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3652Y1 - 고압안정 및 화면 찌그러짐 방지회로 - Google Patents

고압안정 및 화면 찌그러짐 방지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3652Y1
KR910003652Y1 KR2019860001458U KR860001458U KR910003652Y1 KR 910003652 Y1 KR910003652 Y1 KR 910003652Y1 KR 2019860001458 U KR2019860001458 U KR 2019860001458U KR 860001458 U KR860001458 U KR 860001458U KR 910003652 Y1 KR910003652 Y1 KR 91000365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stor
circuit
distortion
capacitor
transis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6000145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14018U (ko
Inventor
송영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정재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정재은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60001458U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3652Y1/ko
Publication of KR87001401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1401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365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3652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3/0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 H04N3/1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 H04N3/16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by deflecting electron beam in cathode-ray tube, e.g. scanning corrections
    • H04N3/22Circuits for controlling dimensions, shape or centering of picture on screen
    • H04N3/23Distortion correction, e.g. for pincushion distortion correction, S-corr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8/00Adaptation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functions
    • H01F38/42Flyback transform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3/0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 H04N3/1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 H04N3/16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by deflecting electron beam in cathode-ray tube, e.g. scanning corrections
    • H04N3/18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in combination with electron beam deflecting
    • H04N3/19Arrangements or assemblies in supply circuits for the purpose of withstanding high volt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cann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고압안정 및 화면 찌그러짐 방지회로
본 고안의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 적분회로 5 : 고압안정화회로
10 : 찌그러짐 Q1∼Q3: 트랜지스터
L1, L2: 변조용코일 R1∼R13: 저항
C1∼C12: 콘덴서 VR1∼VR3: 가변저항
D1∼D3: 다이오드
본 고안은 텔레비젼의 고압안정 및 화면 찌그러짐 방지 회로에 관한 것이다.
실패형 찌그러짐은 브라운관의 형광면에 생기는 라스터가 구형이 되지않고 실패 모양으로 찌그러짐을 말하는 것으로 전자비임의 직진성과 수평 편향의 인벨런스가 클수록 찌그러짐이 심하게 되는 것으로 화면이 비교적 넓은 범위에서 밝은(HIGH-LIGHT)신호가 나타나게 하려면 그 부분의 수평 진폭이 확대되어 화면에 실패형 찌그러짐이 생기게 된다.
그리고 종래에는 편향 코일의 자속 분포성에 따라 라스터 찌그러짐이 보정되도록 되어 있고 수평편향 회로에서는 브라운관의 비임 전류의 증감에 의한 고압 변동이 있어도 수평 편향력이 거의 일정하기 때문에 고압이 낮게되면 전자 비임의 직진성이 약하게 되어 편향력이 상승된 것처럼 편향각이 증가하여 찌그러짐이 생기는 원인이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수평 출력부에 댐퍼 다이오드를 포함하여 2개의 공진 회로를 직렬로 접속하여 변조용 코일과 찌그러짐 보정 회로를 연결한 고압안정 및 화면 찌그러짐 방지 회로로써 고압 안정화 회로는 화면 밝기에 따라 크기가 변화하게 되는 것을 방지해 주고 찌그러짐 방지 회로는 편향각도에 의하여 화면의 좌우가 찌그러지게 되는 것을 충실히 보정하므로서 퍼스컴이나 문자 다중방송 수신시 찌그러짐없이 충실한 재현을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첨부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수평동기 신호가 인가되는 수평 드라이브용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측에 전원(B+)이 저항(R1)을 통하여 인가되는 드라이브용 트랜스(T1)를 연결하여 수평출력 트랜지스터(Q2)를 제어하도록 구성하여 트랜지스터(Q2)의 콜렉터측에 고압 안정화 회로(5)를 연결하므로써 전원(VB)이 인가되는 플라이백 트랜스(T2)를 제어하여 다이오드(D1)를 거쳐 음극선관의 애노드측 전압과 자동휘도 제한회로(ABL)의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고압안정화 회로(5)는 수평편향코일(HDY)에 콘덴서(C1)(C3)와 변조용 코일(L1)을 연결하고 공진콘덴서(C2)(C4)와 댐퍼용 다이오드(D2)(D3)를 병렬 연결하여 구성한다.
또한 다이오드(D2)(D3) 사이에 변조용 코일(L2)을 통하여 찌그러짐 보정회로(10)를 연결하여 오피앰프(OP)의 일측단자(+)에 가변저항(VR2)과 저항(R5) 및 콘덴서(C8)를 수직편향 코일(VDY)과 콘덴서(C9) 및 저항(R8)사이에 연결 구성하고 타측단자(-)에는 저항(R6)(R7)과 콘덴서(C10)로 구성된 적분회로(3)와 가변저항(VR3)을 콘덴서(C7)를 통하여 가변저항(VR1)과 저항(R3)(R4)를 통한 전원(B+)이 인가되도록 구성하며 또한 트랜지스터(Q3)의 출력이 저항(R9)과 콘덴서(C6)를 통하여 오피앰프(OP)의 일측단자(+)로 접지된 저항(R12)을 통하여 궤한되게 구성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고압안정화 회로(5)에서는 공진 주파술의 귀선 시간을 동등하게 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수평출력 트랜지스터(Q2)의 콜렉터측 출력이 변조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않고 언제나 일정한 고압이 출력되는 것이다.
