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3829Y1 - 뻐꾸기 소리발생 자명시계 - Google Patents

뻐꾸기 소리발생 자명시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3829Y1
KR910003829Y1 KR2019880018451U KR880018451U KR910003829Y1 KR 910003829 Y1 KR910003829 Y1 KR 910003829Y1 KR 2019880018451 U KR2019880018451 U KR 2019880018451U KR 880018451 U KR880018451 U KR 880018451U KR 910003829 Y1 KR910003829 Y1 KR 91000382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ke
cuckoo
clock
time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1845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0545U (ko
Inventor
오오채
Original Assignee
오오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오채 filed Critical 오오채
Priority to KR2019880018451U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3829Y1/ko
Publication of KR90001054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054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382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3829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23/00Arrangements producing acoustic signals at preselected times
    • G04B23/02Alarm clocks
    • G04B23/026Hammer driving; hammers; devices with several hammers or sounding bodies; vibrators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25/00Indicating the time by other means or by combined means
    • G04B25/06Indicating the time by other means or by combined means by moving figures, e.g. cuckoo clocks, trumpet clock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Toys (AREA)
  • Electromechanical Clock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뻐꾸기 소리발생 자명시계
제 1 도는 본 고안의 시계케이스 내부에 장치되는 부품세트의 정면도로서 소리발생장치가 작동되지 않는 최초상태.
제 2 도는 제 1 도의 상태로부터 각 시의 30분이 되기 바로 직전의 상태로 변화된 상태.
제 3 도는 제 1 도의 상태로부터 임의의 정시(예컨대 정각 세시)가 되기 바로 직전의 상태로 변화된 상태.
제 4 도는 본 고안중 시계축 및 그 부속구조물들의 발췌사시도.
제 5 도는 본 고안중 타이머기어 및 그 연동기구들의 발췌사시도.
제 6 도는 본 고안중 뻐꾸기 모양 장식물의 요동구조를 보여주는 발췌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6 : 시계축 7 : 작동캠
8 : 제동자 9 : 타이머기어
10, 11 : 소리발생관 27 : 타임조절 캠판
33 : 아이들러 축 45, 46 : 작동아암
47, 48 : 풍구 53 : 뻐꾸기모양 장식물
57 : 보조제동자 60 : 편심봉
본 고안은 뻐꾸기 소리발생 자명시계에 관한 것이다.
시간에 맞춰서 뻐꾸기 울음소리와 같은 소리를 발생시키는 자명시계는 종래로부터 많이 사용되어온 바 있으며 따라서 자명시계에 있어서 뻐꾸기 소리의 발생수단도 여러종류가 안출된 바 있고 근래에는 소기의 전자회로기판을 이용한 뻐꾸기 소리발생장치도 시계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본 고안은 가능한 범위내에서 최소한의 소요부품수로 보다 사실적이고 정교한 뻐꾸기 울음소리를 발생시킬 수 있을뿐만 아니라 울음소리의 발생과 동시에 시계케이스에 장치된 뻐꾸기모양 장식물의 적절한 동작도 함께 연출해 낼수 있으며 또 이러한 뻐꾸기 소리발생과 연관된 그 일련의 작동이 시계의 통상적인 전자구동장치와 연관된 정교하면서도 고장없는 간결한 신규의 기구적 구성, 조합에 의해 별도의 동력원이 필요없이 적합하게 이루어지도록 안출된 것으로 그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중 부호 1은 시계케이스 내부에 조립고정되는 고정기체로서 이의 저부양측에는 태엽측(2) (3)이 전후로 횡설되어 이들 축상에 한쌍의 태엽(4) (5)이 동일한 양태로 각각 대향착설된다. 상기 태엽들중 일측 태엽(4)는 기체(1) 중심부에 축설된 시계축(6)에 대한(즉, 시계구동장치에 대한)구동원이고 다른 하나는 본 고안에 따른 뻐꾸기소리발생장치에 대한 구동원인 것이며, 따라서 상기 고정기체(1)에 착설되는 모든 구조물들은 시계의 구동에 연관한 구조물군과 뻐꾸기 소리발생에 연관한 구조물군으로 대별되어지고 이들 각 구조물군에 속한 구조물들은 시계작동중 그 시계진자의 통상적인 시계추운동을 작동의 근원으로 하여 각자 정해진 정확한 시각 및 시간동안 상호 적절히 연동되도록 고정기체(1)에 구속 설치된다.
