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4363Y1 - 회전테이블의 클램핑장치 - Google Patents

회전테이블의 클램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4363Y1
KR910004363Y1 KR2019890008685U KR890008685U KR910004363Y1 KR 910004363 Y1 KR910004363 Y1 KR 910004363Y1 KR 2019890008685 U KR2019890008685 U KR 2019890008685U KR 890008685 U KR890008685 U KR 890008685U KR 910004363 Y1 KR910004363 Y1 KR 91000436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ston
clamper
rotary table
head
hydraul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900086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0420U (ko
Inventor
손병헌
Original Assignee
대우중공업 주식회사
이경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중공업 주식회사, 이경훈 filed Critical 대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900086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4363Y1/ko
Publication of KR91000042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042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436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436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6/00Equipment for precise positioning of tool or work into particular loc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16/02Indexing equipment
    • B23Q16/08Indexing equipment having means for clamping the relatively movable parts together in the indexed position
    • B23Q16/10Rotary index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igs For Machine Tools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회전테이블의 클램핑장치
제 1 도는 종래기술의 클램핑장치가 사용된 회전베이스의 평면도.
제 2 도는 제 1 도의 회전베이스의 단면도.
제 3 도는 제 1 도의 3-3'선을 따라 취해진 종래기술이 클램프장치를 도시하는 단면도.
제 4 도는 본 고안에 따른 클램프장치를 도시하는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회전베이스 4 : 회전축
6 : 회전테이블 8 : 클램퍼헤드
11 : 클림퍼실린더 12 : 제 1 피스톤
22 : 제 2 피스톤
본 고안은 로우터리형(회전형)테이블의 클램핑 장치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히는 보링가공, 드릴링가공등에 있어서 회전축에 임의 고정된 회전베이스상에서 회전하여 임의의 가공위치에서 고정되는 회전형 테이블의 정위치 클램핑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공(多孔)가공 등의 가공을 하는 경우에는 임의 공정된 회전베이스상의 회전테이블을 소정각도로 회전시킨뒤 유압 등을 이용하여 클램핑한다. 특히 자동화 가공 등에 있어서 이러한 클램핑 가공은 필수적이며 그에 따라 정확한 위치에서 회전테이블을 클램핑하는 장치를 필요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종래에는 회전베이스의 주연부를 따라서 유압을 공급하여 이 공급유압에 의하여 회전베이스상에 다수의 유압작동 클램퍼를 연동시켜 회전 테이블을 소정의 회전각도에서 고정하는 기술이 사용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회전테이블 주변부의 유압공급 라인이 변잡하게 되어 공간의 활용면에서도 바람직하지 못하였고, 설치가공의 공수가 증가 하였고, 자재의 소비 또한 다대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하의 부수된 도면에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제 1 도 내지 3도에 종래의 기술이 도시되어 있다.
회전테이블(6)이 제거된 상태의 회전베이스(1)를 도시하는 제 1 도에서 회전베이스(1)는 회전축(4)주위에는 임의 회전고정이 가능하며 다수개의 클램핑장치(3)가 회전축(4)을 중심으로 하는 동일원주상에 설치되어 있으며 회전 베이스의 주연부를 따라서 유압공급파이프(2)가 설치되어 있다. 이 유압공급파이프(2)에서 각 클램핑장치(3)로 유압이 각각 분기되어 공급된다. 회전베이스(1)의 상부에는 회전테이블(6)이 상기 회전축(4)을 공동중심으로 하여 놓여져 있고 회전테이블(6)의 하면에서 클램핑장치(3)의 클램핑헤드(8')가 끼워지는 T형슬릿(7)이 회전축(4)을 중심으로 클램핑장치(3)가 형성하는 원주와 동일한 형상의 원호로 형성되어 있다. 즉, 클램핑장치(3)가 해제되어 클램퍼헤드(8')가 상기 T형슬릿(7)내에서 유동하게 되면 회전테이블(6)-은 회전베이스(1)상에서 임의 형태의 테이블 구동장치(5) 또는 수동으로 회전가능하게 된다.
