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3183B1 - 보빈 반송장치 - Google Patents
보빈 반송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910003183B1 KR910003183B1 KR1019850009200A KR850009200A KR910003183B1 KR 910003183 B1 KR910003183 B1 KR 910003183B1 KR 1019850009200 A KR1019850009200 A KR 1019850009200A KR 850009200 A KR850009200 A KR 850009200A KR 910003183 B1 KR910003183 B1 KR 91000318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obbin
- tray
- sheet
- belt
- support pi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49/00—Unwinding or paying-out filamentary material; Supporting, storing or transporting packages from which filamentary material is to be withdrawn or paid-out
- B65H49/38—Skips, cages, racks, or containers, adapted solely for the transport or storage of bobbins, cops, or the lik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22—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placing, Conveying, And Pick-Finding For Filamentary Materia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1도는 트레이와 그 위에 위치된, 사-권취된 보빈을 나타내는 부분 횡단면도.
제2도는 보빈 공급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3도는 제1도의 트레이를 나타내는 확대 정면도.
제4도는 본 발명을 구체화하는 보빈 반송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5도는 트레이와 공급장치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보빈 공급장치를 통한 횡단면도.
제6도는 보빈 반송장치를 나타내는 부분횡단면도.
제7도 및 8도는 벨트와 풀리의 배열구조를 예시하는 개략도.
제9도는 보빈 공급장치의 선단부분을 나타내는 부분 횡단면도.
제10도는 제9도에 도시된 선단부분을 나타내는 사시도.
제11도는 보빈 취출작동을 예시하는 측단면도.
제12도는 제11도에 도시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제13도는 사 선단 처리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14도는 트레이의 변형된 구성예를 나타내는 부분횡단면도.
제15도는 트레이의 더 변형된 구체예를 나타내는 부분횡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보빈 2 : 트레이
2a : 시이트 2b ; 보스
2c : 칼러 2d : 핀
3 : 보빈 공급장치 3a, 3b : 안내레일
4 : 벨트
본 발명은 보빈 반송(搬送)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 말하자면 후속공정에서 일어나는 작동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보빈 취출장치를 포함하는 보빈 반송장치에 대한 것이다.
방적공장에서는 한 공정에서 다른 공정으로 보빈 권취된 사 또는 치즈 권취된 사와 같은 중간제품을 반송 하는 것이 절대 필요하다. 가장 원시적인 형태로서 보빈은 운반차로 반송된다. 이것은 시간과 노동력을 소모하며 또 사가 오염되고 엉키게 되는 위험이 있다.
그러한 노동력을 소모하는 방법을 개량하기 위하여 자동 콘베이어가 고안되어 널리 사용되었다. 공지의 콘베이어에서 보빈은 직접 콘베이어 벨트상에 위치되며 그것은 전기 모우터로 구동된다. 이 방법의 단점은 보빈이 진동으로 인하여 벨트에서 미끄러지는 경향이 발생하는 것이다. 이것은 보빈이 벨트로부터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의 설비를 필요로 한다. 예를 들면, 방지선단이 벨트의 양측에 갖춰지거나 보빈 삽입 핀이 벨트위에 설치된다. 보빈 삽입핀을 사용할 때는 그로부터 보빈을 취출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또 콘베이어는 일반적으로 편평한 벨트로 만들어져서 굴곡 또는 만곡된 보빈 공급통로를 형성하는 것을 어렵게 한다. 그 결과 콘베이어는 수평 및 일직선이다.