여기에서 시계의 구동에 연관한 구조물들과 소리 발생에 연관한 구조물들은 그 각각의 구동원인 태엽(4) (5)의 힘에 의해 각각 일정방향으로 구동되려고 하는 힘을 상시 받고있게 되는데 그중 전자는 시계진자의 규칙적인 진동운동에 의해 규칙화된 상시운동을 수행하게 되고 후자는 전자의 시계축(6)상에 설치된 작동캠(7)과 연동하는 소정의 제동자(8)에 의해 평시에는 구동하지 않도록 제동되고 있다가 정해진 일정시간(예컨대 한시, 한시반, 두시, 두시반........열한시, 열한시반, 열두시, 열두시반등)마다 상기 작동캠(7)에 의한 제동자(8)의 제동작용해제로 적정시간씩 구동되어지며 그때마다의 구동시간(좀더 정확히는 뻐꾸기 울음소리 및 뻐꾸기모양 장식물의 요동운동이 지속되는 시간)은 상기 제동자(8)를 필요한 일정시간동안만 제동해제의 위치에 가있도록 하여주는 타이머기어(9)에 의해 제어된다. 예를 들어 본 고안에 따른 시계에서 발생되는 뻐꾸기 소리는 고정기체(1)의 후방일측에 설치된 소리발생관(10)에 의한 "뻐"하는 고음과 그 반대측에 설치된 또다른 소리발생관(11)에 의해 "꾹"하는 저음이 전후 연속교호로 발생토록 되어 있는데 시계가동중 시계축(6)단에 취부된 시계바늘이 시계문자판 상에서 정각 한시를 가리키면 이 "뻐꾹"이라는 뻐꾸기 소리 단위가 한번 일어나는 시간동안만 제동자(8)가 제동해제의 위치에 가있게 되고 두시에는 두번, 세시에는 세번........열두시에는 열두번 일어나는 시간동안 제동자(8)가 그 제동에 해제위치에 가있도록 되어 있으며 정해진 각 시간마다 이러한, 제동자(8)가 그 제동해제 위치에 가있는 시간의 길고 짧음(뻐꾸기 울음소리의 발생횟수)은 이 제동자(8)에 접설되어 있는 타이머기어(9)에 의해 제어된다.
또 이 소리발생장치는 그 소리발생시마다 시계케이스 일측(여기에서는 중앙상부)에 설치된 뻐꾸기모양의 장식물을 적절히 요동시켜주는 구조물을 함께 구비하고 있다. 다음에서 위와같은 작동을 가능하게 하여주는 본 고안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고정기체(1)에는 앞서 설명한 바와같이 시계구동장치에 관한 구조물들과 뻐꾸기 소리발생장치에 관한 구조물들이 상호 적합히 연동토록 함께 구속설치되어 있다. 시계구동장치의 구동원인 태엽(4)이 풀리려는 힘은 태엽축(2)을 상기 태엽(4)의 풀림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상시부세하게 되고 이 태엽축(2)의 회전부세력은 그 태엽축(2)상의 구동기어(12)와 연동토록 치합설치된 대소 중간기어(13) (14) (15)들을 통해 고정기체(1) 중앙부에 가설된 시계축(6)에 전달되어 이 시계축(6)을 시계방향으로 회전 시키도록 부세하게 되며, 그중 중간기어(15)와 일체로 상기 시계축(6)상에 고정설치된 중간기어(16)는 이와 연동토록 치합설치된 또다른 대소 중간기어(17) (18) (19)들을 통해 태엽(4)에 의한 상기 시계축(6)의 회전부세력을 최종 중간기어(19)와 일체인 래치트기어(20)에 전달하고 이 래치트기어(20)에는 진자(21)에 의해 일정위치에서 교호회동하는 래치트 발톱(22) (23)이 구속 치합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래치트기어(20)는 