제 2 도는 제 1 도의 측단면도이며 회전축(4)에 회전베이스(1)가 설치되어 있고 회전베이스(1)상에는 다시 회전테이블(6)이 설치됨을 도시한다. 클램핑장치(3)는 제 3 도와 관련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클램퍼실린더(11)가 회전베이스(1)에 끼워지고 그 하방단부에서 스크류(23)등에 의하여 고정되며 제 1 피스톤(12) 및 제 2 피스톤(22)이 클램퍼실린더(11)에 미끄럼 끼움되고 제 1,2 피스톤에는 만입부(12', 22')가 형성되어 있으며 측벽중앙에는 유압이 공급되는 유압공(24)이 형성되어 있다. 제 1 피스톤의 하방측벽에는 상기 만입부(12', 22')에 연통되는 피스톤 유압공(20)이 형성도어 있다.
상기 제 12 피스톤(12, 22)의 중앙에 형성된 관통공(13)을 통해 클램퍼(8)가 끼워져 있으며 상기 제 1 피스톤(12)과 클램퍼헤드(8')사이에는 복귀스프링(21)이 끼워져 있다.
유압공급파이프(2)의 분기관(18)이 회전베이스(1)에 슬라이브(17)와 팩킹(19)에 의해 상기 클램퍼실린더(11)에 유압연결된다. 상기 클램퍼헤드(8')는 회전테이블(6)에 형성된 T형슬릿(7)내에 유동할수 있게 끼워진다.
상기와 같은 구조에 있어 그 작동을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유압공급파이프(2)로 부터의 분기관(18)에 전달된 유압은 회전베이스(1)에 끼워진 슬리이브(17), 팩킹(19)에 의해 유도되어 클램퍼실린더(11)의 유압공(24)과 제 1 피스톤유압공(20)을 통하여 제 1 피스톤과 제 2 피스톤의 만입부(12', 22')에 힘을 가하여 제 1,2 피스톤을 상, 하방으로 각각 밀어준다. 제 1 피스톤(12)은 회전테이블(6)의 하단벽에 의해 더 이상의 상승이 억제되고 제 2 피스톤(22)만이 하방으로 밀려나며, 제 2 피스톤(22)과 연동하는 클램퍼(8)는 하방으로 이동하여 헤드(8')가 회전 테이블(6)에 형성된 T형슬릿(7)의 하부면을 압압하여 클램핑이 이루어진다. 유로회로가 해제상태에 놓이게 되면 복귀스프링(21)에 의하여 클램퍼(8)는 복귀하여 헤드(8')가 T형슬릿내에서 유동한다.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은 사용하는 경우에는 회전 베이스(1)에 유압공급파이프(2)의 분기관(18)설치하여 위한 추가적인 가공이 필요하고 슬리이브(17), 팩킹(19)등의 부품이 필요하며 제 1 피스톤(12)이 반복사용에 의하여 원래의 위치에서 회전하게 되면 제 1 피스톤 유압공(20)과 클램퍼실린더 유압공(24)이 일치하지 않게 되어 유압공급이 어렵게 되거나 구동유압이 변동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유압공급파이프(2)가 회전베이스(1)측면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공간의 이용도가 저하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회전테이블을 임의 위치에서 간편하게 클램핑할수 있고 유압공급파이프를 노즐 시키지 않는 간단한 구조의 클램핑 장치를 제공하는데에 있다.
제 4 도를 참고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 1 도 내지 3도에서 사용된 부재와 동일한 부재에는 동일한 번호를 사용한다. 클램퍼실린더(11)는 원통형상이며 외방으로 돌출되고 내방으로도 어느정도 연장된 외주연테두리(11')를 가지며 회전베이스(1)도 이를 수용할수 있는 형상의 삽입공(11")을 가진다. 상기 클램퍼 실린더(11)내에는 제 1 피스톤(12)의 상하이동을 소정의 근소한 거리만큼 제한하기 위한 스톱퍼(25)가 끼워져 있다.
제 1 피스톤(12)의 클램퍼 삽입공(12')의 직경은 제 2 피스톤(22)의 클램퍼삽입공(22')의 직경보다 크다. 제 1 피스톤(12)의 상부에는 클램퍼실린더(11)의 스톱퍼(25)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하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제어홈(25')이 형성되어 있고 그 하부에는 유압이 유효적절하게 상방압력으로 변환하도록 만입부(12')를 가진다. 제 1 피스톤(12)의 상부에는 상기한 외주연테두리(11')의 내방 연장부와 당접하는 단부(28)를 가진다.
클램퍼(8)는 가장 큰 제 1 직경의 헤드(8')와 제 1 직경보다 작은 직경의 제 2 직경의 몸체(8"), 상기 제 2 직경보다 작은 제 3 직경의 미부(8"')로 구성된다.
미부(8"')로부터 몸체(8")중앙에 이르는 유압통로(31)가 그 내부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1, 2 피스톤의 직경의 차가 만드는 단부(29)와 미부(8"')에 고정되는 너트(26)사이에 제 2 피스톤(22)이 고정되어 있어 같이 연동한다. 제 1, 2 피스톤(12, 22)사이에는 상하 이동을 어느거리까지만 허용하는 제한링(27)이 설치되고, 윤활유공급 및 스트로우크 안내를 위한 링홈(12", 22")에 O링이 1, 2피스톤(12, 22)의 내외경에 끼워진다.
헤드(8')는 회전테이블(6)의 T형슬릿(7)내에 유동가능하게 끼워지고 헤드(8')와 제 1 피스톤(12)의 상단부사이에는 복귀스프링(21)이 설치되며 미부(8"')에는 가요성의 유압공급파이프가 끼워져 유압이 공급된다.
이상과 같은 구조로서 그 작동을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유압공급파이프를 통하여 클램퍼의 미부(8"')에 유압이 공급되면, 유압은 유압통로(31)를 통하여 제 1,2 피스톤(12, 22)을 각각 상, 하방으로 밀게된다. 제 1 피스톤(12)은 피스톤실린더의 내방향돌출부에 의해 상승이 제한되고 제 2 피스톤(22)만이 하방으로 밀려난다. 이때, 클램퍼(8)와 제 2 피스톤(22)은 연동하기 때문에 클램퍼(8)도 복귀스프링(21)을 극복하여 하방으로 이동하며 헤드(8')가 T형슬릿 하단부 즉, 회전테이블(6)을 압압하여 클램핑하게 된다. 유압공급 파이프와 클램퍼(8)는 상하로 연동하므로 유압공급파이프는 가요성의 재질로 된 것이 바람직하다. 유압이 OFF되면 복귀스프링(21)에 의하여 헤드(8')는 상승하여 클램핑이 해제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클램핑장치는 그 구조가 간단하고 부품수도 대폭 줄어들며 부수적인 가공이 필요없으며 유압공급파이프가 모두 회전테이블 아래에 설치되므로 작업공간의 이용도가 높은 등의 장점을 가진다.