이를 다시 말하면 보정콘덴서(C1)의 단자간 전압을 V1이라 하고 보정콘덴서(C3)의 단자간 전압을 V2라 하며 수평출력 트랜지스터(Q2)의 콜렉터 에미터간 전압을 VA라하면 주사시간 개시후에 댐프 다이오드(D2)(D3)가 도통하여 보정콘덴서(C1)(C3)의 양단자간 전압을 수평편향코일(HDY) 및 변조용코일(L1)에 각각 공급하여 각각 톱니파 전류 I1, I2가 발생한다.
여기서 수평편향코일(HDY)에 흐르는 전류 I1은 수평 편향 전류이며 또한 주사 기간의 중간에 도달하기전에 수평출력 트랜지스터(Q2)가 도통한다.
그리고 주사기간의 거의 중간으로써 2개의 전류가 흐르는 방향을 반전하여 I1〉I2의 경우에는 I1은 수평출력 트랜지스터(Q2)와 댐퍼 다이오드(D3)를 거쳐 흐르고 I2는 댐퍼 다이오드(D3)를 통하여 흐르기 때문에 댐퍼 다이오드(D3)에는 차전류(I1-I2)가 흘러 댐퍼 다이오드(D2)는 도통하지 않는다.
또한 이와는 반대로 I1〉I2의 경우에는 댐퍼 다이오드(D2)에 차전류(I2-I1)가 흘러 댐퍼 다이오드(D3)는 도통하지 않는다.
그리고 주사기간의 종료시에는 수평출력 트랜지스터(Q2) 및 댐퍼다이오드(D2)(D3)가 차단되어 I1,I2만 각각 보정 콘덴서(C1)(C3)의 양단자간 궤환 시간은 동일하기 때문에 이러한 전압이 재차 제로가 되는 순간에 댐퍼 다이오드(D2)(D3)가 도통하여 재차 주사 시간에 들어간다.
그리고 전압 V1및 V2의 평균치의 합계는 전원전압(VB)에 거의 같기 때문에 V1은 V2와 역방향의 변화를 하고 편향전류 I1은 I2에 비례하기 때문에 I1이 수직 주파수로써 변조하며 V2의 변화가 수직 동기의 중앙부로써 낮게 되므로 파라볼라 상태로 변조하는 것에 따라 경우의 찌그러짐이 보정되고 V2의 직류분이 변조하는 것에 따라 수평 사이즈가 조정된다.
다시 말하면 보통 궤환 전압은 2개의 공진 회로의 궤환 기간에 동등하기 때문에 전원 전압으로 그 펄스의 높이가 정해져 V1+V2=VA=VB의 관계에 따라 수평출력 트랜지스터(Q2)의 콜렉터에는 V2의 변조에는 불구하고 언제나 일정한 궤환 전압이 얻어지므로써 플라이백 트랜스(T2)의 1차 권선의 단자간 전압은 일정하게 되어 플라이백 트랜스(T2)의 2차측으로 부터 얻는 고압 및 그외의 보조 공급 전압도 일정하게 된다.
이와 같은 찌그러짐 보정의 드라이브를 위해서는 수직의 파라볼라파와 직류 전압을 변조원으로써 변저용 드라이브 코일(L2)에 공급할 필요가 있으며 변조원 신호는 높은 안정도가 필요하기 때문에 오피앰프(OP)로써 변조원의 신호를 만들고 있다.
따라서 보정용의 원래 신호는 수직출력 회로의 파라볼라파와 삼각파를 사용하여 오피앰프(OP)의 일측단자(+)에 따라 볼라파를 가하고 타측단자(-)에 삼각파와 직류 버이어스를 가한다.
그리고 오피앰프(OP)의 출력측에 에미터 접지의 드라이브 트랜지스터(Q3)를 접속하여 트랜지스터(Q3)의 콜렉터는 변조용 드라이브 코일(L2)에 접속하고 접지 사이에 수평성 분 바이패스용 콘덴서(C3)를 접속한다.
또한 트랜지스터(Q3)의 콜렉터측으로부터 콘덴서(C6)와 저항(R9)의 병렬회로를 오피앰프(OP)의 일측단자(+)에 접속하고 일측단자(+)와 접지 사이에 저항(R12)을 연결하여 부궤환(Negative feed Back) 회로를 형성하고 있으며 이에 따른 트랜지스터(Q3)의 콜렉터측 출력은 변조용 드라이브 코일(L2)을 통하여 고압 안정화 회로에 공급된다.