태엽(4)의 회전 부세력을 적의 전달받아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상시 회전되려고 하나 이는 그 치가 상기 래치트 발톱(22) (23)중 어느 하나에 걸려서 임의로 회전되지 못하고 진자(21)가 시계추운동을 하는 동안 래치트기어(20)에 대한 래치트발톱(22) (23)의 교호치합작용에 의해 규정된 일정각도만큼씩만 일정한 속도로 간헐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시계축(6)도 상기 진자(21)의 운동이 있는동안 통상의 시계에서와 마찬가지로 일정한 속도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그 축단에 취부된 시계의 긴 바늘(24)을 회전시키게 된다. 또 상기 시계축(6) 상에는 또 다른 대소 중간기어들을 통해 시계축(6)의 회전속도를 적정비율로 감속전달받는 축관(26)이 끼워져 설치되어 있는데 이 축관(26)의 선단부에는 짧은 바늘(25)이, 후단에는 후술되는 타임조절캠판(27)이 취부 고정된다.
한편, 소리발생장치의 구동원인 태엽(5)이 풀리려는 힘은 그 태엽축(3)을 상기 태엽(5)의 풀림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상시 부세하게 되고 이 태엽축(3)의 회전부세력은 그 태엽축(3)의 구동기어(28)와 연동토록 치합설치된 대소 중간기어(29) (30) (31)들을 통해 성형(별모양의)기어(32)를 가진 아이들러축(33)에 전달되어 이 축(33)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상시부세하게 되며, 이 아이들러축(33)의 회전부세력은 다시 다른 대소 중간기어(34) (35) (36) (37)들을 통해 또 다른 아이들러축(38)에 전달되어 이 아이들러축(38)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상시부세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두개의 아이들러축(33) (38) 및 중간기어(35) (36)가 설치된 아이들러축(39)은 태엽(5)의 힘에 의해 각각 일방향으로 상시 회전되려고 하나 그중 하나의 아이들러축(38)상에 일체로 설치된 회전자(40)가 제동자(8)에 의해 제동되어 평시에는 임의로 회전되지 않다가 정해진 일정시간에 상기 제동자(8)의 회전자(40)에 대한 제동작용에 해제되면 태엽(5)의 풀리려는 힘에 의한 각각의 회전을 개시하게 된다. 회전이 개시되면 아이들러축(33)상에 일체로 설치된 성형기어(32)는 고정기체(1)일측에 가설된 한쌍의 회전축(41) (42)으로부터 뻗쳐진 아암(43) (44)을 연속교호로 회동시켜 이들 회전축(41) (42)을 일정각도 범위내에서 연속교호로 회전시켜주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회전축(41) (42)들로부터 각각 뻗쳐진 또 다른 작동 아암(45) (46)들의 각 선단부는 고정기체(1)후방중앙에서 연속교호적인 상하운동을 하게됨과 동시에 이 상하운동은 후술되는 구성에 의해 뻐꾸기소리의 발생을 결과해내게 된다.
