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3407Y1 - 브라운관용 인너실드의 조립구조 - Google Patents

브라운관용 인너실드의 조립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3407Y1
KR910003407Y1 KR2019880017338U KR880017338U KR910003407Y1 KR 910003407 Y1 KR910003407 Y1 KR 910003407Y1 KR 2019880017338 U KR2019880017338 U KR 2019880017338U KR 880017338 U KR880017338 U KR 880017338U KR 910003407 Y1 KR910003407 Y1 KR 91000340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shield
frame
shield structure
bent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1733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9064U (ko
Inventor
김원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관 주식회사
김정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관 주식회사, 김정배 filed Critical 삼성전관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80017338U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3407Y1/ko
Publication of KR90000906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906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340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3407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02Electrodes; Screens; Mounting, supporting, spacing or insulating thereof
    • H01J29/06Screens for shielding; Masks interposed in the electron strea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0007Elimination of unwanted or stray electromagnetic effects
    • H01J2229/003Preventing or cancelling fields entering the enclosure

Landscapes

  • Electrodes For Cathode-Ray Tubes (AREA)
  • Shielding Devices Or Components To Electric Or Magnetic Field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브라운관용 인너실드의 조립구조
제 1 도는 본 고안의 인너실드에 대한 사시도.
제 2 도는 본 고안의 요부 확대도.
제 3 도는 본 고안의 조립상태 정면도.
제 4a,b 도는 본 고안의 조립실시도.
제 5 도의 종래의 조립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금속판재 2 : 절곡편
3 : 첨단부 4 : 구멍
5 : 프레임 6 : 돌출편
본 고안은 브라운관에 내장되는 인너실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인너실드의 조립을 간편, 용이하게 하여 작업공수를 절감할 수 있고, 조립후에 견실하게 고정되어 있도록 고안한 인너실드의 개선된 조립구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금속판재의 인너실드를 프레스성형함에 있어서, 그의 말단부에 절곡편을 신설하여 인너실드를 프레임에 조립할 때 절곡편이 삽입, 절곡되게 작업함으로써 상기한 작업용이성, 조립견고성등의 개선점을 구휘하려는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브라운관의 인너실드는 외부의 자기력으로부터 차폐시켜주는 기능을 위하여 필요시되는 금속판재로써, 마스크 앗세이(Mask Ass'y)를 지지하는 프레임의 후부에 인너실드가 조립된다. 이러한 인너실드의 조립방법으로는 용접에 의한 것과 핀으로 조립하는 것등이 취해지고 있는데 종래의 점용접에 의한 방식을 고가의 용접기를 설비해야 하는 경제적 부담이 따르고, 전력소모 및 숙련을 필요로 하므로 비경제적인 결점이 있어서 최근에는 인너실드판재의 가장자리가 프레임에 각각 핀구멍을 내고 여기에 핀으로 삽통하여 양금속테를 단일체로 조립하는 방법을 시행하였다.
그러나, 이 방법은 용접에 비하여 개선된 효과를 볼 수 있었으나, 핀의 탄력에 의하여 조립된 것이므로 강한 고정력을 발휘하는 것이 아니며, 핀구멍간에 부분적으로 틈새가 형성되었기에 덜그럭거림이 유발되었고, 핀의 머리부분이 노출되어 있어서 주변에 간섭을 줄 수 있는 등 몇가지의 단점이 지적되었다.
또한, 탄발력을 가진 핀을 오무려서 구멍에 삽입시켜야 하므로 오직 인위적인 작업에 의존할 수 밖에 없었던 것이며, 장시간 작업시에는 손가락이 아프고 능률이 떨어지는 등, 여러 가지로 문제였던 것이다.
본 고안자는 상기의 제결점을 감안하여 본 고안과 같이 용이한 작업과 견고성을 제공하는 새로운 방식의 인너실드 조립구조를 창안하기에 이른 것으로서 이 목적을 실현할 수 있는 내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제 1 도는 본 고안의 인너실드를 표현하는 사시도로서 공지의 형상으로된 판재(1)에 있어 그 말단부에 조립용 절곡편(2)이 돌출되어 있다. 이 절곡편(2)은 중간부분에서 양변이 단계적으로 협소하여 첨단부(3)를 형성하고 있으며, 여기에 대응하는 구멍(4)은 프레임(5)에 형성되어 있다.
즉, 프레임(5)에 형성된 구멍(4)은 장방형으로된 "+"자 형이며, 이 구멍 하나에 2개의 절곡편(2)이 삽입되어 각기 반대측으로 절곡되도록 구성하는데 이를 제 2 도 및 제 3 도에 표현하였다.
제 3 도에 있어서, 2개를 1조로 하는 인너실드판재(1)는 이들이 밀접되는 지점에 절곡편(2)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조립시에는 프레임(5)에 형성된 "+"자형의 한 구멍(4)으로 2개의 절곡편(2)을 삽입시킨 후 상호 반대편으로 절곡시키게 된다.
따라서, 절곡편(2)은 프레임(5)의 두께에 이르러 첨단부(3)만이 내측으로 절곡되는 것이며, 제 4b 도와 같이 완전히 조립된 상태에서는 구멍(4)과 내면에 밀착, 고정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인너실드 판재(1)의 후부에는 프레임(5)상에 돌출된 "ㄱ"형 돌출편(6)에 끼워넣는다.
이와같이 본 고안은 인너실드의 제조시 동일 공정으로 형성시킨 절곡편(2)을 프레임 구멍(4)에 끼우고, 단순히 절곡시키는 작업만으로 간단히 조립작업이 완료되는 것이므로 작업이 극히 신속, 용이하며 공수절감에 크게 기여하며, 인너실드와 프레임간의 틈새가 전혀 없이 압력적으로 눌려지는 상태로 조립되기 때문에 견실한 조립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되어 결국 제품의 양산성을 이룰 뿐 아니라 제품의 신뢰성을 가져오는 등 신규하고도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2개를 1조로 하는 금속판재(1)의 성형물인 공지의 인너실드에 있어서, 그 가장자리 말단부에 조립용 절곡편(2)을 돌출시키되 중간에 단턱을 형성하여 협소한 첨단부(3)를 형성하는 한편, 이에 대응하는 프레임(5)의 정위치에는 "+"자형 구멍(4)을 형성하여 상기 2개의 절곡편(2)을 이곳에 삽입하고 외측으로 절곡하며, 양측후부에는 "ㄱ"형 돌출편(6)에 끼워지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운관 인너실드의 조립구조.
KR2019880017338U 1988-10-26 1988-10-26 브라운관용 인너실드의 조립구조 KR91000340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17338U KR910003407Y1 (ko) 1988-10-26 1988-10-26 브라운관용 인너실드의 조립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17338U KR910003407Y1 (ko) 1988-10-26 1988-10-26 브라운관용 인너실드의 조립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9064U KR900009064U (ko) 1990-05-03
KR910003407Y1 true KR910003407Y1 (ko) 1991-05-24

