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4332Y1 - 나무 가지 절단기 - Google Patents

나무 가지 절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4332Y1
KR910004332Y1 KR2019890009859U KR890009859U KR910004332Y1 KR 910004332 Y1 KR910004332 Y1 KR 910004332Y1 KR 2019890009859 U KR2019890009859 U KR 2019890009859U KR 890009859 U KR890009859 U KR 890009859U KR 910004332 Y1 KR910004332 Y1 KR 91000433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body
tree branch
roller
saw blade
support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900098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2382U (ko
Inventor
김순태
Original Assignee
김순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순태 filed Critical 김순태
Priority to KR20198900098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4332Y1/ko
Publication of KR91000238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238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433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4332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00Cutting imp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horticultural purposes; Delimbing standing trees
    • A01G3/08Other tools for pruning, branching or delimbing standing trees
    • A01G3/083Manual pruning saw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00Cutting imp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horticultural purposes; Delimbing standing trees
    • A01G3/08Other tools for pruning, branching or delimbing standing trees
    • A01G3/081Manual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pruning hook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arvesting Machines For Specific Crop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나무 가지 절단기
제 1 도는 본 고안의 칼날몸체에서 톱날몸체를 분리하여 보인 사시도.
제 2 도는 본 고안의 칼날을 나무가지에 걸어 보인 상태도.
제 3 도는 제 2 도에 의한 본 고안의 작동 상태도.
제 4 도는 본 고안에 의한 나무가지가 절단되는 상태의 요부 확대 단면도.
제 5 도는 본 고안에 칼날몸체에서 톱날몸체의 각도를 변경하여 착설한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지지봉 2 : 칼날몸체
2 : "V"형 칼날부 3 : 톱날몸체
4 : 당김줄 5 : 작동간
5a : 누름부 6, 6a : 로울러
7 : 절곡간 8 : 인장스프링
9 : 축핀 10 : 캡형 손잡이
11 : 축핀구멍 12, 12a, 12b : 각도조절구멍
13 : "U"형 보울트
본 고안은 지지봉 상부에 칼날몸체를 착설 고정시킨 칼날몸체의 일측으로 지렛대형 상하작동간을 유착하여 칼날에 나무가지를 걸어준 다음 칼날몸체를 고정한 상태에서 지렛대형 상하작동간의 후방을 하방으로 잡아당겨 주므로서 작동간의 전방에 형성한 나무가지 누름부가 칼날몸체의 칼날부 상향관통하면서 칼날부 사이에 위치한 나무가지를 절단할 수 있도록 구성한 나무가지 절단기에 관한 것으로, 과수원이나 가로수 또는, 산림의 높은 위치에 있는 나무가지를 적은 힘으로 보다 간편하게 절단할 수 있도록 함에 주안점을 둔 것이다.
종래에는 지지봉 상부에 칼날몸체를 착설 고정시킨 상태에서 칼날에 나무가지를 걸어준 다음 단순히 지지봉을 하방으로 잡아당겨 주므로서 칼날이 나무가지를 절단할 수 있도록 되었으므로 나무가지 절단작업이 힘이 들고 나무가지의 올바른 위치가 절단되지 않은 결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종래의 결점을 적게 하기 위하여 칼날몸체에 유착시킨 지렛대형 상하작동간의 후방에 당김줄을 매설하여 로울러에 걸어준 다음 지지봉의 하방에 설한 슬라이드식 손잡이와 연설한 구성으로서 이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지지봉(1) 상부에 "V"형 칼날부(2a)가 형성된 칼날몸체(2)가 착설되고 칼날몸체(2)에 톱날몸체(3)가 착설되어 당김줄(4)이 매설된 통상의 것에 있어서, 전방으로 누름부(5a)가 설하여지고, 후방으로 로울러(6)와 절곡간(7)이 설하여진 작동간(5)의 누름부(5a)가 칼날몸체(2)의 "V"형 칼날부(2a)의 하방으로 위치하도록 인장스프링(8)을 걸어 축핀(9)으로 유착하여 절곡간(7)에 당김줄(4)을 묶어매어 지지봉(1) 상부에 유설한 로울러(6a)와 작동간(5)의 후방에 설한 로울러(6)에 걸어 지지봉(1)하방에서 상하작동하는 슬라이드식 캡형 손잡이(10)에 묶음시켰으며, 톱날몸체(3)의 착설부인 칼날몸체(2)에 뚫은 구멍(11)과 톱날몸체(3)에 각도조절구멍(2)(12a)(12b)을 뚫어 "U"형 보울트(3)와 나비너트(13a)로서 각도조절이 가능하도록 착설하여서된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14는 나무가지를 표시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지지봉(1)을 잡고 지지봉(1)의 선단부에 착설 고정된 칼날몸체(2)의 "V"형 칼날부(2a)를 절단하고자 하는 나무가지(14)의 절단부에 걸어준 다음 슬라이드식 캡형 손잡이(10)을 하방으로 강압하여 후퇴시켜 주게 되면, 캡형 손잡이(10)에 매설된 당김줄(4)이 로울러(6)(6a)에 굴림되면서 당김줄(4)의 타단이 매설된 작동간(5)의 후방이 축핀(9)을 기점으로 하여 순간적으로 하방으로 작동됨에 따라 작동간(5)의 전방으로 누름부(5a)가 상부로 가압되면서 "V"형 칼날부(2a)사이에 위치한 나무가지(14)를 "V"형 칼날부(2a)로 눌러주게 되므로 나무가지는 "V"형 칼날부(2a)에 의하여 도면 제 4 도와 같이 절단되는 것이다.
또한, 톱날몸체(3)를 사용하여 나무가지를 절단한 경우에는 나무가지(14)의 형성이나 위치에 따라 "U"형 보울트(13)에 의하여 칼날몸체(2)에 착설되어 있는 톱날몸체(3)를 착탈하여 도면 제 5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톱날몸체(3)의 하단부에 뚫은 각도조절구멍(12)(12a)(12b)을 선택하여 "U"형 보울트(13)에 끼워 맞춰 주므로서 톱날몸체(3)가 지지봉(1)과의 임의각도로 착설되는 상태로서 통상의 톱질하는 작업에 의하여 나무가지를 용이하게 절단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지지봉 상부에 착설 고정시킨 칼날몸체의 "V"형 칼날부내에 나무가지를 걸어준 상태에서 캡형손잡이를 지지봉 하방으로 가압하여 주므로서 캡형손잡이에 매설시킨 당김줄이 도르래식 로울러를 걸어돌아 작동간을 하방으로 당겨줌에 따라 지렛대의 원리로서 작동간의 선단부의 누름부가 "V"형 칼날부내의 나무가지를 강력하게 눌러주게 되어 나무가지가 절단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은 도르래의 원리에 의하여 적은 힘으로 지렛대의 원리에 의하여 작동하는 작동간을 강력하게 작동시켜 작동간의 선단부의 누름주가 나무가지를 상부 방향으로 더욱 강하게 눌러주게 되므로 적은 힘으로 나무의 절단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이며, 또한, 톱날몸체를 사용하여 각도조절을 하면서 나무가지의 형태에 구애됨이 없이 절단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2)