고정기체(1)의 후방양측에는 통상적인 피리의 원리를 이용한 길로 짧은 소리발생관(10) (11)이 각각 나뉘어 설치되어 있고, 각 소리 발생관(10) (11)의 상단에는 이들 각 관에 대하여 바람을 일으켜 보낼수 있는 풍구(47) (48)가 착설된다. 상기 풍구(47) (48)는 각각 하부에 위치한 고정판(47a) (48a)과 이 고정판(47a) (48a)에 대하여 그 외측단이 회동자재로 구속설치된 가동판(47b) (48b)과 이들 고정판(47a) (48a)및 가동판(47b) (48b)사이에 연설된 주름관(47c) (48c)으로 구성되며 각 풍구(47) (48)의 가동판(47b) (48b)내측단과 전기 작동아암(45) (46)의 각 선단부 사이는 연결간(49) (50)에 의해 연결구속되어 있다. 따라서 시계작동중 임의의 시간에 제동자(8)의 회전자(40)에 대한 제동 작용이 해제되면 태엽(5)의 힘으로 아이들러축(33)이 일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이 축상에 성형기어(32)가 아암(43) (44)을 연속교호로 회동시켜 이들 아암(43) (44)을 구속지지한 회전축(41) (42)들로 부터 뻗쳐진 각 작동아암(45) (46)들의 선단이 상호 연속교호적으로 상하운동하면서 연결간(49) (50)들을 통해 풍구(47) (48)의 가동판(47b) (48b)을 교대로 상하운동시켜 전술한 소리발생관(10) (11)들로 부터 소정의 소리가 연속교호로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짧은 소리발생관(10)으로부터는 "뻐"에 해당하는 높은 소리가 발생하고 긴 소리발생관(11)으로부터는 "꾹"에 해당하는 낮은 소리가 발생하여 마치 뻐꾸기울음소리와 같은 소리가 연속해서 일어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일측 풍구(48)의 가동판(48b)에는 작동봉(51)이 전방으로 돌출설치되고 이 작동봉(51)이 가동판(48b)의 상하 회전운동을 따라 상하 운동하면서 시계케이스(52)에 설치된 뻐꾸기 모양의 장식물(53)을 전후로 적절히 요동시켜주게 되어서(제 6 도 참조) 밖에서 볼때는 마치 한마리의 뻐꾸기가 몸을 앞으로 내밀어 숙였다가 원위치하는 동작을 연속 반복하면서 위와같은 뻐꾸기 울음소리를 내는 것처럼 보이게 된다. 여기에서는 뻐꾸기모양의 장식물이 한번의 요동운동을 수행할 때마다 "뻐꾹"이라는 한번씩의 울음소리를 내도록 되어 있으며, 이러한 일련의 동작및 소리는 정각 한시에는 한번만, 두시에는 두번......... 열두시에는 열두번 반복해서 일어나도록 되어있고 또 각시의 30분마다에는 상기의 동작및 소리가 한번씩 일어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작동을 가능하게 하여주는 구성은 후술하는 바와같다.
즉, 앞서 언급한 제동자(8)는 그 일단이 고정기체(1)의 적소에 회동자재로 구속 설치되어 있는데 그 몸통의 각 적소에는 복수의 걸림편(8a) (8b) (8c) (8d)들이 적절히 돌출 설치되어 있고 고정기체(1)측에 설치된 스프링부재(54)에 의해 도면상 반시계 방향으로 (제동위치 쪽으로) 회동되도록 상시 부세되어 평시에는 항상 정해진 제동위치에 가있게 되며, 이 제동위치에 있을때 그 상단부의 걸림편(8a)에는 전술한 회전자(40)로부터 뻗쳐진 돌출봉(4a)이 상기 걸림편(8a)에 걸려서 태엽(5)에 의한 상기 회전자(40)의 회전이 저지되는 상태로 있게 된다. 한편, 고정기체(1)의 다른편에는 타이머기어(9)가 그 말단 회전지축(55)을 중심으로 회동될 수 있게 설치되는데 이 타이머기어(9)는 그 회전지축(55)상에 권설된 비틀림 스프링(56)에 의해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동되도록 상시 부세되고, 제동자(8)가 제동위치에 있을때에는 상기 타이머 기어(9)가 비틀림스프링(56)의 부세력에도 불구하고 제 1 도에서와 같이 그 선단부 하면이 상기 제동자(8)의 걸림편(8b)에 걸려 그 위치에 그대로 멈추어 있게 된다.
