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4277B1 - 건조기의 문짝 - Google Patents
건조기의 문짝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910004277B1 KR910004277B1 KR1019860008030A KR860008030A KR910004277B1 KR 910004277 B1 KR910004277 B1 KR 910004277B1 KR 1019860008030 A KR1019860008030 A KR 1019860008030A KR 860008030 A KR860008030 A KR 860008030A KR 910004277 B1 KR910004277 B1 KR 91000427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oor
- opening
- door frame
- plate
- shielding wal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Landscapes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도면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제 1 도는 요부의 확대 종단면도.
제 2 도는 전체의 종단면도.
제 3 도는 문짝의 사시도.
제 4 도는 문짝 선회축의 확대 사시도.
제 5 도 및 제 6 도는 문짝의 성형공정을 나타내는 종단면도.
본 발명은 문짝틀과 내면판으로 구성된 건조기등의 문짝에 관한 것이다.
예를들면 건조기의 전면에는 의류를 출입시키기 위한 개방구가 설비되고, 그 개방구는 중앙에 투시부를 형성시킨 문짝에 의해서 개폐되는 구성이 일반적이다. 이 종류의 문짝으로서는 종래에 중앙에 개구부를 갖는 문짝틀에, 그 개구부를 폐쇄되게 투명 플라스틱제의 내면판을 나사고정등으로 고정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구성에서는 문짝을 문짝틀과 내면판과의 두가지 부품으로 구성하여 나사에 의해서 조립하는 구조이므로, 부품의 가지수가 많을 뿐더러 하나 하나 조립하는 작업을 하지 않으면 안되고, 총체적으로는 제조성이 우수하지 못하다는 문제가 있다. 더욱이 건조기에 있어서는 문짝의 이면이 건조실내의 열풍에 노출되어 열팽창도 커지고, 또 내부의 의류가 건조운전중에 문짝이면에 닿으므로 내면판의 부착은 상당히 견고하게 행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내면판의 고정을 위하여 끼워 맞추는 구조를 채용하거나 부착용 나사수를 많게해야 하므로 조립작업에 상당히 손이 많이 간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려고 행해진 것이고, 따라서 그 목적은 열적 영향에도 대응해가며 재조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건조기등의 문짝을 제공하는데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건조기등의 문짝은 문짝틀과 내면판을 서로 다른 플라스틱에 의해서, 구성하되, 일부가 서로 겹쳐지는 접합상태로 일체적으로 성형시킴과 동시에 이 접합부의 일부인 적어도 외주부를 문짝후면에서, 문짝의 외주부가 건조기등의 개방구와 기밀로 구분하도록 설비한 환상차폐벽부의 외측에 위치되게 설비한 것에 특징을 갖는 것이다.
문짝틀과 내면판이, 일부가 겹쳐진 접합상태로 일체적으로 성형되어 있으므로, 양자를 하나의 부품으로서 취급할 수 있어서, 부품관리상이나 조립작업상 극히 유리하게 된다. 또 접합부가 열적인 악영향을 받기 쉽다는 사정이 있더라도 문짝에 설비한 환상차폐벽부에 의해서 개구부내로부터의 열풍등이 문짝틀과 내면판과의 접합부 외주에 닿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접합강도상의 문제도 생기지 않는다.
이하에 본 발명을 제습형드럼식건기에 적용시킨 일실시예에 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겠다.
우선 전체적 구성을 나타낸 제 2 도에 있어서, 1은 전면판(2)에 의류출입용 개방구(3)가 형성된 외부상자, 4는 외부상자(1)의 후부에 설비된 후면개방형 케이싱, 5는 건조실을 구성하는 드럼이다. 드럼(5)의 후면에 형성된 직경이 큰 개구부(5a)는 케이싱(4)의 외주부에 회전이 자유롭게 끼워 맞추어지고, 전면에 형성된 개구부(5b)는 전면판(2)의 개방구(3)에 베어링(6)을 거쳐서 회전이 자유롭게 끼워 맞추어져 있다. 한편 케이싱(4)내에는 열교환기를 겸한 양날개형 팬(7)이 설비되고, 도시하지 않은 모터에 의해서 벨트(8)를 거쳐서 드럼(5)과 함께 회전 구동된다. 팬(7)의 회전에 따라서 드럼(5)내의 공기가 케이싱(4)의 전면 중앙에 형성된 흡기구(9)에서 케이싱(4)내로 흡입되어 팬(7)에 의해서 원심방향으로 송출되고, 히터(10)에 의해서 열풍화되어, 토출구(11)에서 재차 드럼(5)내로 되돌려진다. 또 팬(7)의 후면측에 있어서는 의기가 외부상자(1) 후면의 흡기구(12)에서 케이승(4)내로 흡입되고, 팬(7)에 의해서 원심방향으로 송출되는 과정에서 팬(7)의 전면측을 흐르는 드럼(5)내의 온풍과 열교환이된 후에 배기구(13)에서 건조기 밖으로 배출된다 .이와같은 열교환기에 의해서 드럼(5)내를 순환하는 다습온풍중의 습기를 제습하고, 이때에 생긴 습분의 응결수는 배수관(14), 물받이용기(15)를 차례로 통하여 도시하지 않는 배수호스에 의해서 배출된다. 또한 16은 케이싱(4)의 전면에 흡기구99)를 덮고, 착탈 가능하게 부착된 린트필터(lintfilter)이다.
