng-Chien Fastening device in an IC socket
JP2742523B2 (ja) * 1995-07-25 1998-04-22 山一電機株式会社 Icソケット
US5722848A (en) * 1995-10-25 1998-03-03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Retention mechanism for self-securement of ZIF PGA socket
US5989049A (en) * 1998-12-21 1999-11-23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Contact of a ZIF PGA socket and the socket using the same
CN101573753A (zh) * 2006-09-29 2009-11-04 日本钨合金株式会社 磁头用基板材料及其制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2637A (en) * 1910-11-21 1911-05-16 Fred P Berndt Gate-hanger.
US2098858A (en) * 1936-09-04 1937-11-09 James W Busson Receptacle
US4498725A (en) * 1982-06-02 1985-02-12 Amp Incorporated Electrical conn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4648669A (en) 1987-03-10
JPS6281384U (ko) 1987-05-25
JPH0339908Y2 (ko) 1991-08-22
KR870008992U (ko) 1987-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98725A (en) Electrical connector
KR910004398Y1 (ko) 전기 소케트
US4090667A (en) Universally programmable shorting plug for an integrated circuit socket
RU2092945C1 (ru) Присоединительная планка для техники связи
US4547031A (en) Chip carrier socket and contact
US4630875A (en) Chip carrier socket which requires low insertion force for the chip carrier
EP0377984A2 (en) High density zif edge card connector
US3920302A (en) Zero insertion force solderless connector
CA1070405A (en) Electrical connector
MXPA05003250A (es) Enchufe conector electrico.
US6957967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different pitch terminals
KR950007427B1 (ko) 전력 접속기
KR940010830B1 (ko) Plcc용 테스트클립
US4354718A (en) Dual-in-line package carrier and socket assembly
EP0122486B1 (en) Electrical connectors with quasi-terminal pins
US3990761A (en) Zero force connector assembly
KR960000792B1 (ko) 집적회로 소자용 번-인 소켓
US20080220627A1 (en) IC package having improved structure
KR960001306Y1 (ko) 저삽입력 접속기 및 그 접속기용 전기접점
EP0095877A1 (en) An electrical connector
US4717347A (en) Flatpack burn-in socket
GB2239135A (en) Mechanical retaining device for electrical connectors
GB2039160A (en) Sockets for receiving electrical devices
KR930007013A (ko) 소켓
EP0843389A2 (en) Miniature jumper switch with wire contact mak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41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