상기 타이머기어(9)의 원호상 선단부면에는 복수의 치(9a)가 일정피치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제동자(8)의 직후방에는 시계축(6)상의 작동캠(7)과 연동하여 정해진 시간이 되었을때 상기 제동자(8)를 스프링부재(54)의 탄발력을 거슬러 그 제동해제 위치 쪽으로 소정각도 회동시켜주는 보조제동자(57)가 고정기체(1)에 설치된다. 이 보조 제동자(57)는 그 하단부가 고정기체(1)의 적소에 회동자재로 구속설치되는데 이는 그 몸통으로부터 적합히 뻗쳐진 아암(57a)과 걸림편(57b)을 가지고 있는 고정기체(1)로부터의 스프링부재(58)에 의해 도면상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되도록 상시 부세되어 그 아암(57a)의 선단부가 작동캠(7)의 외주면에 상기 탄접되어 있게됨과 동시에 그 몸통적소가 제동자(8)의 걸림편(8c)내측에 근접해 있게 된다.
한편, 고정기체(1)의 전방으로 돌출된 아이들러축(39)의 단부에는 편심봉(60)과 걸림홈(61)을 가진 회동환(59)이 취부 고정되는데 제동자(8)가 그 제동위치에 있을때 이 제동자(8)의 걸림편(8d)이 상기 회동환(59)의 걸림홈(61)에 삽지되어 있게되고, 제동자(8)의 제동해제로 상기 아이들러축(39)이 회전을 개시하면 그 축단의 회동환(59)으로부터 뻗쳐진 편심봉(60)이 이를 따라 축(39)주위로 회동하면서 타이머기어(9)의 선단부 치(9a)들에 하나씩 순차 접동하면서 위로 밀어올려 타임작동 위치로 떨어진 타이머기어(9) 전체를 원위치로 순차 회동시켜 주게 된다.
타이머기어(9)는 이를 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키려는 스프링(56)의 힘에도 불구하고 평시에 그 선단부 하면이 전술한 바와 같이 제동자(8)의 걸림편(8b)에 걸려있어 그 타임작동에 들어가기전의 최초위치를 고정유지 하게 되자(제 1 도의 상태), 어떤 특정한 시간에 제동자(8)가 제동해제 위치로 회동되어간 후에는 그 선단부 하면이 상기 제동자(8)의 걸림편(8b)으로부터 해방되어 비틀림스프링(56)의 힘에 의해 이의 돌출봉(9b)이 타임조절캠판(27)의 외주면에 걸릴때까지 시계방향으로 소정각도 회동되어 있게되고 이 상태에서는 제동자(8)의 걸림편(8b)이 상기 타이머기어(9)의 선단부면에 걸려 제동자(8)가 그 제동위치로 원위치되지 못하는 상태가 되므로 전술한 바와같은 뻐꾸기 울음소리 발생장치측의 제기구들이 태엽(5)의 힘으로 각각의 작동방향으로 작동되어 예의 뻐꾸기 울음소리 및 뻐꾸기 모양장식물의 동작을 연출해 내게 되며 이 작동은 앞서 설명한 편심봉(60)이 아이들러축(39)의 회전을 따라 그 축(39)주위를 선회 하면서 타이머기어(9)의 치(9a)들에 하나씩 순차 접동하여 타이머기어(9)를 원위치로 완전히 되돌려 주기 전까지 계속된다. 타임작동위치로 떨어진 상기 타이머기어(9)의 선단부면에 걸림편(8b)이 걸려 그 제동위치로 원위치되지 못하던 제동자(8)는 편심봉(60)에 의해 타이머기어(9)가 완전히 원위치되는 순간 그 걸림편(8b)이 상기 타이머기어(9)의 선단부면으로부터 해방되면서 스프링부재(54)에 의해 제동위치로 원위치 회동됨과 동시에 이 걸림편(8b)의 회동저지 작용으로 타이머기어(9)가 그 원위치된 위치를 고정유지 하게되고 또 상기 제동자(8)의 또다른 걸림편(8d)은 회동환(59)의 걸림홈(61)에 삽지되어 편십봉(60)의 회동을 저지하게 된다.