그런데 외부상자(1)의 전면판(2)중 개방구(3)의 주위부분에는 구형상의 凹부(2a)가 형성되고, 개방구(3)를 개폐하기 위한 문짝(17)이 폐쇄상태에서 이 凹(2a)내에 수납되도록 선회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문짝(17)은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체로서는 대략 구형상인 문짝틀(18)과, 이 문짝틀(18)의 중앙에 형성된 대략 반원상의 개구부(18a)를 폐쇄하게 위치하는 내면판(19)으로 구성되고 문짝틀(18) 및 내면판(19)은 후술하는 성형법에 의해서 같은 계열이지만 서로 다른 플라스틱에 의해서 일체적으로 성형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문짝틀(18)은 착색된 ABS 수지제이고, 내면판(19)는 투명 AS 수지제이다. 또 내면판(19)는 문짝틀(18)의 개구부(18a)의 외측부분에서 문짝틀(18)의 이면측에 따라서 서로 겹쳐지는 접합상태로 되어 있고(그 접합부(20)를 제 1 도중 굵은 선으로 나타냄), 외주부 가까이 환상차폐벽부(21)가 드럼(5)측을 향해서 일체로 돌출되게 설비되어 있다. 이 환상차폐벽부(21)는 문짝(17)의 폐쇄시에 선단부가 개방구(3)의 원주연부에 설비된 패킹(22)의 전단면에 맞닿는 위치에 설비되어 있다. 따라서 문짝(17)을 폐쇄하면 환상차폐벽부(21)이 패킹(22)와 맞닿는 결과, 문짝(17)의 이면측중 환상차폐벽부(21)의 외측에 위치하는 부분이 개방구(3)내부와 기밀로 구분된다. 그리고 문짝틀(18)과 내면판(19)과의 접합부(20)는 상기 환상 차폐벽부(21)의 외측까지 연장되어 있고 환상차폐벽부(21)의 외측에도 접합부(20)의 외주부가 환상으로 형성된 형태로 되어 있다.
23은 문짝(17)의 외주부의 상하 단면에 돌출시켜 설비한 문짝 선회축이고, 이것은 제 4 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좌부(23a)와 일체로 되고 홈이 파진 원통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전면판(2)의 凹부(2a)에 형성된 베어링구멍(24)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 맞추어져 있다.(제 1 도 참조). 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문짝(17)의 문짝 선회축(23)과는 반대쪽의 측부에는 문짝(17)을 폐쇄상태로 로크(lock)시키기 위한 공지된 걸어 채우는 기구가 설비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 구성의 문짝(17)의 성형방법에 관하여 제 5 도 및 제 6 도를 참조하여 설명하겠다. 도면에서 25는 축(25a)을 중심으로하여 회전 가능한 회전금형, 26 및 27은 이 회전금형(25)의 좌우양측에 설비된 가동금형이고, 가동금형(26)은 좌측으로, 가동금형(27)은 우측으로 각각 열게되어 있다. 제 5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합형시킨 가동금형(26)과 회전금형(25)의 사이에는 내면판(19) 형성용 공동부(cavity)가 형성되게 되어 있다. 또 합형한 가동금형(27)과 회전금형(25) 사이에는 문짝(17)의 전체형상에 상당되는 공동부가 형성되게 되어 있다. 우선 제 5 도에 나타낸 합형상태로 좌측의 가동금형(26)의 게이트(26a)로부터 투명 AS 수지를 공동부내로 주입시켜 내면판(19)을 성형시킨다. 그 후에 즉시 제 6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금형을 열고 회전금형(25)을 화살표방향으로 반회전시켜 재차 가동금형(27)과 합형시킨다. 그런후에 다시 가동금형(26)의 게이트(26a)로부터 투명 AS수지를 주입시킴과 동시에 우측의 가동금형(27)의 게이트(27a)로부터도 착색 ABS 수지를 공동부에 주입시킨다. 이때에 우측의 공동부내에는 성형직후의 내면판(19)이 수납된 상태로 되어있고, 문짝틀(18)에 상당되는 형상의 공동부가 남겨진 상태로 되어 있으므로 게이트(27a)로부터 주입된 착색 ABS수지는 문짝틀(18)을 형성하고, 내면판(19)과 접촉되는 부분에서 서로 수지끼리 일체로 융합상태로 되어 강고하게 결합된 접합부(20)가 형성된다.