굽은 보빈 공급통로가 설치될 때 여러 셋트의 곧은 콘베이어가 서로 접합되어 단하나의 굽은 공급통로를 갖추게 된다. 공지의 핀을 설치한 콘베이어 벨트의 또다른 단점은 핀이 콘베이어벨트에 설치되는 그 일정간격으로 보빈이 항상 취출되는 것이다. 그러나, 후속공정의 작동속도와 합치시키기 위하여 원하는 간격으로 취출되어야 할때가 때때로 생긴다. 공지의 콘베이어 시스템하에서는 큰베이어로부터 선택된 보빈을 정지시키거나 반송속도를 조정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본 발명은 상기 지적된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이 목적을 위해서 보빈이 반송장치의 간격 에 관계없이 원하는 간격으로 취출되는 것을 확실하게 하는 개량된 보빈 반송장치를 제공해야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직선형태, 굴곡형태 또는 상하의 병렬형태와 같이 자유로이 조립 가능한 개량된 보빈 반송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잇점은 이후 주어진 상세한 설명으로 보다 명확하게 될 것이다. 그러나 상세한 설명 및 특정 구체예가,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주내에서 여러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본 기술에 숙련된 자는 분명히 알 수 있기 때문에 단지 실례로서 주어진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보빈 반송장치가 구비되며, 이는 보빈에 삽입가능한 보빈 지지핀을 각기 지니는 다수의 트레이(tray), 트레이를 안내하기 위해 루우프 형태로 조립된 한쌍의 안내레일, 이 안내레일을 따라 구동하며 트레이가 벨트의 운동에 따라 마찰적으로 움직이도록 하기 위해서 트레이의 밀표면과 유지되는 원형 벨트, 벨트가 저지된 보빈으로부터 빠져나오는 것을 계속하도록 하기 위해서 보빈을 정지시키기 위한 기구와 트레이로부터 저지된 보빈을 취출하기 위한 보빈 취출기구로 이루어진다.
참조번호(1)은 사가 감기는 보빈을 나타내며, 이후 사가 감겨진 그 전체가 보빈으로서 언급되며, 와인더로서 사가 없는 보빈은 보빈 본체(13)로서 언급된다.
다수의 보빈(1)은 각기 개별적으로 트레이(2)상에 위치되며, 이 트레이는 제1도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보빈(1)의 외부직경보다 큰 직경을 지니는 시이트(seat), (2a), 시이트(2a)중심의 보스(boss) (2b) 및 보빈(1)이 놓이는 시이트와 동축으로 설치된 칼러(collar), (2c)를 포함한다. 칼러(2c)의 외부직경은 보빈 본체(1a)의 외부직경 보다 작다. 칼러(2c)에는 핀(2d)이 갖추어져 있으며, 이 핀은 보빈 본체(la)의 밑부분에 삽입된다. 트레이(2)는 플라스틱으로 보통 한 부분으로 제조될 수 있으나 아래 기술된 바와 같이 칼러(2c)와 핀(2d)은 시이트(2a) 및 보스(2b)와 분리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그들 각각은 시이트와 보스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고착될 수 있다.
핀(2d)의 상부 선단은 보빈 밑부분으로 그 삽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뽀족하게 된다.
제2도에서 트레이(2)는 U-형 횡단면을 각기 지니는 한쌍의 안내레일(3a), (3b)로 실제 제조되는 보빈 공급장치(3)에 설치된다.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이트(2a)는 자유로운 상태로 두레일(3a), (3b)에 위치된다.
레일(3a), (3b)에는 그 사이에 축(7a)이 레일(3a), (3b)사이에 공간을 확보하도록 갖춰지는 연장된 부분(3a'), (3b')이 구비된다. 축(7a)은 로울러(7)을 회전가능하게 지탱한다. 제5도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이의 시이트(2a)는 지지 구역이 레일(3a), (3b)에 대해 다른 정도로 인접하는 레일(3a), (3b)사이의 공간에 배치된다. 참조번호(4)는 로울러(7)상에서 구동하는 원형벨트를 나타내며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벨트(4)는 보다 작은 지지 구역을 향하여 경사진 지점에서 시이트(2a)와 접촉하여 유지된다.
벨트(4)의 상부 둘레 표면은 양 레일(3a), (3b)의 내부 밀표면 위로 약간 돌출하는 것을 제5도로부터 알 수 있으며 이는 시이트(2a) (즉, 트레이 전체로서)가 레일(3b)를 향하여 기울어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바람직하게도 벨트(4)는 레일(3a)를 향하여 직경의 1/3만큼 기울어진 지점에서 시이트(2a)와 접촉을 유지한다.
이런 상황에서 벨트(4)가 구동될 때 트레이(2)는 마찰하에 벨트(4)의 운동을 따른다. 트레이(2)의 보스(2b)는 두 레일(3a), (3b)사이의 공간에서 약간 돌출한다. 트레이에 작용하는 장애물이 없는한 그것들은 벨트(4)운동과 일치하여 구동을 계속한다.
그러나 어떤 정지 기구가 트레이(2)에 작용한다면 그것은 구동을 계속하는 벨트(4)의 운동을 따르지 않고 정지된다.
그 결과 후속 보빈(1)은 저지된 보빈(1)가까이와서 마침내 두 보빈은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란히 위치한다.