상기 편심봉(60)은 "뻐꾹"이라는 한번의 소리 발생이 있는동안 아이들러축(39) 주위를 한바퀴 회동하면서 타임작동위치로 떨어진 타이머기어(9)의 일개치(9a)에만 접동하여 이를 한피치 상승시켜 주도록 설치된다. 타임작동 위치로 떨어질때 타이머기어(9)의 하강거리(타이머기어(9)가 그 회전지축(55)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동되는 각도)는 시계의 짧은 바늘(25)을 구동시키는 축관(26)후단부의 타임조절캠판(27)에 의해 조정되는데(캠판(27)의 외주면이 스파이럴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돌출봉(9b)이 이 캠판(27)의 외주면 임의개소에 당접될때까지 타이머기어(9)가 떨어지는 거리는 캠판(27)이 회전되어 있는 위치에 따라 달라진다.). 예컨대 시계가 정각 세시를 가리키면 타이머기어(9)는 제동차(8)의 제동해제와 동시에 그에 해당하는 거리만큼만 떨어져서 편심봉(60)이 세개의 치(9a)만을 밀어올려 상기 타이머기어(9)를 완전히 원위치시키는 동안 세번의 뻐꾸기 울음소리 발생과 세번의 뻐꾸기 모양 장식물 요동운동이 이루어지도록 되어있는 것이다.
아암(57a)과 접동하면서 정해진 시간이 되었을때 보조제동자(57)를 소정각도까지 회동시켰다가 즉시 원위치시켜주도록 하는 시계축(6)상의 작동캠(7)은 크고 작은 돌출부(7a) (7b)를 서로 배반된 위치에 형성한 외주면을 가지고 있는데 시계축(6)을 따른 이 작동캠(7)의 회전도중 아암(57a)의 선단부가 상기 작동캠(7)의 작은 돌출부(7b)의 정점부에 맞닿아 있게 되면 상기 아암(57)을 일체로 형성한 보조제동자(57)가 그 하단 회전지점을 중심으로 스프링부재(58)의 탄발력을 거슬러 일정각도까지 시계방향으로 회동하면서 그 몸통이 걸림편(8c)을 밀어 제동자(8)를 그 회동각도만큼 도면 제 2 도의 제1제동해제위치로 회동시켜 주게되고(이 순간에는 제동자(8)상단의 걸림편(8a)으로부터 해방된 회전자(40)의 돌출봉(40a)이 회전자(40)를 따라 한바퀴 돌아서 보조제동자(57) 상단의 걸림편(57b)에 다시 걸려 제동되어 있게 되어서 소리발생 장치는 여전히 작동을 개시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하여 제동자(8)가 그 제1제동해제위치로 완전히 회동되었을 때에는 그 걸림편(8b)으로부터 타이머기어(9)의 호형 선단부 하면이 해방되어 지면서 상기 타이머기어(9)가 스프링(56)의 힘에 의해 이의 최하단 톱니(9a)가 상기 걸림편(8b)에 걸릴때까지 회동되어 있게되며(이때까지 소리발생 장치의 작동은 걸림편(57b)에 의한 보조제동자(57)의 보조제동작용으로 그 작동개시가 일시 지연된다) (제 2 도의 상태), 그 직후 아암(57a)의 선단부가 상기 작동캠(7)의 작은 돌출부(7b)정점을 벗어나면 스프링 부재(58)의 힘에 의해 보조제동자(57)가 원위치 회동 되면서 그 상단 걸림편(57b)이 회전자(40)의 돌출봉(40a)을 해방시켜 주게됨과 동시에 소리 발생 장치의 작동이 개시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작동개시후 소리발생 장치는 전술한 작동을 통해 한번의 뻐꾸기 소리발생과 더불어 한번의 뻐꾸기 모양 장식물 요동운동을 수행하게 되고 이러한 한번의 작동을 종료한 순간에는 편심봉(60)이 치(9a) 하나의 거리만큼만 타임작동 위치로 떨어져 있던 타이머기어(9)를 즉시 원위치 시켜 제동자(8)가 스프링 부재(54)의 힘에 의해 제 1 도의 제동위치로 되돌아 가게함과 동시에 소리 발생 장치의 작동은 거기에서 멈추어 지게 된다. 이러한 일련의 작동은 시계바늘이 각 시의 30분을 가리킬 때마다 한번씩 일어나게 된다.