그런후에 금형을 열고 우측의 공동부로부터 완성된 문짝(17)을 꺼내고, 상기 공정을 반복시키면 문짝틀(18)과 내면판(19)을 일체화시킨 문짝(17)이 연속적으로 제조된다.
상기 구성으로 한 본 실시예에 의하면 문짝(17)을 문짝틀(18)과 내면판(19)으로 구성시켜 양자를 일체적으로 성형할 수 있으므로 부품관리상으로는 하나의 부품으로서 취급하면되고, 또 문짝(17)의 조립작업이 불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이들의 부품을 따로 따로 성형시켜양자를 나사등으로 하나 하나조립시킬 필요가 있었든 종래 구성에 비해서, 부품관리나 조립작업이란 점에서 극히 유리하게 되어 제조성이 대폭으로 향상된다. 또 문짝틀(18)과 내면판(19)은 접합부(20)에 있어서 쌍방의 수지가 서로 융합상태로 되어 일체화되는 것이므로, 나사나 걸어 맞추는 부품에 의해서 결합되는 구성과는 다르고, 틈이 발생되지 않아서, 기밀성이 우수하고, 또한 외관적으로도 우수한 것이되어 상품성을 높일 수 있다. 더욱이 문짝틀(18)과 내면판(19)을 일체적으로 성형시키고 양자의 접합부(20)의 외주부를 개방구(3)와 기밀로 구분하는 환상차폐부921)의 외측까지 위치되게 하였으므로 그 접합부(20)중 적어도 외주부에는 드럼(5)내의 열풍이 닿는 것이 방지된다. 이에 의해서 문짝(17)의 접합부(20)는 타부분에 비해서 열적인 악영향을 받기 쉬운 사정이 있더라도 접합부(20)의 전역이 열풍에 노출되어서 고착강도가 저하되는 것이 미연에 방지될 수 있고, 이로 인해서 내면판(19)의 고착강도를 나사고정의 것에 비해서 손색이 없는정도로 높일 수 있는 동시에, 열적인 영향을 받아서 변형되는 것도 억제할 수 있다. 또,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문짝(17)의 선회축(23)을 종래의 중실형(속이 비지않음)축 대신 홈이 파진 원통형으로 하였으므로 다음과 같은 본 실시예 특유의 부수적 효과도 얻을 수 있다. 즉, 예를들면, 문짝(17)을 지나치게 강한 힘으로 힘차게 개방시키든지 하여 문짝(17)의 문짝 고정부분에 강한 충격력이 작용되는 경우에, 종래에는 문짝의 선회축이 중실형이며 고강도의 축이었으므로 외부상자의 전면판이 베어링구멍 부분에서 파손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파손이 생기면 수리를 위해서는 전면판을 교환할 필요가 있으나 전면판은 대형이고 고가일 뿐만 아니라 드럼의 전면측을 지지하는 구조이므로 그 교환에는 대단한 수고를 필요로 하였다. 이에 대해서 본 실시예에서는 문짝(17)의 선회축(23)의 강도를 상대적으로 저하시키는 구조로 하였으므로 전면판(2)이 파손될만한 충격력이 작용할 경우에는 전면판(2)의 파손에 이르기 이전에 문짝(17)의 선회축(23)이 먼저 절단되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경우에는 소형이며 염가이고 교환이 용이한 문짝(17)을 교환하면 되어 총체적으로는 수리비용과 수고를 충분히 경감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 선회축으로서는 본 실시예에 나타낸 것이 한정되지 않고, 단지 중공원통상으로 형성시키든지 또는 중실형이라도 기부에 직경이 작은 부분을 형성시켜 과도한 충격력에 의해서 절단되게 한 것이라도 동등의 효과를 발휘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그외에도 본 발명은 위에 설명하고 도면에 나타낸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들면 문짝틀과 내면판을 성형하는 재료로서는 다같이 같은 종류의 ABS 수지이고 색만 다른 재료로 하든지 이미 예시한 수지이외의 조합으로, 예를들면 문짝틀(18)에 고강도 수지를 사용하고 비교적 강도가 필요치 않은 내면판(19)에 염가의 수지제를 사용해도 되고, 또 식기건조기나 식기세정기등의 온풍 온수를 사용하는 기기에 적용시키는등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시켜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 기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문짝의 문짝틀과 내면판을, 일부가 서로 겹치게 접합상태로 일체적으로 성형시키고 또 그 접합부의 일부를 문짝 후면에 형성시킨 환상차폐벽부의 외측에 위치되게 하였으므로 문짝을 일부품으로 구성할 수 있어서 제조성을 대폭으로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열적인 악영향을 차단하고 문짝틀과 내면판과의 접합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다.