Family

ID=192805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17338U KR910003407Y1 (ko) 1988-10-26 1988-10-26 브라운관용 인너실드의 조립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340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9064U (ko) 1990-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312240A3 (en) Electric female connector piece
KR910003407Y1 (ko) 브라운관용 인너실드의 조립구조
JPH09320706A (ja) プリント基板用コネクタ
EP0565356A1 (en) Bus bar connector
US20070033792A1 (en) Key, X-struc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H0113625B2 (ko)
JPH03291874A (ja) リセプタクル型コンタクト
JPH07226251A (ja) ロック型コネクタ
CN213026536U (zh) 一种料厚分段式弹片
US4710139A (en) Electrical jack assembly
EP1128715A3 (en) Shield case for electronic equipment
JPH0115057Y2 (ko)
JP2002013513A (ja) スナップ
KR200155316Y1 (ko) 브라운관의 러그 결합장치
KR920004040B1 (ko) 단자 받침대 및 이를 고정시키는 방법
JP3064732U (ja) ア―ス板取付構造
CN117847057A (zh) T型孔塑料卡接结构
JPS6053639B2 (ja) 電気カミソリ
JP2827871B2 (ja) コネクタ
JPH0332058Y2 (ko)
JPH0628176B2 (ja) ソケツト
KR200224016Y1 (ko) 설비구조용 프로파일의 조립구조
JPH0514501Y2 (ko)
JPH083989Y2 (ja) ジャック
KR970000438Y1 (ko)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의 지지스프링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429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