한편, 각 시의 30분마다 일어나는 위의 작동을 거친후 시계가 임의의 정시(예컨대 정각 세시라 가정한다)를 향해 계속 작동해가면 상술한 작동캠(7)의 작은 돌출부(7b)를 벗어난 아암(57a)의 선단부가 그 반대편에 위치한 큰 돌출부(7a)를 향해가고, 이 큰 돌출부(7a)의 정점부에 상기 아암(57a)의 선단부가 위치하게 되면 이 아암(57a)이 앞서 작은 돌출부(7b)에 의한 것 보다 더욱 큰 폭으로 밀려서 이 아암(57a)을 일체로 형성한 보조제동자(57)가 스프링 부재(58)의 탄발력을 이겨 앞서의 경우보다 더 큰 각도로 회동되고 이에 따라 상기 보조제동자(57)의 몸통이 걸림편(8c)을 밀어 제동자(8)를 더 크게 회동시켜 이를 제2제동해제위치로 회동시켜주게됨과 동시에 그 위치로 완전히 회동된 후에는 제동자(8)의 걸림편(8b)이 타이머기어(9)의 선단부 하면 및 최하단부의 치(9a)를 완전히 벗어나서 상기 타이머기어(9)가 그 돌출봉(9b)이, 짧은 바늘 축관(26)을 따라 회전하여 정각 세시의 위치에 와있는 타임조절캠판(27)의 외주면에 걸릴때까지 스프링(56)의 힘으로 회동되어 가있게 되고(이순간에도 역시 제동자(8)상단의 걸림편(8a)으로부터 해방된 회전자(40)의 돌출봉(40a)이 회전자(40)를 따라 한바퀴 돌아서 보조제동자(57) 상단의 걸림편(57b)에 일시적으로 걸려 제동되어 있게 되어서 소리발생장치는 여전히 작동을 개시하지 않고 아암(57a)의 선단부가 작동캠(7)의 큰 돌출부(7a) 정점을 벗어날때까지 그 작동이 일시 지연된다.) (제 3 도의 상태). 그 직후 아암(57a)의 선단부가 상기 작동캠(7)의 큰 돌출부(7a) 정점을 벗어나면 스프링 부재(58)의 힘에 의해 보조제동자(57)가 원위치 회동되면서 그 상단 걸림편(57b)이 회전자(40)의 돌출봉(40a)을 해방시켜주게 됨과 동시에 소리발생장치의 작동이 개시되는 것이며 (이때 제동자(8)는 그 걸림편(8b)이 타임작동 위치로 떨어진 타이머기어(9)의 선단부에 걸려 원래의 제동위치로 원위치되지 못하고 상술한 도면 제 3 도의 제2제동해제 위치를 그대로 고수해있게 된다.). 이와같이 작동개시후 위의 소리발생장치는 전술한 작동을 통해 편심봉(60)이 세바퀴 돌면서 타이머기어(9)를 세피치 밀어올려 완전히 원위치시킬 때까지 세번의 뻐꾸기 소리발생과 세번의 뻐꾸기모양 장식물의 요동운동을 수행한 후(정각 세시이므로)다시 제 1 도의 상태로 원위치되어 작동을 멈추게 된다. 이러한 일련의 작동은 비단 위에서 예로 든 정각 세시일때뿐만 아니라 기타의 각 정시에도, 각 정시에서 타임조절캠판(27)의 회전위치가 상위함에 따른 타이머기어(9)의 타임작동위치로의 하강 거리가 각각 달라짐에 따라 그 뻐꾸기 소리발생 횟수 및 뻐꾸기 모양 장식물의 요동횟수만 다르게 될뿐, 모두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여타의 전기, 전자적인 보조수단이 필요없이 순전히 기계적인 힘만으로 정교하게 가동되는 뻐꾸기 소리발생 자명시계인 것으로, 정교하면서도 고장없는 최선의 간결한 기구적 구성에 의해 시계의 구동과 더불어 매우 사실적이고도 정확한 뻐꾸기 울음소리를 발생시킬 수 있을 뿐만아니라 뻐꾸기모양 장식물의 사실적인 동작까지 함께 연출시킬 수 있어 이러한 시계의 값어치와 실용성을 더욱 향상시킨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통상의 태엽과 진자운동에 의해 구동되는 시계를 구성함에 있어서, 태엽에 의한 아이들러축(33)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연속교호로 원호운동하는 한쌍의 작동아암(45) (46)과 이들 아암에 의해 풍구(47) (48)가 작동되어 높이가 다른 음을 연속교호로 발생하는 소리발생관(10) (11)과 상기 일측 풍구(11)가 작동에 연동하여 요동운동하는 뻐꾸기모양 장식물(53)을 가지고 시계축(6)상의 작동캠(7)과 연동하는 보조제동자(57)와 이 보조제동자(57)에 연동하는 제동자(8)와, 이 제동자(8)에 연동하는 타이머기어(9)와, 이 타이머기어(9)의 타임작동시간을 조절하는 캠판(27)과, 타임작동상태로 들어간 상기 타이머기어(9)를 원위치시키는 편심봉(60)등에 의해 시계가동중 정해진 시간마다 소리발생관(10) (11)에 의한 뻐꾸기 울음소리 및 뻐꾸기모양 장식물(53)의 요동운동을 정해진 횟수만큼 연출토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뻐꾸기 소리발생 자명시계.