Claims (1)

  1. 회전베이스(1)와; 상기 회전베이스내에 고정되며, 내측으로 돌출된 스톱퍼(25)를 가지는 클램퍼실린더(11)와; 상기 클램퍼실린더의 내부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스톱퍼가 위치되는 제한홈(25')을 가지는 제 1 피스톤(12)과; 상기 클램퍼실린더의 내부 하측에 상하유동 가능 하도록 설치된 제 2 피스톤(22)과; 회전테이블(6)의 T형 슬릿(7)내에 위치하며 스프링(21)에 의해 탄력지지된 헤드(8')와, 상기 제 1 피스톤 내에 위치하며 상기 헤드와 일체로 형성되고 하부에 ‘+’자형 유압통로(31)를 가지는 몸체(8")와, 상기 몸체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제 2 피스톤 내에 위치하며, 상기 유압통로가 하부로 연장개방되어 있으며 하부에는 상기 제 2 피스톤을 지지하는 너트(26)가 고정되어 있는 미부(8"')를 가지는 클램퍼(8)를 포함하고 있는 회전테이블의 클램핑장치.
KR2019890008685U 1989-06-23 1989-06-23 회전테이블의 클램핑장치 KR91000436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08685U KR910004363Y1 (ko) 1989-06-23 1989-06-23 회전테이블의 클램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08685U KR910004363Y1 (ko) 1989-06-23 1989-06-23 회전테이블의 클램핑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0420U KR910000420U (ko) 1991-01-22
KR910004363Y1 true KR910004363Y1 (ko) 1991-06-29

Family

ID=192873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90008685U KR910004363Y1 (ko) 1989-06-23 1989-06-23 회전테이블의 클램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4363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1872Y1 (ko) * 1999-10-01 2000-03-15 김춘호 자동 태핑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0420U (ko) 1991-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12068A (en) Pallet receiver with compliant pin and socket registration
JP5027133B2 (ja) 工具用又はワーク用の位置決め・クランプ装置
US7059030B2 (en) Pressing device
JPH0622774B2 (ja) 挟 持 装 置
KR100411829B1 (ko) 워크 서포트
JP2007007851A (ja) チャック
US3375742A (en) Turret mechanism
US4197771A (en) Quick change device for mounting tool in support member
US6860477B2 (en) Clamping device
KR910004363Y1 (ko) 회전테이블의 클램핑장치
JP4877787B2 (ja) 位置決め装置およびその装置を備えた位置決めシステム
US6145162A (en) Suction head for an apparatus for sucking fluid media
JP2001087965A (ja) 工作機械とそれに結合された工作物キャリアとの間の電気的接続を含む、様々な媒体用の機械上に位置する供給ラインを接続する結合システム
US4726111A (en) Change head for a tool change apparatus
US5243884A (en) Tool holder device having screw-operated means for connection and disconnection of two engageable members for attachment and removal of cutting tool
JPH11285944A (ja) 取付ニップルをクランププレートへ固定するクランプ装置
US2845828A (en) Work holder
KR20050052450A (ko) 볼을 이용한 탭 고정장치
SE8603048L (sv) Verktygsvexlingsanordning for en verktygsmaskin
JP3224201B2 (ja) クランプ装置
KR200158668Y1 (ko) 로드 회전식 실린더 클램프 장치
SU1646700A1 (ru) Цанговый патрон
JP6590217B2 (ja) シリンダ装置
SU776772A1 (ru) Револьверна головка
SU1220874A1 (ru) Цанговый патро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41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