제4도는 그 위에 장착된 보빈(1)과 함께 작동하는 보빈 공급장치(3)의 전면도를 나타낸다. 장치(3)는 보빈(1)이 위치되는 상부측차 보빈이 없는 트레이(2)가 되돌아 오는 하부 측(3e)를 포함한다. 상부측과 하부측은 첫번째 및 두번째 경사면으로 연결되며 첫번째 경사면은 아래 통로(3c), 두번째 경사면은 상부 통로(3d)이다.
두한장 벨트(4)는 한쌍의 풀리(5)상을 구동하여 벨트(4)는 제5도에서 기술된 것과 같은 식으로 공급장치(3)의 양 상,하부측을 따라 구동한다.
풀리(5)의 하나는 전기 모우터(도시않됨)에 의해 구동된다.
벨트(4)는 제4도의 화살표 방향으로 구동하게 된다.
하부통로(3c)에서는 트레이(2)만이 구동벨트(4)에 의해 반송된다. 상부 통로(3d)의 기울기가 작을때 트레이는 공급장치의 하부측(3e)을 따라 위로 이동하는 후속 트레이에 의해 밀어올려질 수 있다. 그러나 기울기가 가파를때는 적당한 호이스트(hoist) 또는 체인이 상부 통로(36)를 따라 트레이를 위로 미는데 필요하게 될 것이다. 보빈이 공급장치(3)에 설치되어야 할 때 보빈은 제4도의 위치(A)에서 그위에 위치된다. 이를 실행하기 위해 트레이는 멈춘다 보빈은 트레이 상에 위치될 때 보빈의 중량이 트레이에 작용함으로써 트레이가 벨트(4)에 보다 가까이 접촉하게 된다.
그들 사이의 마찰은 보빈-지탱하는 트레이가 벨트(4)의 운동에 따라 이동할 수 있을만큼 충분하게 증가 한다.
반송장치에서 보빈들은 트레이 시이트의 상호 위치때문에 각기 상호간격을 둔다. 벨트의 구동속도는 원하는 대로 조정될 수 있다.
보빈이 각각의 트레이(2)로부터 개별적으로 취출되는 공급장치(3)의 경계 선단에 보빈 취출 유닛트가 제공된다.
예시된 구체예에서 유닛트는 참조번호(6)으로 표시된다.
취출 유닛트(6)은 장치(3)의 보빈 공급측과 병행하여 갖춰진 레일(6a), 공지 방법으로 레일(6a)를 따라 활주가능한 슬라이더(6b)와 공급장치(3)앞뒤로 활주가능한 탑부재(6c)를 포함하며 상기 탑부재(6c)는 수직으로 회전 가능한 취출 아암(6d)를 지닌다.
취출아암(6d)은 그 하부선단에 제11도 및 12도에 도시된 폴(pawl) (6e)이 갖춰진다. 폴(6e)은 보빈 본체(la)의 외부진경 보다 좁은 폭을 지니는 U-형 홈(6f)을 포함한다. 취출아암(6d)은 폴(6e)이 칼러(2c)와 결합될때까지 공급장치(3)를 향하여 화살표(C)방향으로 전진 가능하게 된다.
보빈을 취출하기 위한 절차는 다음과 같다 :
취출될 보빈이 참조번호(B)로 표시된 위치에 도달할 때 트레이는 스토퍼(도시않됨)에 의하여 정지된다. 이 순간에 취출아암(6d)은 폴(6e)이 칼러(2c)와 결합될때까지 전진되어 아암은 화살표(D) 방향으로 위로 상승되므로써 트레이로부터 보빈을 빼내게 된다. 빼내진 보빈은 취출아암(6d)으로부터 해제되어 소정위치로 운반된다. 보빈을 해제하기 위하여 적당한 기구, 예를 들면 취출아암(6d)를 기울이는 것 또는 특별 요동판을 제공하는 것들이 사용된다.
제4도는 공급장치(3)의 직선 열을 나타내나 장소가 한정될때는 수평 또는 수직으로 굴곡 또는 만곡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굴곡 또는 만곡은 레일, 벨트 및 풀리로 이루어지는 용이하게 조립가능한 구조이기 때문에 쉽게 이뤄질 수 있다. 조립방법은 제7도 및 제8도에 도시된다. 제7도에서 공급장치(3)는 수평으로 조립된다. 한측면은 보빈공급측이며 반대측면은 보빈이 없는 트레이 복귀측으로 구성된다.