KR2019880018451U 1988-11-10 1988-11-10 뻐꾸기 소리발생 자명시계 KR91000382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18451U KR910003829Y1 (ko) 1988-11-10 1988-11-10 뻐꾸기 소리발생 자명시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18451U KR910003829Y1 (ko) 1988-11-10 1988-11-10 뻐꾸기 소리발생 자명시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0545U KR900010545U (ko) 1990-06-02
KR910003829Y1 true KR910003829Y1 (ko) 1991-06-03

Family

ID=192813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18451U KR910003829Y1 (ko) 1988-11-10 1988-11-10 뻐꾸기 소리발생 자명시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382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0545U (ko) 1990-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91612A (en) Adjusting arrangement for a digital indicator
JP2010506143A (ja) 複雑な道筋を通って表示要素を駆動するタイムピースのムーブメント及びこのようなムーブメントを有するタイムピース
JP2010127945A (ja) 慣性結合機構を備えた時計ムーブメント
US8218400B2 (en) Clock
RU2342689C2 (ru) Часовой механизм, оснащенный анимацией
EP0077133B1 (en) Timer drive mechanism
KR910003829Y1 (ko) 뻐꾸기 소리발생 자명시계
US4759253A (en) Metronome
US4270198A (en) Electronic timepiece
JP2023086695A (ja) 傾斜を可変的に調整するための手段を有する可動部材を備える時計ムーブメント
JP2023086697A (ja) 傾斜を可変的に調整するための手段を有する部材を備える時計ムーブメント
US4173863A (en) Analog quartz timepiece
US3645089A (en) Intermittent driving mechanism for timepiece
JPS6225734Y2 (ko)
JP2904478B2 (ja) 装飾体時計の人形駆動機構
US1327669A (en) Alarm mechanism for clocks
JPS61213684A (ja) 機械式の駆動装置を有する大型時計
JP3737661B2 (ja) スケルトン時計
JP2500506B2 (ja) 可動飾りの駆動装置
US20230341817A1 (en) Three-dimensional karussel- or tourbillon-type regulating member provided with a peripheral ball bearing
US20230341818A1 (en) Three-dimensional karussel for a horological movement
US3380332A (en) Metronome
US3871167A (en) Turbine clocks
US248935A (en) Striking mechanism of repeating-clocks
JP3648148B2 (ja) 時計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