  1. 지지봉(1) 상부에 "V"형 칼날부(2a)가 형성된 칼날몸체(2)가 착설되고 칼날몸체(2)에 톱날몸체(3)가 착설되어 당김줄(4)이 매설된 통상의 것에 있어서, 전방으로 누름부(5a)가 설하여지고, 후방으로 로울러(6)와 절곡간(7)이 설하여진 작동간(5)의 누름부(5a)가 칼날몸체(2)의 "V"형 칼날부(2a)의 하방으로 위치하도록 인장스프링(8)을 걸어 축핀(9)으로 유착하여 절곡간(7)에 당김줄(4)을 묶어매어 지지봉(1) 상부에 유설한 로울러(6a)와 작동간(5)의 후방에 설한 로울러(6)에 걸어 지지봉(1)하방에서 상하작동하는 슬라이드식 캡형 손잡이(10)에 묶음시켜서된 나무가지 절단기.
  2. 제 1 항에 있어서, 톱날몸체(3)의 착설부인 칼날몸체(2) 뚫은 구멍(11)과 톱날몸체(3)에 각도조절구멍(12)(12a)(12b)을 뚫어 "U"형 보울트(13)와 나비너트(13a)로서 각도조절이 가능하도록 착설하여서 된 나무가지 절단기.
KR2019890009859U 1989-07-06 1989-07-06 나무 가지 절단기 KR91000433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09859U KR910004332Y1 (ko) 1989-07-06 1989-07-06 나무 가지 절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09859U KR910004332Y1 (ko) 1989-07-06 1989-07-06 나무 가지 절단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2382U KR910002382U (ko) 1991-02-25
KR910004332Y1 true KR910004332Y1 (ko) 1991-06-29

Family

ID=192880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90009859U KR910004332Y1 (ko) 1989-07-06 1989-07-06 나무 가지 절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433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2382U (ko) 1991-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33965A (en) Extendable tool
CN108966899B (zh) 一种园林树枝悬挂锯切装置
US399958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and harvesting trees
US2583945A (en) Tree felling jack
US2744322A (en) Pruning implement
US6526664B2 (en) Low profile pruning tool
KR910004332Y1 (ko) 나무 가지 절단기
GB2376434A (en) Tree Pruner
US5970617A (en) Stepped tree pruner
US3946775A (en) Stump gripper
EP0278838B1 (fr) Sécateur-élagueur
FR2555860A1 (fr) Appareil de travail du sol entre plants, a effacement automatique, adaptable sur tout vehicule ou autre agricole ou similaire
US1829490A (en) Log lifter and holder
US4959906A (en) Safety device for chain saws
CN109348888B (zh) 一种橘子树枝干修剪机
US2753630A (en) Tree pruners
FR2902975A1 (fr) Machine de preparation au desossement des jambons de porc crus a maturation
US2564148A (en) Lawn edger
FR2609294A1 (fr) Dispositif pour sectionner et positionner une chaine de points de couture formant un point de chainette sur du tissu avec une machine a coudre
CA1324060C (en) Device for branch trimming of tree
WO1997042806A1 (en) Pruning saw
JPH0514751Y2 (ko)
CH621828A5 (en) Apparatus for cutting the linking cords of a line of zip fastener elements
KR920005534Y1 (ko) 과수목 지지구의 조절장치
CN2213426Y (zh) 树枝剪伐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