Claims (2)
- 건조기의 개방구(3)를 개폐하는 환상차폐벽부(21)를 갖는 문짝(17)을 내면판(19)과 이 내면판의 외주에 설비한 문짝틀(18)로 구성된 문짝에 있어서, 상기 문짝틀(18)과, 상기 내면판(19)는 서로 다른 플라스틱으로 제조되며, 상기 문짝틀(18)의 일부 내주측과 상기 내면판(19)의 일부 외주측을 서로 겹쳐지는 접합상태로 일체적으로 성형하고 또한 상기 문짝(17)의 외주부를 개방구(3)로부터 기밀로 구분하는 환상차폐벽부(21)를 문짝(17)을 폐쇄했을때에 그 선단부가 개방구(3)의 주연부에 맞닿는 위치에 설비되게 하고, 상기 문짝틀(18)과 상기 내면판(19)과의 접합부(20)의 일부가 환상차폐벽부(21)의 외측까지 연장위치시켜서 된 것이 특징인 건조기의 문짝.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환상차폐벽부(21)는 상기 문짝(17)의 내면판(19)과 일체로 성형된 것이 특징인 건조기의 문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12971386 | 1986-06-04 | ||
JP61-129713 | 1986-06-04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880000765A KR880000765A (ko) | 1988-03-29 |
KR910004277B1 true KR910004277B1 (ko) | 1991-06-25 |
Family
ID=150163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860008030A KR910004277B1 (ko) | 1986-06-04 | 1986-09-25 | 건조기의 문짝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JP (1) | JPS6399899A (ko) |
KR (1) | KR910004277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33753Y2 (ja) * | 1990-10-18 | 1995-08-02 | 日本建鐵株式会社 | 衣類乾燥機の開閉扉の取付構造 |
-
1986
- 1986-09-25 KR KR1019860008030A patent/KR910004277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87
- 1987-01-09 JP JP62003867A patent/JPS6399899A/ja active Pend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S6399899A (ja) | 1988-05-02 |
KR880000765A (ko) | 1988-03-2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4376010B2 (ja) | 衣類乾燥機及びドラム洗濯機のドア | |
AU2003207394B2 (en) | Door for washing machin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
KR910004277B1 (ko) | 건조기의 문짝 | |
US20090165390A1 (en) | Gasket | |
JPH0519440B2 (ko) | ||
JP3482695B2 (ja) | 衣類乾燥機 | |
KR101049118B1 (ko) | 의류 건조기의 도어 | |
KR20180136763A (ko) | 벽걸이형 드럼 세탁기 | |
JP2771722B2 (ja) | 乾燥機 | |
KR20050054735A (ko) | 의류건조기의 도어커버 결합구조 | |
JPS627278Y2 (ko) | ||
KR101308634B1 (ko) | 건조기 | |
KR20100081694A (ko) | 건조기의 베이스 | |
JPH0221033Y2 (ko) | ||
JP2760701B2 (ja) | 衣類乾燥機 | |
JPH01135394A (ja) | 衣類乾燥機 | |
JPH0321755Y2 (ko) | ||
JPH0722634B2 (ja) | 乾燥機 | |
JPS60236696A (ja) | 除湿式衣類乾燥機 | |
KR20180137716A (ko) | 벽걸이형 드럼 세탁기 | |
CN118215758A (zh) | 滚筒式洗涤干燥机 | |
JPS6142551Y2 (ko) | ||
KR20240082909A (ko) | 세탁기용 도어 커버, 및 세탁기 | |
JPS6138548Y2 (ko) | ||
JPH0551318B2 (ko)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G160 |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00530 Year of fee payment: 10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