레일은 모든 측면을 따라 설치되며 풀리(5a)의 하나는 모터와 연결된다.
제8도에서 공급장치(3)은 위, 아래상태로 구성되며 풀리(5a)의 하나는 모우터와 연결된다. 또 풀리(5a), 안내 풀리(5b)와 (5c)는 벨트(4)가 위 아래로 구동하는 것을 확실하게 하도록 설치되며, 즉 풀리(5b)는 아래 통로(F)를 제공하도록 의도된 것이며 풀리(5c)는 상부통로(E)를 제공하도록 된 것이다.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풀리(5a), (5b) 또는 (5c)의 효과적인 폭은 원형 벨트(4)의 직경보다 약간 작으며 트레이의 하부부분은 풀리(5a) 및 (5c)에 대한 안내로써 활용된다. 제10도는 레일(3a), (3b)가 만곡되는 방법과 그것들이 조립되는 방법을 나타낸다.
참조번호(3b)는 만곡된 레일의 안쪽부븐을 나타내며, 이는 그 상부부분의 풀리(5a)와 베어링 블록(8)을 포함한다. 만곡된 레일(3a) 및 (3b)의 셋트는 제7도 및 8도에 도시된 각 배열에 부가된다.
후속공정의 작동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서 보빈으로부터 사 선단을 취출하여 상부 선단에 첨부해야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그러한 사 선단처리장치는 공급장치(3)로 쉽게 제공될 수 있다. 제13도는 그러한 장치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제13도에서 레일(3)은 원형 벨트(4)가 없는 바이패스(3f)를 구비한다. 바이패스(3f)에 위치된 트레이는 푸셔(pusher) (12)에 의해 다른쪽으로 가해지며 참조번호(12a)는 스토퍼를 나타내며 이에 의해 선행 보빈이 바이패스(3f)의 깊이로 밀어지는 동안 후속 보빈이 바이패스(3f)로 들어가는 것이 방지된다.
참조번호(9)는 공기 흡입장치(도시안됨)와 연결되는 사 선단 흡입관을 나타낸다.
흡입관(9)은 소정위치에 저지된 보빈(1')에 반대하여 위치된다. 보빈(1')은 회전장치(11)에 의해 회전되어 이 회전장치는 요동아암의 상부선단에 설치된 로우터(11a)를 포함한다. 로우터(lla)가 회전되어 보빈(1')과 접촉하게 될때 보빈(1')은 회전하게 된다.
보빈(1')이 회전되는 동안 사 선단(lb)은 흡입장치(9)에 의해 흡입되며 커터 (cutter) (10)에 의해 절단된다. 보빈(1')이 푸셔(12)에 의해 바이패스(3f)로 가해질때 절단된 사 선단은 공급장치(3)아래 위치된 두번째 흡입관(13)에 의해 제공된 흡입으로 보빈 본체(1a)의 구멍으로 흡입된다. 참조번호(13a)는 흡입호오스를 나타낸다. 이 때문에 시이트(2a)의 밑부분에 꽤큰 직경을 지닌 홈(14b)이 구비되며 보스(2b), 칼러(2c)와 핀(2d)이 홈(14b)에서 개구된 공기 통로(14)를 구비한 트레이(2')의 또다른 형태가 제공된다. 핀(2d)의 상부를 따라 공기통로(14)는 (14a)에서 개구된다. 예시된 구체예에서 공기 통로(14)는 하나이나 삼각형 형태로 배열된 병행하는 두통로 또는 세통로일 수 있다.
개구는 핀(2d)의 상부의 원추표면을 따라 홈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제15도는 공기통로(14)를 지니는 회전 트레이(2')를 나타낸다. 이 트레이 (2')는 베어링(15)을 더 구비하므로 트레이(2')는 회전할 수 있다.
필요할 때 회전 트레이는 사 선단처리장치가 없는 공급장치에 사용될 수 있다. 그 대신 제14도에 도시된 트레이는 그에 로우터(11a)를 사용함으로써 회전하도록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보빈공급장치는 수평 뿐만 아니라 수직으로 조립될 수 있다.
원한다면 공급장치는 상,하 병렬형태로 조립될 수 있다. 또 다른 잇점은 마찰하에서 벨트에 의해 트레이가 구동되는 것이며 이는 벨트의 운동을 멈추지 않고 그것들을 저지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또 복합한 구동장치가 필요하지 않으므로 생산비가 저렴하게 된다.