이에 따라서 트랜지스터(Q3)의 콜렉터측에는 역파라볼라파형이 얻어지며 이때의 직류 레벨은 오피램프(OP)의 타측 단자(-)의 바이어스 전압을 가변저항(VR1)으로써 조정한다.
또한 입력의 파라볼라파의 레벨을 가변저항(VR2)으로 가변함에 따라 찌그러짐 보정량을 조정하고 삼각파의 레벨을 가변저항(VR3)으로 가변함으로써 찌그러짐의 위상(상하 수평진폭의 밸런스)를 조정한다.
이때에 단지 파라볼라파와 삼각파만의 보정으로는 화면의 상하단이 축소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삼각파를 저항(R6)(R7)과 콘덴서(C10)로 구성된 적분회로(3)에서 적분하여 상단이 줄어드는 것을 부궤환의 저항(R9)와 콘덴서(C6)의 병렬 회로에서 콘덴서(C6)의 값을 적당히 선택함에 따라 하단의 축소를 보정할 수 있다.
또한 고압부하의 변동에 따라 수평화면의 크기의 변동을 자동회로 제한회로(ABL)전압을 오피앰프(OP)의 일측단자(+)에 가함으로써 보정하고 있어 직류 성분에 따라 정적인 수평 사이즈를 억제한다.
이와같이 본 고안은 정적인 화면 찌그러짐, 동적인 화면 찌그러짐, 화면의 크기의 안정도등에 대하여 양호한 화질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수평 드라이브 트랜지스터(Q1)와 트랜스(T1)를 통하여 수평 출력 트랜지스터(Q2)에 연결된 플라이백트랜스(T2)로 출력되는 찌그러짐 방지 회로에 있어서, 오피앰프(OP)의 일측단자(+)를 가변저항(VR2)과 저항(R5) 및 콘덴서(C8)를 통하여 수직편향코일(VDY)과 콘덴서(C9) 사이에 연결하고 타측단자(-)는 가변저항(VR3)과 적분회로(3)를 연결함과 동시에 가변저항(VR1)과 저항(R3)(R4)을 연결하여 오피앰프(OP)의 출력이 저항(R2)을 거치고 트랜지스터(Q3)를 통하여 코일(L2)에 인가됨과 동시에 저항(R9)과 콘덴서(C6)를 거쳐 일측 단자(+)에 궤환되게 찌그러짐 보정회로(10)를 구성한 후 콘덴서(C1∼C4)와 와 다이오드(D2∼D3) 및 코일(L1)과 수평편향코일(HDY)로 구성된 고압안정화회로(5)로써 트랜지스터(Q2)의 콜렉터측 출력을 제어하며 플라이백 트랜스(T2)의 2차측에 일정한 고압이 발생되게 구성한 고압안정 및 화면 찌그러짐 방지회로.
KR2019860001458U 1986-02-08 1986-02-08 고압안정 및 화면 찌그러짐 방지회로 KR91000365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01458U KR910003652Y1 (ko) 1986-02-08 1986-02-08 고압안정 및 화면 찌그러짐 방지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01458U KR910003652Y1 (ko) 1986-02-08 1986-02-08 고압안정 및 화면 찌그러짐 방지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14018U KR870014018U (ko) 1987-09-11
KR910003652Y1 true KR910003652Y1 (ko) 1991-05-31

Family

ID=192486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60001458U KR910003652Y1 (ko) 1986-02-08 1986-02-08 고압안정 및 화면 찌그러짐 방지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365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14018U (ko) 1987-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54365A (en) Side pincushion correction modulator circuit
JPH06189154A (ja) 偏向波形補正回路
JPH0317273B2 (ko)
US5519447A (en) Wide aspect television receiver including a correcting waveform signal generator
US5010281A (en) High voltage stabilization circuit for video display apparatus
US4859915A (en) Line deflection circuit with dynamic S correction
US3959689A (en) Twisting distortion correcting circuitry
KR910003652Y1 (ko) 고압안정 및 화면 찌그러짐 방지회로
JP3128651B2 (ja) 偏向制御回路
CA1279129C (en) Raster correction circuit
US4780648A (en) Deflection apparatus
KR20020085851A (ko) 래스터 왜곡 보정 회로
US5945791A (en) High voltage system
US4965495A (en) Parabolic voltage generating circuit
US6326743B1 (en) Horizontal linearity correcting circuit
EP0266996B2 (en) Raster correction circuit
EP1042780B1 (en) A deflection correction
KR100226692B1 (ko) 고압분리형 모니터에서 다이나믹 포커싱회로
KR100491230B1 (ko) 다이오드변조기및이를포함하는화상디스플레이장치
US4843285A (en) Vertical tracking circuit
US3988637A (en) Circuit arrangement for generating in a picture display device a sawtooth current of line frequency having an amplitude varying at field frequency
GB2273427A (en) Power supply
KR830002172B1 (ko) 자동 키네스코프 바이어스 장치
KR910005339Y1 (ko) 고압 안정화 회로
JP3475605B2 (ja) コンバージェンス補正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428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