Claims (5)
- 보빈 반송장치에 있어서, 보빈(1)에 삽입가능한 보빈 지지핀(2d)을 각기 지니는 다수의 트레이(2), 트레이(2)를 안내하기 위해 루우프형으로 조립된 한쌍의 안내레일(3), 트레이(2)의 밑표면과 유지되어 트레이(2)가 벨트(4)의 운동과 일치하여 마찰적으로 이동하게 되는 안내레일(3)을 따라 구동하는 원형벨트(4), 벨트(4)가 저지된 보빈(1)로부터 빠져나오는 것을 계속하도록 하기 위하여 보빈(1)을 정지시키기 위한 기구 및, 트레이로부터 저지된 보빈을 취출하기 위한 보빈 취출기구(6)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빈 반송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3)가 보빈(1)의 외부직경보다 큰 직경을 지니는 시이트(2a), 보스(2b)와 보빈(1)본체의 외부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지니는 칼러(2c)로 이루어지며, 보빈 지지핀(2d)이 시이트(2a), 보스(2b) 및 칼러(2c)와 동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빈 반송장치.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레일(3)이 C-형 횡단면을 지니는 한쌍의 강철 바아로 이루어지며, 이 강철 바아의 내부 공간은 트레이(2)가 안내레일(3)을 따라 활주가능하도록 트레이(2)의 시이트(2a)를 수용하기 위한 통로를 제공하기 위해서 접합되며, 원형 멜트(4)가 강철 바아 사이에 지탱된 로울러상에 활주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빈 반송장치.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각 트레이(2)의 시이트(2a)에는 그 밑부분에 홈이 갖춰지며, 각 보빈 지지핀(2d)에는 홈에서 뿐만 아니라 보빈 지지핀(2d)의 상부위까지 개구되는 공기 통로(14)가 갖춰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빈반송장치.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칼러(2c)와 보빈 지지핀(2d)이 트레이(2)의 시이트(2a)상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빈반송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850009200A KR910003183B1 (ko) | 1985-12-07 | 1985-12-07 | 보빈 반송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850009200A KR910003183B1 (ko) | 1985-12-07 | 1985-12-07 | 보빈 반송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870005890A KR870005890A (ko) | 1987-07-07 |
KR910003183B1 true KR910003183B1 (ko) | 1991-05-22 |
Family
ID=192440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850009200A KR910003183B1 (ko) | 1985-12-07 | 1985-12-07 | 보빈 반송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910003183B1 (ko) |
-
1985
- 1985-12-07 KR KR1019850009200A patent/KR910003183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870005890A (ko) | 1987-07-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4747482A (en) | Bobbin conveying apparatus | |
US4036355A (en) | Egg escalator | |
US9834388B1 (en) | System for loading elongated members such as tubes onto a conveyor for later processing | |
JPH0229567B2 (ko) | ||
US4989722A (en) | Apparatus for transporting yarn packages | |
US5082107A (en) | Storage conveyor | |
JPH06340329A (ja) | 単列コンベヤーシステム | |
US8191702B2 (en) | Article lifting device | |
EP0399103A1 (en) | Transport carrier conveyor | |
JP2022007499A (ja) | 食肉盛付ユニット | |
KR910005358B1 (ko) | 컨베이어 장치용 저장 유닛 | |
KR910003183B1 (ko) | 보빈 반송장치 | |
EP0132639A1 (en) | Conveyor apparatus | |
JPH04311439A (ja) | 袋切裂き装置 | |
CZ280674B6 (cs) | Způsob dopravy dutinek na textilním stroji a zařízení k provádění tohoto způsobu | |
US4726585A (en) | Amusement apparatus | |
CN112424095A (zh) | 用于输送棉条施放器的输送设备和方法 | |
US4880176A (en) | Yarn end finding device | |
KR970002853Y1 (ko) | 계란의 승하강 이송장치 | |
EP0227313A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orientating can ends | |
US6279723B1 (en) | Container uprighting device | |
US4974718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porting yarn packages | |
GB2152463A (en) | Powered overhead conveyor systems | |
JPH06321318A (ja) | 物品集積供給方法および装置 | |
US5473880A (en) | Multi-station textile machine, especially double twisting machine or cabling machine, with sequentially arranged spool container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G160 |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